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평균율 분석을 통한
18세기 대위법 연구
2019.11.4
비교과
: <국고지원 Q-Class>
지도교수
: 음악교육과 김지민
수업운영목표
•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도 음악교사로서의 기초인성을 함양을 도모하고, 학습자의
기초학습 역량과 전공역량을 강화를 통해 정규교육과정에서의 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 및
학업성취도 향상
• 음악교육과 재학생 만족도 향상
• 현장에 필요한 다양성과 역량 함양 활동
• 교과 활동을 통한 지식, 기능, 태도의 공기적인 연계로 발현되는 능력 함양
• 학습결과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
기초역량강화 프로그램
음악교육학 학문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효과적인 습득을 위해 필요로 하는 학습활동 방법
,
시험응시 전략 등과 같은 기초학습능력 향상
핵심역량
1. 자기관리 역량
2. 지식정보처리 역량
3. 창의적 사고 역량
4. 심미적 감성 역량
5. 의사소통 역량
6. 공동체 역량
서양음악의 위대한 발원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바흐는 당시 그가 맡고 있던 직책에 따라 다른 유형의 음악을 작곡했다.
1.초기(오르간 연주자로 일함) : 주로 오르간 음악 / 2.중기(쾨텐에서 오케스트라 감독으로 일함) : 건반음악과 기악음악
3.말기(라이프치히의 교회학교에서 일함) : 주로 종교 합창음악과 약간의 마지막 기악작품들
•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Das wohltemperierte Clavier )
총
2집이며, 24곡씩 전체 48곡이다. 1집은 1722년경 쾨텐에서 완성했고, 2집은 여러 시기에 걸쳐 작곡한 곡들로 1740년경 라이프히치에서 편집되었다. 바흐는 이 작품을 다시 새로운
조율체계로 대두된 평균율의 효용을 증명하기 위해 작곡했다
. 1집은 2성 인벤션이나 3성 신포니아와 마찬가지로 교육적 목적으로 만든 것이기도 하여 곡마다 하나씩 특수한 연주기법을
요구하고 있으며
, 그러면서도 곡 전체가 양식적으로도 통일성을 이룬다. 그러나 이 작품은 시험적·교육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기법의 차원을 넘어서서 예술적으로 승화되었고, 이로써
오늘날 피아니스트의 성서로 통하고 있다
.
바흐의 명성과 영향
•
바흐가 죽고
50여 년 동안 그의 음악은 빛을 보지 못했다. 1800년 이후 바흐 음악은 재생의 전기를 맞았다. 독일의 저술가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은 〈바흐의 생애·예술·작품에 대하여
Ü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1802)를 출판했으며, 1801년부터 바흐의 작품을 모아 출판하기 시작했던 출판업자 호프마이스터와 퀴넬의
조언자로 활동했다
. 1900년경에는 바흐의 알려진 전작품이 출판되었고, 신바흐 협회(Neue Bach-Gesellschaft)가 바흐 협회를 계승했다. 신바흐 협회는 지금도 음악제를 기획하고
바흐의 널리 알려진 작품들을 출판하는 등의 사업을 하고 있으며
, 학술지 〈바흐 연보 Bach Jahrbuch〉(1904~)를 발간하고 있다. 1950년경에는 '바흐 협회판'의 결함이 분명하게
드러남에 따라 괴팅겐과 라이프치히에 본부를 둔 바흐 연구소가 설립되어 전
84권으로 예정된 새로운 표준판(NBA) 제작을 시도하고 있다.
•
바흐에 관한 전기나 비평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독일의 음악학자 필리프 슈피타의 기념비적 연구서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전 2권, 라이프치히, 1873~80)를 꼽을 수 있는데
이 책은 바흐의 생애와 작품뿐만 아니라 역사적 배경까지도 잘 다루고 있다
. 비록 세부적인 면에서 오류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이 책은 바흐 연구에 있어 필독서이다.
바흐 평균율 푸가
푸가
(fuga) :
작곡 방식이다
. 기원은 13세기 모방 대위법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과 같은 의미의 푸가가
시작된 것은
16세기부터이며,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작품에서 형식과 표현이
정점을 찍었다
.
임용시험의 푸가
:
제시부 분석에서 다수의 문제 출제
18C푸가의 구성 :
-제시부 – (Episode) - 대제시부 - (Episode) - 스트레토부(종결부) – (Coda)
-제Ⅰ부(제시부)-삽입부Ⅰ-제Ⅱ부-삽입부Ⅱ-제Ⅲ부-삽입부Ⅲ…스트레토-카덴짜
제시부
(EXPOSITION) 구성요소
• 주제 (Subject)
• 응답 (Answer)
• 대주제 (Counter subject) 또는 자유성부 (Free voice)
• 연결악구 (Link passage)
• 코다 (coda)
주제와 응답
• 주제 (subject)
4마디 또는 8마디 길이로, 다시 말해 뚜렷한 성격과 조성을 지닌 테마가 한 성부에서 제시되는 것.
