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대학혁신지원사업_우수성과사례집.pdf

닫기

background image

2019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공유  및  확산

2020.  5.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단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목    차

Ⅰ.  사업개요 ··························································· 1

Ⅱ.  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 6

  1.  마이크로  디그리 ······················································ 6

    1)  역량별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 6

    2)  GCP  교과  모듈  개발  및  운영 ·············································· 13

    3)  특성화  CORE  교과목  개발  및  운영 ···································· 18

  2.  아트커뮤니케이션 ·················································· 24

    1)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  전공  개설  및  운영 ······················ 24

    2)  교양  연계전공  활성화를  위한  Bridge  체험교과  운영 ···· 24

  3.  학생  맞춤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 ···· 32

    1)  학생  맞춤  적응형  학습  설계  및  지원 ································ 32

    2)  ‘학생  성장’  진로  설계  및  ‘학생  주도’  학습  강화 ············ 43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인    사    말

    목원의  교육혁신을  목표로  사업단을  출범한  지  벌써  1년이  되어  갑니다.  교육은  백년

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하였지만  빠르게  변화하지  못하면  더  빠르게  도태할  수밖에 

없는  세상에서  백년지대계를  세우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사람이고,  교육은  그러한  사람을  바꿀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년을  목표로 

사람과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지금의  대학교육은  세상도  사람도  모두  바꾸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껏  교육이  이루어낸  성과는  단지  변화와  혁신의  경쟁에서  승리하는  방법과 

매뉴얼을  가르쳐  준  것일  뿐입니다.  학습의  효과를  성적과  등급으로  나누고  기술과 

자격으로  미래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대에  교육의  깊은  뿌리는  당연히  흔들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목원의  교육혁신은  백년의  가치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시류에  쉽게  편승하는  권의

지계(權宜之計)형  교육이  아닙니다.  거친  변화의  마파람에  마구  흔들리는  얕은  뿌리의 

갈대와  같은  인재  보다는  참된  가치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뿌리  깊은  나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원  교육혁신의  근본  목표입니다. 

    따라서  목원의  교육혁신의  방향은  명확합니다.  학생이  자율적으로  참여해  스스로의 

감성을  일깨워  자아를  찾아가는  창의적  교육을  지향하며,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성을 

수용하는  열린  교육을  바라  볼  것입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목원  대학교육혁신단에서는 

흔들리지  않은  뿌리  깊은  교육의  본질을  반드시  혁신으로  이루어  낼  것을  약속드리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단  단장

현승훈  배상.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1  -

Ⅰ.  사업개요

1.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사업목표,  대학  특성화  전략과  추진실적의  연계성

    1.1.  중·장기  발전계획과  대학  특성화  전략의  개요

MVP  2013(‘07년),  MVP  2020(‘12년),  New  MVP  2020  특화전략(’17년)에  이어 

2019년에  MVP  2025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대학의  건학  이념과  교육  목표를  계승하면서  동시에  학생,  지역사회,  산업계 

등  다양한  교육수요자의  수요에  응답하는  교육혁신을  추진하고자  ‘맞춤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혁신대학’이라는  비전  수립

§ 

4대  발전전략과  16대  전략과제를  제시하고,  전략과제  이행을  위한  실행계획 

수립 

교육  혁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중·장기  발전계획과  연동하여  대학의  특성에 

맞는  중점  육성  분야  선정  및  지원을  위해  특성화  계획을  수립

§ 

특성화  목표를  <C.O.R.E.  전략을  통한  맞춤인재  양성>으로  설정하고,  특성화 

전략이  중·장기  발전계획의 비전 달성을 위한 다양한 실행 전략 중 핵심(CORE) 전

략임을 명확히 함

§ 

학문  분야  특성화와  기능  특성화를  모두  포괄하는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교육혁신의  방향  제시


background image

-  2  -

1.2.  사업  목표와의  연계성

대학  발전계획(중·장기  발전계획  및  대학  특성화  전략)  추진과  대학  혁신지원

사업  목표와의  연계성

    §  ‘19년에  대학  발전  계획(MVP  2025  중·장기  발전계획  및  특성화  CORE 

전략)이  새롭게  만들어졌으며,  대학  발전계획에  맞추어  대학  혁신지원사업 

설계

    § 대학은  2025년까지  중·장기  발전계획의  비전  달성을  위해서는  과감한  교육

혁신을  통해  맞춤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역량  빠른  시간  내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 이에  따라  대학  혁신지원사업의  목표로  「교육혁신 

  구축」을  설정

하였으며,  대학  혁신지원사업의  목표  달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중·장기  발전계획  로드맵  전체의  추진  동력을  확보하게  됨             

    § 동시에  중·장기  발전계획의  비전  달성을  위한  핵심(CORE)  전략인  대학  특성화 

전략의  12개  추진  과제는  대학  혁신지원사업  추진의  기반  및  성과가  되도록 

구성


background image

-  3  -

   

1차년도  사업을  통해  달성된  정량적,  정성적  실적의  기여도  및  대학  발전계획과의 

연계성 

§ 

자율성과  지표인  역량  통합  교육혁신  지수,  창의융합  교육혁신  지수,  학생 

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지수는  중·장기발전계획의 

교육혁신성과지수,  학생성공지원지수  등과  연계되어  있고,  1차년도  자율성과 

지표  모두  100%이상  달성함으로써  MVP  2025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 

동력  확보

§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실적은  특성화  전략의  12개  추진  과제  중  8개 

과제  달성에  직접적으로  기여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실적과 

MVP  2025  중·장기  발전계획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실적과 

특성화  C.O.R.E.  전략

[연계성]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교육혁신 

  구축」

[연계성]  특성화  전략의  12개  추진  과제  중 

8개  과제  달성에  직접적으로  기여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자율성과  지표

중·장기발전계획

발전전략과  성과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성과

특성화  전략 

추진  과제


background image

-  4  -

역량통합 

교육혁신  지수

창의융합 

교육혁신  지수

교육혁신  성과지수

§문화예술융합  전공 

신설  및  CPND코어 

교과목(14개)  개발

§문화예술융합  특성

화  25개  학과  참여

§CPND  연계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등

문화예술  특성화 

체계(CPND)  구축

§자율적  학습생태계 

RGB 발전소 1,2,3 구축

§DIY 스튜디오 구축 등

자율적 

학습생태계 

구축

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  지수

학생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학생성공  지원지수

§주제  중심  프로젝트 

매뉴얼  및  프로젝트식 

수업  연구개발

§체험전공 교과목 174개 

강좌,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23개 운영 등

학습자  주도형 

주체적  자립  교육 

정착

§역량기반  전공  공통 

프레임워크  2.0  개발 

및 학과별 전공 프레임

워크  구축

§핵심역량  진단도구

(MICA)  2.0  연구개발

§5대  핵심역량  기반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및  운영  등

역량  통합 

교육  확산

창의융합 

교육혁신  지수

학생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지·산·학  협력지수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25개  학과  참여  및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혁신교과  인증 

§학과별  전공  프레임

워크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  등

학과(부)  자율적 

특성화  계획 

수립·실행

§스톡스(Stokes)  대학 

설립(기초교양학부, 

창의교양학부, SW교양

학부, 연계전공교육학부)

스톡스대학 

설립  및  운영


background image

-  5  -

[1차년도  자율성과  지표  성과]
-  역량통합  교육혁신  지수  105.66%  달성
→  교육혁신  성과지수
-  창의융합  교육혁신  지수  102.74%  달성
→  교육혁신  성과지수,  지·산·학  협력지수
-  학생  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102.43% 

달성

→  학생성공  지원지수,  지·산·학  협력지수
-  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  지수  100.85%  달성
→  학생성공  지원지수

§대학교육혁신단  설립

(교육혁신팀,  열린교육

과정지원센터,  교육

성과관리센터)

§대학교육개발원  조직 

개편(교직원역량강

화센터,  학습역량강

화센터)

대학교육혁신단 

설립  및  운영

§교수역량강화  노력, 

학습역량강화  노력 

등의  지표를  포함하

여 학과(부) 평가 실시 

§특성화  참여  학과

(부)의 모집 정원 30명 

증원

§49명  정원감축을  포함

하여  총  201명의  정원 

이동

특성화  추진  평가 

및  정원  조정  연계


background image

-  6  -

Ⅱ.  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1.  마이크로  디그리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역량맞춤형 교양교육과정 체계 구축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112] 역량별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역량통합 교육 혁신 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수요자 중심 융합창의교육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현행 학문분야별로 편성된 교양교육과정을 계열별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재편 및 운영함

으로써 계열별로 학생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5대 핵심역량이 균형 있게 함양될 수 있

도록 지원함 

 산업수요와 지역사회에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교양교육도 기존 학문분야․주제

분야별  편성에서  계열별로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역량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

과정으로 재편될 것이 요구되고 있음

 ○ 목표

 IMAGE+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5대 핵심역량 기반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역량 맞춤형 교양교육과정 체계 구축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시범 운영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공모

