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歷史)란 무엇인가?
• ‘歷史
’ - 학술적 정의를 내리기 쉽지 않음
→ “역사가 좋다(학생들의 고백)”
→ “역사적 사건이다” : 신문칼럼
→ “역사가 내 업적을 평가할 것이다”
(정치가들의 자기 합리화의 선언)
→ “우리는 역사적 사명을 띄고 이 땅에 태어났다.”
(국민교육헌장)
2. 역사의 어의(語義) : 두 가지 단어가 있음
1) Historie(History) - 사실로서의 역사, 과학적 역사
① 객관적 의미의 역사
. 실제 일어난 사건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서술/설명
. 과거의 사실에 대한 기록
. 과거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제공해 주는 정보
. 한 마디로 ‘역사적 사건 그 자체’를 말함
☞ 헬라어 : i`storia 라틴어 : historia
② 헤겔은 객관적 역사를 ‘사건’(res gestae)으로 칭함
2) Geschichte - 해석된 역사
ⓛ 과거의 사건에 대한 현재적 해석을 의미
. 때로는 사실성/객관성의 요소를 초월/무시하기도 함
. 무슨 일이 발생했는가를 기록하지 않고 발생한 사건
에 관한 의미 서술에 초점을 맞춤
② 독일어의 ‘일어나다’(geschehen)의 명사형
③ 헤겔은 해석된 역사를 ‘사건의 진술’(rerum
gestarum)로 칭함
3. 헤로도투스의 역사
1) 헤로도투스(Herodotus) : 기원전 485~425년
① 그리스의 역사가, 저술가
②
‘역사’(Historiai)를 저술 : 9권으로 이루어진 최초의
체계적인 역사 서술이자 세계사
. 기원전 425년 아테네에서 처음 출간
. 그 이전의 역사책은 신화의 역사, 기적의 역사, 즉
신의 역사(神話)를 다룸
. 헤로도투스에 의하여 역사는 지상적, 인간의 역사로
관심이 전환 → 탈신화화의 효시
. 인간 역사를 신화, 미신으로서가 아니라, 역사적 탐구
방법으로 이해시켜줌
. 헤로도투스는 자신의 역사책을 ‘헤로도투스의 탐구’
로 칭함
③ 키케로는 헤로도투스를 ‘역사의 아버지’로 부름
헤로도투스의 흉상
4. 동양에서의 역사
1) 동양적 의미의 역사
① 중국에서는 명나라 말에 이르러서야 ‘
역사’(歷史)란
용어를 사용
② 그 이전에는 史만 사용
史
= 中(正) + 手
歷史
= 正手(바른 손)을 의미 → ‘바르게 쓴다’
2) 동양의 역사기록
ⓛ 대부분 편년체(編年體) 역사
. 연대에 따라 엮는 역사편찬의 한 체제
. 일기식의 기록
② 그러나 사마천의 ‘사기(史記)’는 기전체(紀傳體) 역사서술
. 사기는 4편으로 구성 : 본기, 표, 지, 열전
1)본기(本記) : 왕의 일대기, 연보
2)표(表) : 연표, 세계표, 인명표로 분류
3)지(志) : 관직, 재정, 지리, 천문, 역법 등 특수한 분야
의 변천과정
4)열전(列傳) : 개인이나 민족의 절기
③ 사마천의 역사관
. 역사는 인간이 만들어 간다
. 인간의 삶을 생생히 기록해야 한다
. 사마천은 역사를 기록한 후 자신의 주관적 판단인
사견을 제시
<매우 개화된 역사서술 방식>
3) 조선왕조실록
<實錄: 사실 그대로를 적은 기록>
① 조선 태조에서 철종까지 25왕들의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각 왕 별로 기록한 편년체 사서(史書)
-특정시기에 특정 사람들이 기획하여 편찬한 역사서가
아니라, 역대조정에서 국왕이 교체될 때마다 편찬한
내용이 축적된 것
-비교)고려사: 고려 34왕/ 475년의 역사를 기록
: 조선 5대 문종 1년(1451년)에 정인지와
김종서 등이 편찬
-연월일 순서에 따른 연대기적 기록
(17만 2,000여 일의 사건 기록)
② 조선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국방, 인사, 천문, 천재
지변,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여
수록
-예) 지진: 1600여건 기록/ 4쌍둥이에게 포상/ 발 5개 달린 송아지 탄생/
태종 1년에 일본 국왕이 선물로 보낸 코끼리를 관료 이우가 놀리다가
밟혀 죽자 코끼리를 전라도로 귀양을 보냄
③ 처음에는 필사본, 세종 이후 목활자본, 현종실록부터
금속활자본
④ 분량이 방대 : 대부분은 1년치 사건을 한 권으로,
그러나 6개월 혹은 2개월이나 1개월 단위로 권 차를 편성하기도 함
-규장각 소장: 정족산본 실록 1,707권, 1,187책
⑤ 종이가 우수 :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
유산에 등록(국보 151호)
⑥ 완전 무결한 기록이 아님
. 당파적 편견이 들어 있음(태종: 실록에 많은 관심)
-편찬의 주체자에 따라 이의제기 혹은 수정되기도 함
. 너무 방대한 자료를 수집 및 기록하다 보니
요약할 수
밖에 없었음
. 보충자료: 승정원 일기(상소 전문 보관),
일성록(왕이 몇 시에 무슨 책을 어디서 읽었다)
⑦ 실록의 편찬 과정 : 3단계(초초본 → 중초본→ 정초본)
<실록: 조선은 기록정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
: 정치의 공개성, 투명성, 책임성, 도덕성 강조한 것
세종실록
5. 정리
1) 프랑스의 역사가 앙리 마루(H. I. Marrou)
p(과거 past)
h(역사) = ㅡ
p’(현재 present)
. 역사는 현재 분의 과거이다
.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대화이다
. 역사란 현재에서 과거를 바라보는 것이다
2) 역사서술
. 역사의 사료: 1)불완전 2)단편적 3)과거의 기록
. 현재에 살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대에/
서로 다른 역사관을 갖고 기록
. 객관적 역사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
. 현재의 역사의식과 역사 그 자체 사이에는 거리가
있음
3) 역사가
. 역사적 사실을 창조(create)하는 자가 아님
. 있었던(일어난) 사건 그대로를 나열하는 자가 아님
. 발생된 사건을 현재에서 <해석(解釋)>하는 자임
. 역사가는 자신들의 현재적 관점, 이해, 편견, 역사의식,
신념 등의 주관적 요소 때문에 ‘있는 그대로’를 재생
할 수 없음
. 역사적 사건 그 자체(일어난 역사)와
재생된 역사(서술된 역사) 사이에는 거리가 있음
☆ E. H. Carr(카)
“역사는 객관적 사실로 존재하지만, 그에 대한 해석은
보는 이가 처한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성경에서의 예 : 광야(시대)
. 반역과 불신앙의 장소 - 시 78편; 106편; 겔 20장
. 하나님의 구원활동의 장소 - 신 26장; 시 136편;
렘 2장; 호 2장; 1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