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의 특성
4대 특성:규범성, 가치성, 보편성, 특수성
규범성
1. 윤리와 규범성
2. 규범적 진술과 비규범적 진술
3. 절대규범과 상대규범
윤리와 규범성
: 윤리란 규범이다
– 윤리란 인간이 지켜야 할 규범
– 무엇이 바람직한 행동인가를 규정
– 무엇이 선악정사인가를 규정
– 기본적으로 규범성을 띠고 있다
– 윤리는 당위적 규범인 동시에 사회적 규범이다
– 규범
당위적 규범
: 부모에게 효도
근친상간
남의 인격은 존중해야 한다
도둑질
, 살인
약속은 지켜야 한다
.
신의근 지켜야 한다
.
사회적 규범
: 윤리, 법, 관습(앞자크, 수저, 악수)
윤리학
– 규범적 진술을 표현하는 학문
– 규범적 문제에 관심
– 규범적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룸
규범 : 규범적 진술
그렇다면 규범이란
? 규범적 진술이란 ?
• 규범이란 - 일정한 목적이나 이상을 실
현하기 위하여 마땅히 밟아야 할
원리나
법칙
규범적 진술 가치판단을 표현하는 진술
가치판단을 의도하는 진술
① 좋다
, 나쁘다 - 간통은 죄악이다
② 더좋다
, 더 나쁘다 - 화살은 창보다 더 좋은 무기이다
③ 해야만 한다
, 해야만 한다 - 인종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 어린이 프로에서 폭력은 사라져야 한다
비규범적 진술
가치판단을 나타내거나 의도하지 않는다
가치중립적인 진술
사실에 대한 판단
例를 들어서 설명
- 알콜
규범적 진술
-음주는 나쁘다
-적당히 마시는 술은 더 좋다
-술 먹고 운전을 해서는 안 된다
비규범적 진술
-네로는 알코올 중독자.
-로마에서 귀족사회의 알코올 중독은 로마의 멸망을 가져왔다.
-현재 예년보다 알코올 중독자가 늘어났다
-삼각형은 3개의 각을 가진다.
-어린이는 이야기 듣기를 좋아한다.
-꽃은 이름답다
양자간 분간의 어려움 -유사성도 가지고 있다
-송군은 게으르다
-오양은 근면하다
-10대의 알콜중독이 늘고 있다
양자간의 특성
규범적 진술 – 선악정사 당위성 가치성
비규범적 진술 – 가치중립적 존재성 사실성
절대규범
(absolute norm), 상대규범(relative norm)
-발생학적 기준:선천적인 주어진 것이냐, 후천적인 만들어진 것이냐
-발생학적 설명
• 본질적 의미를 충분히 설명한다고 속단키 어렵지만
• 일반적으로 어떤 사물의 발생과정의 설명은 그 사물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많은 학자들은 발생학적 기준에 따라 완전한 도덕 규범과 불완전한 도덕
규범의 거울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발견 하고 있다
• 완전한 도덕 규범의 거울 - 절대적 윤리설에 의해서 뒷 받침
• 불완전한 도덕규범을 정당화 시켜주는 견해 - 상대적 윤리 학자들에 의해서
주장
절대규범
(absolute Ethics)
-고전적 윤리설
-전통적인 우세한 지위
-고대의 사상가들은 윤리라는 것은 선천적
절대적 규범이라고 믿어왔다
-절대윤리의 원리와 법칙을 찾는데 초점
-서양 윤리의 역사는 절대 윤리의 탐구의 역사
근거
: meta physics
religious world viewpoint
supernaturalness
superman
metempirical
surrealism
윤리의 절대성
, 선천성, 당위성, 고정성, 획일성, 보편성, 이상성
유형
: 기본신념에 따라서
目的論的 倫理說
(teleological Ethics)
法則論的 倫理說
(deontological Ethics)
목적론적 윤리설
• 인생 - 목적
• 목적 – 선천적, 절대적
