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Life@MA Dept.
2013
Mokwon Architecture
Annual News
2013
COVER STORY
2013_FIRST:SEMESTER NEWS
2013_SECOND:SEMESTER NEWS
2013_COMPETITION AWARDS
2014_공지사항
미리 가보는 2014_건축답사
2014_건축학부 학생회
2014_추천도서
1
2
5
8
12
16
18
20
Architecture&Life@MA Dept.
1
COVER STORY
학부 통합 교육과정 마련 : 목원건축의 변화와 도전
목원건축은 십여년 전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도약을 맞이하였으며,
그동안 많은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였고 중부권 최고의 교육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점차 입학자
원의 감소에 따른 대학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학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으며, 건축전공 학생들의
측면에서는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진로선택의 불안감 그리고 건축사법 개정, 건축학교육인증, 건축
공학인증 등 각종 제도의 피로감으로 지쳐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목원건축은 더 이상 과거의 기억에
안주할 수 없다. 내외부적으로 목원건축의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기가 변하면서 종합학문이라 일컬어지던 건축이 건축학과 건축공학이라는 학문으로 양분되는 아이러
니한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 배경으로는 인증이라는 제도가 있다. 물론 이를 통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
고 세부전공 부분을 심화 학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도 한다. 그러나 융복합이 중요
한 키워드로 자리를 잡은 지 오래전인데 전공 내부에서조차 양분되는 현상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 같아
보인다. 또한 전공별 분할모집을 할 경우 충분히 자신의 성향과 진로를 파악하지 못하고 대학진학을 하
는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 속에서 지속적인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도 목격되곤 한다.
목원건축은 2002년 대전에서 최초로 5년제 건축과정을 개설하였고, 최근 들어 건축사법이 개정됨에 따
라 건축학교육인증 획득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건축공학인증을 이미 획득하였으나 그 실효성
에 대한 논란을 거듭하였다. 목원건축은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전공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인식
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또 한 번의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그것은 학부 통합과정과 전공 심화과
정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이는 신입생을 건축학부로 통합모집하고 2학년까지 건축 전반에 대한
공통과목을 수강한 후, 3학년을 진급할 때 그동안 배우고 경험한 것을 토대로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파악하여 건축학 5년제와 건축공학 4년제 전공 심화과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교과과정이다. 이러한 교
과과정은 2014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되지만, 2013년도 입학생은 이미 새로운 교과과정에 의하여 수
강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교과목을 개편 및 개발 하였으며 설계 스튜디오, 캡스톤 디자인 공간
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각 전공 인증 획득에도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통합 건축교육과정은 국내 대학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이 정착되기 위해
서 당분간은 시행착오가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변화하고 있는 환경과 올바른 건축교육의 방향을 제고
한다면 분명 새로운 변화는 필요하다. 그리고 그 변화를 과감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목원건축이기에
가능하다.
이외에도 2013년에는 학생들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하여 방치되었던 공간을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전환
하고, 설계실 책상의 교체, 휴대용 제도판 구입, 캡스톤 디자인 실 책상 확보 등 다양한 시설을 구비하
는 사업이 수행되었다. 또한 각종 국내외 공모전, 경진대회, 학술발표회 등에서 이전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도 하였다. 그리고 단순한 작품집을 넘어 학생과 교수가 함께 만드는 강의
리뷰지 The Mokwon Architectural Review의 첫 볼륨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모두 목원건축인들이
하나가 되어 노력한 결과들이다. 비록 작은 변화로 보일지 모르겠으나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단순한 변화를 넘어 의미 있는 도전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2014년에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목원건축은 이미 그 저력을 갖고 있고 충분히 도전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 목원
건축은 청마(靑馬)의 해에도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지속할 것이다.
2
2013_FIRST:SEMESTER NEWS
신입생 입학식 및 오리엔테이션
봄볕처럼 따스하게 희망을 내딛다
2013년 3월 3일 오전
본교 운동장에서 신입
생의 입학식을 가졌
다. 이후 건축학과․건
축공학과 학부 합동으
로 치러지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신
입생들은 교수님과 선
배들 사이에서 목원대학교 건축학부의 일원이 된 것을 서로
축하해주는 복된 시간을 가졌다. 재학생들은 신입생과의 상
견례를 통해 환영의 인사말과 더불어 낯선 학교생활의 시
작을 따스한 분위기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신입
생들은 학교 홍보 프레젠테이션을 통하여 학업 및 학교생
활의 이해를 도왔고, 식후 행사로 다과회를 가지며 다시 한
번 선배들과 후배들 사이의 어색함을 줄이고자 하였다.
한편 입학식을 마친 후 학부모 총회를 열어 학교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고, 교육공동체가 전력을 다하여 내실이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을 다짐했다.
봉사활동
사회에 봉사하는 건축인
4월 9일 건축학과 3학년 학생들
은 국립 대전 현충원에서 봉사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날 국립
대전 현충원 직원의 안내에 따
라 묘지 비석 닦기 행사와 주변
환경 정리를 하였다. 조금은 쌀
쌀한 날씨속에서도 학생들은 정성껏 비석을 닦고 주변 환
경정리를 하면서 한 번 더 호국영령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가졌다. 이날 봉사를 통하여 순국하신 선열들의 뜻을 기리
고 조국에 대한 애정을 느끼게 한 보람을 느낀 하루였다.
건축학과 3학년 대표 09학번 양진원 학생은 "봉사활동을
통해 나라사랑에 대한 새로운 각오를 다지게 되었으며 오
늘로 봉사 활동이 끝나도 계속해서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
에 일원으로 성실한 삶을 살겠다"고 말했다.
