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설비기초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환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통신보조설
개요
전파는 지하 또는 터널에서는 현저히 감쇄되어 지상과의 통신이 잘않되므로
지하층에서 화재시 누설동축케이블등을 이용하여 지상과 지하에서
소방대원상호간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하는설비
설치대상
①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 이상
②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
③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인것은 지하전층
④ 지하가 중 터널의 길이가
500m이상
⑤ 지하구로서 국토의계획 및 이용에관한법률 제
2조 제9호의 규정에 따른 공동구
용어의 정의
1. “누설동축케이블”이라 함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을 말한다
.
2. “분배기”라 함은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
(Matching)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
3. “분파기”라 함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
**입력 단자쌍 1개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쌍이 여러 개 있고,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각
출력 단자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장치
.**
4.“혼합기”라 함은 두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
5.“증폭기”라 함은 신호 전송시 신호가 약해져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폭하는 장치를 말한다
.
무반사 종단 저항
입사파가 동축케이블의 끝에 다다르면 임피던스가 무한대로되어 그 점에서 반사파가
발생되어 진행되는 입사파와 반사파가 합성되어 교신을 방해
.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 값과 같은 저항값을 가지는 소자를 전송선로의 마지막 끝단에
연결시켜 놓아 반사파를 최소화
.
무선통신보조설비는
50옴의 특성임피던스를 가지는 케이블의 끝에 50옴의 저항값을
가지는 종단저항을 연결하여 입사파를 흡수하여
, 반사파를 없앤다.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슬롯
(홈)을 만들어 미약한 전파를
발생시키게 한 케이블
. 열차 전화, 터널 내의 자동차 전화 서포트 등 서비스 영역이
선형으로 되어 있는 이동 통신의 안테나로 이용된다
.
누전경보기
P형 결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