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kwon Architecture Review
Change and Challenge
2013
Published by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북로 88
TEL.042-829-7610
FAX.042-822-5260
Directed by 이승재
Edited by 성이용
Cover designed by 강유라
Supported by 이꼴북스
Printed by (주)서울인쇄사
Published Date. 2014년 2월
ISBN 978-89-97603-19-0 / 13610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or otherwise,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of Mokwon University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Equalbooks.
Contents
5
Preface
7
Architectural Theory
63
Architectural Design
161
Graduation Thesis (Architectural Engineering)
169
Competition Awards
175
Design Camp
179
Mokwon Architecture Academy Festival
185
Architectural Field Trip
191
Architectural Discourse
195
Faculty Members
The Mokwon Architecture Review
5
2013
Preface
거의 모든 대학의 건축학과에서 매해 또는 주기적으로 작품집을 발행하고 있다.
심지어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해외 유수 대학들의 작품집이 영
향을 준 듯하다. 목원건축도 매년 with Design과 with Engineering이라는 두
권의 작품집을 발행해 왔다. 전자의 경우 건축학 전공 학생들의 스튜디오 강의
결과물을 책자로 편집하였고, 후자의 경우 건축공학 전공 졸업논문을 중심으로
편집되었다. 그러나 타 대학의 작품집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작품 결과물만 나
열되어 있을 뿐 의미 있는 정보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다.
다시 ‘왜 대학에서 작품집의 형태로 발간을 하는가?’라는 물음을 던진다. 다
양한 답이 주어질 수 있지만 크게 ‘기록’과 ‘홍보’라는 두 가지를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과 홍보의 대상은 여느 건축사무소의 연감처럼 작품의 결
과물만이 아니다. 대학의 본질이 ‘교육과 연구’에 있다면 어떠한 것을 기록하
고 홍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 올해부터 새롭게 발간되는
The Mokwon Architectural Review는 단순한 작품집을 넘어 학생과 교수가
함께 만드는 강의 리뷰지이다. 기존의 작품집이 학생들의 작업 결과물에 중심을
두었다면 이 새로운 형태의 발간물은 학습의 과정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각 전
공강좌의 주요 목표, 실행계획, 그리고 성과 및 개선사항에 대한 글을 담당 교
수가 자기 보고서 형식으로 직접 작성하고, 우수 작품에 대한 리뷰, 학생들의
작업
결과물이
모두
망라되었다.
이는
교수의
입장에서
일종의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학생의 입장에
서는 강의의 목적에 맞게 학업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일지이자,
또는 미리 강의의 전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안내서로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목원건축을 바라보는 외부인들에게나 진학을 희망하는 예비 대
학생들에게 교육의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고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책임 있고 내
실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렇듯 The
Mokwon Architectural Review는 ‘교육에 대한 기록‘이자 ’교육의 질에 대
한 홍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첫 발간이라 동기부여, 컨텐츠 확보, 편집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도 사실
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의미 있는 도전을 만들어 낼 것이다. 향후 거듭 시
행착오를 거쳐 모범적인 건축교육 전문 리뷰지가 될 것을 기대해 본다.
Architectural
Theory
건축의 이해
건축기술의 역사
건축계획학
주택 및 단지계획
건축의장
건축디자인실습
구조역학
건축구조시스템
건축구조계획
건축법규
건축실무
건축재료
건축시공
건축설비
서양건축사
한국건축사
근대건축론
동양건축사
건축환경
친환경 건축론
조경학
컴퓨터응용설계1
컴퓨터응용설계2
디지털건축
BIM설계
도시계획
건축물 보존과 리모델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