¡
CORE 핵심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운영화로 문화예술특성화 기반 조성
■ 문화예술콘텐츠기획
(C트랙), 문화예술창작·제작(P트랙), 문화예술유통‧배급(N트랙), 문화예술디지
털공학
(D트랙) 개발로 특성화 학과에 속한 학생들이 균형 잡힌 문화예술융합 전문인재로 양성
2. 사업 기본 방향
¡ 문화예술융합 분야 특성화 교육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의 핵심
(CORE)교과목 개발
¡ 문화예술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의 핵심 교과목인
CORE 교과목을 통해 문화예술융합 전
공 역량을 강화하도록 설계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과 과정의 보충 심화 교육 진행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은 향후 교과목 개발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음
3. 공모내용 및 지원자격
p 공모내용
■ 문화예술융합전공 CORE 교과목 개발 총 16과제
: 아래 표의 개발 교과목(안)은 대표적 예시로
써
, 연구제안자가 사업(연구개발) 취지 내에서 교과목 명칭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음.
과제명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교과목(안)
연구비
CORE교과목
개발
C
문화예술콘텐츠 기획
문화예술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개발 교과목 당
2,000,000원 이내
창의발상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실습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워크숍
P
문화예술창작 및 제작
문화예술드로잉
음원제작실험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 체험
*문화예술창작·제작 워크숍
N
문화예술 유통 및 배급
문화예술 저작권
문화예술 정책과 행정
문화예술 마케팅
*문화예술유통 워크숍
D
문화예술지지털공학
문화예술융합 트렌드
디지털로 소통하는 디자인
미디어아트 오감체험
*문화예술디지털 공학 워크숍
* 워크숍 교과목은 4학점 4시수로 개발하여야 하고, 그 외 교과목은 3학점 3시수로 개발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개발 총 4과제
: 아래 표의 개발 교과목(안)은 대표적 예시로써,
연구제안자가 사업
(연구개발) 취지 내에서 교과목 명칭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음
¡
CORE 핵심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운영화로 문화예술특성화 기반 조성
■ 문화예술콘텐츠기획
(C트랙), 문화예술창작·제작(P트랙), 문화예술유통‧배급(N트랙), 문화예술디지
털공학
(D트랙) 개발로 특성화 학과에 속한 학생들이 균형 잡힌 문화예술융합 전문인재로 양성
2. 사업 기본 방향
¡ 문화예술융합 분야 특성화 교육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의 핵심
(CORE)교과목 개발
¡ 문화예술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의 핵심 교과목인
CORE 교과목을 통해 문화예술융합 전
공 역량을 강화하도록 설계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과 과정의 보충 심화 교육 진행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은 향후 교과목 개발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음
3. 공모내용 및 지원자격
p 공모내용
■ 문화예술융합전공 CORE 교과목 개발 총 16과제
: 아래 표의 개발 교과목(안)은 대표적 예시로
써
, 연구제안자가 사업(연구개발) 취지 내에서 교과목 명칭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음.
