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generated using the open source mwlib toolkit. See http://code.pediapress.com/ for more information.
PDF generated at: Thu, 17 Mar 2011 23:29:38 UTC
현대 중국 경제의 이해
Contents
Articles
개혁개방
1
경제특구
2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
3
서부대개발
4
선부론
6
인민공사
7
환보하이 경제권
8
런민비
1
0
선전 증권거래소
1
2
치메리카
1
3
References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1
4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1
5
Article Licenses
라이선스
1
6
개혁개방
1
개혁개방
개혁개방(중국어 간체: 改革开放, 정체: 改革開放, 병음: gǎigé kāifàng)이란 중화인민공화국의 덩샤오핑의 지도 체제
아래에서, 1978년 12월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 11기 중앙위원회 제 3회 전체회의에서 제안되었고, 그 후 시
작된 중국 국내 체제의 개혁 및 대외 개방정책을 말한다.
시장경제 이행기(1978년 - 1992년)
마오쩌둥 시대의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다시 살리기 위해, 현실파 덩샤오핑은 「네 개
의 현대화」를 내걸어 시장경제 체제로의 이행을 시도한다. 기본 원칙은 선부론으로 대표되듯이, 먼저 부유
해질 수 있는 조건을 정하고 부유해져서, 그 영향으로 다른 것이 풍요해지면 좋다고 하는 생각이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절대평등주의(네거티브 웰페어)를 벗어난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농촌 지역에
서는 인민공사가 해체되어 생산책임제, 즉 경영자주권을 보장하고, 농민의 생산의욕 향상을 목표로 했다. 도
시 지역에서는 외자의 적극 유치가 장려되어 광둥성의 선쩐, 푸젠성의 아모이 등에 경제특구가 상하이, 톈진,
광저우, 따롄 등의 연안부 여러 도시에 경제기술개발구가 설치된다. 화교나 구미 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
는 것으로 자본이나 기술 이전 등 완수하는 한편, 기업의 경영자주권의 확대 등의 경제체제의 개혁이 진행되
었다.
개혁개방 정책은 동시에 중국 사회에 큰 모순을 낳았다.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연안부와 내륙부에 경제 격차가
확대되어, 관료의 부정부패가 한층 심각해졌다. 인플레나 실업도 눈에 띄게 늘었고, 공산당에 대한 불만은 높
아지고 있었다. 1989년에는 천안문 사건이 발생하여, 개혁개방은 일시 중단하게 된다.
사회주의 시장경제(1992년-)
1992년 이후, 다시 개혁개방을 추진하여 있어 경제성장은 단번에 가속화 되었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 연해부와
내륙부의 지역 격차는 심화되어, 특히 농민의 불만이 높아졌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아래에서, 장쩌민,
주룽지 정권은 격차 해소와 경제개혁에 드라이브를 걸게 된다. 격차 해소를 서부 대개발, 국영기업 개혁에 따
른 실업자의 증대, 민공조, 삼농문제라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안고서도, 지금 중국
경제는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성장하여, 생산대국의 지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의 뒤를
잇는 제4의 시장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1년에는 WTO의 회원 가입을 완수한다.
2002년부터 후진타오 정권이 발족하였다. 2020년의 GDP를 2000년의 4배로 잡고(연평균 7. 2%성장), 중진국이
되는 비전을 제시하고, 전면적인 「소강사회」(小康社會)를 건설하는 것을 새롭게 목표로 내걸었다.[1] 「소
강」(小康)이란 예와 법을 통해 백성들을 다스려 편안하게 한다는 말로 여기에서는 의식이 뒤처지지 않고, 한
층 더 생활이 향상되어, 의식이 충분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가리킨다. 연안부뿐만이 아니라, 내륙부의 경제 수
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목적이다.