목원대는 지난 2007년부터 매 학기마다 부활절과 추수감사
절 무렵 15일씩을 사회봉사 주간으로 선포하고 교수, 직원,
조교, 학생 등 전 구성원이 지역에서 대대적인 봉사활동을
펼치는 새로운 대학 사회봉사 모델을 실행해 왔다. 특히 건
축학부는 구세군 혜생원 및 현충원 두 곳을 집중적으로 봉
사해 왔다.
건축답사
현장에서 몸으로 느끼는 건축
2013년 4월 3일부터 5일까지 강원도 지역으로 건축답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답사지는 인제 김응현 서예관을 비롯하여
만해마을, 설악 씨네라마, 속초 시립박물관, 낙산사, 선교장
등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답사 전후 답사지에 대
한 세미나를 통하여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학교를
벗어나 현장에서 공간을 경험하고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
건축답사는 현장학습의 목적 이외에 목원건축인들의 소통
을 이끌어내기 위한 소중한 시간이 된다. 특별히 13년 답
사는 조원들의 단합을 강조하였다. 이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단체 게임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같은 곳을 바라
보며 모든 조원들이 한 몸이 되어 게임에 참여하였고, 이러
한 과정 속에서 이전과는 다른 선·후배들의 정을 나눌 수
있었다.
Architecture&Life@MA Dept.
3
김정동 교수님 정년기념 식수
마지막인 것만 같은 순간에
새로운 희망이 움튼다.
화창한
봄기운이
만연했던 4월 19일
오전 공대 중정에
서 동문들과 교수
님 그리고 재학생
이 참석한 가운데
김정동
교수님의
정년을
기념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
하였다. 중정 화단
한 켠에 34년간 목
원건축의 거목으로
편안한
그림자를
드리워 주신 것처
럼 아름드리나무가
심겨졌다.
김정동 교수님께서는 “우리 모두 꿈을 꾼다고 한다. 혹자
는 꿈을 꾸는 것은 이룰 수 있다는 의미란다고 한다. 이제
다시 30년 후를 꿈 꿔 본다. 더 큰 <목원건축>이 거기 있
을 것이라 생각한다. 정년을 앞두고 다시 한 번 그날을 기
대해 본다” 라고 말씀하시며 목원건축에 대한 애정과 사
랑을 표현해 주셨다.
교수님의 학문과 학교사랑에 대한 열정을 본받아 더욱 정
진할 것을 다짐하며 교수님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김 정 동 교수
연구분야
건축근대사
학 력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공학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공학석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공학박사)
경 력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
대한건축학회 참여이사
한국건축가협회 명예이사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역임
DOCOMOMO KOREA 회장 역임, 상임고문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옥관문화훈장 수훈
주요저서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하늘 아래 도시 땅 위의 건축
남아 있는 역사 사라지는 건축물 외 다수
개교기념일
이재연 교수, 20년 근속상 수상
5월 3일 오후 교
직원 및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
대 학이 채플실(T
관)에서 개교기념
일 행사를 가졌
다. 이 자리에서
건축학부의 이재
연 교수는 20년
근속상을, 박태근 교수는 산학협력부분 우수 교수상을, 박
선규 교수는 취업부분 우수 교수상을 수상하였다. 학생들은
교수님들의 수상을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으며 교수님
들은 이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였다.
가벼운 청춘의 일상에 다가오는 역사적 무게와 진중함은
도약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개교기념일은 단순한 휴강의
날이 아니다. 본교의 59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자리, 목원
100년의 꿈을 향한 그 자리는 목원 구성원들이 함께 나눠
야 할 자리다.
4
공대 체육대회
만남은 소중하게, 경기는 위풍당당!
매년 공과대학의 건축학부, 도시공학과, 융합컴퓨터미디어학
부, 전자공학과,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신소재화학공학과, 지능
로봇공학과 7개 학부가 운동장에서 갈고 닦은 운동실력을 겨
룬다. 5월 14일 각 과를 대표하는 선수들과 응원단이 모여
계주, 피구, 발야구, 족구, 축구, 단체줄넘기, 줄다리기, 농구
총 8종목에서 명승부를 연출하였다.
올해도 건축학부가 전통적으로 강한 발야구, 피구, 축구는 우
승, 준우승을 차지하며 강호의 면모를 유지 했지만 아쉽게도
농구, 족구, 계주 부문에서 대진 운이 따라주지 않아 순위권
안에는 들지 못했다. 하지만 다른 과들과는 달리 저학년들을
주축으로 팀을 꾸렸기 때문에 지난 대회를 통해 얻은 경험과
교훈을 잘 활용한다면 2014년을 비롯한 다가올 대회들은 기
대가 된다.
스승의 날
타과 교수님들이 그냥 커피라면,
건축과 교수님들은 T.O.P 입니다.
5월 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를 갖고 참 스승의
의미를 되새겼다. 공대 중정에 모여 꽃다발 증정식 및 다과회
를 통해 평소 마음에 담아두었던 사랑과 감사의 말을 전했고,
교수들도 학생들에게 가슴으로 화답했다.
학부장 박선규 교수는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건축학부 학
생들부터 교수님까지 모두 하나가 될 시간을 가졌다.”며
“지금처럼 사제 간 따뜻한 정을 돈독히 하자”고 말했다. 졸
업 예정자로 마지막 스승의 날 행사에 참여한 건축학과 08학
번 강덕은 “교수님의 사랑과 가르침을 잊지 않고 앞으로 사
회에 나가서 목원 건축인의 자부심을 가지고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They say that...
