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族 倫理
한국사회와 가정의 현주소
한국사회 병리 현상
한국인의 생활 태도
한국 청소년의 비행
- 이성교제, 음주, 흡연, 공동체의식, 사회인식, 성개방,
범죄양상
한국 가족 위기
- 이혼, 폭력, 일탈행동, 가족간의 갈등, 가족주기상 세대간 갈등
도덕문제의 근원
- 가정에서의 출발
한국사회의 병리현상
- 가족윤리 쇠퇴, 망각 기인
修身齊家 治國 平天下
家化萬事成
結婚
(marriage)
• 인간 생애에 있어서 결정적 전환점
• 일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정사항
• 인생의 성공여부가 결정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 인륜의 도덕의 시원, 만복의 근원 : 우리 일생에
있어서 그만큼 중요
• 결혼에는 性, 사랑, 어버이됨 : 거의 모든 인간에게
본질적인 관심사
종교적 의미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의 선물
하나님께서 짝지어 주신 남녀의 만남
창세기
2장 24절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 지로다
.
(1)남자가 부모를 떠나는 것-부모로부터 자립하는 것 : 법적,
경제적
, 사회적, 정신적 자립
(2)그 아내와 연합하는 것 - 사랑으로 결속된 뜻이다,
아교풀로 붙인 것 처럼 영육으로 가까워 지고 깊어야 한다는 것
(3)둘이 한 몸이 되는 것
육체적 결합
, 성관계만을 뜻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접촉할 수
있는 모든 육체적 관계에서 한 몸임을 의미한다
바늘가는데 실 간다
:남편가는 곳이면 가능하면 아내도 같이
가는 동거를 말한다
배우자 선정시 고려해야 할 요인
- 실패할 가능성 있는 결혼생활은 미리 막아야 한다. -
가족형성의 첫 단계
바람직한 結婚관
(point of view)
– 진정한 결혼
– 러시아 속담(戰爭, 바다, 結婚)
– 適當한 짝
– 琴瑟之樂
1.정신적 결합:
明心寶鑑 治家
惼
婚娶而論財
夷虜之道也
2. 一心同體 : 관용과 이해
3. 百年之客
4. 성실한 관심
5. 칭찬
6. 감사 할 줄 아는마음
가족의 개념
모든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보편적 제도
한 사회의 가장 기본적 단위
사회의 지속과 생존에 불가피한 역할 수행
일반적으로 많이 통용되고 있는 가족에 관한 정의
2인 이상이 남녀가 본인 또는 입양 유대로 결합하여 동거하면서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협동하는 비교적 영구적인 혈연
공동체
-사회 생물학적 단위: 생물학적 단위 이자 동시에 사회적 당위
-성과 혈연의 공동체
-거주 공동체: 한 지붕 밑에서 동거를 원칙
-애정의 공동체
-운명 공동체: 다른 사회집단과는 달리 출생과 더불어 소속이 결정되므로 타인과 함부로 대체 할 수 없는 운 명 공동체
-경제적 협동체
가족의 기능
다원적 기능
, 복합적 기능, 본질적 기능, 비본질적 기능, 생산과 소비기능,
자급자족 기능
사회화기능
정서적 기능
, G. C. Homans - 연극무대의 backstage,
주레사 인용구절
- 인생은 거친 항해요 가정은 아늑한 항구
사회보장기능
, 종교적기능, 정치적 기능, 경제적 기능, 도덕적 기능
비본질적 기능
- W.F .Ogburn "가족기능의 상실"
가족윤리
• 가족구성원이 지켜야 할 공동생활의 원리
• 대다수 가족들이 바람직 하다고 여기는
생활원리 방식 양식
• 한 가족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가치관 규범,
도리 등을 포함
가족윤리의 구체적인 내용
• 부부도리
• 부모도리
• 자녀도리
• 형제자매간도리
• 친족숭배도리
부부윤리
• 그 무엇 보다는 우선해서 질서 지어야 한다
• 남녀婚姻에서 비롯
• 남녀 쌍방의 정절의 도리
– 하나님께서 주신 통로로만 육체적 성관계를 가져야 함을 의미
– 상호 신뢰, 상호 완전한 정직
– 자연스러운 사랑을 더하는 윤리적 요소
– 우리의 소명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
– 가정의 통합과 집중을 위해서 필수 불가결 요소
– 욕구를 억제하는 길이라 하기 보다는 오히려 하나됨의 목표를 향하여 지향하도록
하는 일
– 모든 문명 사회의 공유된 가족가치- 一夫一妻制
– 기독교가 인류사회에 크게 공헌한 업적 중 하나
자녀의 도리
孝
, yes man, 감사, 고맙, 죄송합니다
– 잘못이 있어도 부드럽게 말해야 하고
– 자기의 좋은 말을 들어주지 않을 때에도 감정을
거스리지 말고
– 부모가 성을 내어 괴롭게 하더라도 원망하지 말라
효도하는 방법
1. 保身하는 효도 : 나의 신체를 잘 保存, 건강한 신체를 保存
2. 恭敬하는 효도 : 공존히 섬김
3. 順從하는 효도 : 부자유친, 온화한 얼굴 빛
4. 侍奉하는 효도 : 부모를 가까이 모시는 것, 날마다 문안 돌봐드리는 일
5. 養志하는 효도 : 부모님의 원하는 바를 받들어 행하는 효
6. 봉양하는 효도 : 물질적인 효, 부모님의 몸을 잘 보존하도록 하는 것
7. 奉祀하는 효도 : 제사를 받는 효
8. 楊親하는 효도 : 出世하는 것, 학문에 정진하여 높아지기를 바라는 것,
揚名 榮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