2003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원자바오가 수상으로 선출되어 주룽지의 경제개혁을 계승하게 되
었다. 2004년에는 사유재산권 보호를 명기한 헌법 개정안이 전국인민대표회에서 채택되어 주식 제도, 기업
통치 제도 등, 국유기업의 개혁을 위한 정책도 제시되고 있다. 또 2007년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는, 사유재산
의 보호를 명기한 물권법, 국내기업과 외자기업의 소득세율의 격차를 시정하는 기업소득세법이 채택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나 2010년 상하이 엑스포 개최도 결정되어, 개혁개방 정책은 한층 더 진전될 것이라
고 생각된다. 더욱이 후진타오 정권은 화목한 사회라고 하는 각 계층 간 조화로운 사회실현이라는 목표를 가
지고 있다.
개혁개방
2
개방 정책
중국정부는 1978년 경제체제의 개혁을 결정하는 것과 동시에 대외개방 정책도 계획했다. 1980년부터 차례로
광둥성의 선쩐, 주하이, 샨터우, 푸젠성의 아모이 및 하이난 성에 5 곳의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1984년에는 따
롄, 진황도, 톈진, 옌타이, 칭다오, 연운항, 난통, 상하이, 닝보, 원저우, 푸저우, 광저우, 전장(湛江), 베이하이
의 14개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1985년 이후,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남 트라이앵글(아모이, 촨저우, 장저우), 산둥 반도, 랴오둥 반도, 허베
이 성, 광시 좡족 자치구를 경제개방구로서 연해 경제개방 지대를 형성했다.
1990년 중국 정부는 상하이 푸둥신구의 개발과 개방을 결정해, 일련의 장강 연안도시의 개방을 한층 더 진행해
포동신구를 용두로 하는 장강 개방지대를 형성했다. 1992년 이후는 변경 도시나 내륙의 모든 성도와 자치구
수도를 개방했다. 이어진 조치로 1년에 15곳의 보세구, 49곳의 국가급 경제기술 개발구와 53개소의 하이테크
기술산업 개발구를 설정해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연해, 연강, 연변, 내륙지구를 결합해 전방위, 다차원, 광역의 대외 개방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대외 개방지구에서는 다양한 우대정책을 실시해 외향형의 경제, 수출 확대, 선진기술 도입 등의 면에서 성과
를 거두었다.
관련 항목
• 페레스트로이카
주석
[1] 예기(禮記) 예운(禮運)편
경제특구
경제특구(經濟特區)는 외국 자본 유치 등을 위해 법률적 혜택을 준 지역을 말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특구(중국어 간체: 经济特区, 정체: 經濟特區, 병음: jīngjì tèqǖ)는 1980년대 초, 덩샤오핑 정
부에 의해 도입되었다.
• 광둥 성 선전(深圳) - 선전 경제특구
• 광둥 성 주하이(珠海) - 주하이 경제특구
경제특구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이라는 이름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 등 6군데의 경제특구가 있
으며 경제자유구역기획단 [1]에서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1년 12월 라진·선봉 경제특구를 설정하였다.
읽을거리
• 자유항
References
[1] http:/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国家级经济技术开发区, China National Economic and Technical Development Zone)는 중
화인민공화국에서 1984년 이후의 개혁 개방정책의 일환으로서 1978년에 시작한 경제 특구에 이어, 1984년으
로 지정된 대외 경제 개방구를 말한다. 줄여서 “개발구”(Development Zone 또는 Development Area)라고도 한
다.
개요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따렌, 진황도, 톈진, 옌타이, 칭다오, 연운항, 난통, 상하이, 닝보, 원저우, 푸저우, 광저
우, 장지앙, 베이하이의 14 도시를 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하였고, 2006년 현재는 49곳이나 지정되어 있다.
외자유치와 기술 도입을 목적으로 경제특구 같은 수준의 우대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경제 특구와 다른 점은 당
초 경제 특구가 관리선으로 국내와 명확하게 격리되어 대내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데 반해, 경제기술개발구는
중국 국내에도 개방되어 있다는 점이었지만, 현재는 그러한 구분이 점차 없어지고 있다.
