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학 (8면 중
7 면)
서술형 【1 ~ 6】
1. 다음은 정수의 사칙연산을 지도하기 위한 셈돌 모델, 수직선 모델,
귀납적 외삽법에 대한 예시이다.
셈돌 모델
●●○○○○
수직선 모델
귀납적 외삽법
×
×
×
×
×
×
×
정수의 사칙연산을 지도할 때, 셈돌 모델의 약점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직선 모델의 장점을 각각 쓰시오. 그리고 정수의 사칙연산
을 지도할 때, 수직선 모델의 약점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귀납적
외삽법의 장점을 각각 쓰시오. [3점]
2. 위의 보통위상(usual topology)을 , 함수 → 를
이라 하고, 위의 위상
을
∈ 라 하자.
∪, 이라 할 때, 적공간(product space)
× 에서 × 의 폐포(closure)
× 와 × 의 내부
(interior) ×° 를 구하시오. 이를 이용하여 × 에서
× 의 경계(boundary) ×를 구하는 과정을 쓰시오.
(단, 은 자연수 전체의 집합, 는 정수 전체의 집합, 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3점]
3. 다항식환 ℤ
에서
를 두 일차식의 곱
로 나타낼 수 없음을 증명하시오. [4점]
4. 연속함수 → 에 대해 집합 ∈ 의 상한
(최소상계, supremum, least upper bound) 이 존재한다. <정리 1>을
증명 없이 이용하여 을 만족하는 ∈ 이 존재함을
증명하시오. [4점]
<정리 1>
유계인 실수열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수 학 (8면 중
8 면)
<수고하셨습니다.>
5. 두 연속확률변수 와 의 결합확률밀도함수(joi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를
그 외의 경우
라 하자. 의 주변확률밀도함수(margi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 주어졌다는 가정
하에 의 조건부확률밀도함수(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와 의 조건부기댓값(conditional expectation)
를 구하시오. [3점]
6. 자연수 에 대하여, 방정식
(단, ≤ ≤ ≤ ≤ )
을 만족하는 정수해의 개수를 이라 하자. 의 생성함수 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를 구하시오. [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