과제명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교과목(안)
연구비
CORE교과목
개발
C
문화예술콘텐츠 기획
문화예술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개발 교과목 당
2,000,000원 이내
창의발상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실습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워크숍
P
문화예술창작 및 제작
문화예술드로잉
음원제작실험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 체험
*문화예술창작·제작 워크숍
N
문화예술 유통 및 배급
문화예술 저작권
문화예술 정책과 행정
문화예술 마케팅
*문화예술유통 워크숍
D
문화예술지지털공학
문화예술융합 트렌드
디지털로 소통하는 디자인
미디어아트 오감체험
*문화예술디지털 공학 워크숍
* 워크숍 교과목은 4학점 4시수로 개발하여야 하고, 그 외 교과목은 3학점 3시수로 개발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개발 총 4과제
: 아래 표의 개발 교과목(안)은 대표적 예시로써,
연구제안자가 사업
(연구개발) 취지 내에서 교과목 명칭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음
마이크로디그리
비교과 프로그램(안)
연구비
C 문화예술콘텐츠 기획
신화로 오토마타 인형극 만들기
개발 프로그램 당
1,000,000원 이내
P 문화예술창작 및 제작
문화예술 놀이터
N 문화예술 유통 및 배급
나눔 기술 체험
D 문화예술지지털공학
문화예술 AR·VR 콘텐츠 제작
p 지원 자격 및 신청 제한 요건
¡연구책임자
: 본교 전임교원만 가능함 (본교 겸임 교원 및 강사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가능)
¡중복 신청 제한
■ 연구책임자 기준으로
1개의 교과목만 신청할 수 있음
■ 연구책임자 기준으로
1개의 비교과 프로그램만 신청할 수 있음
■ 교과목
1개와 비교과 프로그램 1개를 중복하여 신청하는 것은 가능함
4. 연구내용
¡문화예술융합전공
CORE 교과목 개발 총 16개 교과목
■
15주차 강의를 위한 강의교안을 개발하거나 강의용 교재를 개발하여야 함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총
4개
■
5차시~10차시 정도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수업교안을 개발하여야 함
5. 신청․접수
■ 신청접수
: 대학교육혁신단
■ 제출기한
: 2019.11.20.(수) 18:00
■ 신청방법
: 이메일 접수(yskim@mokwon.ac.kr)
■ 제출서류
: 개발신청서 1부
6. 선정 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
,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7. 사업 추진 일정 : 사업품의 결재일에 따라 변경 가능
■ 사업신청 공고
: 2019.11.11.(월)
■ 사업신청 마감
: 2019.11.20.(수)
■ 공모선정 발표
: 2019.11.22.(금) 예정
마이크로디그리
비교과 프로그램(안)
연구비
C 문화예술콘텐츠 기획
신화로 오토마타 인형극 만들기
개발 프로그램 당
1,000,000원 이내
P 문화예술창작 및 제작
문화예술 놀이터
N 문화예술 유통 및 배급
나눔 기술 체험
D 문화예술지지털공학
문화예술 AR·VR 콘텐츠 제작
p 지원 자격 및 신청 제한 요건
¡연구책임자
: 본교 전임교원만 가능함 (본교 겸임 교원 및 강사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가능)
¡중복 신청 제한
■ 연구책임자 기준으로
1개의 교과목만 신청할 수 있음
■ 연구책임자 기준으로
1개의 비교과 프로그램만 신청할 수 있음
■ 교과목
1개와 비교과 프로그램 1개를 중복하여 신청하는 것은 가능함
4. 연구내용
¡문화예술융합전공
CORE 교과목 개발 총 16개 교과목
■
15주차 강의를 위한 강의교안을 개발하거나 강의용 교재를 개발하여야 함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총
4개
■
5차시~10차시 정도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수업교안을 개발하여야 함
5. 신청․접수
■ 신청접수
: 대학교육혁신단
■ 제출기한
: 2019.11.20.(수) 18:00
■ 신청방법
: 이메일 접수(yskim@mokwon.ac.kr)
■ 제출서류
: 개발신청서 1부
6. 선정 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
,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7. 사업 추진 일정 : 사업품의 결재일에 따라 변경 가능
■ 사업신청 공고
: 2019.11.11.(월)
■ 사업신청 마감
: 2019.11.20.(수)
■ 공모선정 발표
: 2019.11.22.(금) 예정
■ 진단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2020.01.06.(월)
■
※ 기안 내 원하는 시기에 제출 가능
8. 연구비 지급
■ 해당 과정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평가 후 지급.
■ 연구 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 과제 선정 발표와 함께 업로드 할 예정
■ 교과목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7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지로
인정
)
■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4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지로 인정)
9. 문의처
■ 이메일
: yskim@mokwon.ac.kr
■ 전 화
: 042-829-8147(대학교육혁신단 김연수 연구원)
■ 진단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2020.01.06.(월)
■
※ 기안 내 원하는 시기에 제출 가능
8. 연구비 지급
■ 해당 과정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평가 후 지급.
■ 연구 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 과제 선정 발표와 함께 업로드 할 예정
■ 교과목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7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지로
인정
)
■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4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지로 인정)
9. 문의처
■ 이메일
: yskim@mokwon.ac.kr
■ 전 화
: 042-829-8147(대학교육혁신단 김연수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