• 윤리학적 물음 - 인생의 궁극목적에 비추어 해답될
수 있다고 본다
어떤행위가 옳으냐 그르냐 하는 문제
바람직한 행위는 무엇이냐
무엇이 선악정사는 무엇이냐
어떻게 행위를 해야 할
,것이냐
• 학자들 간에도 ? -절대적 목적이 무엇이냐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
Platon – 선의 이데나
Aristoteles – 행복
T. H. Green – 자아 실현
법칙주의 윤리설
-법칙 :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범
-인간에게는 누구나 지켜야 할 법칙이 있다
-그 법칙은 : 절대 불변
선천적
: 미리 주어진 것이다
인간편의
인간의지 초월
시공초월
-Butler, Clark, Cudworth, prichard, R. prince, H. Moore, Kant
- 기독교 : 십계명
불교
: 世俗五戒
유교
- 삼강오륜
kant - 無上命法 : 실천 이상의 근본법칙
상대규범
(relative norm)
-도덕의 절대성을 믿는 고전적 윤리설은 오랜 기간동안 전통의 자리를
지켜왔으나 르네상스의 전환을 거쳐
17c 이르러 절대론에 대한 상대론
내지 회의론에 싹트기 시작 하였다
.
-David Hume
A. Comte : 실존주의
Charles Robert Darwin : 진화론
• 생물이 퇴계의 영향과 내부의 발전에 따라
간단에서 복잡으로
하등에서 고등으로
• 마찬가지로 사회도 미분화에서 문화로
동질에서 이질사회로 변화하여 간다는 관념
진전
Herbert Spencer
상대윤리를 이론적으로 체계화
인간도 완성을 향해 진화
- 각자 고유조건하에서
윤리도 인간성의 발달에 수반하여 진화
따라서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이 아니라 각자에 고유하고 상이한
원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
-절대윤리가 존재한다는 것은 일종의 믿음에 불과
일종의 사회현상이지 절대현상이 아니다
-특성
상대성
, 경험성, 특수성, 개별성, 현실성, 사회성, 역사성, 측면을 강조 하는
입장
가치성
윤리와 가치
• 규범성 : 무엇이 바람직한 행동인가를
규정하기 때문에
• 당위성 :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지시 하기
때문에
• 가치성 : 인간행동의 선택이나 판단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가치관의 문제와 직결
예컨대
무엇이 옳은가 그른가
무엇이 선악정사
무엇이 바람직한 행동인가
무엇을 믿느냐
무엇을 지지하느냐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느냐
→같은 상황
- 각기 다른 판단, 해석, 선택
따라서 가치관을 바르게 정립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도 중요하지만
한 사회의 질서를 유지
, 발전해 가는데 절대적 요건이 된다
그 사람의
가치관에 좌우
가치관의 역할
그 사람의 사유와 행동
, 동기, 희망과 포부, 목표설정
경제활동
, 종교, 예술, 학문, 오락 등 각종 활동을 영위해 나가는데 큰 영향을 주며 불가결한
역할
인생관
: 인생 어디에서 만족과 의의를 얻느냐 문제가 결정된다.
우리의 지각과 해석을 크게 좌우한다
각자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작용
윤리학의 임무
인생에 대하여 규범적 의미를 띠고 있는 가치를 볼 수 있도록 눈을 열어 주는데 있고 그리하여
실생활에 영향을 마치게 하는데 있다
. 따라서 윤리학은 그 이념상 가치적이라 할 수 있다.
