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generated using the open source mwlib toolkit. See http://code.pediapress.com/ for more information.
PDF generated at: Thu, 17 Mar 2011 02:46:24 UTC
중국현대정치
Contents
Articles
중국 공산당
1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4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5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6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1
0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1
2
전국인민대표대회
1
3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1
4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1
4
References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1
5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1
6
Article Licenses
라이선스
1
7
중국 공산당
1
중국 공산당
중국 공산당
中国共产党
당수
대표
창당
중앙 당사
이념/
정치 노선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1]
중국 공산당(중국어 간체: 中国共产党, 정체: 中國共產黨, 병음: Zhōngguó gòngchǎndǎng)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 일당 독재 체제로 국가를 통치하는 공산당 가운데 하나이다. 약칭은 중공(中共)이다.
중국 공산당은 1921년 상하이에서 반자본주의,반제국주의 등의 강령을 중심으로 설립된 이후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함께 중화민국의 양대 정당을 이루었지만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과 싸워서 승리하였다. 중국 공산
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의 이론, 《세가지 대표》 중요 사상을 정당의 이념으로
삼고 있다.[2]
개요
중국 공산당의 당기
중국 공산당은 2009년 기준으로 77,995,000명의 당원을 거느릴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큰 정당이다. 중국 공산당은 대학생이
공산당 당원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사례로 중국 베이징
대학교 학생들은 1991년에는 5%, 2009년에는 10%가 공산당
당원으로 입당하였다. 물론 중국 대학생들이 공산당원으로 입
당 하는 이유는 공산주의를 추종해서라기보다는 대학교를 졸
업 하고 좋은 일자리를 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산당과 친밀
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3] 공산당이 중
국 의 정치와 사회를 통제하는 독재적인 구조와 이데올로기를
지 닌 이 정당은 중국의 정권을 계속 잡고 있다. 덩샤오핑 서기
장 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상대적으로 자본주의화가 진행되고
있
중국 공산당
2
는 현재 상황, 특히 경제적인 영역에서 공산당 이외의 인물과 조직의 공식적인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 한
현상은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해안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산당 위
원회가 모든 중요한 정부 기구들을 장악하고 있고 이들에 대해 정치적인 지침을 내리고 있으므로 비당원 들
이 공산당의 규율에 도전하는 자치기구를 만들지는 못한다. 정부 조직은 물론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 쳐
공산당의 통제력은 굉장히 강력하며 노동조합도 공산당에 속해 있다.
역사
2. 1920년 8월: 중국 상하이에서 공산당 창당. (사실상)
조직
중국 공산당의 조직적 구성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파괴되었다가 덩샤오핑 시대 이후 재건되었다. 이론적으
로 공산당의 최고 기구는 적어도 5년에 한 번 열리는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National Congress of the Com
munist Party of China)이다. 하위의 당 기구들은 아래와 같다.
• 중앙정치국
• 중앙서기처
• 중앙군사위원회
5년마다 한 번씩 중국 공산당은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를 연다. 공식적으로 이 대회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
다. 첫째는 당 헌장의 변경을 추인하는 것이고, 둘째는 중앙정치국 상임위원을 선출하는 일이다. 그러고 나면
중앙정치국 상임위원회는 이어서 중앙정치국 위원을 선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임위원회와 중앙정치국
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당의 전국 대표대회 이전에 이미 정해지며, 전국 대회의 주목적은 앞으로의 몇 년간 중
국의 방향을 결정지을 당의 정책과 비전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당 권력의 핵심은 중앙정치국 상임위원회이다. 중앙 정치국 위원과 마찬가지로, 상임위원회 위원을 선출하는
과정은 전국대회와 함께 비공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의 공식 기관지인 인민일보를 통해 새로운 권력 구
조에 대한 내용이 간접적으로 발표된다. 상임위원회원의 수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예전에 비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2002년 16대 전국 대표대회 때 위원회의 인원은 9명으로 확대되었다.
