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제 4장 헤리베르트 뮐렌-임선숙.hwp

닫기

4102084임선숙

제 4장 사회적 삼위 일체론의 성장과 확대

5)헤리베르트 뮐렌

헤리베르트 뮐렌: 현대의 또 다른 중요한 사회적 삼위 일체 신학자 , 로마 카톨릭 신학자

-성령의 인격성을 온전히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발전시킴

*뮐렌로 인해 삼위일체 신학에 손상을 입음

-이유:성령을 성부 성자와의 관계 안에서 이해,

하지만 성령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

그러나 어거스틴 이래로 교회는 성령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이 성령을 성부 성자 사이의 사랑의 끈으로 이해하며 성령을 성부 성자의 사랑의 사귐 정도로 비인격화해 왔다.

-성령론이 경시된 근본적인 이유

뮐렌의 입장: 성령의 인격적 소유권을 표현하기에 적당한 단어들이나 범주들을 교회가 찾지 못했기 때문

심리적 삼위 일체론: 기본적으로 성령의 독립된 인격성을 온전히 설명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것이 서구 삼위 일체론을 주도 서구교회는 삼위 일체 하나님 안에서 성부 성자와 구별되는 성령의 온전한 인격적 독립성을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삼위일체에서 사용된 유비*

1.삼위일체에 대한 심리적 유비:한 신적 본질의 통일성에서부터 출발하여 삼위일헤의 세 인격을 이해

2.무기원적 원리: 성서와 동방 교부들 특히 갑바도기아의 세신학자들의 접근 방식 - 리처르 성 빅터에 의해 발전된 사회적 유비를 채택하게 됨

*뮐렌의 사회적유비

:여기서 뮐렌은 리처드 성 빅터의 사회적 유비를 그의 삼위 일체론의 출발점으로 삼음 오직 이때에만 성부 성자와 분명히 구별되는 성령의 독립적 인격성을 논리적으로 확보 할 수 있기 때문

*나, 당신 그리고 우리라는 세가지 관계요소*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빌헬름 홈볼트의 언어 분석에 근거하여 인간에게는 나-당신관계와 우리 관계라는 가장 근본적인 두가지 관계가 있다고 봄

뮐렌는 여기서 이 세가지 요소와 그들이 맺는 관계를 성부 성자 성령의 온전한 인격적 구별성과 독특성을 설명하는 삼위일체에 대한 유비로 사용

*나: 너와의 관계 (는 언제나와의 관계에서 그 정체성과 특징이 규정되며 또 말해진다. )

우리-결합:사람들은 서로의 상호적인 사랑의 바라봄으로 서 있지 않고 두사람에게 공동되는 상황 속에 나란히 서 있다

- 두 사람이 다함께 똑같은 방향을 향해 얼굴을 돌리고 우리라고 말함

-즉 우리는 나와 너의 연합에서 나왔으나 이제는 다른 대상을 향하여 우리라고 말하는 독립된 실체가 된다는 것

세가지 근본적 관계요소인 나 너 그리고 우리를 삼위일체론에 적용하는데 성부는 나 -말 성자는 너-말 성령은 우리-말로 이해된다

성서와 교회사를 통해 볼때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의 연합=독립적 인격적 실재를 형성하는 우리-인격으로 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성경에 나오는 표현*

신약성서=예수는 그의 아버지를 배타적인 의미에서 로 이해하고 있다.

공관복음=우리들의 하나님이 아닌 나의 아버지 너희들의 아버지 나의 하나님 너의 하나님(요20:17)

즉, 신약성서에서는 예수가 하나님과 자기를 우리란 말로 부를때 이는 철두 철미 배타적이며 특수한 관계를 뜻한 것으로 사용 그와 아버지와의 관계성 곧 신적인 관계성을 표현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의 우리 인격이시다

신약성서의 성령=성령이 임할 때 언제나 우리 공동체 형성 , 언제나 우리의 성령

뮐렌은 삼신론이 된다는 생각 속에서 뮐렌은 성부안에서 삼위의 통일성을 찾으려고 한다 그는 하나님안에는 오직 하나의 의식 곧 성부의 의식만 있고 이 한 의식을 성자와 성령은 함께 공유한다고 주장 =신적 통일성을 이룸

즉 신약성서에서의 성령은 새로운 우리 공동체, 교회를 형성하는이로써 이해

-사회적 삼위 일체론에 대한 개략적 평가

1.사회적 삼위 일체론의 강점은 심리적 삼위일체론보다 신약성서의 증언에 충실 =삼위 일체 신학의 모델(통일성을 묻는 사회적 삼위 일체)

2.사회적 삼위 일체 신학의 강점은 그것이 우리 시대의 절실한 요청에 좀 더 적절히 반응할 수 있다. = 파울 틸리히

:하나님이 우리 존재의 궁극적 관심사라면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삶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사회적 삼위 일체론과 삼리적 삼위 일체론은 모두 자체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하나님을 설명하려는 불충분한 모델에 불과하다 삼위일체는 영원한 신비이며 은혜의 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