“EXPERIENCE IS THE BEST TEACHER”
But for us...
Having you as our teacher is the BEST EXPERIENCE.
그동안 교수님들의 따뜻한 관심과 가르침 속에서 저희는 배우고 성장해 나갈 수 있었습니
다. 교수님들의 가르침은 배우는 저희에게 더 넓고 깊게 세상을 바라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셨고 한치 앞 밖에 보지 못했던 저희를 세상으로 이끌어 주셨습니다. 교수님들과
수업뿐만 아니라 많은 행사를 통해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 뜻 깊고, 앞으로 남은 학교생
활 동안에도 교수님들과 다 같이 어우러지는 기회를 많이 만들고 싶습니다.
(건축학과 09학번 심경용)
Architecture&Life@MA Dept.
5
2013_SECOND:SEMESTER NEWS
디자인 캠프
방학을 이용한 심화 학습
2013년 6월 21일부터 28일까지 이승재 교수의 지도로 제
8회 목원건축 하계 디자인캠프가 진행되었다. 이번 디자인
캠프의 주제는 가구(furniture)로 실용성, 구조, 아름다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 무엇보다 실
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조 및 주
어진 재료들을 구축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무
더운 여름 땀이 가득한 온몸에 톱밥을 잔뜩 뒤집어쓰기도
하였다. 직접 제작한 의자에 앉아보는 순간 부서질지 모른
다는 두려움이 가득하였지만 깨나 튼튼하고 아름다운 의자
가 완성되었다.
디자인 캠프 연혁
1회 (2009 겨울) : 철학과 굴뚝청소부
2회 (2010 여름) : 스케치업 활용
3회 (2010 겨울) : 광주 폴리 공모전
4회 (2011 여름) : 공간디자인 16강
5회 (2011 겨울) : 부티끄 호텔
6회 (2012 여름) : (구축_1)파빌리온 제작
7회 (2012 겨울) : 키워드로 보는 근현대 건축
8회 (2013 여름) : (구축_2)가구 제작
목원축제
지겹지 아니한가, 청춘노릇
뛰어노니
청춘이다,
즐겨야지
청춘이다,
소리 질러야 청춘이
다! 9월 25일 청춘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평소 지겹게
아프고
흔들렸지만
축제기간
3일만큼은
청춘의 짐을 내려놓
았다. 복잡한 생각은
던져두고 축제에 몸
을 맡기며 ‘청춘의
의미’를 찾아 본 귀
한 시간이었다.
학생회 임원선출
보다 진보된 학생회를 기대하며
공대학생회장 선거에서 건축공학과 09학번 윤종호 학생이
2014년 학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주요 공약으로는 등록금
인하, 운동시설 확보, 시설물 수리 및 교체 조치요청, 여학
우 휴게실 개선, 샤워실개선, 제6회 테·공 가요제 활성화
등이 있다.
또한 목원건축 학생회장으로 09학번 김민기 학생이 선출되
었으며 주요 공약으로는 학부내 동아리 활성화, 시험분위기
개선, 정기 학생회의 개최, 집행비의 투명한 관리 등이 있
다.
새롭게
선축된
공대회장 및 건
축학부 학생회장
을 비롯한 모든
임원들은 학생들
을 섬기는 자세
로 보다 진보된
활동을 펼칠 것
을 기대한다.
6
목원 건축 학술제
열정의 열매를 발표하다
매년 학부생 전원이 참여하여 목원건축학술제(MAAF)를 개
최하고 있다. 2013년 11월 07일(목) 오후 5시 건축도시교
육지원센터 1층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11월 13일(수)까지
'제33회 목원건축학술제(MAAF)'를 개최하였다. 개막식에는
목원대학교 김원배 총장이 참석하여 기념테이프 커팅과 더
불어 작품을 관람하고 교수들과 학생들을 격려하였다.
이번 건축학술제에서는 건축학전공(5년제) 1~4학년 학생들
과 건축공학전공 2,3학년 학생들의 과제전과 함께 다음과
같은 행사를 개최하였다.
초청 강연회 : 11. 11(월) 14:00
도심속 고층건물의 현재와 미래 :
파르나스 타워 설계 및 시공
정동준 (GS건설 부장)
허일민(창조건축 실장)
졸업작품 발표회 : 11. 12(화) 14:00
설계작품 크리틱 : 11. 13(수) 14:00
정태영(다인건축 부사장)
이경환(디엔비건축 부사장)
Architecture&Life@MA Dept.
7
졸업생 환송회
새로운 출발을 응원하는 축제의 장!
지혜와 추억을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1월 20일 2014학년도 2월 졸업예정인 38명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졸업생 환송회를 개최했다. 이날 졸업생환송회는
졸업생들의 졸업과 동시에 목원건축 동문이 되었음을 마음
에 새기고,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생활을 기억하고 앞으로
학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
였다. 또한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함께 사진을 촬영하고,
졸업생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들을 상영하는 등 다양한 행
사를 통해 서로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시간을 보냈다.
