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자활센터
<
조원 이름>
1518062
홍현표
1818044
윤형준
1818049
이정현
목차
1. 지역자활센터란?
- 지역자활센터의 자활대상자란?
2. 지역자활센터의 절차 및 역할
3. 자활사업흐름도
4. 국민 기초생활보장법이란?(목적 설명)
5. 대전 유성지역자활센터
6. 대전 중구지역자횔센터
지역자활센터란
?
저소득계층의 자활을 지원하기 위해 자활근로사업 운영
, 각종 교육·훈련,
상담과 정보 제공
, 창업 지원, 사례관리, 지역자원 연계 등 각종 서비스를
지원 및 제공하는 사회 복지시설
지역자활센터의 자활대상자란
?
소득이 낮은 저소득층
(차 상위계층)이 주요자활사업의 대상자
본인의 근로 능력과 자활 욕구에 따라 다양한 사업에 참여 가능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
9조5항, 국민 기초생활보장법시행)
지역자활센터의 자활대상자기준
• 지역자활센터의 자활대상자의 정의에서 기초생활수급자는 조건부
수급자
(의무), 자활급여특례자, 일반 수급자, 차상 위자, 시설
수급자이어야함
• 차상 위계층이란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20%미만인자이다.
기타 대상은 전문 기술자 등 센터 운영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이다
.
지역자활센터의 절차
• 자활사업신청-상담-참여자선정/사업 결정
• 사업참여-현장경험 기술력 및 시장 경제력 배양지원교육훈련 및
각종정보제공 공동체의식함양
한국 지역자활센터협회의 설립목적
• 종합적 자립자활서비스를 제공 궁극적으로는 생산적 복지를
구현하는 데 목적
지역자활센터에서의 중요한 가치
• 자율과 노동
• 나눔과 협동
• 소통과 연대
지역자활센터에서의 사명과 비전
• 협동사회경제주역으로 성장하는 참여 주민
• 협동사회경제 실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자활 기업
• 협동사회경제를 조직하는 전문적 실천가인 자활 종사자
• 협동사회경제공동체 실현의 중심이 되는 지역자활센터
• 2020년의 비전 - 가난을 넘어서는 협동사회경제 실현
지역자활센터에서의 핵심과제
참여 주민
자활 기업
전국단위
자활기업연합회 창립
지역자활센터
주민 교육 활성화
교육 매뉴얼 마련 및
실천
협동사회경제교육 실천
사업 전개
협동사회경제 영역
네트워크 구성
센터 운영 의사결정
과정에 주민참여
전국네트워크 구성
지역사회 1인 1
네트워크 조직
협동사회경제 실행
구조 조직
자활공제협동조합 150
개 이상 조직
전국단위
자활기업연합회 창립
근로조건 개선 및
사회적 위상 확보
자활사업 규모화
전국화 실현
지역사회협동조합에
가입하여 활동
협동사회경제 상담
컨설팅 역량개발
지역자활센터에서의 운영원칙
1. 주민 주체의 원칙
2. 건강한 일자리 구현의 원칙
3. 민주적 운영의 원칙
4. 교육·훈련의 원칙
5. 협동사회경제 실현의 원칙
1. 일반회원기관 현황
지부명
지역자활센터 개수
지부명
지역자활센터 개수
강원지부
17
서울지부
30
경기지부
33
울산지부
5
경남지부
20
인천지부
11
경북지부
20
전남지부
23
광주지부
9
전북지부
17
대구지부
9
제주지부
4
대전지부
5
충남지부
16
부산지부
18
충북지북
12
합계
249
지역자활센터의 역할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집중적·체계적인
자활·자립 지원서비스를 제공 자립 의욕과
기술능력을 향상
소득창출을 위한 일자리를 제공 궁극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민간기관
유성지역자활센터
유성지역자활센터
• 핵심가치:열정, 소통, 믿음(신뢰)
• 조직 사명:우리는 열정으로 참여 주민의 변화를 믿으며 소통한다
• 비전: 일을 통해 주민이 주인이 되는 건강한 복지공동체 실현
조직도
발전전략
예산
유성지역자활센터사업소개
1) 자활 근로사업
조은환경만들기 사업
-조은 카페 사업단
-시범(파일럿) 사업 -단미 공방 사업단
-조은 우리 밀 건강 빵 사업단 -조은마을만들기 사업단
-조은 일자리 사업단 -복지 도우미 사업
-근로 지 유형 사업 -가사간병방문&노인 돌봄
유성지역자활센터사업 소개
2) 자활 기업
유성 맛집 민들레 집 뜰
-유성 맛집 민들레 우돈
-더 쉼, 카페
유성지역자활센터사업 소개
3)자활 프로그램
게이트웨이 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희망키움통장 1,2 , 내일키움통장)
기사
2019 얼리버드大체험
중구지역자활복지센터
설립목적
1. 주민의,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조직 및 사업의 기초 세우기
2. 지역사회조직 및 교육을 통한 자활조직 구성원 강화와 자활자원 확보
3. 협동노동과 지역공동체를 지지향하는 자활지원사업 수행
조직도
예산
사회서비스형
- 복지간병
- 녹색환경
- 치밥치킨
- 가죽공방라온사업단
- 착한수리센터
- 착한푸드
시장진입형
- 깨끗한 세상
- 착한마카롱
자활기업
- 착한누룽지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