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018 G1강의계획서.hwp

닫기

강 의 계 획 서

교과목명

건축설계 G1

과목구분

교양

전필

전선

교과번호

0158686

학점/시수

6/12

년도/학기

2018 / 01

권장선수과목

건축설계 C4

강의시간

월/ 4~9, 수/ 4~9

강의실

D-206, D-206-1

담당교수

박종성/김연준, 이승재/성이용

상담시간

추후공지

이메일

전화

박종성 010-6357-8082

강의개요

강의 목표:

디자인 초기 기획 및 계획 단계에서부터 완결된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걸쳐 필요한 요소들을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심화 교육과정 이다.

그동안 1,2,3,4학년 과정에서 진행되어온 스튜디오 별 정해진 설계주제가 아닌, 지정된 지역 범위 안에서 개인별 필지 대지선정 및 프로그램 제안에 의해 우리의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하게 이용되는 다양한 1, 2종 근린생활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

건축설계의 심화교육 과정으로 건축실무의 기본설계(Design Development) 단계의 도 면작성에 준하는 배치도,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의 작성능력을 배양하며 예비 건축 실무인의 기초 기술과정을 습득한다.

*수업 최종성과물: 설계도서, 모형, 3D 건축 이미지 등

강의키워드:

종합설계, 기본설계, 건축실무

Advanced Architectural Design, Design Development, Architectural Practice

학생수행평가기준(SPC):

01.구두 및 문서표현.(A)

11. 대지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

18. 종합설계 (A)

24. 컴퓨터 응용기술 (A)

강의

교재

1) 건축계획설계 실무, 김택성, 기문당 2012

2) 건축실무 핸드북/AIA 번역본 (학생편 13판) 도서출판 대가 2006

평가방법 및 반영율

(100 %)

시험 및 보고서(%)

수시시험

중간시험

기말시험

기타시험

보고서

60

-

-

-

-

수업참여(%)

발표와 토론

출석

수업태도

포트폴리오

15

15

5

5

학생수행평가기준(SPC)

커뮤니케이션

문화적 맥락

설 계

기 술

실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주별 강의계획서 2018. 건축설계 G1

구분

강의내용

강의방법

자료 및 교육기자재

과제물(비고)

SPC

Phase

-1

(포로그램/기획+계획설계)

1ST

2/28

- 강의목표 및

15주 강의내용 소개

- 개인별 대지선정

강의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개인별 과제공지

-포트폴리오 준비

2ND

3/5

3/7

-Site Analysis + Programing-1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대지관련 법규체크

-유사건물 사례조사-1

-개인별 트리틱

11

3RD

3/12

3/14

-Site Analysis + Programing-2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대지관련 법규체크

-유사건물사례조사-2

-개인별 트리틱

11

4TH

3/19

3/21

-Schematic Design-1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스케치 및 관련 도면작성-1

-개인별 트리틱

5TH

3/26

3/28

-Schematic Design-2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스케치 및 관련 도면작성-2

-개인별 트리틱

6TH

4/2

4/4

-Schematic Design-3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스케치 및 관련 도면작성-3

-개인별 트리틱

7TH

4/9

4/11

-Schematic Design-4

-Phase-1 / 종합평가

평가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개인별 Concept Design PPT발표+

스터디모형 제출

1, 11,18,

24

Phase

-2

(기본설계)

8TH

4/16

4/18

-Design Development-1

강의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관련 기본설계 도면 작성-1

9TH

4/23

4/25

-Design Development-2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관련 기본설계 도면 작성-1

10TH

4/30

5/2

-Design Development-3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관련 기본설계 도면 작성-2

11TH

5/7

5/9

-Design Development-4

*5/7대체휴일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관련 기본설계 도면 작성-3

12TH

5/14

5/16

Design Development-5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관련 기본설계 도면 작성-4

13TH

5/21

5/23

Design Development-6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설계도서 최종정리 및 모형제작-1

18,24

14TH

5/28

5/30

Design Development-7

강의/실습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설계도서 최종정리 및 모형제작-2

18,24

15TH

6/4

6/6

-Phase-2 종합 및 최종평가

6/6일 현충일

토론/평가

유인물/ PPT

빔프로젝터

-최종성과물 제출

1, 11,18,

24

16TH

6/11

휴 보 강

휴 보 강

*Note-1: 과제물 제출은 정해진 당일 당 시간에 제출한 것만 인정 함.