성급 경제 개발구
성급의 경제 개발구도 활발하게 설립되고 있다. 랴오닝성 따렌 창흥 다오린항 공업구(大連長興島臨港工業区)
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성급의 경제개발구 중에는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의 규모에 필적하는 것도 있다.
또한 시급의 경제 개발구도 나오고 있다.
서부대개발
4
서부대개발
중국4대경제구
동부
서부
서부대개발
중부
서부 대개발(西部大開發)은 중국의 동부 연해 지구 중심의 경제발전으로 뒤처진 내륙 서부 지구를 경제성장 궤
도로 끌어 올리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실시하고 있는 개발정책 및 그 결과로서의 경제 동향을 가
리킨다. 그 정책은 2000년 3월의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정식 결정된 4개의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서전동송」(西電東送): 서부의 전기를 동부로 보냄.
• 「남수북조」(南水北調): 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보냄.
• 「서기동수」 (西気東輸): 서부의 천연가스를 동부로 보냄.
• 「칭짱철도」(青蔵鐵道): 시닝과 라싸를 연결하는 철도.
개요
등소평의 「선부기래」(先富起來)의 구호아래(선부론), 중국 동부 연해 지방은 개혁개방 정책의 혜택을 받아,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내륙의 여러 지역은 뒤떨어져 연해 지방과의 소득 격차가 확대되었다. 이
때문에 장쩌민 정권은 2000년부터 국무원에 서부개발 지도소조를 신설해 서부 대개발 계획을 출범시켜, 철
도·도로 건설 등의 인프라 정비나 투자환경의 정비, 과학 교육의 발전 등의 우대 정책을 실시했다. 새롭게 발
족한 후진타오 정권도 서부 개발은 부동의 정책이라고 표명하고 있다.
중앙정부에서 중국 서부에 투입된 프로젝트 예산은 벌써 4600억 위안에 이르러, 중앙 재정으로부터 지방 정부
에의 재정 지출금과 특정 사업의 보조금은 누계로 5,000억 위안을 돌파했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투자 정책으
로 인해 서부 여러 성의 GDP 성장률은 2000년 8.5%, 2001년 8.8%, 2002년 10.0%, 2003년 11.3%를 기록하였고,
2004년이나 추계에서는 전년을 초과한 경제성장이 계속 되고 있다.
관공서에 의한 중국 경제 통계가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산업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
다. 단지 출발점이 되는 경제 수준이 너무 낮아, 경제성장이 계속 되어도 고소득이 실현된 것은 아니다. 서부
대개발의 목적은 풍족한 사회의 실현이 아니고, 빈곤으로부터의 탈출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서부내륙부
중국 서부에는 간쑤 성, 구이저우 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칭하이 성, 섬서성, 쓰촨 성, 티베트 자치구, 신장 위구
르 자치구, 윈난성 및 충칭시의 10성구시가 포함된다. 이들 지역은 전국 3분의 2의 국토 면적과 22.8%의 인구
를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자원이나 수력을 포함한 에너지 자원, 개척을 기다리는 토지 자원, 소수민족의
다양한 문화를 가지는 관광 자원이 존재한다. 최근 국무원은 중국 서부 대개발의 범위에 10성구시에 내몽고
자치구와 광시 좡족 자치구도 추가해, 12성(구,시)로 설정하였다.
서부대개발
5
외자유치정책
외국 기업의 서부 지구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각종 우대 정책을 실시하여, 세제 우대조치로서 최초 3년간 기업
소득세율을 15% 삭감해주고, 수출 기업에는 세율을 10%로 한다. 동시에 서부 성구시에는 연해성시와 동등
한 권한이 주어져 3,000만 달러 이내의 외자 프로젝트이면 단독으로 허가할 수 있다.