주제가 마무리되는 곳에서 다른 성부가 주제를
5도 윗 조로 옮겨 되풀이한다. 이 옮겨진 주제가 곧 응답(answer)이 된다.
*만일 주제가 위 성부에서 제시되면 응답은 그보다 낮은 아래 성부에서 나타나되, 이때 5도 위를 전위한 4도 아래로 응답하게 된다.
넓게 말해서 응답은 주제를 속음조
(딸림조)로 옮긴 것이라 할 수 있으나, 주제가 응답에 놓일 때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불가피한 변경을 가하게 된다.
• 응답(answer)
처음성부가 제시한 주제를 다음 성부에서
'딸림조'로 모방하는 것
(1) 진정응답(real answer)
주제를 원형 그대로 옮겨 만든 응답을 진정응답
(Real Answer)이라 하며, 진정응답을 사용한 푸가를 진정푸가(Real Fugue) 라고 한다
(2)정조응답(tonal answer)
응답을 어떤 조성 테두리 안에 묶어 두기 위해 응답에서 주제의 원형을 약간 변경시켰을 때를 정조응답
(Tonal Answer)이라하고, 이런 푸가는 결국 정조푸가
(Tonal Fugue)가 된다.
REAL ANSWER
TONAL ANSWER
대주제
(COUNTER-SUBJECT)
성부가 응답되는 동안 주제성부는 응답에 대두하여 대위법적 처리를 하게 된다
. 이 대위법은 주제와도 함께 계속해서 쓸 수 있도록 고안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 전자의 경우라면 2중 대위법이 되어 주제와 함께 어울려 쓸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라면 응답과 어울릴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 썼을 때 이를 대주제
(Counter-subject)라 한다.
정상적 대주제를 가진 푸가는 정상적 대주제를 갖지 않는 푸가보다 실제 구성과 흥미도 있어 대체로 더 훌륭하다 하겠다
.
<정리>
1. 대주제는 첫번째 주제 다음에 응답선율에 대응해서 나오는 주제
2. 주제는 처음에는 혼자 제시되지만 두번째 부터는 계속 대주제와 함께 등장
3. 응답선율과 대응되는 선율에 항상 대주제가 쓰이지는 않음
4. 단준한 리듬형태로 반주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를 자유성부
(free voice) 또는 반주성부(accompanying voice)라고함. 자유성부는 화성을 메꾸고 풀성하게
해줌
. 자유성부는 푸가의 어떤 요소들로부터도 추출되지 않음
연결악구
(LINK PASSAGE)
응답이 끝나는 곳에서 이미 나타난 두 성부는 흔히 코데타
(Codetta)를 형성하여 셋째 성부의 등장을 한 두 소절 늦춘다.
셋째 성부가 진입할때는 첫째 성부가 제시했던 주제를 음 높이가 다른
, 즉 옥타브에서 노래한다.
같은 방법으로 넷째 성부는 앞서 둘째 성부에서 노래했던 응답을 다른 옥타브에서 반복한다
.
<정리>
1. 연결악구
(링크)는 동형진행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2. 연결악구
(링크)의 주요 소재는 대주제의 부분적인 리듬형태이다.
3. 연결악구
(링크)가 사용되는 목적은 주제와 응답 또는 응답과 주제간에 음악적으로 어색하지 않고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4. 에피소드와 달리
2-3마디 이내로 등장한다.
5. 주제와 주제 사이에 등장하는 다리
(브릿지) 역할을 하는 1마디 이내의 짧은 링크가 나타나기도 한다.
제시부
대주제
주제
,응답,링크
코다
(CODA)
•
주제의 선율이 등장한 후 몇 개의 음으로 연장
시킴으로써 응답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주제의 연장을 유도하는 몇 개
의 음들을’
coda’라고 한다.
•
푸가에서 말하는 제
I부란 각 성부가 주제나 응
답을 한 차례씩 거치고 끝나는 곳까지를 말한다
.
그러나 처음 성부가 또 한 차례 주제를 뚜렷하게 내
보내는 일도 왕왕 있다
. 이같은 편성이 위치 관계를
바꾸어 사용한 기회가 마련된다
. 그러면 각 성부는
주제 및 대주제 둘을 동시에 취급하게 된다
. 푸가
중 이곳까지를 제시부
(Exposition)라 한다.
3성부 푸가 제시부
4성부 푸가 제시부
임용기출문제풀이
1
기출답안
임용기출문제풀이
2
• 주제선율과 응답 선율간의 불협화 음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주제선율을 하나도 빠짐없이
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