선배라는 호칭이 이제는 익숙해졌는데 막상 졸업생이 되
는 자리에 서니 왠지 어색한 기분이 듭니다. 아직 학교
에서 공부할 것도 많고 함께하고 싶은 사람들도 많은데
시간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5년이라는
시간동안 졸업생들은 멋진 선배로서 그리고 자신감 넘치
는 학생으로 기억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저를 포함
한 모든 졸업생들은 정든 학교생활을 추억으로 간직하기
위해 그동안 선배, 후배 그리고 학생으로서 책임을 다했
는지 뒤돌아봅니다. 항상 후배님들에게 항상 잘해주고
싶고, 학구열에 불타고도 싶고 건축학과가 발전하기를
바라는 졸업생들의 마음은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면 저희가 그랬듯이, 더 멋진 선배가 된
여러분이 그 빈자리를 채워줄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에
저희들은 여러 교수님의 훌륭한 가르침을 실현하기 위
해, 그리고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어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가 되어야 하는 책임을
느낍니다. 졸업 후에도 우리 건축학과 선․후배간의 신뢰
와 동기간의 우정이 계속되어 자랑스럽고 떳떳한 목원
건축인으로서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모든 분들께 감
사드리며 이만 답사를 마칩니다.
(졸업생 09학번 김선미)
설계 마감 전날
안녕하십니까. 건축학과 07학번 이원호입니다. 저는 2007년도에 처음 건축학부에 입학하여
어느덧 7년이라는 세월이지나 이제 졸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으로 건축이라는 분야를
전공으로 배우면서 많을 것을 보고 배우고 그것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해 뿌듯함을
느끼며 7년이라는 시간을 보내왔습니다. 정말 길고도 짧은 것 같은 시간동안 같이 해온 동
기들과의 추억, 많은 것을 알려주신 선배님들과 교수님들, 한 학년씩 올라갈 때마다 새로이
들어오는 후배님들 덕분에 정말 학교에서의 기억을 좋은 추억으로 간직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가르침뿐만 아니라 고민상담도 들어주셨던 교수님들께 감사드리고 후배님들에게는
졸업하는 선배의 입장으로서 열심히 공부하고 밤샘 작업을 하면서 고생하기는 하지만 자신
이 생각을 담겨있는 설계를 하면서 뿌듯해하는 후배님들 모습이 너무나도 보기 좋다는 생
각을 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는 모습, 자신의 결과물에 대해 뿌듯함을 느끼며 웃음 잃
지 않기를 바랍니다.
(졸업생 07학번 이원호)
8
2013_COMPETITION AWARDS
SuperSkyScraper 국제공모전
권순영(06), 공진욱(09), 김귀현(11)
Special Mention
Acology SkyScraper - HONG KONG라는 주제로 개최된
국제 공모전에서 우리학부의 권순영 + 공진욱 + 김귀현 팀이
Special Mention을 수상하였다. 전세계 일반건축가 및
학생이 참여한 이번 공모전에서 수상작 중 유일한
리나라(대한민국) 수상팀으로 우리 목원대학교를 넘어 국위를
선양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Super Skyscrapers architecture and design
competitions은 초고층 건축물의 새로운 디자인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공모전으로 Superskyscrapers에서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공신력있는 국제 공모전이다.
KOICA 건축 디자인 공모전
김경재(06), 이원호(07)
금상
이번 공모전은 팔레스타인 제닌
청소년센터 건립사업으로 제닌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여성, 아동들의 문화 및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풍요로운
문화 환경 조성을 통해 발전적 미래를 지향하는
청소년센터를 건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rchitecture&Life@MA Dept.
9
김선미(09)
강수현(08)
권순영(06)
제32회 대한민국 건축대전
김선미(09) 입선
강수현(08) 입선
권순영(06) 입선
2013년 제32회 대한민국 건축대전에서 우리학부 5학년
3명이 입선을 하였다. 가장 권위있는 전국규모(금년에는
국제공모)의 공모전임을 고려할 때 총80명의 입상자 중에서
우리학부 학생이 3명에 달하는 것은 고무적인 결과이다.
시흥타임캡슐 공모전
강유라(12)
입선
시흥100년을 기념하여 미래 시흥에 바라는 꿈과 염원을
담아내는 미래 시흥100년과 소통하는 타임캡슐 설치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타임캡슐 설치 공간 디자인 아이디어 현상
공모에서 우리학부 강유라 학생이 입선을 하였다.
10
김진형(08), 한영만(08)
허정석(08), 이창섭(08)
제5회 대전공공디자인 공모전
김진형(08), 한영만(08) 입선
허정석(08), 이창섭(08) 입선
우리학부 4학년 2팀(허정석,이창섭,이학래 / 김진형,김영만)
이 제5회 대전공공디자인 공모전에서 각각 입선을 하였다.
도시재생을 다룬 설계 스튜디오 수업의 작업 결과물을
보완하여 응모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제3회리모델링건축대전
이상엽(08), 권아람(10) 입선
조성민(08), 이정민(10) 입선
우리학부 4학년 2팀(권아람,이상엽 / 이정민,조성민)이
(사)한국리모델링협회 주관하는 2013년 제3회
한국리모델링건축대전에서 입선하였다.
이상엽(08), 권아람(10)
조성민(08), 이정민(10)
Architecture&Life@MA Dept.
11
강유라(12), 고은이(12)
2013 도코모모 코리아 공모전
강유라(12), 고은이(12)
입선
2013 도코모모 공모전에서 우리 학부 2학년 강유라, 고은이
학생이 입선을 하였다. 이제 막 건축에 발을 디딘 2학년
학생이지만 타대학들의 고학년 학생 및 대학원생과 경쟁하여
좋은 결과를 얻어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캐드나 컴퓨터
모델링이 아직은 서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작업을
수작업(핸드드로잉, 모형제작)으로 하였다. 좋은 퀄러티를
보여주며 저학년도 공모전 문을 두드려볼 수 있음을 보여준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013 광주 도시재생 아이디어 공모전
지한솔(07), 윤경빈(09)
가작
예술의 거리를 거니는 유저들에게 건물입면에 가로숲을 모티
브로한 간판정비, 즐비한 영업권을 구분해 주는 8가지의
SYMBOL COLOR를 부여하여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걸음
이 끊이지않는 녹색예술의 거리를 제안한하였다.