중국을 이끌어가는 정치 권력 중 지금까지 설명한 것 이외에 두 가지 주요기관이 더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형식
적인 정부이며, 나머지 하나는 인민해방군이다.
중국 공산당
3
엄격한 입당 절차
중국 공산당은 새 공산당원을 받아들일 때 능력이 검증된 사람만 뽑도록 엄격한 절차를 거친다. 공산당은 입당
을 희망하는 자에 대해 3년 동안의 헌신과 직장에서의 능력, 타인과의 관계 등을 관찰하며 공산당 당원과 비
공산당 당원이 참여하는 회의에서 입당 여부를 검토한다. 공산당 당원이 된 후에도 1년에 한 번씩 지난 1년 동
안의 실적을 판단하는 검증을 받아야 한다.[4]
정책
중국 공산당의 정책은 2002년 11월에 열린 제16대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에서 장쩌민 주석 겸 비서장이 공
산당의 대표적인 정책 변화에 관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산당의 통제 아래 있
는 "인민의 민주 독재" 상태이지만, 기업가와 자유직업에 종사하는 인민들이 당의 의사결정에 어느 정도 목
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으며 고위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막기 위해서 공산당 간부가 자본가와 개인적인 관계
를 갖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2008년 중국 공산당 제17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는 농촌경제 성장을 위한 토지 경작권의 매매허용(토
지유동화정책), 통화와 재정정책 규제완화, 경기 부양을 위한 거시 경제정책마련 등의 변화가 있었다.[5]
역대 중국 공산당 지도자
중앙위원회 총서기
• 천두슈(진독수, 陳獨秀) (1921년-1927년)
• 샹중파(향충발, 向忠發) (1928년-1931년)
• 보구(박고, 博古) (1931년-1935년)
• 장원톈(장문천, 張聞天) (1935년-1943년)
중앙위원회 주석
• 마오쩌둥(모택동, 毛澤東) (1945년-1976년)
• 화궈펑(화국봉, 華國鋒) (1976년-1981년)
• 후야오방(호요방, 胡耀邦) (1981년-1982년)
중앙위원회 총서기
• 후야오방(호요방, 胡耀邦) (1982년-1987년)
• 자오쯔양(조자양, 趙紫陽) (1987년-1989년)
• 장쩌민(강택민, 江澤民) (1989년-2002년)
• 후진타오(호금도, 胡錦濤) (2002년-현재)
참고
• 공산당
• 중국의 정치
• 중국 공산당의 역사
• 중앙인민방송
• 인민일보
• 구평공산당
• 마오쩌둥
• 중국 국민당
중국 공산당
4
주석
[1] http:/
[2] 중국 공산당 총강령 (http:/
[3]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신현만 지음/위즈덤하우스 142-143쪽.
