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계획11-12강좌-1.hwp
닫기
제 10-11 강좌 |
한국의 국토 및 지역계획(1) - 국토종합계획 |
1. 한국 국토․지역계획의 개요
1) 국토계획의 정의와 기본이념
․ 국토계획이라 함은 국토를 이용․개발 및 보전함에 있어서 미래의 경제적 사회적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 지향해야 할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법 6조)
․국토관리의 기본이념 : 국토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은 개발과 환경의 조화를 바탕으로 국토를 균형있게 발전시키고,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며,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함으로써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수립․집행해야 한다(법 2조)
-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
- 경쟁력있는 국토여건의 조성
- 환경친화적 국토관리
2) 계획의 주요내용
․ 주요내용 :
1. 국토의 현황 및 여건 변화 전망에 관한 사항
2. 국토발전의 기본 이념 및 바람직한 국토 미래상의 정립에 관한 사항
3. 국토의 공간구조의 정비 및 지역별 기능 분담 방향에 관한 사항
4.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시책 및 지역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5. 국가경쟁력 향상 및 국민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 기간 시설의 확충에 관한 사항
6. 토지, 수자원, 산림자원, 해양자원 등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7. 주택, 상하수도 등 생활 여건의 조성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사항
8. 수해, 풍해(風害), 그 밖의 재해의 방제(防除)에 관한 사항
9. 지하 공간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0. 지속가능한 국토 발전을 위한 국토 환경의 보전 및 개선에 관한 사항
3) 국토․지역계획의 실정법상 유형
․ 국토종합계획 :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 도종합계획 :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하여 해당지역의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 시군종합계획 : 특별시, 광역시, 시 또는 군(광역시의 군은 제외)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지역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토지이용, 교통, 환경, 안전, 산업, 문화 등에 관하여 수립하는 계획으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되는 도시·군계획
․ 지역계획 :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
․ 부문별계획 :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부문에 대한 장기벅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
4) 국토계획의 성격
․ 국토․지역계획 상호간의 관계
- 국토종합계획은 도종합계획 및 시군종합계획의 기본이 되고, 부문별계획과 지역계획은 국토종합계획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도종합계획은 해당도 관할구역에서 수립되는 시․군계획의 기본이 됨
․ 다른 법령과의 관계
- 국토계획은 다른 법령에 의한 건설계획에 우선하며, 그 기본이 됨(군사에 관한 계획은 예외)
․ 계획수립 주기
- 국토종합계획은 20년단위로 수립하며, 도종합계획, 시군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의 수립권자는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주기를 고려하여 수립
5)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절차
․ 수립권자 : 국토해양부장관
․ 승인권자 : 대통령
① 국토해양부장관은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에게 국토종합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정책 및 사업에 관한 소관별 계획안 제출 요청