2013 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상
-장려상 : 이상록
원가관리 경진대회
-장려상 : 채웅철, 이규석, 정희철, 윤정호, 노수빈
2013 대전,세종,충남 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상
-발표 분야 : 김경재
-포스터 분야 : 금동국, 이주창
건축구조경진대회
-대상 : 이은정, 문승희, 정근형
-은상 : 윤정호, 정희철, 조현희
-동상 : 안시환, 이지연, 김원주
건축 시공 프리젠테이션 경진대회
-최우수상 : 채웅철
-우 수 상 : 황지영, 정희양, 이지연
12
2014_공지사항
❙건축학교육인증❙
❑ 건축학(5년제) 교육인증 개요
‘건축학 교육 인증제’는 국제건축가연맹(UIA)이 요구
하는 건축학 교육의 국제적 상호 인정을 위해 도입되는
제도다. 세계무역기구(WTO)는 건축설계 시장의 개방
원칙에 따라 국제기구가 인증할 경우에만 건축가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권고해 왔고, UIA는 지난 99년 베이
징총회에서 건축 실무에 관한 전문성 국제 권고 기준을
‘5년 이상의 교육과 2년 이상의 수련’으로 규정했다.
국제건축설계시장 개방에 대비해 건축사의 자격 취득과
유지기준의 국가 간 상호인정을 위해 국제건축사연맹
(UIA) 협정 국제권고안을 기준으로 상향한 개정 건축사
법이 2012년 5월 31일 시행됨에 따라, 앞으로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5년제 이상의 인증된 건
축교육과정을 이수한 뒤 3년간의 실무수련을 거쳐야 한
다.
❑ 건축사법 개정에 따른 조치사항
인정기관 지정과 함께 시행되는 건축사법 시행령 개정
은 건축사 자격시험 응시요건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인
증제도와 관련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하려면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으로부터 인정 받은 기관이 인증한 5년제 대학 또는 대
학원의 건축학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건축사사무소에서
3년간 실무수련을 받도록 함.
○ 개정 건축사법 시행 전에「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이 인증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도 3년의 실무수련을
받으면 되며, 인증 받지 못한 5년제 건축학 대학 또는
대학원을 이수한 경우라 하더라도 2023년까지 건축사사
무소에서 4년간 실무수련을 받으면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함.
○ 기존의 4년제 대학과 일반 대학원 과정 등을 이수한
사람은 2019년까지 종전의 건축사법에 의해 건축사 예
비시험을 합격하면 2026년까지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
할 수 있도록 함.
※ 건축학 인증을 받지 못하고 졸업한 학생은 졸업 후
건축학교육인증원에서 시행하는 ‘교육이력평가’를 심
사 받으면 인증과 동일한 효력을 받을 수 있음
❑ 학생수행 평가기준(SPC)
학생수행평가기준은 커뮤니케이션, 문화적 맥락, 설계,
기술, 실무의 5개 영역에 걸쳐 모두 30개 항목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기초 기술과 지식으로 시작하여 전문 기
술과 지식을 포괄하는 건축사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항
목으로 마무리 된다.
학생수행평가기준은 건축사 자격 등록으로 이어지는 실
무수련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로그램은 모든 졸업생이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고유
의 필수교육 과정을 통해 모든 학생수행평가기준 항목
들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또한 편입학생
및 전과학생 등 그리고 타 프로그램에서 이수한 과목에
대해 인정학점이 주어진 경우 해당 과목들이 프로그램
내 개설 교과목과 상호인정 가능함을 증명하여야 하며,
프로그램이 유지하고 있는 편입생 및 전과학생들의 학
사관리체계가 충분히 설명되어야 한다.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 사이트 : www.kaab.or.kr
> 인증준비관련
건축학교육인증은 개인별 인증이 아닌 프로그램 인증이므로 구성원 전체의 이해와 협력이 중요함.
따라서 학과 전체의 인증달성 목표를 위하여 인증과 관련된 규정에 위배될 경우, 이에 따르는 불이익에 대한 책임은
개인에게 있음.
❑ 목원대 건축학과 인증 계획
○ 2017년도 1학기 : 예비인증
○ 2017년도 2학기 : 인증실사 및 인증획득
❑ 인증관련 홈페이지 운영
○ 인증과 관련된 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가 진행되므
로 주기적으로 확인 요망
❑ 설계과목의 중복수강 및 교차수강 금지
○ 2014학년도부터 엄격하게 시행
○ 따라서 선수강이 요구되는 설계과목을 미 이수(낙제)
할 경우 부득이 졸업을 위하여 1년 학업연장 요구됨
❑ SPC 항목 및 SPC Matrix 숙지
○ 30개의 항목에 달하는 SPC 내용 및 해제 숙지
○ 각 교과목별로 1~5개 정도의 SPC 성취가 요구되는
SPC Matrix를 운영
○ 각 교과목에서는 SPC 충족에 대한 증빙을 철저히
하여야 함
❑ 포트폴리오 작성 및 자료보관
○ 학생 설계 포트폴리오 작성 및 자료보관 철저
○ 포트폴리오는 회수 보관 되므로 별도의 개인 포트폴
리오 작성 권유
○ 포트폴리오 작성방법 및 양식은 홈페이지에 게재
Architecture&Life@MA Dept.
