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공학설계(08주차 자료 - 1).hwp
2020-1학기 창의공학설계 (08주차 수업자료 1) 박 기 홍 |
1. 아래의 파레토 도표(Pareto Diagram)를 도식화하고, 진짜 문제 정의를 작성하시오.
1단계 |
문제상황 1 |
어느 음식점의 고객 불만이 자주 접수되고 있다. 이에 음식점 사장은 서빙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고, 설문 조사 결과 불만족 고객 100명과 불만족 요인이 조사되었다. |
2단계 |
최초로 인식된 문제 정의하기 |
3단계 |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파레토 도표 작성 |
|||||||||||||||||||||||||||||||||||
![]() |
4단계 |
진짜 문제 정의하기 |
1단계 |
문제상황 2 |
어떤 회사에서 자사의 식기세척기에 대해 그릇이 깨끗이 세척되지 않는다는 소비자의 불만이 접수되었다. |
2단계 |
최초로 인식된 문제 정의하기 |
고객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식기세척기의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자. |
3단계 |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파레토 도표 작성 |
|
4단계 |
진짜 문제 정의하기 |
고객불만 해소와 식기세척기 향상을 위해 배수장치와 펌프를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자. |
2. 원인결과 도표(cause-and-Effect Diagram)를 작성하고, 진짜 문제를 정의하시오.
1단계 |
문제 상황 요약하기 |
어느 Gift Card 회사의 배송 지연이 자주 발생하여 고객의 불만이 자주 접수되었다. |
2단계 |
최초로 인식된 문제 정의하기 |
3단계 |
원인 결과 도표 작성 |
※ 정보수집,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맵 작성 결과 아래와 같다.
![]() |
4단계 |
진짜 문제 정의 |
■ (추가 문제) 아래의 원인 결과 도표를 보고 진짜 문제 정의를 하시오.
진짜문제정의 |
3. 기능 분석(Func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진짜 문제 정의를 작성하시오.
▶ 1단계: 구성 요소 식별하기
구성요소 |
식별 |
시스템 |
자동차 |
대상 |
사람, 물건 |
환경요소 |
도로, 매연, 연료 |
▶ 2단계: 구성 요소 간의 기능 분석하기
유용한(좋은) 기능 |
유해한(나쁜) 기능 |
․ 자동차는 사람을 이동시킨다. ․ 자동차는 물건을 이동시킨다. ․ |
․ 자동차는 매연을 발생시킨다. ․ 자동차는 도로를 파손시킨다. ․ |
▶ 3단계: 개략적 기능 분석도 작성하기
![]() |
▶ 4단계: 시스템의 부품 식별하기
부품 |
엔진, 바퀴, 프레임, |
▶ 5단계: 세부 기능 분석하기
유용한(좋은) 기능 |
유해한(나쁜) 기능 |
․ 프레임은 사람을 이동시킨다. ․ 엔진은 바퀴에 동력을 전달한다. ․ 연료는 엔진을 동작시킨다. |
․ 엔진은 매연을 발생시킨다. ․ 바퀴는 도로를 파손시킨다. ․ |
▶ 6단계: 상세 기능 분석도 작성하기
![]() |
▶ 7단계: 진짜 문제 정의하기
진짜문제정의 |
도로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친환경 자동자를 개발하자. |
4. 기능 분석(Func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선풍기의 진짜 문제 정의를 작성하시오.
선풍기에는 날개 커버가 있기 때문에 손과 날개를 격리시켜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지만, 어린이들은 종종 날개 커버 사이로 손을 넣어서 다치곤 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날개 커버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 0단계(최초로 인식된 정의문):
▶ 1단계: 구성 요소 식별하기
구성요소 |
식별 |
시스템 |
|
대상 |
|
환경요소 |
▶ 2단계: 구성 요소 간의 기능 분석하기
유용한(좋은) 기능 |
유해한(나쁜) 기능 |
․ ․ ․ |
․ ․ ․ |
▶ 3단계: 개략적 기능 분석도 작성하기
▶ 4단계: 시스템의 부품 식별하기
부품 |
▶ 5단계: 세부 기능 분석하기
유용한(좋은) 기능 |
유해한(나쁜) 기능 |
․ ․ ․ |
․ ․ ․ |
▶ 6단계: 상세 기능 분석도 작성하기
▶ 7단계:
진짜문제정의 |
5. 기술적 모순(Technical contradiction)을 활용하여 우산의 진짜 문제 정의를 작성하시오.
우산이 크면 비가 많이 올 때는 유용하지만, 비가 그치고 나면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반대로 우산이 작으면 비가 많이 올 때 옷이 쉽게 젖는다는 문제가 있다.
▶ 1단계: 문제 관련 정보 수집하기
정보 수집 |
․ ․ ․ ․ |
▶ 2단계: 기술적 모순 분석하기
구분 |
기술적 모순 |
||
조건(C) |
장점 |
단점 |
|
TC1 |
|||
TC2 |
▶ 3단계: 기술적 모순 선택하기
선택한 기술적 모순 |
선택한 이유 |
▶ 4단계: 진짜 문제 정의하기
진짜문제정의 |
6. 물리적 모순(Physical contradiction)을 활용하여 식칼의 진짜 문제 정의를 작성하시오.
부엌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식칼의 경우, 오이처럼 물기가 많은 야채를 자르면 잘려진 조각이 칼에 달라붙어서 불편한 경우가 많다.
▶ 1단계: 문제 관련 정보 수집하기
정보 수집 |
․ 야채 조각이 부착되는 곳은 칼면이다. ․ 야채를 자르기 위해서는 칼날이 필요하다. ․ 칼면은 칼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
▶ 2단계: 물리적 모순 분석하기
필수조건 |
||
제약조건 (특성값) |
▶ 3단계: 모순 상황 도식화하기
▶ 4단계: 진짜 문제 정의하기
진짜문제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