*Note-2: 모든 수업과제물의 결과는 개인별 포트폴리오 작성방법 및 편집기준에 의해 정리 함

*Note-3: 성적은 정해진 백분율에 의한 상대평가로 함.

2018년 1학기

CLASS HANDOUT-01

건축설계 G1

담당교수: 박종성

2018. 03. 05

Studio Direction-1:

a) 건축설계도면 작성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중요한 최종 목표는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가 건축시공현장에서 잘 전달 되도록 다양한 정보를 담는 수단이라 할 것이다.

b) 2018년1학기 건축설계 G1의 수업 목표는 소규모 근린생활시설 프로젝트 (국내에서 일반적인 건축행위의 80% 에 달함) 수행과정을 통해 건축설계도서 작성 단계 중 하나인 기본설계(Design Development) 도면 작성에 준하는 설계도면 이해 및 작성능력을 목표로 한다.

Studio Direction-2:

a) G1 스튜디오는 크게 2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됨 /

*1단계 (7주): 대지분석+프로그램도출+계획설계(Schematic Design)

*2단계(8주): 기본설계(Design Development) 건축도서 작성 + 모형작업

Studio Direction-3:

7주간 계획설계(Schematic Design)를 바탕으로 기본설계 도면 작성을 진행하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프로젝트 타이틀 +도면 리스트

2) 건축물 개요(법규 체크리스트) + 건축물의 디자인 개념 및 다이어그램

3) 배치도

4) 각 층별 평면도

5) 주단면도 2개 이상

6) 입면도 (4면)

7) 내 외부 주요 건축마감재 샘플 이미지

8) 부분상세 (개인별 필요 시)

Studio Direction-4:

1)설계도서작성은 Acad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하며 A3 출력 스케일은 1/100, 1/50의 도면 축척을 사용한다.

2)설계도서 작성은 건축가의 정보전달을 위해 Graphic Image+ Dimension+ Text 등으로 표현되며 도면작성 시 아래의 사항에 유념한다.

*배치도 작성 시 건축물 외벽의 인접대지 및 도로 와의 관계 보행 진출입/ 주차 진출입 등을 평면 및 칫수 표기를 통해 작성 한다.

*각 층 평면/ 입면/ 단면에 대한 공간 구획 및 구조벽/ 기둥 / 창호/ 그리고 각 관계의 수평 수직에 대한 칫수를 표기한다.

*각 도면별 벽두께 및 내력벽/ 비 내력벽/ 기둥 등 구조적 표현을 한다

*각 도면별 외벽 및 지붕의 단열재/ 실내외 마감재를 도면 및 텍스트로 표현 한다

*각 도면별 텍스트에 의한 필요한 정보 및 마감재 표현을 한다 등

Studio Direction-5:

최종결과물

1) A3 크기 도면 책 1부(20매 내외/CAD+PDF 파일)

2) 프로젝트 최종 3D 이미지

3) 1/50 모형

Design Project Guide Line

a) 대지는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도안 신도시 내 준 주거지역 임.(4층 이상 6층 이하/ 80%/ 500%)

b) 기존 도안 신도시 기 지정된 범위필지 내에서 현재 미 건축된 필지중 학생 개인별 필지를 선택하되 중복을 피하도록 함. (목원대학교 정문 앞/ 별첨 대지 지정범위 이미지 도서 참조)

c) 제안 될 프로그램은 준주거지역내에서 가능한 1, 2종 근린생활시설을 제안하며 대지의 향후 개발 잠재력을 고려 학생 개인별 멘토 교수의 지도하에 다양성 있는 기획 프로그램 제안을 기대함.

d) 원할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대지에 대한 도안 신도시 지구단위계획 최종 CAD 도면 및 기본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사례 등이 기초자료로 제공될 예정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