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설비기초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환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연기식 감지기
연기식
*
* 연기란
연기란 ?
-
- 연소생성물로서 액체 또는 기체의 미립자를 말함
연소생성물로서 액체 또는 기체의 미립자를 말
-
- 연기의 유동속도
연기의 유동속 : 수평방향
수평방향 0.5 ~ 1.0m/s,
0.5 ~ 1.0m/s, 수직방향
수직방향 2~3m/s
2~3m/ 로 이동한다
로 이동한
-
- 유독성 이며
유독성 이 ,
, 화재 시 인명피해의 대부분이 연기에 의한 질식
화재 시 인명피해의 대부분이 연기에 의한 질 ,및 독성에 의해
및 독성에 의
사망
사 .
*
* 연기감지기의 종류
연기감지기의 종
-
- 이온화식
이온화식 : 스포트 형
스포트
-
- 광전식
광전식 : 스포트 형
스포트 ,
, 분리형
분리
-
- 공기흡입형
공기흡입형 : 크세논램프
크세논램 , cloud chamber
, cloud chamb
-
- 복합형 감지기
복합형 감지
1)
1) 연기복합형
연기복합형 :이온화식
이온화식 +
+ 광전식
광전
2)
2) 열,연기복합형
연기복합
Page
29~33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연기 감지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해 이온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것
- 공기는 절연체
이나공기를 이온화 시켜 전류를 흐르게 함
.
연기가 흘러들어가는 외부이온실과 밀폐된
내부이온실이 있으며 두개의 이온실은
그림과같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감시상태에서는 내부이온실의
(+)극과
외부이온실의
(-)극 사이에는 정전압 V가
인가되어 있다
.
연소생성물이 없는 외부이온실의 전압
,전류의
특성은 다음 그림의 곡선
(가)로 표시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외부이온실과 내부이온실 에는
I
1의 이온전류가 흐르고 있는데 이 경우 외부
이온실 에는
V
1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이다.
* 평상시 : 내,외부 이온실에 흐르는 전류 I
1 과 I’1이가 같다고 가정하면 그림1.18에서
곡선 “가”의 상태 임
V
1 = V’1 , I1 = I’1
이 경우 스위칭 회로
( SW) 에서 내부이온실과 외부이온실의 전압비 를 검출하지
않으며
, 화재신호를 발하지 않는다.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연기 감지
연기가 발생하여 외부 이온실안에
들어가면 이온전류가 감소하여
외부이온실과 내부이온실의 전압비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 이러한 전압차를
증폭시켜 감지기에 편성되어 있는
전기회로
(스위칭회로”SW”)를
작동시킴으로서 수신기에 화재경보를
발하도록 한 것이다
.
내부 및 외부이온실의 방사선원은 알파
(α)선이며 원소로서 아메리슘
241(Am241) 또는 라듐(Ra) 등이
사용된다
.
** 연기발생 시 : 전압전류곡선은 그림b의 “나”와 같은데 외부이온실의 전류는 연기에
의해 이온실의 저항이 증가
(연기가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전류는 I
1에서 I2로
작아지며 그에 비례하여 외부이온실의 전압은
V
1에서V2로 만큼 커진다.
**여기서 내부이온실과 외부이온실의 정전압 V는 항상 일정하므로 외부이온실의
전압변화는
V2-V1 = ∆V가 되며, 이∆V를 스위칭 회로가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발한다
.
** 내,외부이온실의 회로가 직렬연결이므로 옴(Ohm)의 법칙을 연상시켜 볼 것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 감지기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 감지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해 광전 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로 작동하는 것
1)산란광 식과 2)감광식이 있다
*산란광식 감지기는 빛을 완전 차단한
암실에 광원과 수광 소자를 설치 한것
.
1. 암실에 연기가 없을때는 수광부에는
빛을 전혀 받지 않는다
2. 암실에 연기가 들어오면 연기에 의해
빛이 산란을 일으켜 수광소자에 빛이
검출된다
.