[4] %82%B0%EB%8B%B9-%EC%A7%80%EB%B0%B0%EB%A0%A5%EC%9D%98-%EC%9B%90%EC%B2%9C 경남대학교 심리사회학
부 이은진 교수의 블로그 (http:/
[5] 중국, 농민 토지경작권 매매허용 (YTN 2008년 10월 12일자 보도) (http:/
외부 연결
• 중국 공산당 뉴스--인민넷 (http:/
• (중국어) 중국 공산당 공식 홈페이지 (http:/
• (중국어) 신화통신 중국 공산당 관련 홈페이지 (http:/
• (영어) 인민일보 (중국 공산당 공식 기관지) (http:/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국어 간체: 中国共产党全国代表大会, 병음: Zhōnguó Gòngchǎndǎng Quánguó Dàibiǎo
Dàhuì)는 5년마다 개최되는 중국 공산당의 당 대회이다. 전국대표대회는 이론적으로 중국 공산당 내의 최고
권력기관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요한 결정들은 대회 개최 전에 이미 만들어진다. 1987년 이래 전국대표대
회는 항상 10월 또는 11월에 열렸다. 개최 장소는 1956년의 첫 시작 이래, 항상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다. 지난 20년 동안 이 대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적 리더십의 변화에서 상징적인 부분으로써 중추적 역
할을 하였으며, 국제적인 미디어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역대 전국대표회의
1. 창당대회겸 제1차 전국대표대회 : 1921년 6월 ~ 7월. 상하이
6. 제6차 전국 대표대회 : 1928년 7월 모스크바
8. 제8차 전국 대표대회 : 1956년 9월 베이징 이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으로 장소 고정
9. 제9차 전국 대표대회 : 1969년 4월
10. 제10차 전국 대표대회 : 1973년 8월
11. 제11차 전국 대표대회 : 1977년 8월
12. 제12차 전국 대표대회 : 1982년 9월
13. 제13차 전국 대표대회 : 1987년 10월
14. 제14차 전국 대표대회 : 1992년 10월
15. 제15차 전국 대표대회 : 1997년 9월
16. 제16차 전국 대표대회 : 2002년 11월
17. 제17차 전국 대표대회 : 2007년 10월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5
명칭
전국대표대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와는 다르므로 혼동을 피해야 한다. 또한, 전
국대표대회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도 다르므로 혼동을 피해야 한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중국어 간체: 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 병음: Zhōngguó Gòngchǎndǎng Zhōngyāng Wěiyuánh
uì)는 중국 공산당의 최고 권력 기관으로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6기의 중앙위
원(198명) 후보 위원(158명)으로 본 회의를 형성한다. 중앙위원으로부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선출
된다.
중앙위원회의 임기는 5년이다.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폐회 기간 중에는 전국대표대회의 결의를 집행하고,
당 전체의 활동을 지도하며, 대외적으로는 중국 공산당을 대표한다. 전국대표대회의 개최가 연기 또는 앞당
겨질 경우 임기도 그에 상응하여 바뀐다. 중앙위원회의 위원과 후보 위원은 5년 이상 당원이어야 한다. 중앙
위원회 위원과 후보 위원의 정수는 전국대표대회가 결정된다. 중앙위원회 위원에게 결원이 생겼을 경우, 후
보 위원으로부터 득표순서로 보선된다.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소집하여, 매년 최
하 한 번은 개최된다.
역대 당 지도자
• 천두슈(진독수, 陳獨秀) (1921년-1922년, 1925년-1927년)
• 취츄바이(구추백, 瞿秋白) (1927년-1928년)
• 샹중파(향충발, 向忠發) (1928년-1931년)
• 리리싼(리립삼, 李立三) (1929년-1930년) - 임시 총서기
• 왕밍(왕명, 王明) (1931년) - 임시 총서기
• 친방샌(진방헌, 秦邦宪) (1932년-1935년) - 임시 총서기
• 장원톈(장문천, 張聞天) (1935년-1943년) - 임시 총서기
• 마오쩌둥(모택동, 毛澤東) (1943년-1976년)
• 화궈펑 (화국봉, 華國峰)(1976년-1981년)
• 후야오방(호요방, 胡耀邦)(1981년-1982년)
• 후야오방(호요방, 胡耀邦)(1980년-1987년)
• 자오쯔양(조자양, 趙紫陽) (1987년-1989년)
• 장쩌민(강택민, 江澤民) (1989년-2002년)
• 후진타오(호금도, 胡錦濤) (2002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6
함께 읽기
바깥 고리
• 16기 중앙위원 명단 [1]
• 16기 후보위원 명단 [2]
References
[1] http:/
[2] http:/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임위원회(중국어 간체: 中国共产党中央政治局常务委员会, 정체: 中國共產黨中央政治
局常務委員會)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와 중국 공산당 당 조직에서 사실상의 최고 권력 기구이며 최고 의사
결정기관이다. 중공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선거로 선출된다. 위원은 정치국 상무위원로 불린다.