 공모내용

세부프로그램

단위사업

과제명

공모

과제수

역량  맞춤형 

교양교육과정  체계  구축

역량별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5대 핵심 역량별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10

 지원자격

   - 목원대학교 전임교원 (겸임 교원 및 본교 강사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가능함)


background image

-  7  -

 ■ 연구내용

   - 재학생 대상 수요도 조사 결과를 대학교육혁신단 교육과정혁신 전문위원회에서 분석

하여 역량별 세부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음

   ■ 체험형 교육과정으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과제명

세부  연구과제  내용

5대  핵심  역량별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총  12학점  이수  과정)

이타적  인성역량  MD

리더십,  조직  내  적응  및  관계  형성

자기애적  감성역량  MD

예술  문화  창작  및  기획

주체적  자립역량  MD

자격증,  창업  관련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MD

Design  Thinking,  아이디어  개발, 

ICT리터러시  역량  강화(S/W관련)

융화적  소통역량  MD

언어,  지역  문제

 ■  신청․접수

   - 신청접수 : 대학교육혁신단

   - 제출기한 : 2019. 8. 19. (월) 12:00

   - 청방법 : 이메일 접수 (yskim@mokwon.ac.kr)

   - 제출 서류 : 해당 교육과정개발신청서 1부

 ■ 신청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  1차  서류심사는  신청서  심사  (연구목적  및  필요성,  교육과정  설계  체계,  교과구성 

계획 등)

     * 2차 종합평가는 서류심사 점수와 전문위원회 회의를 거쳐 선정

 ■ 사업 추진 일정

   - 사업신청 공고 : 2019. 8. 09.(금). 예정 시행품의 결재일에 따라 조정

   - 사업신청 마감 : 2019. 8. 19.(월) 12:00

   - 공모선정 발표 : 2019. 8. 23.(금) 예정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2019. 12. 30.(월) <기간 내 원하는 시기에 제출 가능>

   -  교양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운영  결과  보고서  제출:  2019학년도  2학기  종료  후  기한 

추후 공지

     ※  2020학년도부터는  연구  책임자가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운영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2019학년도 2학기는 마이크로디그리 시범운영 과정(해당 교과목 추후 안내)에 한함.

 ■ 연구비 지급

   - 해당 과정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평가 후 지급.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7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

이지로 인정)   

   - 연구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 과제 선정 발표와 함께 업로드 할 예정


background image

-  8  -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시범  운영

  ■ 마이크로디그리별 교과목 중 선정하여 교과목 운영 지원

  ■ 지원 교과목 선정은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선정

  ■ 학생 체험비, 교구 구매 지원 등

  ■ 30,000원/1학생 이하 지원 가능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관련 수요도 조사 실시

  ■  학생  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마련  및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신설을  위해,  우리대학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함

  ■ 방법: 목원앱 푸쉬 메시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

  ■ 기간: 2019. 07. 18.(목) ~ 2019. 19.(금)

  ■  대학교육혁신단  교육과정혁신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반영 계획을 수립함 

  ■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세부  과정을  설계하고  연구  내용을 

도출하여 공모, 연구개발함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관련  중간설문  실시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현재  시범 운영  중인 교과목의  중간 

점검 및 수요를 조사함

  ■ 기간: 2019. 11. 07.(목) ~ 2019. 11. 21.(목)

  ■  설문결과를  정리하여  연구개발자에게  전달하고  컨설팅을  실시하여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진행함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연구개발

  ■ 수요조사 결과로 과제를 도출하여 공모함. 공모 결과 12개의 신청서를 접수하였고, 심사를 

통해 총 10개를 선정함. 또한, ‘유럽문화연구’ 과정은 내용 상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과정으로 전환하여 개발하기로 함

  ■ 과정 연구개발 결과: 총 10개 과정

연번

개발  과정명

역량별

연구자

성명

1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책임

강연임

공동

신지연

장수경

한상철

구진희


background image

-  9  -

  ■ 신규 교과목 연구개발 결과: 총 25개 교과목

2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책임

구진희

공동

연용호

이대범

윤보현

3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책임

박문희

공동

김효진

4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책임

서기자

공동

변승구

오연희

5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책임

송석랑

6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책임

원은석

공동

유경아

성창규

7

ICT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책임

윤보현

8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책임

정옥희

9

국어능력인증과정

자립역량

책임

조용림

10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책임

최혜진

연번

마이크로디그리  과정명

역량별

교과목명

1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옛날이야기와테마파크 

2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찾아가기

3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스토리텔링

4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10분뮤지컬만들기

5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영화사운드로읽는감성표현

6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소통하는예술기획워크숍

7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공연기획

8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문제해결을위한창의코딩

9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피지컬컴퓨팅인터랙션

10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오디오비쥬얼감성코딩

11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데이터분석을위한창의코딩

12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코딩을위한알고리즘

13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실무영어청취와표현

14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영문학으로쌓는교양

15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화법과언어예절

16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시의상상과커뮤니케이션

17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힐링인문학

18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타자를위한인간학

19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너,나,우리의인성

20

국어능력인증

자립역량

언어이해와국어능력

21

국어능력인증

자립역량

사고력과국어능력

22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문화속의원형콘텐츠

23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SF판타지와스토리텔링

24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로컬리티와문화콘텐츠

25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문화콘텐츠창작기획프로젝트


background image

-  10  -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교과목  인증

  ■ 2019-2학기 시범운영: 총 10개 과정 38개 교과목


마이크로디그리  과정명

역량별

교과목명

수강코드

1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민속과함께하는놀이인문학

1908223

2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춤이야기

1679023

3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감성역량

신나는사물놀이

2721122

4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뮤지컬의이해

1679223

5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무대연기

1678722

6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오페라,뮤지컬산책

3072322

7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감성역량

장르별보컬의실제

3456722

8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미술체험과소통

1860523

9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비주얼컬쳐

2157323

10

예술문화기획

감성역량

세계미술산책

25233E3

11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창의적사고와코딩

3973623

12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세상을움직이는IT

25441E3

13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안드로이드앱프로그래밍입문

2857023

14

소프트웨어 코딩

문제해결역량

생활속의스마트IT

2371423

15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English2

0049112

16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네이티브발음으로영어말하기

1149522

17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어휘를알면보이는영어

2887323

18

교양심화영어

소통역량

미디어로접하는영어표현과문화

1798423

19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발표와토의

1948223

20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창의적글쓰기

3970723

21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세상을움직이는IT

25441E3

22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소통역량

토론과글쓰기2

4186612

23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성공하는사람들의생활과윤리

24975E3

24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아케이드프로젝트

28471E2

25

인문 상담 및 치유사

소통역량

생각의힘을키우는논리

13943E3

26

국어능력인증

자립역량

공감적말하기의힘

0472223

27

국어능력인증

자립역량

학술적글쓰기

4347123

28

국어능력인증

자립역량

토론과글쓰기2

4186612

29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컴퓨터활용능력특강

4149923

30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ITQ특강(한글/파워포인트)

0061223

31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ITQ특강(엑셀/인터넷)

0061323

32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프리젠테이션과자기표현

4342523

33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GTQ특강

0062123

34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MOS특강(Powerpoint/Excel)

0061422

35

ICT 활용 마스터

자립역량

MOS특강(Word/Access)

0061322

36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미디어로보는명작

1798323

37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문화콘텐츠와스토리텔링

17581E3

38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자립역량

빅데이터와인문학

2161423


background image

-  11  -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수강 인원: 총 7,268명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연구개발: 총 10개 과정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인증 및 시범운영: 총 38개 교과목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신규개발: 총 25개 교과목 (2020학년도 개설 예정)

 ○ 정성적  성과

  ■  2회에  걸친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최대한  반영함으로써,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를 다짐

  ■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설계하고  세부  과제를 

도출하여 공모․연구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음

  ■  또한,  학기  중  2차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연구개발자에게  전달하고  컨설팅을 

실시함으로써, 지속적이고 꾸준한 수요 반영을 도모함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교양교육의  체계화와  집중적인  교육  향상을  위해  개설된  교양  마이트로

디그리의  효율적  운영.  특히  다양한  과정으로  개설되어  교양  교육의  전문

성을  고려한  특화된  프로그램으로  평가됨

  ■ 현재  교내  신규교과목  개발  연구비와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연구비는 

동일함.  그러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은  다수의  신규  교과목  개발이 

포함될  뿐  아니라  기존의  교과목을  재구성하여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전체를 

설계해야  함.  따라서  해당  과제의  연구  분량  및  노력이  타  연구개발  과제와는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구비가  기존보다  상향조정될  필요가  있음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의  체계적  운영과  교육효과를  위하여,  현재 

독립적으로  설계된  각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연계하여  구성․운영할  필요

가  있음.  이는  복수학위를  위한  준비과정으로도  필요할  것임

  ■ 11가지  과정으로  구분하여  각  분야에서  개설된  과목을  한  분야에서  통일

하여  전  학점을  취득하여야  부여하는  마이크로디그리를  타  분야에서  개

설된  과목을  혼합하여  취득하여도  학점  취득  조건(13학점)을  충족한  경우 

마이크로디그리를  부여하는  방안이  필요

  ■  마이크로디그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13학점의  이수를  위해 

수강하는  과목의  확대가  필요함.  다양한  과목의  개설을  통해  학생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background image