윤리학
: 가치의 학
가치 비교의 학
인간에게 가장 적절한 가치를 발견하고 정식화 하려는 학문
가치관
•치란 말은 원래 경제학 입장에서 얻어진 것 : 財기치
•많은 분야의 연구대상 - 정치학, 심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교육
학
, 경제학, 철학, 윤리학
철학
: 존재론 : 존재자의 존재를 논하는 학문
인식론
: 앎의 타당성, 한계, 범위를 연구하는 학문
가치론
: 현대에 와서 비록 학문으로서의 가치론이 논의
되었지만 그것의 내용은 고대 에서 연구되었다
이에 관한 연구는 아주 초보적인 유치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
철학에서 가치론을 처음 다룬 사람
: H. Lotze
가치의 본질
• 가치라는 개념은 엄밀한 의미에서 정의 될 수
없는 말이며 가치라는 말이 담고 있는 의미를
오로지 이해 할 수 있을 뿐이다
• 첫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가치를 3가지
관점에서 파악해 보려고 한다
. 즉 가치체험,
가치관념
, 가치의 성질이다
가치
관념
체험
성질
-근본적으로 3가지 면을 동시에 보여준다
-첫째 무엇보다는 가치는 체험되는 것이다.이는 확실히 존재하는
것이다
예컨데
, 인간존엄성, 아름다움, 윤리적 가치, 미적 가치를 체험
-둘째 : 가치는 질도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 전시회에서 그림을 감상하는 경우 이 그림들 보고 참으로
아름답구나 감탄하는 경우 이는 가치의 질을 말해주는 것이다
.
-셋째: 가치관념도 존재한다
예컨데
, 진,선,미,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가치관념이다
우리는 대체로 이 가치관념을 가치라고 부르는 것이다
.
둘째
, 가치는 인간이 무엇인가에 대해 가지는 관심과 결부되어 있다
• 무엇이건 인간의 관심거리가 되는 것이 가치
•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것
인간의 욕구에 만족을 주는 대상
• 예컨대
목마른
----- 물이 관심대상이니 물이야 말로 가치 있는 존재인 것이다.
배고픈 사람
----- 빵
병든 사람
----- 약품, 의료
• 가치는 가치를 느끼는 주체와 그 욕구에 만족을 주는 대상과의 상관관계,
특유한 관계
셋째
, 가치실재론 ---- G.R. Moore
• 인간의 관심과 관계없이 가치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 예컨대
보석이 진흙 속에서 묻혀서 사람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 해도
그 보석은 보석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
• 가치관 객관적 실제이지 관심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 사유에 의해서 이끌어 낸 것도 아니고 경험에 의해서 인정된
것도 아니다
• 가치는 관심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넷째
, 가치는 주관과의 타당관계를 갖는다 ---- H. Lotze
반드시 주관의 평가의식을 갖는다
가치 판단
: 주관과 관계 있는 판단
주관과의 타당관계를 갖는다
주관과 평가적 관계를 갖는다
예컨대
: 꽃이 아름답다. 은주는 나쁘다. 적당히 마시는 술은 유익하다, 어린이 프로에서 폭력은
사라져야 한다
, 인종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
어느 특정인에게 관계되는 경우
- 안경, 보석
모든 사람에게 관계되는 경우 절대적 가치
: 진, 선, 미, 성,
보편 타당한 가치
객관적 타당성을 지닌 가치
도덕적 가치
모든 가치를 포괄하는 것이요
. 그 이상 더 높은
가치를 허용하지 않는 최고의 가치
假言的 가치
---- 일정한 전제 아래에서만 타당한 것들
定言的 가치
• 무조건적으로 즉 모든 가능한 조건과 형편에서 타당한 것
• 무엇 때문에 내가 그렇게 해야 하느냐로 이유를 따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으로 지키고 행해야 하는 지상명령을 의미한다
.