중국 공산당의 당규정에 의하면,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의 폐회 중에 중앙위원회
의 직권을 행사한다. 상무위원회의 직권이나 정치국 상무 위원의 직권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는 당연직으로 정치국 상무위원에 임명된다. 그리
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
공화국 주석과 국가부주석, 국무원 상무 부총리와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도 정치국 상무위원
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설립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1928년 7월의 제6기 1중 전당대회에서 설립되었다. 1934년 1월의 제
6기 5중 전당대회로부터 1956년 9월의 8기까지는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8기부터는 중국공산당 중앙정
치국 상무위원회라고 개칭되었다. 이후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는 단순한 일상업무의 처리기구가 되었다.
현재 상무위원
2007년 10월에 열린 중국공산당 제17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아래와 같이 제 17기 상무위원을 선출하였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7
서열
이름
한자
사진
당 지위
국가 지위
1
호금도
胡锦涛
胡錦濤
2
오방국
吴邦国
吳邦國
당조서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3
온가보
温家宝
溫家寶
당조서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
4
가경림
贾庆林
賈慶林
당조서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5
이장춘
李长春
李長春
선전 지휘
6
습근평
习近平
習近平
중국공산당 중앙당교 교장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중화인민공화국의 부주석
7
이극강
李克强
당조 부서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8
하국강
贺国强
賀國康
9
주영강
周永康
역대 상무위원
16기 상무위원 (2002년 11월 - 2007년 10월)
2002년 열린 중국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은 기존 15기의 7명에서 9명으로 증가하였
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8
서열
이름
한자
사진
당 지위
국가 지위
1
호금도
胡锦涛
胡錦濤
2
오방국
吴邦国
吳邦國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3
온가보
温家宝
溫家寶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
4
가경림
贾庆林
賈慶林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5
증경홍
曽慶紅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
6
황국
黄菊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상무부총리
7
오관정
呉官正
8
이장춘
李長春
9
나간
羅幹
15기 상무위원 (1997년 9월 - 2002년 10월)
서열
이름
한자
사진
당 지위 국가 지위
1
강택민
江泽民
江澤民
2
이붕
李鹏
李鵬
3
주용기
朱镕基
朱鎔基
4
이서환
李瑞环
李瑞環
5
호금도
胡锦涛
胡錦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9
6
위건행
尉健行
7
이람청
李岚清
李嵐淸
14기 상무위원 (1992년 - 1997년)
서열
이름
한자
사진
당 지위 국가 지위
1
강택민
江泽民
江澤民
2
이붕
李鹏
李鵬
3
교석
喬石
4
이서환
李瑞环
李瑞環
5
주용기
朱镕基
朱鎔基
6
유화청
劉華清
7
호금도
胡锦涛
胡錦濤
13기 4중전회 상무위원 (1989년 - 1992년)
1. 장쩌민)(강택민, 江澤民)
2. 리펑 (이붕, 李鵬)
3. 차오스 (교석, 喬石)
4. 야오이린 (요의림, 姚依林)
5. 쑹핑 (송평, 宋平)
6. 리루이환 (이서환, 李瑞環)
13기 1중전회 상무위원 (1987년 - 1989년)
1. 자오쯔양 (조자양, 趙紫陽)
2. 리펑 (이붕, 李鵬)
3. 차오스 (교석, 喬石)
4. 후치린 (호계립, 胡啟立)
5. 야오이린 (요의림, 姚依林)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10
12기 상무위원 (1982년 - 1987년)
1. 후야오방 (호요방, 胡耀邦 : 총서기)
2. 예젠잉 (섭검영, 葉劍英 : 1985년 9월 제12기 5中全會에서 사직)
3. 덩샤오핑 (등소평, 鄧小平)
4. 자오쯔양 (조자양, 趙紫陽)
5. 리셴녠 (이선념, 李先念)
6. 천윈 (진운, 陳雲)
• 1987년 1월 정치국 확대회의 : 자오쯔양(趙紫陽: 대리 총서기), 덩샤오핑(鄧小平), 리셴녠(李先念), 천윈(陳雲)
, 후야오방(胡耀邦)
주석
[1] 2007년 6월 사망
후진타오 | 우방궈 | 원자바오 | 자칭린 | 리창춘 | 시진핑 | 리커창 | 허궈창 | 저우융캉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 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는 중국 공산당과 민주당파(중국 공산
당의 위성정당), 단체, 정계 등의 대표로 구성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조직으로, 약칭은 정협이다.