-  12  -

2)  참여자의  의견

  ■ 좀더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이 충분히 개발될 필요가 있음

  ■  공모시,  해당  마이크로디그리  내에  포함될  ‘신규’교과와  ‘기존’교과의  비율을  명시하지 

않아 문제가 있었음. 혼란을 막기 위해 추후 공모에 교과 구성 비율이 미리 안내되어야 함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 다른 연구개발 과제에 비해 마이크로디그리 전체를 

설계하고 개발해야 함. 그러나 연구비는 동일함

§ 각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이  독립적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연계성을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움

§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이 필요함

§ 공모시 마이크로디그리 내의 ‘신규’ 교과와 ‘기존’ 

교과의 비율이 명시되지 않아 혼란이 있었음

§ 예산 내에서 연구비를 상향 조정

§ 관련있는  마이크로디그리를  서로  연계하여  체계

적인 구성․운영

§ 지속적인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이 필요

§ 공모시 미리 교과 구성 비율을 명시


background image

-  13  -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 운영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123] GCP 교과 모듈 개발 및 운영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역량통합 교육 혁신 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수요자 중심 융합창의교육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맞춤형  인재를  양성

    ■  체계적인  사전학습에  기반한  글로벌  교과모듈  개발이  필요

    ■  학생들의  융화적  소통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이에  맞는  교과  모듈을  개발 

및  운영할  필요

 ○ 목표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Global  Challenge  Pathfinder)  교과모듈’ 

개발

    ■  GCP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시범  운영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교과모듈  개발  공모

    ■  공모내용

세부프로그램

단위사업

과제명

공모

과제수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  운영

GCP교과  모듈 

개발  및  운영

글로벌  경쟁력  강화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2

  ■  지원자격

      -  목원대학교 전임교원 (겸임 교원 및 본교 강사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가능함)

    ■  연구내용

      -  재학생  대상  수요도  조사  결과를  대학교육혁신단  교육과정혁신  전문위원회에서  분

석하여 역량별 세부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음

      -  체험형 교육과정으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background image

-  14  -

과제명

세부내용

글로벌  경쟁력  강화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총 

12학점  이수  과정)

  융화적 

소통역량  MD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동일 

국가에  대한  교양교과목을  구성하여  개발

    ■  신청․접수

   - 신청접수 : 대학교육혁신단

   - 제출기한 : 2019. 8. 19. (월) 12:00

   - 신청방법 : 이메일 접수 (yskim@mokwon.ac.kr)

   - 제출 서류 : 해당 교육과정개발신청서 1부

    ■  신청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  1차  서류심사는  신청서  심사  (연구목적  및  필요성,  교육과정  설계  체계,  교과구성 

계획 등)

 * 2차 종합평가는 서류심사 점수와 전문위원회 회의를 거쳐 선정

    ■  사업 추진 일정

   - 사업신청 공고 : 2019. 8. 09.(금). 예정 시행품의 결재일에 따라 조정

   - 사업신청 마감 : 2019. 8. 19.(월) 12:00

   - 공모선정 발표 : 2019. 8. 23.(금) 예정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 2019. 12. 30.(월) <기간 내 원하는 시기에 제출 가능>

   -  교양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운영  결과  보고서  제출:  2019학년도  2학기  종료  후  기한 

추후 공지

    ※  2020학년도부터는  연구  책임자가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운영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2019학년도 2학기는 마이크로디그리 시범운영 과정(해당 교과목 추후 안내)에 한함.

   - 연구비 지급

   - 해당 과정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평가 후 지급.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의 분량은 A4기준 70매 이상(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

이지로 인정)   

   - 연구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 과제 선정 발표와 함께 업로드 할 예정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GCP  과정  시범  운영

    ■  GCP 과정에 포함된 2019-2학기 교과목 중 선정하여 교과목 운영 지원

    ■  지원 교과목 선정은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선정

    ■  학생 체험비, 교구 구매 지원 등

    ■  50,000원/1학생 이하 지원 가능


background image

-  15  -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과정’  관련  수요도  조사  실시

    ■  학생 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마련 및 GCP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신설을 위해, 우리대학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함

    ■  방법: 목원앱 푸쉬 메시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

    ■  기간: 2019. 07. 18.(목) ~ 2019. 19.(금)

    ■  대학교육혁신단  교육과정혁신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반영 계획을 수립함 

    ■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및  GCP의 세부  과정을 설계하고 연

구 내용을 도출하여 공모, 연구개발함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과정’  관련  중간설문  실시

    ■  GCP  과정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현재  시범  운영  중인  교과목의  중간  점검  및 

수요를 조사함

    ■  기간: 2019. 11. 07.(목) ~ 2019. 11. 21.(목)

    ■  설문결과를 정리하여 연구개발자에게 전달하고 컨설팅을 실시하여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진행함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과정’  연구개발

    ■  수요조사 결과로 과제를 도출하여 공모함. 공모 결과 1개의 신청서를 접수하였고, 심사를 

통해 총 1개를 선정함. 또한, ‘유럽문화연구’ 과정은 내용 상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내 

GCP 과정으로 전환하여 개발하기로 하여, 총 2개 과정이 GCP 과정 연구개발 과제로 

선정됨. (다만, ‘유럽문화연구’ 과정은 개발자의 중도 포기로 인해 개발 취소됨)

    ■  과정 연구개발 결과: 총 1개 과정

연번

개발  과정명

역량별

연구자

성명

1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책임

스즈끼미에

공동

인미동
양선희
김경호
엄기권


background image

-  16  -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교과목 인증

    ■  2019-2학기 시범운영: 총 1개 과정 6개 교과목

연번

마이크로디그리  과정명

역량별

교과목명

수강코드

1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초급일본어

40602E3

2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중급일본어

38443E3

3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문화를통해만나는일본

3061523

4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달콤한일본문학산책

1511023

5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애니메이션일본어

2860923

6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소통역량

도전,JLPT

1298723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GCP 과정 교과목 수강 인원: 총 317명

    ■  GCP 과정 연구개발: 총 1개 과정

    ■  GCP 과정 교과목 인증 및 시범운영: 총 6개 교과목

  ○  정성적  성과

    ■  2회에  걸친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최대한  반영함으로써,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를 다짐

    ■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GCP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설계하고  세부  과제

를 도출하여 공모․연구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음

    ■  또한,  학기  중  2차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연구개발자에게  전달하고  컨설팅

을 실시함으로써, 지속적이고 꾸준한 수요 반영을 도모함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현재 교내 신규교과목 개발 연구비와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연구비는 동일함. 그

러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은  다수의  신규  교과목  개발이  포함될  뿐  아니라  기

존의 교과목을 재구성하여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전체를 설계해야 함. 따라서 해당 과

제의  연구  분량  및  노력이  타  연구개발  과제와는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구비가 

기존보다 상향조정될 필요가 있음

    ■  현재  GCP  과정으로는  1개  과정만  존재하므로  좀더  다양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

하여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


background image

-  17  -

2) 참여자의 의견

    ■  좀더 다양한 GCP 과정이 충분히 개발될 필요가 있음 

    ■  공모시, 해당 마이크로디그리 내에 포함될 ‘신규’교과와 ‘기존’교과의 비율을 명시하지 

않아  문제가  있었음.  혼란을  막기  위해  추후  공모에  교과  구성  비율이  미리  안내되

어야 함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 다른 연구개발 과제에 비해 마이크로디그리 전체를 

설계하고 개발해야 함. 그러나 연구비는 동일함

§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이 필요함

§ 공모시  마이크로디그리  내의  ‘신규’  교과와  ‘기존’ 

교과의 비율이 명시되지 않아 혼란이 있었음

§ 예산 내에서 연구비를 상향 조정

§ 지속적인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 및 체계적 운영

§ 공모시 미리 교과 구성 비율을 명시


background image

-  18  -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M-하이브리드  실용교육  확산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151] 특성화 CORE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창의융합교육혁신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체계 

(CPND)  구축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  목원대학교의 중장기 발전계획, 특성화 전략의 목표 및 분야 등을 고려하여 혁신지원

사업 체계 구축화

    ■  교육과정 혁신을 통하여 자율개선대 이상의 교육역량 구축, CORE전략을 통한 맞춤인재 

양성 

    ■  급변하는  사회수요에  맞춰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과목  개

발요구 증가

    ■  목원대학교가  학문분야  특성화로  선정한  ‘문화예술융합’이  보다  실제적·효과적·성공적

으로  정착  및  시행되기  위해서는  4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에서도  학생들이  각  과정 

별로 반드시 갖춰야 하는 핵심(CORE)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교과목이 개발되어야 함


background image

-  19  -

 ○ 목표

    ■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과목 개발로 사회 수요 부응

    ■  4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별  문화예술콘텐츠기획(C트랙),  문화예술창작·제작