에너지 개발
수자원이 풍부한 서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동부에 보내는 프로젝트는 발전 용량 누계 3600만 Kw 분의 발전시설
이 벌써 착공해, 새롭게 설치된 송전·변전설비의 전선 총길이는 13,300km가 넘는다. 또 신장이나 칭하이, 닝
샤 등 서부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동부에 수송하는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2004년 12월 30일에 상업 운영이
시작되었다. 특히 신장에서는 타림 유전, 준가르 유전, 투하 유전의 3대 유전과 독일 야마코, 우르무치, 곳간
마이, 쿠차, 타림의 5대정유 공장을 중심으로 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프라 건설
사회 간접 자본 건설 프로젝트로는 연운항과 란저우를 연결하는 농해선이나 칭하이 성과 티베트를 연결하는 칭
짱철도 등이 있어, 새롭게 착공된 중점 프로젝트는 60건, 투자액은 약 8500억 위엔에 이른다. 새롭게 개통한
도로는 약 91,000km, 새롭게 부설된 철도는 4066.5lm가 되고 있다. 특히 칭짱철도는 티베트의 해발 4,000m 지
대에 철도를 건설하는 난공사였다.
과학기술 진흥
섬서성의 관중평원으로 4 곳의 국가급 개발구와 3 곳의 성급 개발구 및 수십 곳의 산업 파크나 과학기술 파크를
연동시켜, 전자 산업, 소프트웨어, 바이오 테크놀러지, 항공우주 산업, 군사 산업 등의 하이테크 산업을 발전
시킬 계획이다.
변경 무역
또 러시아, 중앙아시아, 파키스탄, 인도, 미얀마 등과 국경을 접하는 변경 지대는 제2의 황금 지대로 자리매김되
고 있다. 청두, 시안, 우루무치 등의 서부 대도시에서는 이들 여러 나라들과의 무역 진흥을 목적으로 한 각종
무역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실제로 신장, 티베트, 윈난 등에서 인접한 여러 나라들과 실시하는 무역량이
증대하고 있다.
각종 지원
중국인민은행은 2004년 말 현재, 중국의 금융기관이 서부 12성(구, 시)에 대출한 잔고가 2조 9,500억 위엔에 이
르렀다고 발표했다. 단지 소수민족 지역에서는 여전히 빈곤이 여전하고, 의무 교육마저 철저하지 않으며, 급
격한 산업개발과 함께 장기적인 안목에 입각한 교육의 충실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국무원은 서부 각지의 빈
곤지구에 교원 등 각종의 자격을 가진 지원자 수 만명을 보내는 등의 인적 지원도 하고 있다. 또 동부 연해 지
방의 도시가 서부 지구의 도시와 국내 우호 도시 관계를 엮어, 자금 등의 원조도 시행하고 있다.
서부대개발
6
같이 보기
바깥 링크
• 국무원 서부지구개발지도소조 [1] (중국어 & 영어)
• 서부대개발 [2](중국어)
• 서부대개발 뉴스 센터 [3](중국어)
주석
[1] http:/
[2] http:/
[3] http:/
선부론
선부론(先富論, Getting Rich First)은 1985년경부터 덩샤오핑이 주창한 개혁개방의 기본 원칙을 나타내는 것이
다. 그 내용은 “능력있는 사람으로부터 먼저 부자가 되어라. 그리고 낙오된 사람을 도와라.”라는 것이다.
현황
선부론은 예상보다 좋은 결과를 얻었지만, 연해부와 내륙부는 하늘과 땅 차이의 경제 격차가 있다. 중국 최대의
상업도시 상하이에서도,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있어 먼저 부자가 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동거하
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의 상황은 빈부의 점차 해소되기보다는 점점 심화되어 분배에 안간
힘을 쓰고 있지만 쉽지는 않은 형편이다. 서부대개발 등의 정책은 빈부격차를 해소하기보다는 빈곤 탈출 정
도의 효과와 함께 지역 격차는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는 가장 심각한 고민거리를 던
지고 있다.