13
❙학사관련❙
❑ 학사운영
○ 2014년도 신입생부터 통합 모집 및 통합 학사 운영
○ 3학년 진급전 학생 적성 및 성적에 따라 전공트랙 선택
○ 2013년도 1학년부터 통합 커리큘럼 운영 > 2014년도
커리큘럼 보완/수정
○ 2015년도부터 3학년 과정 이후 단계적 커리큘럼 조정
❑ 통합 커리큘럼(안) 주요내용
○ 홈페이지 통합 커리큘럼(안) 참조
○ 1,2 학년 공통 통합교과 운영 > 3학년 이후 각 전공트
랙 심화과정 운영
○ 건축학인증 프로그램 관리대상 > 기초과정+3학년 이후
건축학(5년제) 전공트랙
○ 공학기초 12학점으로 조정 > 기존 재학생을 위해 [수치
해석입문],[확률및통계] 당분간 존치
○ 설계과목 학점 및 시수 조정
- 1, 2학년 설계 : 3학점 6시수
- 3~5학년 설계: 현재 6학점 12시수에서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설계스튜디오 5학점 8시수 + 설계심화 과정 2
학점 4시수로 운영예정
❑ 성적처리 규정 (학칙 제 37조)
○ A등급의 경우에는 상향조정할 수 없다.
○ A등급을 하향조정 할 경우 그 2배의 비율만큼 B등급을
상향조정할 수 있다.
등급
평가비율
교양과목
전공과목
1,2학년
교과목
3학년
교과목
4/5학년
교과목
A+ A
20%
25%
25%
25%
B+ B
40%
45%
55%
60%
C+이하
자율
자율
자율
자율
❑ 강의평가
○ 학기말 성적공람 시 반드시 평가
○ 향후 건축학인증 및 학과평가에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객관적이고 성실한 강의평가
❑ 지도교수상담
○ 학기초 ‘수강상담’ 및 학기 중 ‘지도교수상담’ 실시
○ ‘종합정보시스템’에서 개인상담현황 및 상담결과 확인
○ 휴학 등 개인 신상변화가 있기 전에 미리 상담 받을 것
○ 지정된 상담시간 이외에도 언제라도 상담 환영
❙학교생활❙
❑ 학생지원
○ 공모전, 경시대회 등 참가 경비 지원 : 작품 제출 시
책정된 금액 내
○ 포트폴리오 바인더 지급
○ 방학 중 디자인 캠프, 기사자격증 대비반 운영
❑ 교수+학생과의 교류 시간
○ 분기별 (3,6,9,12월 4째주 수요일 6시) 시행 예정
○ 학생회-학생, 학생회-교수와의 교류 시간 확대
❑ 공대 여학생 휴게실
○ D338호(북카페 옆) ○ 이용시간 : 9:00~18:00
❑ 홈페이지 활성화
○ 건축학인증 관련 게시판 운영
○ 학생회 게시판 : 학부구성원 전체 참여
○ 목원건축 소식 : 학과 및 건축계 소식 / 도서 / 전시
회 / 공모전 등
○ 공모전 소식 : 공모전 정보 / 수상관련
※ 홍보, 건의 등은 조교, 학생회 또는 박선규(학부장),
이승재(전공주임) 교수에게 문의
14
❙시설이용 안내❙
> 출력실(D116)
연락처 : 공진욱(09) (010-7370-2160)
❑ 출력 가격
○ 실소요 금액에서 40~50% 할인된 가격으로 운영
○ 기본출력 규격은 A1(900x600mm)을 기준으로 하며,
900x1,200의 경우 기준가격의 2배, 900x1,800일 경우
기준가격의 3배로 함
○ 할증 : 출력물의 50%이상 배경색을 가진 경우 (동일
계 전체 배경색 출력 불가)
❑ 사용규칙
○ 출력비의 투명하고 철저한 징수
○ 이용시간 : 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제외)
※ 정해진 이용시간을 제외한 시간에는 출력요청 금지
※ 기말, 전시회 등 특별 출력기간 중에는 별도 운영시
간 (홈페이지 공지)
○ USB 바이러스 체크 철저
○ 가급적 공용 ctb 파일(라인두께 설정파일)을 이용
권장하며, 개인별 ctb 파일이용 시 첨부
(※ 출력실에서의 ctb 파일 변경 금지)
○ 출력실에서 별도의 추가 작업 금지
구분
출력비
할증
캐드출력
일반용지
4,000
6,000
1,000
중코팅지
5,000
7,000
-
광택용지
6,000
8,000
-
> 레이저 커팅기(D209-1)
연락처 : 강유라(12) (010-7704-2167)
❑ 이용가격
○ 원/ 400x400mm 1장당
○ 작업환경에 따라 금액은 조정될 수 있음
○ 사용료는 기계의 유지관리 비용으로 쓰임
구 분
1T
2T
3T
5T
아크릴 / 목재
2,000
3,000
4,000
7,000
종이
(크래프트지/모형지)
+ 1,000
마킹,패턴,문양
추가시
+ 1,000
❑ 사용규칙
○ 이용비의 투명하고 철저한 징수
○ 장소 : D210
○ 이용시간 : 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제외)
※ 정해진 이용시간을 제외한 시간에는 작업요청 금지
※ 기말, 전시회 등 특별 기간 중에는 별도 운영시간
(홈페이지 공지)
※ 작업 주문이 폭주할 시 담당자가 작업순서 및 시간
을 조정할 수 있음
○ USB 바이러스 체크 철저
○ 최종 파일은 dxf 파일로 작성
○
1:1
scale로
작성하며
작업
단위는
최대
380x380mm 이내로 함
○ 모든 선은 닫힌 선이 되도록 폴리라인으로 작업
○ 캐드 작업 시 라인이 이중으로 되지 않도록 철저히
작업
○ cutting line 과 marking line 두 가지의 경우 별
도의 layer로 관리
기타 장비 및 도구
소형(30x30cm) 3D Printer, Air Compressor, 모형제작용 공구 등
Architecture&Life@MA Dept.