• Kant는 모든 도덕법칙은 정언명법이라고 주장한다
• 예컨대 : 부모공경
동서양을 막론하고 부모의 학식 경제력에 관계 없이 부모를 공경하는 것을
매우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부모공경을 윤리적인 善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
다섯째
, 가치는 주관적 용어와 관련된다
선
, 악, 옳음 과 그름 등
사실은 참과 거짓 등 객관적 용어와 관련이 있다
Scheler
① 가치 보유자와의 관계에서 감정의 분류에 따라서
감정적 가치
, 생명적 가치, 정신적 가치로 나누고
② 높은 가치와 낮은 가치의 표준에 대해서
5가지
견해를 밝히고 있다
Hartmann
① 가치의 서열의 만들어 가치표를 만들었다
② 일반적 가치를 재가치
, 쾌락가치, 생명가치, 미가치, 도덕 가치
③ 윤리적 가치의 분석에 그 만년의 노력을 기울었다
④ 도덕적 가치의 근거
– 근본가치 : 선, 고결, 풍만, 순결
– 종속가치(특수가치) :
– 제1군 : 정의, 지혜, 용기, 절제, 중용
– 제2군 : 근인애, 성실, 정직, 신뢰, 신앙, 겸손
– 제3군 : 원인애, 인격성, 인격애
바람직한 가치관
이것에 대한 대답을 명확히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인생은 무수한 선택의 광장
인생의
3대 선택 : 직업, 배우자, 가치관
자신의 가치관에 대하여 구체적
, 주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계기
어떤 것에 큰 가치
(비중)을 두고 있는지 분명한 의식 없이 살아가고 있지 않는지,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
값어치 있는 가치관
: 도덕적 가치관, 도덕적 가치가 전제된 가치관
①인간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에 대한 준거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②바른 판단과 바른 행위를 낳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가 고려되지 않는 편향된 가치관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 모든 가치는 도덕적 가치가
전제 되어야 참가지가 있는 것이다
생리적 가치
, 정치적 가치, 예술적 가치, 법률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도덕적 가치가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된다
.
예컨대
,
경제적 가치
: 이것이 아무리 중요하지만 비도덕적 방법(거짓말, 탈세, 편법,
사기
, 투기)으로 추구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부의축적 이나 활용도 도덕적이어야 그 부는 진정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
법률적 가치
: 도덕적 가치가 전제되어야 한다. 도덕적 가치를 초월하는 法은
정당화 될 수 없다
. 법률적 해석에는 도덕적 해석이 전제 되어야
한다
.
바람직한 가치관의 속성
① 인간
, 생명 중심적 가치관 : 인간의 최고의 가치, 정치, 금전, 종교의
희생양
② 정신지향적 가치관
: 인간본질, 인류적 차원, 물질보다는 이성과 도리
③ 과정지향적 가치관
: 한 알의 곡식을 위해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며
온갖 정성을 바치는 농부의 삶
④ 목적 지향적 가치관
: 가치를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의
하나는 어떤 가치가 안에 있는가 밖에 있는가 하는 것이다
. 안에 있는
가치를 내재적 가치 혹은 목적적 가치라고 부르는 밖에 있는 가치를
외재적 가치 혹은 수단적 가치라고 부른다
.
⑤ 이상 지향적 가치관
: 현실 극복, 허영, 허세, 유혹
보편성과 특수성
1. 보편성 : universality, generality - catholicity
•
절대 윤리설에 입각
•
인간이 모여 살고 공동생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보편적인 도덕 규범
-인간 사회에 있어야 하는
최고선 내지
, 당위적인 최고가치의 규범에 일차적 관심 : 자유, 정의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특수한 신분, 계층, 사람, 국적, 인종, 성별, 경제적부 초월
2. 특수성
•
상대윤리학자
, 국민윤리학자
•
보편적 의미윤리
- 이 세상 어디에도 실재하지 않는 추상적 개념으로 설명될 뿐이다.
•
윤리는 항상 특수한 시 공간의 역사와 문화의 배경 사회적 특수성
, 특수한 언어, 관습, 사고,
행동양식
3. 바람직한 이해
• 윤리
• 조화롭게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
• 그 어느 한편으로는 윤리가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실성이 간과된 윤리는 환상의 세계에 불과
, 이상성이 무시되면
그것은 맹목적인 것이 된다
.
보편성 요소 특수성 요소
절대성 요소 상대성 요소
이상성 요소 현실성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