개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는 1946년 1월 10일에 중국 국민당의 주도로 열린 중국정치협상회의(中國政治協商會議)
를 모태로 한다.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내전 종식, 통일 정부 수립 등을 가결하였으나 국민당이 일방적
으로 합의를 깨고 공산당과 전쟁을 일으킴으로써 깨지게 되었다. 특히 1947년에 공산당을 배제한 정치기구를
수립함으로써 공산당의 반발을 샀다. 결국 국공 내전 이후 국민당이 패퇴하여 반붕괴되자 공산당은 정치협
상회의에서 국민당을 배제시킨 채 새로운 회의기구인 인민정치협상회의를 개최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정당
이나 단체를 “민주당파”라고 부른다. 이 회의에서 공산당과 민주당파는 중화민국을 대신하여 새롭게 중화인
민공화국을 건국할 것을 결의했다.
참가 정당
집권 여부
당명
당수
집권
비집권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저우톄늉
비집권
쟝슈셩
비집권
천창츠
비집권
얀준치
비집권
상궈웨이
비집권
완강
비집권
한치더
비집권
린원이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11
역대 주석
기수
임기
주석
1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2008년 3월 ~ 현재
• 마오쩌둥은 제2기부터 제4기까지 명예 주석을 지냈다.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주석과 부주석은 3선이 금지되어 있다.
연결 고리
• 중국공산당
바깥 고리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1]
References
[1] http:/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12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국어 간체: 中央军事委员会, 병음: Zhōngyāng Jūnshì Wěiyuánhuì)는 중화인민공화국
의 중국인민해방군(중국 공산당의 군사부문)과 중국의 경찰(인민무장경찰) 등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무장
세력을 "지도"하는 중국의 군사와 관련된 최고의 기관이다. 이것은 헌법에 명기되어 있다. 당과 국가의 2개의
중앙군사위원회가 있지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와 1982년에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
원회"의 구성원 등은 거의 같고 단지, 선출 시기만 다소 엇갈릴 뿐이다.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부주석, 위원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선출하고,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전
국인민대표대회가 선출한다. 전국인민대표회의와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에 대해서 책임을 진다. 부
주석과 위원의 인선은 국가 군사위원회 주석의 지명에 의해 전국인민대표회의나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
원회에서 결정한다.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군의 통수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수장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역대 주석
• 장쩌민 (1989년 11월 7일 - 2004년 9월 1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역대 주석
• 덩샤오핑(1983년 6월 6일 - 1990년 3월)
• 장쩌민 (1990년 3월 - 2005년 3월 8일)
16기 중앙군사위원회 (2002년 ~ 2007년)
2004년 9월의 4중 전국대표대회에서 장쩌민이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사임하고, 후진타오가 후임 주석직
에 취임하였다. 장쩌민은 심복인 쩡칭훙이 부주석이 되도록 노력하였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2005년 3월의 전
국인민대표회의에서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당선된 후진타오는, 후진타오파로 주목받는 군 출신의
위원 톱의 쉬차이허우를 부주석으로 격상시켰다. 또 천빙더, 차오칭신, 장딩파, 징즈위안의 군 출신 4명이 위
원으로 선출되었다.
