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상 족보 연구
4162018 - 김지용
WHY??
족 보
역사
, 배경 ,신학적의도, 신앙태도
책의 형태
하나님의 뜻
설 교
역대상의 족 보
족 보
풀이
풀이
역대상의 첫 단어는 ‘아담’입니다
. 아담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최초의 인간입니다
. 창세기에는 각각
인물의 나이와 기타 다른 중요 내용들을 첨가하고
있는 반면
, 역대상은 홍수 이전까지의 세계 역사는
세부적인 내용들이 생략된 채 간결한 족보로 처리된
것입니다
.
역대상 족보의 중요한 목적은 최초 인간인
아담으로부터 하나의 직선적인 계보를 만들어 내는
것에 있습니다
.
풀이
노아부터 다른 형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족보는
더 이상 한 직계 자손만을 좇지 않고 노아의 세
아들을 동시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
“셈
, 함과 야벳”
풀이
5절 부터 23절은 야벳-함-셈의 순서로 그들의 70
명의 자손들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 야벳의
자손은
14명, 함의 자손은 30명 그리고 셈의 자손은
26명이 언급되었는데, 모두 더 하면 총 70명입니
다
. 여기서 70이라는 숫자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세계와 나라와 당의 백성을 총칭하고 있습니다
풀이
죄악으로 물든 세상을 대 홍수 사건으로 깨끗하게
하신 후 하나님은 노아의 후손들을 통해 새로운
구원의 역사를 펼쳐 가셨다는 것입니다
“70명”
풀이
죄로 물들었던 온 인류는 홍수와 함께 다 사라지고
,
노아의 세 아들에게서 새로운 세계에서 살아갈 수
많은 민족이 탄생하였습니다
.
하나님은 홍수 이후에 인류에게 새로운 생육과
번성의 복을 허락하셨음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
“홍수
- 죄 – 축복”
신학적 논제
신학적논제
1 . CHR 신학적의도
2 .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1 신학적의도
(위 본문을 예시로)
노아의 세 아들의 목록에 있어서 개인의 이름이
아니라
, 배후에 감추어진 신학적 의도입니다.
방대한 목록을 통해 수 많은 민족의 존재가 하나님의
복주심의 구체적인 증거라는 사실을 전하고자합니
다
. - 20p
1 신학적의도
(에돔의 족보에서)
족보에서 눈에 띄는 구절이 있습니다
.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 전에 에돔 땅을 다스린
왕은 이러하니라” 이 문장은 역대기 저자의 특별한
신학적 메시지를 함축하고 있는데
, 강력한 다윗의
왕조의 탄생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 왜냐하면 에돔
땅은 다윗에 의해 정복되었기 때문입니다
. - 29p
1 신학적의도
(유다지파에 대해)
유다 지파와 다른 지파들에게 할애된 분량을 서로
비교해보면 전체 지파를 다룬 분량은 총
342절인데,
그중에서 유다 지파와 관련된 것이
103절이나
됩니다
. 레위 지파에게도 많은 분량(106절) 을
할애하였는데 이것은 포로 후기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레위 지파가 차지했던 중요성과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입니다
.
1 신학적의도
(헤스론의 족보에서)
이미 헤스론의 세명의 아들을 소개 했고 헤스론은의
아들들 중 갈렙의 족보를 언급했기 때문에 갈렙의
아버지의 다른 아들들 언급한다는 것은 균형 잡히지
못한 족보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 헤스론의
새로운 족보는 좀 이질적이고 독립적이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
1 신학적의도
(헤스론의 족보에서)
족보의 내용도 순수하게 족보의 성격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 오히려 역사적인 어떤 상황을
설명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아마도 역대기 저자가 헤스론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은 것으로 보입니다
.
신학적논제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2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 갈렙? 갈렙!
역대기
2:9에서는 헤스론의 아들 글루배를 이미
소개했는데
2:18에서 글루배를 헤스론의 아들
갈렙이라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
문제는 이 갈렙이 출애굽기 사건의 영웅 중 한 명인
바로 그 갈렙인지 대해서 명확히 말하기 곤란한 면이
있다는 것입니다
.
갈렙에 대해
그런데 민수기의 본문들은 갈렙을 소개할 때에
헤스론의 아들 갈렙이라고 말하지 않고 ‘ 여분네의
아들 갈렙’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민
13:6,14:6,32:12) 여분네의 아들 갈렙도 유다
지파에 속하기는 하지만
, 그가 ‘헤스론의 아들’
갈렙과 분명히 동일인물이라 말하기에는
불확실합니다
.
갈렙에 대해
역대기의 다른 본문 조차도 ‘여분네의 아들 갈렙’을
언급하고 있는데
(대상4:15) 그의 아들들의 이름은
‘헤스론의 아들 갈렙’의 아들들과 전혀 다른
이름입니다
.