③ 국토해양부장관은 소관별 계획(안)을 조정·총괄하여 국토종합계획(안) 작성
④ 국토종합계획(안)에 대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 및 공청회 개최
⑤ 국토정책위원회 및 국무회의 심의
⑥ 대통령 승인후 공고
6) 국토의 여건과 국토계획의 전개과정
* 국토개발의 단계적 전계
거점개발 |
광역개발 |
균형개발 |
|||||||||||||||||||||||||||||||||||||||||
1990 년대 |
|||||||||||||||||||||||||||||||||||||||||||
자연환경 |
|||||||||||||||||||||||||||||||||||||||||||
1980 |
년대 |
||||||||||||||||||||||||||||||||||||||||||
생활환경 |
|||||||||||||||||||||||||||||||||||||||||||
1970년대 |
|||||||||||||||||||||||||||||||||||||||||||
생산환경 |
|||||||||||||||||||||||||||||||||||||||||||
집적이익추구 |
집적이익확산 |
집적이익균점 |
|||||||||||||||||||||||||||||||||||||||||
* 계획기간중 주요 지표의 변화
주요지표 |
1960년 |
1970년 |
1980년 |
1990년 |
2000년 |
2010년 |
총인구(천인) |
25,000 |
34,434 |
37,163 |
43,520 |
46,136 |
48,580 |
인구밀도(인/㎢) |
254 |
320 |
378 |
438 |
472 |
475 |
도시화율(%) |
35.8 |
49.8 |
66.4 |
79.6 |
87.8 |
90.6 |
1인당 GNP($) |
79 |
252 |
1,592 (544) |
5,570 (4,000) |
10,160 (GNI) |
23,000 (GNI) |
주택보급율(%) |
77.8 |
71.2 |
72.5 |
96.4 |
101.9 |
2.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 계획의 개요
․ 계획기간 : 1972년 - 1981년(10년)
․ 계획의 기본목표
- 국토이용관리의 효율화
- 개발기반의 확충
- 국토자원의 개발과 자연의 보호보전
- 국민생활환경의 개선
․ 국토․경제 여건
- 조국근대화 공업화의 적극 추진으로 인한 국토공간의 체계적 계획 필요
- 도시계획법(1962년), 국토건설종합계획법(1963년) 등 국토개발추진을 위한 제도장치 마련
- 1,2차년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성공적 추진, 대도시로의 인구집중 문제 야기
- 특정지역개발(경인, 울산공업특정지역)의 기 추진
2) 계획기조 및 개발정책
․ 계획기조
- 경제적 효율성 위주의 접근
- 국토개발의 효율화를 위해 하향식 개발, 거점개발정책 천명
- 경제성이 높은 대규모사업의 우선시행으로 파급효과의 확산 기대
․ 개발정책
- 대규모 공업기지의 구축정비
- 교통통신, 수자원 및 에너지 공급망 정비
- 부진지역 개발을 위한 지역기능 강화
3) 계획권역의 설정
․ 4대권, 8중권, 17소권으로 구분하여 계획
- 4대권 : 자원적 측면에서 유역중심의 구분
- 8중권 : 도단위 행정구역 중심
- 17소권 : 8-10개 군단위가 모여 경제권 형성이 가능한 배후지와 중심도시를 묶어 설정. 즉, 결절성 중심의 권역설정
* 권역의 범위와 주요 기능
4 대 권 |
8 중 권 |
주요기능 |
범 위 |
한강유역권 |
수도권 |
중추관리기능 |
서울, 경기, 강원 일부 |
태백권 |
자원, 산업 |
강원도 충북(충주,중원,단양,제천) |
|
금강유역권 |
충청권 |
농업, 공업 |
충북(태백권 제외지역) 충남 |
전주권 |
농업, 공업 |
전북(남원,순창 제외) |
|
낙동강유역권 |
대구권 |
공업, 농업 |
경북 |
부산권 |
상업, 공업 |
부산, 경남 |
|
영산강유역권 |
광주권 |
농업, 공업 |
전남 전북(남원,순창) |
제주권 |
관광, 상업 |
제주 |
3. 제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 계획의 개요
․ 계획기간 : 1982년 - 1991년(10년)
․ 계획의 기본목표
- 인구의 지방정착 유도 : 정주생활권 확립
- 개발가능성의 전국적 확대 : 적정규모의 공업을 지방도시에 분산배치
- 국토자연환경의 보호보전
- 국민복지수준의 제고
․ 국토․경제 여건
- 도계획(81 - 82)이 수립됨으로써 지역차원의 개발계획 정착
- 수도권정비계획법(1982)에 의한 수도권정비기본계획 수립
- 수도권 중심의 성장거점개발로 지역간 불균형 심화
2) 계획기조 및 개발정책
․ 계획기조
- 경제성장과 지역간 균형개발의 조화를 바탕으로 국토공간구조의 다핵적 재편성
-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역간 국민생활의 평준화 유도
-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통일의 여건조성
- 국제경제권의 주요 입지로서의 역할 신장
․ 개발전략
- 지방중심도시를 핵으로 한 광역개발에 주안을 두고 개발전략 추구