관련 항목
• 개혁개방
바깥 링크
• 덩샤오핑 선부론 중국사회 빈부격차 독버섯 작용 [1]
References
[1] http:/
인민공사
7
인민공사
인민공사의 선전용 포스터
인민공사(중국어: 人民公社, 병음: rénmín gōn
gshè)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958년에 농업
집단화를 위해 만든 대규모 집단농장이
다. 농촌의 행정과 경제 조직이 일체화된
것이다.
개요
농업협동화가 소규모의 공동노동체제였기
때문에 대규모 수리공사와 같은 것을 완
성하기 위해서 보다 큰 규모의 공동노동
국가 주석의 지도아래에, 대약진 운동의
시작과 함께 합작사의 합병에 의해 인민
공사가 조직되는데, 1만 명으로부터 4만
명을 포용하는 규모로, 10개 정도의 집단
농장 결합으로 조직되었다.
생산수단의 공사 소유제에 근거한 분배제도가 실행되었다.[1] 이것에 의해 농촌에서는 인민공사로 불리는 지구
조직을 하나의 단위로 한 사회 속에서 그 모든 주민이 생산, 소비, 교육, 정치, 공업·농업·상업·교육·군사 등 생
활의 모든 기능을 실시하였고, 농업도 광범위하게 농업·임업·목축업·부업(副業)·어업을 영위하였다. 공사에
는 공동식당·유치원·양로원·병원 등 복지시설을 설치하고, 분배제도로서는 무상급여제와 임금제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982년의 헌법 개정에 의해 해체되었고, 1978년의 생산책임제의 도입에 의해 인민공사는 실질적으로는 폐지되
었다. 그러나 민병의 조직은 아직도, 인민공사가 단위가 되고 있다.
주석
[1] 인민공사는 전통적인 토지와 도구의 소유권 개념을 지양하고 집단소유제와 전인민소유제를 채택하였으나, 이후 생산대(生産隊)의 소
유제를 추가한 3급소유제(三級所有制)를 시행하였다.
같이 보기
• 대약진 운동
참고 자료
이 문서에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깥 링크
• 인민공사의 현재 (http:/
환보하이 경제권
8
환보하이 경제권
보하이만과 주변 도시
환보하이 경제권(중국어: 环渤海经济圈) 또는 환보하이만 경제권 또
는 환보하이만 지구 등으로 불린다. 이것은 베이징, 톈진, 스자좡
주위를 둘러 싼 경제권을 말한다. 환보하이만 경제권에는 보하이 해
를 둘러싼 허베이, 랴오닝 그리고 산둥성까지 포함한다.
경제
환보하이 경제권은 전통적으로 중공업과 제조업과 관련된 산업 중심
이다. 톈진은 항공과 물류, 선박의 중심지이며, 베이징은 석유화학
과 교육, R&D 산업의 중심지이다. 따라서 이 경제권 내에서는 자
동차, 전기전가, 석유 제품 등이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특히
선양의 자동차 산업과 따롄의 제조업과 칭다오의 건강 서비스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 냈다.
중국 중앙 정부는 환발해만에 있는 모든 도시들에 이러한 우선 순위 산업을 집적하여 빠른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육성하였다. 이것에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고속도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는 교
육 분야와 과학 자원, 환 발해만에서 발굴되는 천연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도시
• 랴오닝 성: 다롄 시, 단둥 시, 잉커우 시, 판진 시, 선양 시, 푸신 시, 진저우 시, 후루다오 시, 차오양 시
• 허베이 성 : 친황다오 시, 청더 시, 탕산 시, 창저우 시, 스자좡 시, 싱타이 시, 랑팡 시
• 산둥 성 : 빈저우 시, 둥잉 시, 르자오 시, 지난 시, 옌타이 시, 웨이하이 시, 칭다오 시
교통
철도
2008년 8월 1일 베이징과 톈진을 직통하는 베이징-톈진 고속철도가 개통하였다. 이 철도는 시속 300km로 질주
하며, 30분만에 연결해 준다.