(P트랙),  문화예술유통‧배급(N트랙),  문화예술디지털공학(D트랙)  개발로 

특성화  학과에  속한  학생들이  균형  잡힌  문화예술융합  전문인재로  양성

    ■  CORE  핵심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운영화로  문화예술특성화 

기반  조성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문화예술융합전공운영  CORE  운영  전문위원회(가칭)  구성

    ■  공모내용

세부사업명

단위사업

과제명

공모  수

M-하이브리드 

실용교육  확산

특성화  CORE교과목 

개발  및  운영

CORE교과목  개발

(C.P.N.D트랙./트랙당  4건)

16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C.P.N.D트랙/트랙당  1건)

4개

    ■  연구  개발  내용

      -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교육과정  개발

        ·  CPND  트랙별  CORE  교과목  개발

        ·  특성화  CORE교과목과  연계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융합  전문위원회를  통한  연구  주제  도출

      -  문화예술융합전공  CORE교과목  개발(안) 


background image

-  20  -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구성(안)

문화예술콘텐츠기획(C)

문화예술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창의발상,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실습,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워크숍

문화예술창작‧제작(P)

문화예술드로잉,  음원제작실험,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  체험, 

문화예술창작·제작  워크숍

문화예술유통‧배급(N)

문화예술  저작권,  문화예술  정책과  행정,  문화예술  마케팅, 

문화예술유통  워크숍

문화예술디지털공학(D)

문화예술융합  트렌드,  디지털로  소통하는  디자인,  미디어아트 

오감체험,  문화예술디지털  공학  워크숍

    ■  문화예술융합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안)  도출

마이크로디그리

비교과  프로그램(안)

문화예술콘텐츠기획(C)

신화로  오토마타  인형극  만들기

문화예술창작‧제작(P)

문화예술  놀이터

문화예술유통‧배급(N)

나눔  기술  체험

문화예술디지털공학(D)

문화예술  AR·VR  콘텐츠  제작

    ■  신청·접수

      -  신청접수  :  대학교육혁신단  김연수  연구원(내선번호  8147)

      -  제출기한  :  2019.  11.  20.(수)  18:00(※  시행품의  결재일에  따라  변경  가능)

      -  신청방법  :  이메일  접수(yskim@mokwon.ac.kr)

      -  제출서류  :  신청서  1부

    ■  신청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  1차  서류심사  :  신청서  심사

※  2차  종합평가  :  서류심사  점수와  전문위원회  회의를  거쳐  선정

    ■  연구비  지급

      -  해당  과정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후,  연구비  지급

      -  결과보고서의  분량  :  교과목  연구개발은  A4기준  70매이상,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개발은  A4기준  40매  이상.    단,  PPT  강의교안으로  제출하는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지로  인정  가능

      -  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과제  선정  발표와  업로드  할  예정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CORE  교과목  개발

    ■  문화예술콘텐츠기획(C트랙),  7개  교과목  신청  중  4개  교과목  선정

    ■  문화예술창작·제작(P트랙),  4개  교과목  신청  중  4개  교과목  선정

    ■  문화예술유통‧배급(N트랙),  6개  교과목  신청  중  4개  교과목  선정

    ■  문화예술디지털공학(D트랙)  2개  교과목  신청  중  2개  교과목  선정


background image

-  21  -

 ○  CORE  교과  개발  19개  신청  교과목  중    총  14과제  선정


진행

신청  교과목명

트랙

책임연구자

소속

1

1차

문화예술크리에이티브마인드

C

문윤수

광고홍보언론학과

2

한글문화유산과  스토리텔링

C

신지연

국어국문학과

3

창의적발상과표현

C

오연희

국어국문학과

4

콘텐츠비지니스

N

염동섭

광고홍보언론학과

5

문화콘텐츠기획

N

김은희

광고홍보언론학과

6

문화예술유통  워크숍

N

김민표

작곡재즈학부

7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스토리

P

백훈기

TV영화학부

8

문화예술  창작·제작  워크숍

P

서필

성악뮤지컬학과

9

영상제작실험

P

오구일

작곡재즈학부

10

음원제작실험

P

정재열

작곡재즈학부

11

문화콘텐츠  기획론

C

변승구

국어국문학과

12

문화와  예술에  묻고  사회학으로  답하기

N

유재두

경찰법학과

13

유튜브  시대  뉴스  콘텐츠의  이해

C

조은희

광고홍보언론학과

14

재공모

미디어아트융합체험

D

강현욱

기독교미술전공

15

현대문화예술콘텐츠

C

장수경

기초교양학부

16

문화예술인을  위한  저작권

N

양대승

지식재산학과

17

빅인텔리전스와  세계의  문학들

D

한상철

기초교양학부

18

대중문화예술콘텐츠  기획

C

김화동

광고홍보언론학과

19

문화예술정책  기획(문예정기)

N

문윤수

경찰법학과

  ○  특성화  CORE교과목과  연계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총  2과제  선정


신청  교과목명

트랙

책임

연구자

소속

선정
여부

1

보컬  레코딩  체험

P

정재열

작곡재즈학부

선정

2

Premiere ACA 국제공인  영상편집자격증 과정

D

현승훈

TV 영화학부

선정

  ○  대학교육혁신단  교육과정혁신  전문위원회  구성

    ■  문화예술융합전공  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방안  및  CORE교과목,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안건에  대한  논의  진행

직위

소속

성함

위원장

융합컴퓨터미디어학부

여상수

위원

TV·영화학부

현승훈

위원

섬유·패션  디자인학과

김성민

위원

피아노과

양기훈

위원

공학교육혁신센터

조도은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문화예술콘텐츠기획(C트랙)  4과목,  문화예술창작·제작(P트랙)  4과목,  문화예술

유통‧배급(N트랙)4과목,  문화예술디지털공학(D트랙)  2과목  총  14교과목  개발

    ■  비교과  프로그램  2교과목  개발  진행.


background image

-  22  -

  ○  정성적  성과

    ■  학생들의  희망  교과목  수요도  조사를  진행하여  교과목  연구개발  진행.

    ■  전문위원회의  구성  후  평가  및  컨설팅  진행하여  연구과제  선정

    ■  핵심역량별  균형있는  CORE교과목,  연계  비교과를  개발하여  문화예술융합  수

업을  개설

    ■  체계적  문화예술  및  융복합  교육  체계  구축을  통한  대학의  경쟁력  제고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우리대학의 강점분야인 문화예술에 집중하여 타 대학과 차별화되는 문화예술 특성화 

교과개발이 맞춤형 인재양성의 교육혁신 비전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여야 함.

    ■  문화예술  융복합  전공의  체계화와  집중적인  교육  향상을  위해  마이크로디그리의  효

율적 운영

    ■  4가지의  전공으로  구분하여  개설된  문화예술융복합  전공은  전문성을  고려한  특화된 

프로그램으로 평가됨. 

    ■  문화예술융복합  전공과  연관된  각  단과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과목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실질적인 세미나 형태의 홍보전략이 필요함.

    ■  네 가지분야로 구분하여 각 분야에서 개설된 4과목을 한 분야에서 통일하여 전 학점을 

취득하여야 부여하는 마이크로디그리를 타 분야에서 개설된 과목으로 혼합하여 취득

하여도 학점 취득조건을 충족한 경우 마이크로디그리를 부여하는 방안이 필요함

    ■  네 가지 분야에서 마이크로 디그리를 취득하기 위해 수강하는 과목의 확대가 필요함. 

각 분야에서 다양한 과목의 설개를 통해 학생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다양한 유형의 문화예술 C.P.N.D 생태계 활성하에 기여하고자  교과목 개발을 진행함. 

학생들의 수요도조사를 진행하여 의견을 반영한 문화예술융합전공 교과목 14개, 비교과 

2개를 개발하여 학습자 주도형 교과목을 개발함.

    ■  코로나로 인한 비교과 프로그램 시범운영 미실행으로 차년도 운영 시 세밀한 관리 필요

    ■  특성화  CORE교과목과  연계  비교과  RGB발전소와  함께  운영하여  문화예술융합  교육의 

성과를 극대화 필요

2)  참여자의  의견     

    ■  당초  CORE  교과목  16과제,  연계  비교과  4과제  개발을  목표로  진행하였으나,  CORE 

교과목 14과제, 연계 비교과 2과제 선정함. 차년도 추가 교과목 확대 개발 필요.       

    ■  학생 만족도 평가 진행 하여 수요자 니즈에 부합하는 사업을 개선 필요.


background image

-  23  -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 당초 사업계획과 다르게 교과목 개발이 적게 진행됨. 

§ 학생들의 수요도조사 진행 후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세밀한 컨설팅 필요.