1) 산란광식 감지기
3. 그림b와 같이 연기농도가 증가하면 연기에 의해 빛이 산란을 일으켜 수광부에 빛이
검출되고 이에 따라 광전소자의 저항치가 적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화재신호를 발한다
.
광전식 감지기 외형
2) 감광식 감지기
*그림과 같이 광원(발광부)에서 빛을
직접조사하고 수광부에서 빛을
검출한다
*연기 발생시 연기입자에 의해
수광부에서 받는 빛의양이 감소함에
따라 출력전압이 감소하여 기준
전압출력값 보다 적으면 화재신호를
발한다
.
*** 감광식 감지기는 스포트형 과 분리형 감지기에 사용된다
광전식 분리형 연기식 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연기식 감지
Page31
**분리형 감지기는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분리한
것과 같음
.
**넓고 높은 구역에서 주로 사용한다
그림과 같이
L(송광부와 수광부의 거리)은 5~100M이며 감지기간의 거리는 5M
간격으로 설치하며
, 체육관.대규모창고.홀등에 사용한다.
발광부
, 수광부,
제어반 사진
발광부 설치 사진 예
수광부 설치 사진 예
제어반 설치 사진 감지기
3개설치
넓고 높은 장소에 설치한 현장
미립자 연기감지기
미립자 연기감지
*화재초기 발생되는 0.005~0.02μ m정도의 미립자를 검출(연기입자는 보통 0.1~
10 μm)하며 컴퓨터실, 전산실,크린룸 등에 주로 설치 조기에 화재를 감지한다.
*
종류로는 cloud chamber 초미립자 감지기로는 xenon lamp ,laser beam 등이
있음.
1. 안개상자(cloud chamber)
- 습도가 높은 공기 중 입자가 존재하면 수적(water droplet)을 형성하는 성질 을
이용하여 감지기의 원리로 사용한 것
- 습도가 있는 밀폐공간에 연기입자가 있는 상태에서 단열팽창(압력을 낮춤)
시키면 연기입자는 공기 중 응축핵(核)으로 작용하고 공기는 응축된다.
- 응축된 입자에 의해 형성된 수적의 크기는 20 μm 정도로 일정함.
-
이렇게 형성된 수적(water droplet)의 밀도를 측정하여 화재신호를 발한다.
Cloud chamber
Cloud chamber
동작원리
동작원
1. 공기펌프
공기펌 (air pump)
(air pump 로 공기를 샘플링 한다
로 공기를 샘플링 한 .
2. 필터
필 (filter)
(filter 로 분진을 걸러내고 습도
로 분진을 걸러내고 습 100%인 챔버로 흡입한다
인 챔버로 흡
.
3. 챔버내의 압력을 변화
챔버내의 압력을
(단열팽창
단
)시키면 입자를 중심으로 응축된다
시키면 입자를 중심으로 응축된 .
4. 광전식 검지장치로 측정한다
광전식 검지장치로 측정한 .
5. 수적
수 (water droplet)
(water droplet 이 기준치 이상이면 화재신호를 발한다
이 기준치 이상이면 화재신호를 발한 .
Xenon lamp
Xenon lamp 동작원리
동작원
1.
1 공기펌프
공기펌 (air pump)
(air pump 로 공기를 샘플링 한다
로 공기를 샘플링 한 .
2.
2 필터
필 (filter)
(filter 로 분진을 걸러내고 암실로 흡입한다
로 분진을 걸러내고 암실로 흡입한 .
3.
3 고강도 크세논 램프로 빛을 조사한다
고강도 크세논 램프로 빛을 조사한 .
4.
4 공기중 부유하고 있는 미립자가 반사하는광선을 측정
공기중 부유하고 있는 미립자가 반사하는광선을 측정
연기입자 농도를 전송한다
연기입자 농도를 전송한 .
5.