항구
• 톈진 항
• 친황다오 항
• 황화 항
• 탕산 항
같이 보기
• 서부대개발
• 빈하이 신구
환보하이 경제권
9
주석
바깥 링크
• (영어) http:/
regional_definition34b_giwa_r34.
regional_definition34b_giwa_r34.
• (영어) 톈진 훑어보기 (http:/
런민비
10
런민비
중화인민공화국 위안
元
중국인민은행이 제작한 100위안과 20위안 지폐의 위폐 구별 방법
개요
ISO 4217 코드
CNY
통화 기호
사용국
비공식 사용국
-0,8% CIA World Factbook [1], 2009년.
보조 단위
지아오(중국어: 角)
1/10
펜(중국어: 分)
1/100
화폐
동전
¥0.01, ¥0.02, ¥0.05, ¥0.1, ¥0.5, ¥1
지폐
¥0.1, ¥0.2, ¥0.5, ¥1, ¥2, ¥5, ¥10, ¥20, ¥50, ¥100
관련 기관
발행처
런민비(인민폐. 중국어 정체: 人民幣, 간체: 人民币, 병음: Rénmínb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통화이다. 1 미국 달러당
단위
런민비의 기본 단위는 위안(元 또는 圆)이다. 1 위안은 10 지아오(角)에 해당하고, 1 지아오는 10 펀(分)이다 (1
위안 = 10 지아오 = 100 펀).
통화 정보
• 기호: RMB¥ , CN$, 元.
• ISO 4217: CNY
• 지폐: 100위안, 50위안, 20위안, 10위안, 5위안, 2위안, 1위안, 5지아오, 2지아오, 1지아오, 5펀, 2펀, 1펀
• 동전: 1위안, 5지아오, 1지아오, 5펀, 2펀, 1펀
런민비
11
제5판
1999년 새로운 도안의 화폐를 발행했다. 지폐의 초상은 전부 마오쩌둥이다.
• 지폐: 100위안, 50위안, 20위안, 10위안, 5위안, 1위안
• 동전: 1위안, 5지아오, 1지아오
연결 고리
• 중국인민은행
References
[1] https:/
선전 증권거래소
12
선전 증권거래소
선전 증권거래소
深圳证券交易所
Shenzhen Stock Exchange
창립
본사
핵심 인물 첸 동쳉(회장)
송리핑(사장 겸 최고경영자)
산업 분야 금융
웹사이트
www.szse.cn [1]
선전 증권거래소(深圳证券交易所)는 1990년 12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선전경제특구에 설립되어 1991년 7월
에 정식 영업을 시작한 증권거래소로 상하이 증권거래소와 함께 비영리 회원제 사업법인이다. 선전(深圳)을
흔히 심천으로도 불리고 이로 인해 심천증권거래소로 불리기도 한다.
시장내 규범
• 하이테크산업의 성장형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 거래화폐는 위안화와 홍콩달러로 한다.
• A주는 위안화로 거래해야 하며 중국의 내국인만 거래가 가능하다.
• B주는 홍콩달러로 외국인이나 외국의 개인이 투자가 가능하다.
• 최소 100주 단위로 주식을 매수 할 수 있으며 매도단위는 제한이 없다.
• 일반종목은 상하 10퍼센트로 ST(특별관리종목) 상하 5퍼센트로 일일 가격제한폭이 있다.
함께 보기
• 돈
• 홍콩 달러
• 주식
• 매매
• 거래
바깥 고리
• 한화증권 중국주식시장안내 [2]
•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중국주식용어해설 [3]
References
[1] http:/
[2] http:/
[3] http:/
치메리카
13
치메리카
치메리카는 하버드 대 니얼 퍼커슨 교수와 모르츠 슐라위크 교수가 중국과 미국 경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
들어 낸 신조어다. [1] [2] [3] [4] [5]
기원
2006년 말 어느날, 니얼 퍼커슨 역사학 교수와 모르츠 슐라위크 경제학 교수는 중국의 절약과 미국의 과소비가
글로벌 경제 위기(2008년 - 2009년)를 야기시킨 것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6]
퍼커슨 교수는 "치메리카를 세계 면적의 약 13%, 세계 인구의 4분의 1, 세계 GDP의 약 3분의 1을 장악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지난 6년간 세계 경제 성장률의 반이상을 주도한 하나의 경제주체"라고 정의한다. 만약 중국이
새로운 세력범위를 찾아떠난다면 치메리카 시대는 종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새로운 세력 범위란 상해협력
기구(러시아도 상해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부터 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의 신생제국까지를 일컫는다.