§ 비교과 프로그램 시범운영 미실행

§ 학습자 주도형으로 운영 될 수 있도록 진행

§ 트랙별 추가 교과목 개발 진행 

§ 학생들의 수업참여도가 높을 수 있도록 홍보 필요

§ 학생들의 융복합전공 실현을 목표로 운영 


background image

-  24  -

  2.  아트커뮤니케이션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지역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 역량 강화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131]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 전공 개설 및 운영

[132] 교양 연계전공 활성화를 위한 Bridge 

체험교과 운영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역량통합 교육 혁신 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역량 통합 교육 확산, 학과(부) 자율적 

특성화 계획 수립․실행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  지역사회의  시급한  문제  또는  현안을  보다  효과적‧선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  지

역  대학마다  대학의  강점을  살려  그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

할 것을 요구받고 있음

    ■  우리  대학도  문화예술  분야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대전‧충청‧세종  지역의  문화예술 

분야의 혁신을 위한 전문가를 교양교육 과정을 통해서도 양성할 필요가 있음

    ■  교양교육  연계전공으로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을  개설  및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 

문화예술 분야의 혁신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함

  ○  목표

    ■  교양 교육과정 내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개설 및 운영

    ■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선정 및 운영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운영 지원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교양연계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공모

    ■  공모내용

세부프로그램

단위사업

과제명

공모

과제수

지역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 역량 강화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 전공

개설 및 운영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교양연계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5

  ■  지원자격:  목원대학교  전임교원  (겸임  교원  및  본교  강사는  공동연구원

으로  참여  가능함)


background image

-  25  -

    ■  연구내용

- 재학생  대상으로  수요도  조사를  먼저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

과제를  진행

- 교양 교육과정 내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의 교과목 연구 개발

과제명

세부내용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

(교양연계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교양 교육과정을 통한 지역사회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양성 과정

(예: 드라마 연극으로 만나는 심리치료, 마임을 통한 마음의 힐링,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보드게임 소통하기, 보드게임 이해와 활용, 색채심리컬러테라피, 성격심리학, 소통하는 

표현예술워크샵, 영상영화 심리상담, 예술체험을 통해 이해하는 정신분석학, 

예술치료이론기초, 체험을 통해 학습하는 놀이치료, 표현예술심리치료, 현장에서 

체험하는 예술이론 등)

  ■  신청․접수

- 신청접수: 대학교육혁신단

- 제출기한: 2019. 10~11월 중

-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 (ssm8715@mokwon.ac.kr)

- 제출 서류: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교양연계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신청서 1부

    ■  선정절차

- 평가항목 및 배점 등 세부 심사계획은 대학교육혁신단이 수립하여 시행

- 전문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종합평가를 통해 대상 선정

    ■  사업 추진 일정

- 사업신청 공고: 2019. 10월 중

- 사업신청 마감: 2019. 10~11월 중

- 공모선정 발표: 2019. 11월 중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2019. 12. 30.(월) <기간 내 원하는 시기에 제출 가능>

- 결과보고서 평가 및 연구비 지급: 2020. 1월 중

    ■  연구비 지급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평가 후 지급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분량:  A4기준  70매  이상  (PPT의  경우  2개의  슬라이드를  1페이

지로 인정)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작성 양식은 추후 연구 과제 선정 발표와 함께 업로드할 예정

 

  ○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선정  및  운영

    ■  대상

- 기존에 체험 교양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운영 중인 교과목 중 문화예술융합 교과목

(예: 무대연기, 미술체험과 소통, 신나는 사물놀이, 뮤지컬산책, 시로 읽는 세상 등)


background image

-  26  -

    ■  주요 내용

 -  기존의  체험  교양교과목  일부를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의  Bridge  교과목으로  선정

하여  운영함으로써,  우리  대학의  특성화  분야에  포함되지  못한  타  학과  학생들의 

문화예술 융합분야 체험 기회를 높이고 참여 동기를 높임

 - 최대 9학점까지 인정하여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이수학점(39학점)에 포함

    ■  사업 추진 일정

 - 선정 및 발표: 2019. 8~9월 중

 -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운영: 2019학년도 2학기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운영  지원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과정으로 운영 중인 2019-2학기 교과목 중 선정하여 교과목 

운영 지원

    ■  대상: 기존에 개발되어 2019학년도 2학기에 개설․운영 중인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과목(※ 2019학년도 2학기에 공고를 통해 신규개발되는 교과는 운영․지원 대상 아님)

    ■  지원 교과목 선정은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선정

    ■  학생 체험비, 교구 구매 지원 등

    ■  50,000원/1학생 이하 지원 가능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전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 자문을 얻기 위하

여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함

    ■  위원 명단

구  분

소  속

이  름

직  위

위원장

스톡스대학장

현승훈

교수

위원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

정옥희

교수

위원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

이아람찬

교수

위원

기초교양학부

최혜진

교수

임기 기간

: 2019. 10. 10. ~ 2020. 02. 29.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관련  수요도  조사  실시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개설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우리대학 재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함

    ■  방법: 목원앱 푸쉬 메시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


background image

-  27  -

    ■  기간: 2019. 10. 21.(월) ~ 2019. 10. 27.(일)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전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반영  계획을  수립함

    ■  이후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육과정 운영 시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운영함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  공모 결과 7개의 신청서를 접수하였고, 수요조사 결과 등을 고려하여 심사를 통해 총 

5개 교과목을 선정함

    ■  선정된  연구개발  과제에  대해서도  교육과정의  취지  및  수요조사  결과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구자와 컨설팅을 진행한 후 연구개발을 시작함

    ■  교과목 연구개발 결과: 총 5개 교과목


개발  교과목명

연구자

성명

소속

1

감성커뮤니케이션

책임

김효진

성악·뮤지컬학과

2

미디어언어로세상읽기

책임

신지연

국어국문학과

공동

강연임

기초교양학부

3

장르영화로보는인간심리

책임

이아람찬

아트커뮤니케이션전공

4

놀이로소통하는미디어아트커뮤니케이션

책임

현승훈

TV·영화학부

5

대중문화로배우는성과사랑이야기

책임

황혜진

TV·영화학부

 

 ○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선정  및  운영

    ■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연계전공의  활성화  및  체계적인  운영을  위하여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을  선정하여  운영함

    ■  스톡스대학  교학과의  신청  및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총  2회에 

걸친  심사를  통해  총  31개  교과목을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으로  선정

하여  운영함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리스트:  총  31개  교과목

연번 

수강코드

교과목명

학점

이수구분

1

0067423

가야금과현대의소통

3

교선

2

0100823

감성디자인캘리그래피

3

교선

3

0412523

고전영화느리게보기

2

교선

4

1033523

기초드로잉

3

교선

5

1156123

누구나쉽게배우는1인미디어창작실습

3

교선

6

1480022

드럼연주를통한음악의이해

2

교선

7

1538022

레드바이올린

2

교선

8

15870E3

말하기와의사소통

3

교핵


background image

-  28  -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운영 지원

    ■  아트커뮤니케이션  연계전공  교과목  운영:  총  14개  교과목  (2019-2학기에 

연구개발된  교과목  제외)

9

1678822

무대연기

2

교선

10

1798723

미디어아트트랜드

3

교선

11

1860423

미술과창의-인성

3

교선

12

18611E3

미술의이해와감상

3

교핵

13

1860723

미술체험과소통

3

교선

14

1908223

민속과함께하는놀이인문학

3

교선

15

2296322

상상충전감성디자인

2

교선

16

2327722

생생통통리더십개발

2

교선

17

25441E3

세상을움직이는IT

3

교핵

18

2568723

소통-자연을읽다그리고담다

3

교선

19

2721122

신나는사물놀이

2

교선

20

2721322

신나는사물놀이2

2

교선

21

2914923

연극체험-신체활동과인간심리

3

교선

22

3202422

음악과미술마주보기

2

교선

23

4065923

축제문화의이해와축제기획

3

교선

24

1679123

춤이야기

3

교선

25

4086623

카메라와함께천천히걷기

3

교선

26

4224322

통기타연주를통한음악의이해

2

교선

27

4258923

판화-나만의작품만들기

3

교선

28

4448223

한국전통문화의이해와체험

3

교선

29

4475023

한국화쉽게그리기

3

교선

30

4828822

화가의달콤한미술체험

2

교선

31

4934123

힐링아트드로잉

3

교선

연번 

수강코드

교과목명

학점

이수구분

1

1479223

드라마연극으로만나는심리치료

3

교선

2

1585723

마임을통한마음의힐링

3

교선

3

1862523

미술치료이론과실제

3

교선

4

1991723

보드게임소통하기

3

교선

5

1991823

보드게임이해와활용

3

교선

6

2322423

색채심리컬러테라피

3

교선

7

2522423

성격심리학

3

교선

8

2570323

소통하는표현예술워크샵

3

교선


background image

-  30  -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과목  수강  인원:  총  229명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Bridge  교과목  수강  인원:  총  1,302명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과목  연구개발:  총  5개  교과목  (2020학년도  1

학기  신규개설  예정)

    ■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과목  운영:  총  14개  교과목

    ■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  인증  및  운영:  총  31개  교과목

 ○  정성적 성과

    ■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최대한  반영함으로써,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를  다짐

    ■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  많은  비율로  ‘치료․상담’과  ‘기획․창작’  주제에  대

한  관심이  높았음.  따라서  이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  주제와  관련된  연구