15
❙연구실 및 동아리 소개❙
> 연구실
연구실명
지도교수
연구목표
동양건축사의장연구실
이 왕 기
한국 및 동양 각 국의 건축을 답사하고 필요에 따라 실측,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
로 건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구조공학연구실
이 재 연
건축구조에 관련된 전공을 비록하여 구조물의 설계 및 실습을 통해 건축구조 전
문가로서의 기초지식 함양을 목표로 한다.
건설관리연구실
박 태 근
건축물의 생애 과정상에 발생하는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폐기처분 등에 관한
관리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전산구조공학연구실
박 재 형
외력을 받은 구조물의 거동을 컴퓨터 수치연산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기술을 배양한다.
건축계획연구실
이 승 용
현대 건축세계에 관하여 새로운 건축계획 방법으로서 종합적 계획 접근방법들을
연구하며 실제의 계획, 설계 능력배양과, 창조적 건축공간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
건축공간구성연구실
박 종 성
근∙현대의 다양한 건축물들을 분석하고 나아가 실제 건축설계에 있어서 창조적인
건축 공간 구성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건축설계연구실
김 연 준
모던건축의 현대적 재해석을 연구하며 건축의 기본 요소와 빛을 매개로 하여 확
장성과 투명성을 가지는 공간구성을 지향한다.
재료실험연구실
박 선 규
콘크리트의 성능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 연구하고 공부하는 곳입니다. 건축 재료
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은 재료연구실에서 환영합니다.
건축행태및디자인연구실
이 승 재
인간의 행태가 건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합리적이
고 미적인 건축 디자인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동아리
그래픽실
그래픽실은 학생들의 자체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연구생들 간에 공모전이나 스터디를 통해
학업에 매진하며, 이외에도 건축학과 학생들의 공모전이나 설계마감 시 패널을 저렴한 가격에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캐드실의 컴퓨터를 관리하는 등 학교에 봉사를 하는 동아리이다.
아키줌(ARCHI-ZOOM)
건축과에 있는 사진 동아리로, 카메라 사용법, 흑백필름 현상 및 인화, 여러 자기 사진기술을
배움으로써 사진에 관한 관심과 흥미를 함께 하는 동아리이다. 출사를 통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카메라 사용에 익숙해 질수 있다.
아키사커(ARCHI-SOCCER)
아키싸커는 05년도에 창단한 건축과 축구 동아리로서 선,후배 간 축구를 통한 친목을 다지고,
몸과 마음을 단련시키고 각 체육대회에 출전하고 있다. 축구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는 학우이
면 같이 나와 볼을 차면 좋겠습니다.
KEY-STONE
건축가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가장 자극적이고 도전적이며, 또한 가장 의문과 실수의 시기라
할 수 있는 학생 시기에 학년에 상관없는 진솔한 토론을 통해 개인의 능력발휘와 실력 배양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는 2, 3, 4학년으로 구성 된 설계집단이다.
? 이전 목원건축에는 ‘태’, ‘창조’, ‘아방궁’, ‘아키’, ‘매스’ 등 건축에 열정을 가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학술 동아리들이 많이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화, 개인화 되어
가는 과정에서 대부분 그 자취를 감췄습니다. 2014년도에는 더욱 혁신적인 학술 동아리들이
많이 생겨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16
미리 가보는 2014_건축답사
답사 1일차
대전
세종
전주
군산
고창
1. 정부세종청사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일대
완공예정 : 2014년 10월
용도 : 정부 행정업무
대지면적 : 374,449m
2
총면적 : 460,428m
2
2. 국립세종도서관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 3로 48
완공예정 : 2013년 06월
대지면적 : 29,817m
2
총면적 : 21,077m
2
3. 세종호수공원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일대
4. 전주 전동성당
위치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51
지정번호 : 사적 제288호
제작시기 : 일제강점기(1908-1914)
양식 : 로마네스크 양식
5. 전주 한옥마을
위치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거주가구 : 995가구
거주인구 : 2,0202명
총면적 : 296,330m
2
Architecture&Life@MA Dept.
17
1. 선운사
위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시기 : 백제 위덕왕 24년(577)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1.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위치 :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240
대지면적 : 8,347m
2
총면적 : 4,278m
2
답사 2일차
2. 경연대회
목원 건축학부인들의 학술적 경연
건축적 상상력과 놀이
답사 3일차
2. 군산 근대건축관
(구 조선은행 군산점)
위치 :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214
건축시기 : 일제강점기
총면적 : 1,023m
2
3. 새만금간척지
위치 : 만경강, 동진강 하구
방조제 사업기간 : 1991-2010
용도 : 종합 농수산업 시범단지
규모 : 4만 100ha
18
2014_목원건축학생회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학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2014년도 학생회장을 맡게 된 09학번 김민기입니다.