• 주석 후진타오
• 부주석 궈보슝(郭伯雄) - 상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 부주석 차오강촨(曹剛川) - 상장, 정치국위원, 국무위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부장
• 부주석 쉬차이허우(徐才厚) - 상장, 중앙서기처 서기
• 위원 량광레(梁光烈) - 상장, 총참모장
• 위원 리지나이(李繼耐) - 상장, 총정치부주임
• 위원 랴오시룽(廖錫龍) - 상장, 총후근부장
• 위원 천빙더(陳炳德) - 상장, 총장비부장
• 위원 차오칭신(喬清晨) - 상장, 空軍司令員
• 위원 장딩파(張定發) - 상장, 해군사령원 2006년 12월 사망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13
17기 중앙군사위원회 (2007년 ~ )
후진타오가 계속해서 주석을 맡고 있다. 2010년 10월의 제17기 5중 전회에서, 후진타오의 후계자로 주목을 받
고 있는 시진핑이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17기 중앙군사위는 아래와 같다
• 주석 후진타오(胡錦濤) - 당총서기, 국가주석
• 부주석 시진핑(習近平) - 국가부주석. 당중앙정치국 상무위원. 2010년 10월 제17기 5중 전회에서 선출
• 부주석 궈보슝(郭伯雄) - 상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 부주석 쉬차이허우(徐才厚) - 상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 위원 량광레(梁光烈) - 상장, 국방부장
• 위원 리지나이(李繼耐) - 상장, 총정치부주임
• 위원 랴오시룽(廖錫龍) - 상장, 총후근부장
• 위원 천빙더(陳炳德) - 상장, 총참모장
• 위원 쉬치량(许其亮) - 공군상장, 공군사령원
• 위원 우성리(吴胜利) - 해군상장, 해군사령원
• 위원 징즈이완(靖志远) - 상장, 제2포병사령원
• 위원 창완구이안(常万全) - 상장, 총장비부장
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어 간체: 全国人民代表大会, 정체: 全國人民代表大會, 병음: Quánguó Rénmín Dàibiǎo Dàhu
ì, 영어: National People's Congress, 약칭은 전인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기관이다. 의사당은 인민대
회당으로 불리고 톈안먼 광장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현재 전국인민대표대회장은 우방궈이다.
개요
전국인민대표대회를 구성하는 기관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로 주로 여기서 입법이나 정책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위원은 전국 각각의 행정구와 군에서 선출되는 대표에 의해 구성되고, 대부분이 중앙의 중국 공
산당 지도부와 군 장교로 이루어진다. 임기는 5년이다.
함께 읽기
바깥 고리
• 신화통신 전국인민대표대회 관련 홈페이지 [1]
References
[1] http:/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14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중국어 정체: 全國人民代表大會常務委員會, 병음: Quánguó Rénmín Dàibiǎo Dàhuì
Chángwù Wěiyuánhuì)는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약 15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이다. 상무
위원회는 사실상의 입법기관으로써, 법률을 수정할 헌법적 권한을 갖고 있다. 중국의 최고 입법자인 위원장
은 전통적으로 권력 서열 3위에 해당되고, 현재 위원장은 우방궈이다.
상무위원회는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헌법과 법률에 관한 해석을 하는 힘을 가진 준사법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권한을 행사한 주목할 만한 사건 중의 하나는 1999년 홍콩 반환에 관련된 논란이었다. 상무위원회는 홍콩
특별행정구에서의 체류에 관한 권리에 대해, "중국 본토에서 출생한 홍콩인 자녀들의 홍콩 거주권을 제한한
다"라고 홍콩 기본법을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기존의 대법원 해석과 다른 것이었다.
역대 상무위원장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 중국어: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중앙정
부의 한 기관이다. 약칭은 국무원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에는 정무원(政務院)이라고 칭했다.