헤스론의 아들 갈렙의 아들들
: 예셀- 소밥 – 아르돈-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의 아들들
: 이루-엘라 –나암-그나스
2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 다윗
다윗은 ‘예루살렘’에서
33년을 통치하는 동안 많은
수의 아들을 낳았습니다
(5-9절) 본문은 평행구절인
삼하
5:14-16과는 몇 가지 면에서 다른 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
2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 다윗
첫 째로
, 사무엘하 본문에서는 이름을 알려져 있는
다윗의 아들이 열한 명이었는데
, 역대기 본문에서는
열세 명입니다
. 역대기 족보에는 ‘엘리벨렛’과 ‘노가’
가 추가되었는데 이들은 아마도 일찍 죽고 인생을
마감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2 본문대조를 통한 비평 – 다윗
둘째로
, 5절의 ‘시므아’가 사무엘하 5:14에서는 ‘
삼무아’로 등장합니다
셋째로
, 시므아와 소밥과 나단과 솔로몬의 모친의
이름을 ‘밧수아’로 소개되었는데 사무엘하
11:3에
따르면 그녀의 이름은 ‘밧세바’입니다
역대기 저자는 다윗의 간음죄 사건을 희석 시키기
위해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연음화 시켜 밧수아로
읽은 것으로 보입니다
.
역대상연구
역대상 족보 연구
“족보는 압축된 하나님의 구속 역사입니다”
역대상
1-9장의 족보는 장구한 이스라엘 역사를
요약하고 있는데 족보의 구조가 목표로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 그것은 하나님이 선택하신 다윗과 그의
후손들의 소개가 전체 족보의 절정이며 중심이라는
사실입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족보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태고에 소급시키고 전체
이스라엘 사회를 열두 지파의 체제하에서 정돈하고
역사상 가장 빛났던 다윗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
이것은 이스라엘 주변의 수많은 민족과 관계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려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아담은 하나님의 구속사의 첫조상입니다”
이스라엘의 기원은 인류 최초 인간 ‘아담’에게
소급되고 있습니다
. 이스라엘의 건국 주체는
하나님입니다
. 역대기에서 만나는 첫 단어는 ‘아담’
이라는 사실이 중요한 것입니다
.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창조사건에 소급되는 국가이며
, 세상과
인류를 구원하는 역사 속 주인공인 셈입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27절의 “아브람 곧 아브라함은 조상들이요”라는
문장은 아브람의 이름이 개명된 언약사건을
전제하고 있으며
, 아브라함은 단순히 어떤 씨족의
조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의 민족인 이스라엘의
직계 조상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아브라함은 이스라엘 백성의 직계 조상입니다”
아브라함이 사라가 죽은 후 두 번째 부인 그두라를
맞이했지만 역대기 족보에서는 그두라를 아브라함의
부인들로 보지 않았습니다
. 그두라를 ‘소실’이라고
칭한 것은 오직 사라만이 아브라함의 부인이며
,
하나님의 약속의 자손을 낳은 부인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역대상 족보 연구
아브라함이 사라가 죽은 후 두 번째 부인 그두라를
맞이했지만 역대기 족보에서는 그두라를 아브라함의
부인들로 보지 않았습니다
. 그두라를 ‘소실’이라고
칭한 것은 오직 사라만이 아브라함의 부인이며
,
하나님의 약속의 자손을 낳은 부인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역대상 족보 연구
“야곱의 열두 아들이 이스라엘을 이루었습니다”
야곱의 열두 아들이 이스라엘을 이루었다는 것이
1
장의 소개된 족보의 종결임과 동시에 역대상
2-9
장에서 상세히 언급되는 지파 계보의 서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독특한 것은 본문의 열두 아들 순서는 역대기 이전의
다른 전승이나 역대기 이후의 다른 본문의 순서와도
일치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 역대기 저자는
자세한 역사적 사건들을 소개하지 않은 채 필요한
족보의 적절한 배치와 순서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누구를 통해 진행되었는가를 알려주었습니다
역대상 족보 연구
“명예의 면류관은 유다 자손에게 돌아갔습니다”
유다는 이스라엘의 네 번째 아들임에도 불구하고
열두 아들 중에서 가장 소개 되고 있습니다
. 그것은
유다 지파가 포로 후기 사회에서 차지했던 중심적
역할 때문이기도 하지만
, 더 근본적으로는 이스라엘
역사상 최고의 왕이었던 다윗이 유다 지파
출신이었기 때문입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유다 지파가 가장 먼저 족보에 등장합니다”
역대기 저자는 유다 자손의 족보를 제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 역대기 저자는 유다 지파의 우월 성을
의도적으로 두드러지게 만들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역대기 전체 족보는 유다 지파에게 특별한 대우를
하고 있으며
, 더 나아가서 유다 지파 중에서는
다윗의 집안 소개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그러므로
역대기의 중심 신학은 다윗이며
, 다윗을 배출한 유다
지파에게 명예의 면류관이 돌아간것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하나님은 다윗의 조상을 선택하셨습니다”
역대기 족보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원인이 이 다윗의
가계를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입니다
. 족보는
베레스의 아들 헤스론부터 다윗에 이르는 조상들과
다윗의 형제와 남매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역대상 족보 연구
“하나님은 불완전한 인간을 통해서도 역사하십니다”
하나님의 역사에서 미미한 활동
, 인물들도
등장합니다
. 어떤 때는 우리의 이성과 신앙의
수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음을
알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