개발  신청서  위주로  선정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함.  또한,  선정된  연구개발 

과제에  대해  컨설팅을  진행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취지  및  재학생  수요조

사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진행함

    ■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  나타난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

시키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을  충분히 

활용하기로  함.  이에  ‘기획․창작’  분야는  Bridge  체험  교양교과목을  통해 

강화하기로  계획함에  따라,  체험  교양교과목  중  기획․창작과  관련되며 

아트커뮤니케이션의  Bridge  교과목으로서  적합한  교과목  위주로  신청을 

받아  선정함

    ■  학기  종료  후  아트커뮤니케이션  전공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

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  수강생들의  만족도는  7점  만점  중  평균 

5.79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냄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재학생  수요조사  결과,  학생들의  관심과  수요에  비해  아직은  공급이  많

이  부족한  상황.  따라서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교과목  수를  충분히  늘

리고  다양한  주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  교과목  연구개발  공모  시  좀더  구체적인  주제와  방향을  미리  제시하여, 

기존에  부족했던  부분이  집중  개발될  수  있도록  고려


background image

-  31  -

    ■  교구  구입  등  운영  지원  시,  계획한  시기에  지원될  수  있도록  미리  준비

할  필요가  있음

2)  참여자의  의견

    ■  새로  시작하는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이  잘  잡혀있

지  않아  수요자에게  어떤  것이  필요할  지  파악하기  어려움.  수요자  중심

의  교육과정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수요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필요

가  있으며,  특히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때  주관식  응답을  기재하도록  하

여  좀더  구체적인  수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규정을  정비하고  구체적인  제도와  절차를  준비할 

필요가  있음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 학생들의 관심과 수요에 비해 아직 공급이 많이 부

족함

§ 교과 운영 지원이 제 때에 이루어지지 않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

§ 만족도 조사 시 주관식 응답이 없어 구체적인 수요

를 파악하기 어려움

§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준비가 필요함

§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교과목  수를  충분히  늘리

고 다양한 주제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

§ 교과목  연구개발  공모  시  구체적인  주제와  방향을 

미리  제시하여,  부족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운영

§ 운영 지원 시 미리 준비하여 적절한 시기에 교과목

이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

§ 필요에 따라 수요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

§ 만족도 조사 시 주관식 응답도 함께 기재하도록 실시

§ 규정을 정비하고 구체적인 제도와 절차를 마련


background image

-  32  -

  3.  학생  맞춤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학생 맞춤 & 성장형 다차원 학습활동 강화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221] 학생 맞춤 적응형 학습 설계 및 지원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학생 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학습자 주도형 주체적 자립 교육 정착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  우리  대학은  재학생의  학생  수준별  맞춤형  학습지원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  맞춤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학습활동이  필요

    ■  재학생들의  학습력  향상과  학업  적응을  위해  학업우수자  장학  지원  프로

그램  외에도  학생수준별(위험군,  위험경계군,  안정군)  특화된  학습지원 

체계  수립과  학습모듈  연구가  요구됨

    ■  학생수준별(위험군,  위험경계군,  안정군)  지속적인  사후관리와  밎춤형  지

원이  필요하고,  학습  위험군,  위험경계군  학생  대상으로  심리검사,  학습

컨설팅,  동기유발  워크숍,  멘토링  지원체계  등  다양한  지원  제도가  필요함

 ○  목표

    ■  ‘학생  맞춤’  적응형  학습설계  및  지원  :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 학습위험군(학사경고자)  대상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진행

- 학생상담센터와  연계하여  집단상담  진행

    ■  학생수준별(위험군,  위험경계군,  안정군)  워크숍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학사경고자,  학업부진자  대상의  맞춤형  학습지원  관리  프로그램  진행

- 학생수준별(위험군,  위험경계군,  안정군)  학습모듈  설계  및  지원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1학기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2019-2)

시  간

교육  내용

진  행

10:30~12:30

공부가  즐거워지는  학습법(노트필기법,  암기법)

김지숙  교수

12:30~13:30

점심시간

13:30~16:00

집단상담(자기성찰과  학습)

노성동  교수

*협조:  유민희  연구원,             

            상재훈  연구원

16:00~16:10

총평  및  질의응답

김진영  교수


background image

-  33  -

 ○  2학기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2020-1)

시  간

교육  내용

진  행

10:30~12:30

시관관리  및  목표설정

염제명  강사 

(폴앤마크)

12:30~13:30

점심시간

13:30~16:00

집단상담(자기성찰과  학습)

노성동  교수

16:00~16:10

총평  및  질의응답

김진영  교수

 ○  열!정!  프로젝트  학생수준별  멘토링  프로그램 

    ■  멘토링 일정

일    정

내    용

비    고

2019.  09.  04(수)  ~  09.  13(금)

참가  신청  접수  기간

O관  109호  방문접수

2019.  09.  17(화)

선정결과  발표

개별  안내

2019.  09.  23.(월)  ~  11.  29.(금)

멘토링  활동  기간

10주간  20시간  이상

2019.  9.  23(월)  18:00

오리엔테이션

O관  106호(예정)

2019.  10.  21(월)  18:00

멘토  중간  간담회

O관  106호(예정)

2019.  12.  02(월)  18:00

최종보고회

O관  106호(예정)

○  열!정!  프로젝트  학생수준별  학습모듈  연구 

    ■  사업  추진  일정 

- 사업신청  공고:  2019.  9.  10.(월) 

- 사업신청  마감:  2019.  10.  04.(금) 

- 공모선정  발표:  2019.  10.  11.(금)  예정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2020.  1월  중

- 결과보고서  평가  및  연구비  지급:  2020.  1월  중

    ■  연구  결과  내용

- 열!정!  프로젝트  학생  수준별  학습모듈  연구개발  (영어교육,  전영주  교수) 

 

  ○  특성화 관련 마이크로 콘텐츠 연구 

    ■  사업 추진 일정 

- 사업신청 공고: 2019. 9. 10.(월) 

- 사업신청 마감: 2019. 10. 04.(금) 

-  공모선정 발표: 2019. 10. 11.(금) 예정

-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제출: 2020. 1월 중

-  결과보고서 평가 및 연구비 지급: 2020. 1월 중


background image

-  34  -

    ■  연구 결과 내용

- 연기의 기초(성악뮤지컬학부, 박문희 교수)

- ACA 포토샵 특강(TV영화학부, 현승훈 교수)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정량적 성과

    ■  1인 1자기 성장나무 키움 프로텍트 참여비율

    ■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 2019-2학기 30명 목표, 18명 참가

순번

학과(부)

성명

이수여부

1

경제학과

박00

O

2

도자디자인학과(디)

김00

O

3

신학과

이00

O

4

만화ㆍ애니메이션과

심00

O

5

건축학과

정00

O

6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이00

O

7

신학과

서00

O

8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구00

O

9

의생명ㆍ보건학부

엄00

O

10

미술교육과

박00

O

11

피아노과

이00

O

12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장00

O

13

경찰법학과

고00

O

14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이00

O

15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최00

O

16

신학과

조00

X

17

국어교육과

이00

X

18

서비스경영학부

윤00

X

  ■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    2020-1학기  45명  목표,  45명  참가

순번

학과(부)

성명

이수여부

1

스포츠건강관리학과(테)

전00

O

2

스포츠건강관리학과(테)

김00

O

3

섬유ㆍ패션디자인학과(디)

김00

O

4

영어교육과(사)

문00

O

5

피아노과

김00

O

6

경제학과

오00

O

7

도시·환경·화학공학과(공)

조00

O

8

의생명·보건학부(테)

엄00

O

9

TV·영화학부(TV)

이00

O

10

미술교육

신00

O

11

미술교육

유00

O

12

무역학과

이00

O


background image

-  35  -

    ■  열!정!  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  46명  목표,  46명  참가,  44명  이수

13

정보통신융합공학

윤00

O

14

행정학과

김00

O

15

무역학과

김00

O

16

신학과

황00

O

17

전자공학

이00

O

18

국어교육

이00

O

19

정보통신융합공학

유00

O

20

피아노과

김00

O

21

미생물나노소재학과(테)

장00

O

22

도자디자인학과(디)

박00

O

23

경찰법학과

안00

O

24

섬유ㆍ패션디자인학과(디)

서00

O

25

소방안전관리학과(테)

신00

O

26

금융보험부동산학과

이00

O

27

TV·영화학부(TV)

김00

O

28

신학과

이00

O

29

경찰법학과

고00

O

30

건축학과

최00

O

31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오00

O

32

스포츠건강관리학과(테)

박00

O

33

스포츠건강관리학과(테)

김00

O

34

중국학과

김00

O

35

경영학과

김00

O

36

중국학과

박00

O

37

국어교육과

오00

O

38

TV·영화학부(TV)