5 연기 입자농도에 따라 화재신호를 선택하여 사용
연기 입자농도에 따라 화재신호를 선택하여 사 .
연기감지기설치기준
연기감지기설치
다음 각호의 장소에는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각호의 장소에는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
.
다만
다 , 교차회로방식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 또는 제
교차회로방식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 또는 1항 단서
항 단서
규정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규정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그러하지 아니
.
1. 계단 및 경사로
계단 및 경사 (15m
(15m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미만인 것을 제
)
2. 복도
복 (30m
(30m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미만인 것을 제외한 )
-복도 길이가
복도 길
30m이상인 경우는 매우 긴 통로로서 화재 시 연기의
이상인 경우는 매우 긴 통로로서 화재 시 연
유통로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유통로 역할을 하는 공간이 . 30m
. 30m 미만인 복도에 연감지기를
미만인 복도에 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으면 차동식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되는데 복도는 초기에
설치하지 않으면 차동식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되는데 복도는 초기에
열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장소가 아니어서 무용지물이 된다
열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장소가 아니어서 무용지물이 된 .
3. 엘리베이터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
․
엘리베이터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
․
.
4.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천장 또는 반자의 높
15m
15m 이상
이
20m
20m 미만의 장소
미만의
.
ELEV.
엘리베이터 기계실
승
강
로
파
이
프
샤
프
트
개구부 1m 미만
1m 이상의 경우
( a)
( b)
2
2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연감지기 설치 예]
엘리베이터 기계실
감지기 부착면
유지가능한 부착면
옥상
최상층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로
엘리베이터
[막혀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연기감지기 설치 예
]
엘리베이터 실 구조는 대부분 그림
(a)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어 기계실 상부에
연기감지기를 부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스포트형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
스포트형 연기감지기의 설치기
가
. 감지기의 부착높이에 따라 다음 표에 따른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 로 할 것
부 착 높 이
감지기의 종류
1종 및 2종
3종
4m 미만
150
50
4m 이상 20m 미만
75
나
.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m(3종에 있어서는 20m)
마다
,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0. 6m미만
0. 6m미만
복도
중심선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격하여 설치(10호 마목)하여야 하나 그림과
같이 폭이
1.2m미만의 좁은 복도의 경우, 복도의 폭 중심 천장면에 설치한다.
30m
이내
15m
이내
15m
이내
30m
이내
15m
이내
연기감지기
[복도의 연기감지기 설치 예]
[복도의 연기감지기 설치 예]
15m
이 내
15m
이내
계단
: 불필요 ( 단 , 계단에는 필요)
계단의 연감지기는 정상부에
연기가 모이므로 꼭대기 부분을
시작점으로 하여 아래로 수직거리
15m 마다 1개씩 설치한다.
< 5 m
30m
15m
경사로에는 보행거리 30m 마다 1개 이상 설치
( 경사로)
15m
( 제 3종 감지기는 20m)
[경사로의 연기감지기 설치 예]
[계단의 연기감지기 설치 예]
다
.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s
경계구역이 작은 경우에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이 출입구 쪽으로 이동할 것을 고려하여
그림과 같이 화재감지기를 출입구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
[좁은 거실의 경우 예]
라
.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1. 5m이상
배기구
급기구
급기구는 화재로 인한 열
, 연기 등이 감지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만 배기구는 이와
반대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그림과 같이 이 근처에 감지기를 설치하면
실내에 발생된 연소생성물을 감지하기가
용이하다
.
[급배기설비에서 연기감지기 위치 예]
s
0.6m 이상
s
0.6m 이상
s
( X )
( O )
( X )
마
.
.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벽면 또는 보에 너무 근접하여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열 또는 연기가
상승하면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할 수 없는 부분이 발생한다
.
