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제 4장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성장과 확대-서정윤.hwp

닫기

현대삼위일체론연구

4102047 서정윤

제 4장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성장과 확대

삼신론이란 비판과 거기에 대한 응답

-성부, 성자, 성령의 통교적 연합에 근거하여 신의 일치를 말하는 몰트만의 주장이 삼신론적 요소를 포함한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몰트만의 삼위 일체성이 삼신론이라고 비판하는 학자

1. 조지 훈징거-미국의 바르트 신학자

-몰트만이 말하는 삼위일체성은 존재론적 연합이 아니라 삼위의 의지의 발로에 의한 행위에 불과하기 때문에

결국 삼신론에 빠질 수밖에 없다.

2.존 오도넬-가톨릭 신학자

-몰트만이 이해하는 하나님의 일치는 실체적인 연합이 아닌 윤리적 연합 곧 세 신적 인격의 의지에 의해

부차적으로 수행되는 교제의 연합이기 때문에 삼신론의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3. 월터 카스퍼

4. 판넨베르크

-몰트만의 견해가 삼신론적이라고 하지는 않으나 세 신적 인격사이의 페리코레시스적인 연합만으로는 그들의 하나임을 확보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몰트만의 응답

-이런 비판은 모두 정확하지 않은 비판이다.

첫째, 교회 역사 속에 삼신론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설혹 있다하더라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회 지속적인 위협이 된 것은 양태론이나 종속론처럼 단일신론적으로 이해되어온 신의 이해였으며

삼신론이라는 비난은 그 비판자가 가진 양태론적 약점을 감추기 위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삼신론이란 철저히 개인주의적이며 고립된 인격의 개념을 세 신적 인격에게 적용할 때만 가능하다.

세 신적 존재가 먼저 있었고 어느 시점에서 이들이 관계를 맺었다면 삼신론이지만 그가 말하는 삼위

의 하나님은 영원부터 영원까지 그 존재의 맨 처음부터 상호관계성 속에 있었기 때문에 삼신론일 수 없다.

몰트만의 주장에 대한 우리의 평가

몰트만은 삼위의 신적 인격성은 개체되고 고립된 인격이 아니라 처음부터(영원전부터) 관계성 안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즉, 그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삼신론이라는 비판은 적절치 않다.

필자(박만)의 평가

첫째, 하나님 안에서 서로 독립되고 온전히 구별되는 세 신적 인격이 있다는 주장은 성서적 근거를 두고 있 다. 바울과 요한의 문서들은 세 명의 서로 구분되는 신적 존재들이 하나님 안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신 약성서가 말하는 삼위일체는 아버지, 아들, 성령이라는 온전히 구별되는 세 신적인 인격은 각자의 의지 와 사랑, 행위의 중심 및 자기의식을 가지고 있는 가장 온전한 의미에서의 인격체들인 동시에 가장 완벽 하게 상호침투하여 온전한 연합,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몰트만이 주장하는 사 회적 삼위일체론은 신약성서의 증언에 근거하고 있고 이런 주장을 삼신론이라고 쉽게 거부하기가 어렵 다.

둘째,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교회사적으로 볼 때 오히려 정통적 입장에 속한다.

처음 삼위일체 교리가 형성되던 4~5세기경, 동방의 갑바도기아 신학자들과 서방의 어거스틴에 의해 동 시에 정통적인 주장으로 받아졌다.

- 갑바도기아-삼위일체의 인격은 완전히 서로 구별되는 온전한 인격들이다.

- 어거스틴-하나님 안에 서로 구분되는 세 신적 인격이 있다.

◈4~5세기경의 이단으로 규정된 것

-단일신론(양태론)-사벨리우스주의

-다신론(삼신론)-아리우스주의-하나님 안에 존재의 등급에서 차별이 있는 세 신들이 있다.

이런 고대적 배경으로 본다면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성부 성자 성령을 서로 분리된 개별적 존재 로 보지않으며 이들 사이에 어떤 등급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결코 이단으로 볼 수 없고, 양태론과 삼신 론을 동시에 극복하면서 그 중간에 서있는 표준적인 삼위일체 전통에 속한다고 해야 하겠다.

삼위일체의 신비를 하나님을 한 본질에서 출발한다는 논의는 양태론적 위험을 갖지만, 하나님을 서로 구 분되는 세 인격의 온전한 연합으로 이해하는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신약성서의 이해를 충실하게 반영한다 는 점에서 더욱 정통적일 수 있다.

셋째,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은 삼신론의 실제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다

삼신론은 다신론의 일종으로서 그 의지와 행동에서 서로 균열되고 불일치 상태에 있는 신들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다.(월터 카터스...다신론은 결코 화해되지 않는 여러 측면들로 분열)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 일체론은 신적인 인격들 사이에 어떤 의지적 충돌이나 갈등은 보이지 않으며 신적 실재들 사이에는 의지와 목적 그리고 행위에서 온전한 일치가 있다고 함.

유대교 신학자 라피데- 다신론은 피조물이나 피조세계의 어떤 현상을 창조주의 자리에 들어올려 그것 들을 신으로 섬기는 것이다삼신론은 창조주와 피조물을 혼동함으로 창조주에 대한 예배를 거부하는 것 이다.

몰트만은 아리우스처럼 신적 인격들 안에 어떤 존재론적 차등이 있다고 보지 않으며 온전히 동등한 신적 인 위엄과 권위 속에 있음을 말하므로 결코 삼신론일 수 없다.

결론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결코 삼신론이라고 할수 없다. 오히려 그것은 하나님의 일체성과 복수성에 대한 정당한 주의를 기울이며 그들의 관계를 적절하게 이용하고 있는 정통의 한 자락을 차지하는 주장이라고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