김00

O

39

영어영문학과

이00

O

40

경영학과

김00

O

41

국제문화학과

김00

O

42

국제문화학과

김00

O

43

광고홍보언론학과

이00

O

44

광고홍보언론학과

남00

O

45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조00

O

순번

신청

학과

이름

이수여부

1

1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손00

O

2

미생물나노소재학부

김00

O

3

2

중국학과

이00

O

4

중국학과

김00

O

5

3

의생명보건학부

김00

O

6

의생명보건학부

모00

O

7

4

경제학과

김00

O

8

경제학과

곽00

O


background image

-  36  -

9

5

신학과

이00

O

10

신학과

사00

O

11

6

의생명보건학부

박00

O

12

영어교육과

강00

O

13

7

신학과

이00

O

14

신학과

김00

O

15

8

신학과

김00

O

16

신학과

이00

O

17

9

역사학과

김00

O

18

역사학과

길00

O

19

10

광고홍보언론학과

이00

O

20

광고홍보언론학과

유00

O

21

11

미생물나노소재학부

최00

O

22

미생물나노소재학부

김00

O

23

12

건축공학과학부

전00

O

24

광고홍보언론학과

정00

O

25

13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석00

O

26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김00

O

27

14

미술교육과

정00

O

28

미술교육과

박00

O

29

15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O

30

생의약화장품학부

이00

O

31

16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최00

O

32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김00

O

33

17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오00

O

34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박00

O

35

18

국어교육과

황00

X

36

국어교육과

이00

X

37

19

수학교육과

박00

O

38

수학교육과

김00

O

39

20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도00

O

40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한00

O

41

21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O

42

생의약화장품학부

유00

O

43

22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O

44

생의약화장품학부

안00

O

45

23

피아노과

김00

O

46

피아노과

최00

O

47

24

TV영화학부

엄00

X

48

TV영화학부

조00

X


background image

-  37  -

    ■  위험 학생 그룹 적응형 학습 참여비율

 -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 2019-2학기 30명 목표, 18명 참가, 15명 이수

2020-1학기 45명 목표, 45명 참가, 26명 이수

    ■  참여학생 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비율

 - 열!정! 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 이수자 44명 중, 36명 달성 81.82% 달성

    ■  열!정!  학습모듈  연구  개발  :  참여  교수  :  1명

    ■  마이크로  콘텐츠  연구  개발  :  참여  교수  :  2명   

    ■  행사 사진 자료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1학기(특강)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1학기(상담)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2학기(특강)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2학기(상담)

열!정!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열!정!  멘토링  최종보고회 


background image

-  38  -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1인  1자기  성장나무:  위험예방,  학습지원,  취창업지원,  지역연계,  심리상담,  진로상담, 

진로설계

    ■ [1인 1자기성장나무 키움 프로젝트 참여비율x20%]

 -  프로그램  참가자  수  85명,  전체  재학생  비율(2019.10.01.  기준)  7,245명, 

성과지표  1.17%  달성 

    ■ [위험 학생 그룹 적응형 학습 참여비율x20%]

 -  열!정!  프로젝트  멘토링  8명,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15

명(1학기),  25명(2학기),  총  48명,  성과지표  33.60%  달성 

 - 위험군 학생 비율: 1학기 152명, 2학기 146명

    ■ [참여 학생 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비율 x20%]

 - 열!정!  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  이수자  44명  중,  36명  달성  81.82%  달성

순번

학과

이름

2019-1학기  성적

2019-2학기  성적

증가률

1

건축공학과학부

전00

0.00

3.15

▲100%

2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김00

0.58

4.11

▲86%

3

광고홍보언론학과

정00

1.58

4.33

▲64%

4

신학과

이00

1.17

2.62

▲55%

5

미술교육과

박00

1.17

2.61

▲55%

6

경제학과

곽00

1.28

2.50

▲49%

7

중국학과

김00

1.61

2.81

▲43%

8

생의약화장품학부

이00

1.84

3.15

▲42%

9

신학과

김00

1.38

2.25

▲39%

10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김00

1.74

2.78

▲37%

11

의생명보건학부

모00

1.88

2.89

▲35%

12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한00

2.45

3.50

▲30%

13

피아노과

최00

1.12

1.59

▲30%

14

영어교육과

강00

2.48

3.47

▲29%

15

미생물나노소재학부

김00

1.45

1.96

▲26%

16

미생물나노소재학부

김00

2.42

3.21

▲25%

17

신학과

사00

1.70

2.25

▲24%

18

광고홍보언론학과

이00

3.13

4.00

▲22%

19

역사학과

길00

2.03

2.42

▲16%

20

역사학과

김00

3.47

4.08

▲15%

21

생의약화장품학부

안00

2.00

2.28

▲12%

22

의생명보건학부

김00

3.24

3.55

▲9%

23

의생명보건학부

박00

3.71

4.03

▲8%

24

신학과

이00

3.26

3.50

▲7%


background image

-  39  -

 ○  정성적 성과

    ■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통합 학생지원 만족도 

 - 만족도 평가 결과 6.51점 달성

특강(시간관리  및  목표설정)  만족도  내용

1.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2.  경연자는  효과적으로  내용을  전달하고,  열정적으로  강의하였다.

3.  교육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교육방법은  적절하였다.

4.  이번  교육프로그램은  학습동기를  부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5.  교육내용은  앞으로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6.  이번에  실시된  교육  전반에  대하여  만족한다. 

집단상담(자기성찰과  학습)  만족도  내용

1.  이번  상담은  앞으로  학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2.  이번  상담은  나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3.  상담을  해  주시는  분이  열의를  가지고  상담해  주었다.

4.  이번에  실시된  상담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25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도00

4.24

4.50

▲6%

26

수학교육과

박00

3.77

4.00

▲6%

27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최00

4.25

4.50

▲6%

28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오00

4.00

4.20

▲5%

29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3.70

3.88

▲5%

30

미술교육과

정00

3.92

4.08

▲4%

31

중국학과

이00

4.34

4.50

▲4%

32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3.33

3.40

▲2%

33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석00

4.22

4.30

▲2%

34

신학과

이00

3.50

3.53

▲1%

35

신학과

김00

4.35

4.38

▲1%

36

피아노과

김00

3.54

3.55

▲0%

37

미생물나노소재학부

최00

4.50

4.50

동일

38

경제학과

김00

4.50

4.40

-

39

마케팅정보컨설팅학부

박00

2.39

2.33

-

40

생의약화장품학부

김00

3.95

3.82

-

41

광고홍보언론학과

유00

1.70

1.53

-

42

생의약화장품학부

유00

2.25

1.93

-

43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손00

4.42

3.36

-

44

수학교육과

김00

2.31

1.47

-


background image

-  40  -

    ■  열!정!  프로젝트  통합  학생지원  만족도 

  -  만족도  평가  결과,  6.61점  달성

내  용

1.  이번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운영되었다.

2.  나는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3.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은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나에게  유용한  정보(또는  지식)들이었다.

4.  나는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5.  이번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

6.  이번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주체적  자립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7.  이번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은  나의  참여동기에  잘  부합되어  원하는  것을  얻을수  있어다. 

8.  이번  프로그램은  앞으로  나의  학업수행(또는  진로준비)에  도움이  될  것이다.

9.  이번  열!정!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10.  나는  다른  친구(또는  선후배)에게도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해  볼  것을  추천해  주고  싶다.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학생맞춤 적응형 학습설계 및 지원을 위해서도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용

강의실 마련, 교육시간의 현실적 조율 등 물리적 여건의 보완이 필요함 

    ■  참여도가  낮은  문제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전반적으로  교수-학습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제시된  사업들은  적절하

며  추진내용에  있어서도  매우  훌륭하다고  판단됨.  교수,  학생,  지원조직  등의  구성과 

사업을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개선된 내용은 본 사업이 목표를 달성

하는데 체계적이고 실현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됨.

2) 참여자 및 담당자의 의견

    ■ 참여자 의견

 - 멘티와의 시간일정 조율이 어려움

 - 프린트할 장소 제공 필요

 - 학업 증진과 비슷한 프로그램이 개설 요구

 - 간담회 날짜 시간 조정 필요

 - 보고서 파일첨부 등 홈페이지 이용 어려움 

 - 평일외에 주말에도 공부할 수 있도록 시간적 용이성 필요 

   ■ 담당자 의견

 -  열!정  프로젝트  중간간담회는  개별적  상담이  어려워  멘토링  프로그램  중 

각  팀  직접  방문하여  오프라인  모니터링도  병행이  필요 

 -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더친절한 학습법 참여 유도가 필요 


background image

-  41  -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 위험군(학사경고자)  학생들의  참여도가 

낮음

§ 1차년도  사업  후  연구  결과를  토대

로  학생  수준별(위험군,  위험경계군, 

안정군,  우수군)프로그램  중  우수그

룹  대상  프로그램이  부족

§ 열!정!  프로젝트  온라인  모니터링으

로는  학생  관리  점검  부족

§ 대학교육개발원  프로그램  홍보의  다

양성

§ 각  학과에서  학사경고자  대상  상담  및  자유

적인  운영  지원

§ 우수그룹  학생  대상으로  M-학습리더스  프로

그램을  진행하고  학습  노하우를  재학생  대상

으로  공유

§ 열!정!  프로젝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모니터

링으로  학생  관리  점검  보안

§ 대학교육개발원  프로그램  홍보물  제작하여 

채플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홍보  할  예정


background image

-  42  -

 