- 국토의 다핵구조 형성과 지역생활권 조성 ← 성장잠재력이 큰 지방대도시 성장거점으로 육성
- 서울, 부산 양대도시의 성장억제 및 관리
- 후진지역의 개발촉진
3) 계획권역의 설정
․ 전국을 28개 지역생활권으로 설정
․ 지역생활권은 지형, 하천 등 공간적 등질성과 교통․통신등의 기능적 연계성 및 경제․사회적 관련성 기초로, 도시와 배후 농촌지역을 통합하여 설정
- 대도시생활권 : 5개시(서울,부산,대전,대구,광주)
- 지방도시생활권 : 춘천, 원주 등 17개
- 농촌도시생활권 : 6개 지방소도읍(영월,서산,홍성,강진,점촌,거창)
4) 성장거점도시의 선정 및 개발
․ 80년 현재 50개 도시중 지역서비스 기능을 갖추고 있는 성장잠재력이 큰 15개 도시를 성장거점도시로 선정
․ 1차 성장거점도시
- 대전, 대구, 광주
- 국토의 다핵적 발전 및 중추관리기능 담당
․ 2차 성장거점도시
- 춘천, 강릉 등 도청소재지와 지역중심도시 12개시
- 지방발전 및 서비스 기능의 중심지 역할 담당
4. 제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
1) 계획의 개요
․ 계획기간 : 1987년 - 1991년(5년)
․ 계획수정의 배경
- 지속적인 수도권 집중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인구․산업의 수도권 집중 및 지역간 불균형 심화
- 대내적으로 정치사회구조의 변화와 민주화
- 대외적으로 북방정책 추진과 88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국제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 1.2차 국토개발과정에서의 파생된 문제점 심화
- 서울․부산의 과밀과 국토의 양극화
- 거점개발방식 편중투자와취업기회의 지역간 불균형
- 생활환경시설의 상대적 낙후와 도농간 격차발생
- 국토자원의 부족과 환경오염
․ 2차수정계획의 핵심 : 지역경제권을 형성하여 수도권 문제에 적극대처
․ 계획의 기본목표 : 2차계획과 대동소이
- 인구의 지방정착 유도 : 정주생활권 확립
- 개발가능성의 전국적 확대 : 적정규모의 공업을 지방도시에 분산배치
- 국토자연환경의 보호보전. - 국민복지수준의 제고
2) 개발전략
․ 국토균형개발을 위한 다핵구조 형성
․ 광역개발방식의 도입
․ 공공투자의 지역간 적정배분
․ 지방정부 및 주민참여의 확대
3) 지역경제권의 형성과 권역개발
․ 지역경제의 자족성을 높이고 기능상의 지역완결성을 위한 지방분권의 경제단위
․ 4대지역경제권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차별화된 개발전략 구상
․ 수도권 :
- 5개정비권역별로 인구․산업입지 규제
- 이전촉진, 제한정비, 개발유도, 자연보전, 개발유보권역
․ 중부권 :
- 국토 중심부로서의 기능강화, 수도권에서 분산된 중추관리기능의 단계적 수용
- 대전 중심의 광역개발(향정, 연구, 교육, 업무)
- 대덕과학단지와 청주공항을 조성하여 첨단기술개발에 의한 산업기반 형성
․ 동남권
- 수도권에 대등한 동남부 경제권 형성
- 부산, 대구중심의 광역개발 추진(무역, 업무, 금융, 정보)
․ 서남권
- 광주를 중심으로 동남권과 균형된 경제권 형성
- 광양만 일원의 신공업지대 조성, 전주-군산지대의 농공병진개발
5. 제 3차 국토종합계획
1) 계획의 개요
․ 계획기간 : 1992년 - 2001년(10년)
․ 계획의 기본목표
- 지방분산형 국토골격의 형성 → 국토공간의 균형성 추구
- 생산적․자원절약적 국토의 이용 → 국토이용의 효율성 증진
- 복지수준의 향상과 환경의 보전 → 국민생활의 쾌적성 제고
- 통일에 대비한 기반의 조성 → 국토공간의 통합성 도모
․ 국토․경제 여건
- 수도권 집중과 지역간 불균형 지속화
- 국제교류의 확대와 통일여건 성숙
- 지방화․세계화, 기술․정보화시대 도래
- 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과 병행
2) 개발정책 및 추진전략
․ 지방의 육성과 수도권집중의 억제
․ 신산업지대의 조성과 산업구조의 고도화
․ 통합적 고속교류망 구축
․ 국민생활과 환경부문 투자확대
․ 남북교류지역의 개발․관리
3) 계획권역의 설정 및 개발
․ 도를 기준으로 권역을 설정하되, 인접특별시와 광역시를 포함하는 9개권역
․ 권역별로 광역자치단체가 권역계획을 수립․시행
(2개시도가 포함된 경우 공동으로 시행)
* 권역구분 및 권역별 개발방향
권 역 별 |
포 함 지 역 |
개 발 방 향 |
수 도 권 |
서울, 인천, 경기도 |
과밀억제 통일 및 국제화에 대비한 기반조성 |
강 원 권 |
강원도 |
관광.휴양공간 조성 통일과 북방교역에 대비 |
충 북 권 |
충청북도 |
수도권 분산기능 수용 자연 및 문화자원활용한 관광육성 |
대전․충남권 |
대전, 충청남도 |
수도권 기능 분담 신산업지대 조성과 산업구조 고도화 |
전 주 권 |
전라북도 |
대중국, 환태평양 교역중심기지 신산업지대 조성과 관광자원 개발 |
광주․전남권 |
광주, 전라남도 |
대중국, 환태평양 무역전진기지 구축 신산업지대 조성, 농업구조개선 |
대구․경북권 |
대구, 경상북도 |
개발부진 북부지역의 개발촉진 남북, 동서산업축 개발, 산업구조 개편 |
부산․경남권 |