언제나 이런 인사 글의 말머리를 장식하게 되는 식상한 인사말이지만 언제 들어도 스스로 자
부심과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기분 좋은 말인 것 같습니다. 2013년 계사년 뱀의 해를 보내고
이제 2014년 갑오년이 왔습니다. 지난 2013년 움츠렸던 마음을 청마의 따뜻한 기운으로 승
승장구하시길 기원합니다.
꿈을 가지고 입학하신 신입생 여러분들 어떤 대학 생활을 기대하고 계십니까?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꿈에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는 2,3,4,5학년 학우 여러분들은 어떤 한해를 계획하고 계
십니까? 저는 대학 생활을 하며 ‘목원 건축인’ 이라는 것이 정말 자랑스러웠습니다. 열정
넘치는 교수님들, 불이 꺼지지 않는 설계실, 연구실들은 저희 학부의 큰 자랑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매년 각종 공모전 및 대회에서 입상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또한 저희 학부의
자랑은 교수님들, 졸업하신 선배님들과의 끈끈한 유대관계입니다. 매년 건축전, 건축답사, 체
육대회 등 크고 작은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사는 선·후배간의 즐거운 추억
을 만들 수 있게 해주었고 자연스러운 멘토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14년도 학
생회도 면학분위기 조성과 선·후배간의 소통을 위해서 노력하겠습니다.
학우 여러분, 학과의 발전을 위하여 학생회가 조직 되고 임원진들이 구성되었지만 학우 여
러분들의 하나 되는 마음과 도움이 있을 때만 자신 있게 학과를 최고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학우 여러분들의 애정 어린 참여와 관심으로 학생회를 격려해 주시고 부족한 부분은 언제라
도 지적해 주십시오. 작은 소리에도 크게 듣고 겸허히 받들겠습니다.
2014년도는 시편 133편 1절 “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
고” 말씀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1년을 섬기는 자세로 여러분과 함께 할 것입니다. 작(昨)은
낮아질 것이며 과정은 공정할 것이며 결과는 공의로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학생회장 09학번 김 민 기
주요공약사항
1. 학부내 동아리 활성화
기존 동아리 활성화 및 신규 동아리 창설 등을 통하여 선·후배간의 교류를 활
성화 시키고 이를 통해 멘토링, 튜터링으로 이어 질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2. 시험분위기 개선
시험부정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력한 학생들이 그에 맞는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시험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제도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3. 학생회의 정기화
정기적으로 학생회 및 학년 과대표들이 모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적극적으로
수렴하겠습니다.
4. 투명한 학생회 운영
학생회비 지원, 지출 내용, 회의내용 문서화 시켜 모든 학우들이 공유 할 수 있
도록 실행하겠습니다.
Architecture&Life@MA Dept.
19
2014년 학생회를 섬길 임원들을 소개합니다.
재학생 여러분들에게 조금 더 도움이 되고
친목을 도모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학생회가 되고자 합니다. 2014년도에 진행되는
행사 및 모임에 많은 참여와 호응 부탁드립니다.
부 학 생 회 장
정 희 철 (09)
jhc5014@ naver.com
여 학 생 회 장
정 이 슬 (12)
jeongys@ naver.com
총 무
양 진 원 (09)
yjinw on90@ nate.com
부 여 학 생 회 장
차 윤 아 (12)
sandy3019@naver.com
서 기
오 세 은 (12)
oho1210@ naver.com
홍 보 부 장
심 경 용 (09)
airxls@ naver.com
체 육 부 장
이 강 윤 (09)
lky9116@ naver.com
체 육 부 장
김 좌 수 (11)
ipod91@ na te.com
기 획 부 장
정 종 인 (09)
okjijung77@naver.com
기 획 차 장
안 다 빈 (09)
sharp9232@naver.com
관 리 부 장
조 현 희 (09)
landi1022@naver.com
관 리 차 장
이 성 목 (09)
143322@ naver.com
2014_추천도서
행복한 그림자의 춤
저 자 : 앨리스 먼로
출판사 : 뿔
역 자 : 곽명단
세심한 관찰을 통해 촘촘하게 묘사한
우리 주변사람들의 삶 이야기
(2013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품)
철학과 굴뚝 청소부
저 자 : 이진경
출판사 : 그린비
근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철학 사상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책
패턴 랭귀지-도시,건축,시공
저 자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외
출판사 : 인사이트
역 자 : 이용근, 양시관, 이수빈
아이러니하게도 건축계보다
컴퓨터과학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이 책
영원의 건축
저 자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출판사 : 안그라픽스
역 자 : 한진영
‘어떻게 건물을 지을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디자인의 디자인
저 자 : 하라켄야
출판사 : 안그라픽스
역 자 : 민병걸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세상을 향해 물음을 던진다.
20세기 건축의 모험
저 자 : 이건섭
출판사 : 수류산방중심
책을 타고 떠나는 현대 건축과
디자인 여행
구조의 구조
저 자 : 함인선
출판사 : 발언
건축가 혹은 건축가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건축구조 이야기
공간디자인 16강
저 자 : 권영걸
출판사 : 국제
공간이란 무엇인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상상하여? 창조하라!
저 자 : 유영만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상상이 없으면 창조도 없다!
no imagination,
no creativity!
트렌드 코리아 2014
저 자 : 김난도 외
출판사 : 미래의 창
2014년을 승리로 이끌 ‘다크호스
(DARK HORSES)’를 기대한다!
ublished by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대전광연시 서구 도안동 88
Tel.042.829.7610
Fax.042.822.5260
Edited by 김민기
양진원
심경용
오세은
배진호
Publish Date 2014.02.
2013 Architecture&Life@MA D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