2019년 목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단위사업 결과보고서

세부프로그램명

학생 맞춤 & 성장형 다차원 학습활동 강화

사업담당자

000

단위사업

[222] ‘학생 성장’ 진로 설계 및 ‘학생 주도’ 

학습 강화

추진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부서

대학교육혁신단

관련성과지표 학생 성공 학습지원 혁신 지수

대학특성화 

연관성

학습자 주도형 주체적 자립 교육 정착

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 ·······································································

 ○  배경 및 필요성

    ■  학습동아리  및  튜터링  지원  사업은  학습방법,  노하우  등의  정보  공유  및 

자율적인  상호학습  활동  촉진을  통해  면학  분위기  조성 

    ■  학생  1인  1그룹  학습활동  참여를  확산시키고자  체험기반  학습주제와  학습

활동,  전공  및  비전공교과  학습활동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활동을  장려 

    ■  우리대학  5대  핵심역량  중  다양한  분야를  결합하고  통합할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융합  관련  학습주제를  장려

    ■  대학생활과  관련한  다양한  오픈콘텐츠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IMAGE+혁신

인재의  5대  핵심역량  및  자기주도형  학습역량  강화 

    ■  학생  1인  1그룹  학습활동  참여를  확산시키고자  체험기반  학습주제와  학습

활동,  전공  및  비전공교과  학습활동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활동을  장려할 

필요성이  있음.

 ○  목표

    ■  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개발을  위해서  전공  및  비전공교과,  학습

활동  등의  다양한  영역의  그룹활동을  장려

    ■  DIY(Do-it-yourself)지향형  오픈  콘텐츠  개발에  대한  학생  참여를  확대하고 

암기기법,  노트필기전략  등  대학  학습전략을  기술한  보고서  콘테스트와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전략  콘테스트를  통해,  창의적  사고와  자기표현력 

개발의  기회를  제공함

    ■  학생  주도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통합  설계  및  ‘1인-1자기성장나무’  키움 

프로젝트  수행


background image

-  43  -

  세부사업  추진일정 ···············································································

 ○  동고동락

일    정

내    용

비    고

2019.09.09.(월)~09.20(금)

참가  신청  접수  기간

홍보  및  접수

2019.09.20(금)

참가  신청서,  활동계획서  접수  마감

그룹별  1부  제출

2019.09.23.(월)  10:00

선정결과  발표

학교  홈페이지  공고

2019.09.23.(월)~11.29(금)

동고동락  활동  기간

10주간  20시간  이상

2019.09.24.(화)

O,T.  &  교육워크숍  개최

O관  106호(예정)

2019.10.28.(월)  18:00

그룹별  리더  및  튜터  간담회  개최

O관  106호(예정)

2019.10.28.(월)~11.1(금)

중간정산

O관  106호(예정)

2019.12.03.(화)  15:00

학습포트폴리오  최종제출

O관  106호(예정)

2019.12.09.(월)  18:00

최종보고회

O관  106호(예정)

  ○  학습성장  및  학생주도형  DIY  학습  콘텐츠  공모전

    ■  작품  접수  기간  :  2019.  10.  21.(월)~11.  20.(수)

    ■  결과  발표  :  2019.  12.  06.(금)

    ■  시상식  일정  :  2019.  12.  10(화) 

  ○  학습성장  및  학생주도형  DIY  실시간  프리젠테이션  경진대회

일정

시간

내용

진행

11/29(금)

10:00  ~  12:00

인사말/프레젠테이션  세부요건  제시

팀별  아이디어  기획  회의

김진영  교수

(대학교육개발원)

12:00  ~  13:00

점심식사

대학교육개발원

13:00  ~  14:00

스토리  보드  작성  및  발표도구  제작

  김진영  교수

(대학교육개발원)

14:00  ~  17:00

프레젠테이션  대회  및  심사

17:00  ~  18:00

시상식  및  총평

  사업성과 ·································································································

1)  목표  달성  정도

 ○  정량적 성과

     ■  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개발을  위해서  전공  및  비전공교과,  학습

활동  등의  다양한  영역의  그룹활동을  장려함


background image

-  44  -

     ■  학습동아리  189명,  37그룹(142명)/  튜터링  9그룹(47명)

  동고동락  행사  사진  자료

오리엔테이션  사진

중간간담회  사진

우수사례  발표회  사진

우수그룹  시상식

     ■  DIY  지향형  오픈콘텐츠  개발에  대한  학생참여를  확대하고,  개발  콘텐츠의 

오픈사이트  등록을  통해  오픈콘텐츠의  공유와  확산  기여

     ■  우수작품  공개를  통해  동료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공유,  확산  기여

     ■  학습콘텐츠  공모전  학생  8명  교수  2명,  실시간  프레젠테이션  학생  20명, 

교수  4명

     ■  충청권역  프리젠테이션  경진대회  학생  1명  참여 

     ■  DIY  행사  사진  자료

실시간  프레젠테이션

충청권역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background image

-  45  -

2) 사업의 성과

 ○  정량적 성과

   ■  1인  1자기  성장나무:  위험예방,  학습지원,  취창업지원,  지역연계,  심리상

담,  진로상담,  진로설계 

   ■  [1인  1자기성장나무  키움  프로젝트  참여비율x20%]

 -  프로그램  참가자  수  218명,  전체  재학생  비율(2019.10.01.  기준)  7,245명,  성과지표 

3.01% 달성 (동고동락 189명, DIY 29명)

   ■  [참여  학생  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비율  x20%]

 - 동고동락 프로그램: 이수자 189명 중, 110명 달성 58.20% 성적 향상 

 ○  정량적 성과

   ■  동고동락 만족도 평가 결과, 6.22점 달성 

내  용

1.  학습동아리&튜터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즐겁게  공부하였다.

2.  학습동아리&튜터링  프로그램은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3.  학습포트폴리오  작성은  학습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4.  학습동아리&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5.  다른  학생에게도  학습동아리&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하고  싶다.

6.  이번에  실시된  교육  전반에  대하여  만족한다.

   ■  DIY 오픈 콘텐츠 만족도 평가 결과, 6.85점 달성 

내  용

1.  이번  교육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2.  나는  이번  프로그램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3.  이번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은  나에게  유용한  정보(또는  지식)들이었다.

4.  나는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5.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

6.  이번  프로그램의  내용은  해당  주제의  학습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7.  이번  프로그램은  나의  참여동기에  잘  부합되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었다.

8.  이번  프로그램은  앞으로  나의  학업  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9.  이번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10.  나는  다른  친구  에게도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해  볼  것을  추천해  주고  싶다. 

  개선점  및  환류계획 ·············································································

1) 자체 평가 결과와 개선점

   ■  학생  맞춤형의  다차원적인  학습활동  확대를  위한  동고동락,  DIY  등의  활동에  학생들

의  참여가  활발하였으며,  특히  프로그램  이수자의  성적향상  비율이  높았고,  참여학생

들의 만족도도 높아 정량적 성과가 높게 나타남.


background image

-  46  -

   ■  학생주도의 성장과 학습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에도 참여자의 확대가 필요하며, 비용처

리, 서류 제출 등의 행정적 과정 유연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학생, 교수, 직원의 실질적 욕구와 수요를 더 면밀히 파악하고, 물리적 여건을 보완하

는 등의 병행 노력을 통해 프로그램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참여도가  낮은  문제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2) 참여자 및 담당자의 의견

  ■  학습동아리실 환경 개선 및 학습자료 출력 지원 필요

   ■  학생들의 영수증 처리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10주를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금

으로 지급하는 방법 변경 필요 

   ■  통합 공모전으로 운영되었던 프로그램을 다양한 홍보를 통해 많은 학생이  참여할 기

회 제공 필요

  ■  우수작품 노출 및 학생 참여율 제고 필요

3) 환류 계획

개선점

2020년  환류계획

(동고동락)

§ 학사일정을  고려한  학습활동  일

정  조정

§ 학습동아리실  환경  개선

§ 학습활동  자료제출  간소화

(DIY)

§ 많은  홍보  강화

§ 우수  작품들을  많은  학생이  공유

할  기회  제공

(동고동락)

§ 학습동아리  참여  학생들의  시험  기간을  고려한 

학습활동  일정  수립

§ 대학교육개발원  스터디룸은  한정되어  있어  도

서관과  연계하여  진행하였으나  학생들의  요구

에  맞추기  어려움.  한정된  스터디룸  으로  인해 

주  1회  사용  가능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스터

디룸  확보가  시급한  상황임

§ 학습동아리  질관리  차원에서  제공되는  학습활

동  자료의  간소화  요청에  따라  요구를  반영하

여  포트폴리오  양식  수정

(DIY)

§ DID  업로드,  채플  마감시간  홍보자료  배부  등을 

통한  홍보  강화

§ 수상작  제작  및  수상작  홈페이지  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