부산, 경상남도 |
국제교역 중심거점 수도권 대응거점 개발육성 |
제 주 권 |
제주도 |
관광기반 확충 자연환경 보전 및 효율적 관리 |
6. 제 4차 국토종합계획
1) 국토․경제 여건과 과제
․ 수도권 집중과 지역간 불균형 심화
․ 환경훼손에 따른 삶의 질 저하
․ 인프라 부족에 따른 국가경쟁력 약화
․ 국토의 안전성 결여 : 시설물 관리 미흡, 방재체계 결여
2) 계획의 개요
․ 계획기간 : 2000년 - 2020년(20년)
․ 계획의 기조 : 21세기 통합국토의 이념
․ 계획의 기본목표
- 더불어 잘사는 균형국토
- 자연과 어울어진 녹색국토
- 지구촌으로 열린 개방국토
- 민족이 화합하는 통일국토
3) 개발정책 및 추진전략
․ 개방형 국토통합축 형성 :
- 연안국토축 : 환동해축(부산-나진․선봉), 환남해축(부산-목포-제주),
환황해축(목포-신의주)
- 동서내륙축 : 남부내륙축(군산-포항), 중부내륙축(인천-속초), 북부내륙축(평양-원산)
․ 지역별 경쟁력 고도화
- 수도권내 분산과 계획적 정비 추진
- 지방도시의 산업별 수도화와 전문기능도시화
- 농어촌등 낙후지역의 새로운 활로 개척
- 문화․관광기반의 체계적 확충
․ 건강하고 쾌적한 국토환경 조성
․ 고속 교통․정보망 구축 → 지능화된 디지털 국토의 형성
․ 남북한 교류기반 조성
4) 계획권역의 설정 및 개발
․ 10대 광역권 개발
- 아산만권 : 대중국 교류, 수도권 산업분산, 서해안개발 교두보
- 전주․군장권 : 환황해경제권의 거점, 복합산업지대 조성
- 광주․목포권 : 중국 및 동남아경제권과의 교류거점, 첨단․지식산업
- 광양만․진주권 : 동북아 중추항만도시, 영호남 협력개발
- 부산․울산․경남권 : 동북아 물류 및 교류거점
- 대구․포항권 : 환동해경제권의 거점, 섬유․지식산업 육성
- 강원․동해권 : 국제 휴양․관광거점, 통일 대비한 대북교류 거점
- 대전․청주권 : 국가행정중추기능 분담, 내륙물류기반, 첨단지식산업
- 중부내륙권 : 관광문화자원을 활용한 내륙낙후지역의 새로운 활로개척
- 제주권 : 국제자유도시, 아․태지역 관광․교역중심, 생명공학산업 육성
․ 7대 문화․관광권 개발
7. 제 4차 국토종합계획(수정계획)(2006 ~ 2020)
1) 수정계획 수립배경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립이후 새로운 국내뇌 여건변화에 대응
․참여정부의 새로운 국가경영 페러다임을 국토계획에 반영
-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 지방분산과 지역혁신체계 구축
- 주 40시간 근무제, 초고속 정보화, 고속철도 개통에 대응한 삶의 질 향상방안
- 지역간, 계층간 통합과 상생발전방안 마련
․세계화시대 도래로 개방형 국토기반구축방안을 국토계획에 반영
2) 국토계획의 기조와 목표
․계획기조 : 약동하는 통합국토의 실현
․계획목표 :
- 상생하는 균형국토
- 경쟁력 있는 개방국토
- 살기좋은 복지국토
- 지속가능한 녹색국토
- 번영하는 통일국토
3) 6대 추진전략
․자립형 지역발전기반의 구축
․동북아시대의 국토경영과 통일기반 조성
․네트워크형 인프라 구축
․아름답고 인간적인 정주환경 조성
․지속가능한 국토 및 자원관리
․분권형 국토계획 및 집행체계 구축
4) 계획권역의 설정
․행정구역 중심의 권역 설정
․8개 권역 :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북권, 광주권, 대구권, 부산권, 제주도
․권역별․시도별 발전방향(충청권)
- 대전권 : 과학기술 중추도시
- 충청북도 : 바이오산업 중심지역
- 충청남도 : 국가행정의 새로운 중심지역
8. 제 4차 국토종합계획(재수정계획)(2011 ~ 2020)
1) 수정계획 수립배경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성장의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을 국토종합계획에 반영
․글로벌 경쟁체제에 대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여건변화에 대응
․MB정부의 새로운 국가경영 페러다임을 국토계획에 반영
- 저탄소녹생성장
- G20 정상회담 개최 등 국가품격 제고에 부합하는 국토구조 형성 필요
2) 국토계획의 비전 목표
․비전 :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글로벌 녹색국토”
․계획목표 :
- 경쟁력 있는 통합국토
- 지속가능한 친환경국토
- 품격있는 매력국토
- 세계로 향한 열린국토
3) 6대 추진전략
․국토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특화 및 광역적 협력강화
․자연친화적이고 인전한 국토공간 조성
․쾌적하고 문화적인 도시·주거환경 조성
․녹색교통, 국토정보 통합 네트워크 구축
․세계로 열린 신성장 해양국토 기반 구축
․초국경적 국토경영기반 구축
4) 계획권역의 설정
․ 5+2 광역경제권
․ 4대 초광역경제권
․ 163개 기초생활권
<그림5> 광역연계형 녹색 국토공간구조
<그림 2> 5+2 광역경제권별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