조직 구성
국무원총리는 국가주석의 제청으로 지명된 후보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투표로 선출하며, 국무원부총리와
국무위원은 국무원총리가 지명한 후보를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인준한다.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의 임기는
각각 5년이며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현재 국무원 총리는 원자바오이며 4명의 부총리는 상무부총리 리커창
연결 고리
• 전국인민대표대회
바깥 고리
• 신화넷 국무원 소개 홈페이지 [1]
References
[1] http:/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15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중국 공산당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608035 편집자: Acee8, Betoseha, Bloodymars, Buanosiras, Caffelice, ChongDae, Dalgial, Freefast, Jaewook88, Jjhcap99, Khle
e560, Knight2000, Logosblf, Loveless, NIKE, Q0v9z8, Rayesworied, Rlagmlrn5u, Russ, SHIT to it, Sangjinhwa, Snoopy'06, Yeom0609, Yhljjang, Yonghokim, 곰열여섯, 김종국, 러브위키피디
아, 록, 리듬, 박경용, 시들해봇, 아흔, 파란악마, 60 anonymous edits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5567909 편집자: Che!, Npsp, 리듬, 1 anonymous edits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5567868 편집자: Che!, 리듬, 1 anonymous edits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211994 편집자: Acee8, Gloyacks, Hurricanejoe, Loveless, Michaelpkk, Ykhwong, 리듬, 3 anonymou
s edits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211865 편집자: Intershark, Sangjinhwa, Xoyo, 록, 리듬, 박경용, 6 anonymous edits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463652 편집자: Gloyacks, Whitebrg, 리듬, 4 anonymous edits
전국인민대표대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620103 편집자: Alpha for knowledge, ChongDae, EpicDream86, Intershark, Kinguser, Loveless, Sangjinhwa, 리듬, 박경
용, 윤성현, 1 anonymous edits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5567911 편집자: Loveless, 리듬, 1 anonymous edits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113154 편집자: ChongDae, Loveless, Michaelpkk, Nike787, Nosu, Npsp, Yes0song, 박경용, 6 anonymous edits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16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파일:Danghui.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Danghui.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User:Henry Dorsett Case, User:PhiLiP
그림:Flag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Flag_of_the_Chinese_Communist_Party.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See abo
ve
파일:Hu Jintao 2004.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Hu_Jintao_2004.jpg License: unknown 편집자: U. Dettmar/ABr
파일:Wu Bangguo.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Wu_Bangguo.jpg License: unknown 편집자: Presidential Press and Information Office
파일:Wen Jiabao 02.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Wen_Jiabao_02.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Doug Kanter (http://www.state.gov/)
파일:Jia Qinglin VOA.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Jia_Qinglin_VOA.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VOA Photo/Zhang Nan
파일:LiChangchun-2.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LiChangchun-2.JPG Licens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편집자: User:Rhythm
파일:Xi Jinping VOA.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Xi_Jinping_VOA.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VOA Photo/Zhang Nan
파일:Li Keqiang VOA.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Li_Keqiang_VOA.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VOA Photo/Zhang Nan
파일:He Guoqiang (Brasilia 2008).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He_Guoqiang_(Brasilia_2008).jpg License: unknown 편집자: Wilson Dias/Abr
파일:Zhou Yongkang.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Zhou_Yongkang.pn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ASDFGHJ
파일:Wu Bangguo 2009.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Wu_Bangguo_2009.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The White House
파일:Zeng Qinghong.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Zeng_Qinghong.pn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Lukacs
파일:Jiang Zemin 2001.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Jiang_Zemin_2001.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Arcimboldo, Butko, Stanmar
파일:Lipeng.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Lipeng.jpg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2.0 편집자: User:Shizhao
파일:Cropped Rubin-greenspan-rongji.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Cropped_Rubin-greenspan-rongji.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ASDFGHJ, PhiLiP
파일:Li Ruihuan.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Li_Ruihuan.png License: unknown 편집자: Presidential Press and Information Of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