•그러므로 벽 또는 보 등과의 거리가 최소 0.6m 이상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벽과의 간격 예]
복합형 감지기
Page33~35
열 또는 연기감지기를 복합식으로 하면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차동식,정온식),연기(
광전식
,이온화식) 중 어느것이나 감지해도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합식도 두기능중 하나만 동작
(OR개념), 또는 두가지기능이 동시에 동작(AND
개념
)하면 화재신호를 발하게 할수있다.
다신호식 감지기
-다신호식: 1개의 감지기내에 서로
다른 종별 또는 성능
,공칭작동온도,
공칭축적시간등의 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 신호를
말하는 것
.
1단계 : 경계신호(관리자만통보)
2단계 : 화재경보(건물내 경보)
불꽃감지기
불꽃
물질이 불꽃을 내며 연소할때 발생하는 스펙트럼은 통상 가시광선(0.4~0.8μ m),
자외선(0.4 μm미만), 적외선(0.8 μm초과)으로 구분된다.
불꽃은 초기 발생부터 특유의 연소특성을 나타내는데
, 이 특성 중 육안으로는
감지하지 못하는 자외선과 적외선의 서로 다른 파장대에 존재하는 특수한 파장을
방사한다
. 이러한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0.18 ㎛~0.26 ㎛)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특성
(4.3㎛±0.2㎛)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 그 크기를 연산/분석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화재
감지기이다
불꽃감지기
불꽃
1. 개요
①화재 시 연소반응에 의해 열
,
연기
, 화염, 연소가스 등
연소생성물이 발생되고
, 열복사로
빛이 방출되는데 그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며 이러한 파장의 차이로
적외선
, 가시광선, 자외선 등
파장의 영역으로 대별된다
.
②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센서로
광원을 인식
, 식별해 내는 감지기가
불꽃감지기이며 가시광선 영역
(0.38~0.76㎛)외 파장의 빛을
감지하며
UV불꽃감지기, IR불꽃감지기,
UV/IR, IR/IR
불꽃감지기등이있다
.
자외선 영역파장
: 0.4 ㎛이내
가시광선 영역파장
:0.4~0.8 ㎛
적외선 영역파장
: 0.8 ㎛
자외선 영역 스펙트럼파장
: 0.4 ㎛이내
가시광선 영역 스펙트럼파장
:0.4~0.8 ㎛
적외선 영역 스펙트럼파장
: 0.8 ㎛이상
** 그림1.21 에서 탄소, 수소등이 함유된 실제 불꽃은 파장4.4㎛에서
불꽃의 상대강도가 피크치를 나타내는데 이 영역에서 상대강도를 검출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것이 적외선 감지기임
.
불꽃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가
. 공칭감시거리 및 공칭시야각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를 것
나
.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와 공칭시야각을 기준으로 감시구역이 모두 포용될 수 있도
록 설치할 것
불꽃감지기 설치기준
불꽃감지기
공칭감지거리
공칭시야각
[공칭시야각과 공칭감시거리 예]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추형의 형태를 구성하고
있으며
, 시야각이 넓은
감지기는 그만큼 감지면적이
넓어지고 감지거리가 길수록
높은 천정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다
. 감지기는 화재감지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 등에
설치할 것
라
. 감지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지기는 바닥을 향하여 설치할 것
마
. 수분이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방수형으로 설치할 것
바
. 그 밖의 설치기준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할 것
[감시공간 넘어 장애물이 있을 경우(일본) 예]
[ 감시공간내 장애물이 있는 경우(일본) 예]
아날로그 감지기
아날로그 감지
종래의 감지기와같이 화재판단을 감지기가 하지않고 아날로그 감지기는 온도 또는
연기의 농도를 감지하여 수신기에 보내고
, 화재여부는 수신기가 판단한다.
그림
a는 아날로그 감지기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온도 또는연기농도를
수신기에서 판단하여
(사람이 임의지정 가능) 첫번째신호는 예비경보, 두번째신
호는 화재경보
, 세번째신호는 소화설비 연동 등으로 구성할 수있는 장점이있다.
종류로는 열식
, 연기식 , 복합식아날로그 감지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