"수년동안, 중국은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축적했고, 이 돈으로 미국 국채를 사들여왔다. 중국은 약 8000억 달러
규모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고, 만약 중국이 이것을 팔아 치우면 미국 달러와 국채시장은 마비된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를 묶는 패를 쥐고 있다."며 퍼거슨 교수는 중국제국의 부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500
년 만에 서에서 동으로 경제 패권이 이동하고 있고, 2027년이 되면 중국의 GDP가 미국의 GDP와 거의 같은 수
준이 될 것이며, 미국인들로써는 받아들이기 힘들겠지만 점점 대미 무역보다는 대중 무역이 중요시 될 것 이
다.". [7]
치메리카라는 신조어는 2008년 출판된 퍼커슨 교수의 책 "돈의 힘(The Ascent of Money) - 금융의 역사"에 잘 묘
사되어있다.
주석
[1] http:/
[2] How China helped create the macroeconomic backdrop for financial crisis | Economists' Forum | FT.com (http:/
how-china-helped-create-the-macroeconomic-backdrop-for-financial-crisis/
[3] http:/
c7804616-d3b7-11dd-989e-000077b07658,Authorised=true.
html?_i_location=http%3A%2F%2Fwww.
cms%2Fs%2F0%2Fc7804616-d3b7-11dd-989e-000077b07658.
_i_referer=http%3A%2F%2Fsearch.
3DChimerica%26x%3D11%26y%3D5%26aje%3Dtrue%26dse%3D%26dsz%3D&
[4] Niall Ferguson - Niall Ferguson Says U.S.-China Cooperation Is Critical to Global Economic Health - washingtonpost.com (http:/
[5] Nathan Gardels: Niall Ferguson: Is U.S.-China Economic Marriage on the Rocks? (http:/
[6] The trillion dollar question: China or America? - Telegraph (http:/
The-trillion-dollar-question-China
[7] 최익용 (). 《대한민국 리더십을 말한다》. 이상BIZ, 139쪽. ISBN 9788993690033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14
Article Sources and Contributors
개혁개방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385448 편집자: Asfreeas, Npsp, Sonnet, 시들해봇, 최담담
경제특구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624856 편집자: Asfreeas, ChongDae, PuzzletChung, Sangil, Sawol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4759872 편집자: Acee8, Asfreeas, Fx120, Knight2000, Npsp
서부대개발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4767472 편집자: Anonyguru, Asfreeas, Npsp, 시들해봇
선부론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3128943 편집자: Asfreeas, Npsp
인민공사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377501 편집자: Asfreeas, ChongDae, Jtm71
환보하이 경제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042380 편집자: Asfreeas, ChongDae
런민비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6276686 편집자: Bart0278, Cedar101, ChongDae, Knight2000, NIKE, NuvieK, Russ, Yhljjang, 박경용, 이형주, 파란악마, 3 anonym
ous edits
선전 증권거래소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5748081 편집자: Mer du Japon, Q0v9z8
치메리카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oldid=5882818 편집자: HappyMidnight, Irafox, Snowlover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15
Image Sources, Licenses and Contributors
파일:Zhongguo jingji bankuai.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Zhongguo_jingji_bankuai.png Licens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편집자: Ran, Shibo77
그림:People's commune3.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People's_commune3.jp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Rui Guangting
파일:Crystal Clear app linneighborhood.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Crystal_Clear_app_linneighborhood.png License: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편
집자: w:Everaldo CoelhoEveraldo Coelho and YellowIcon
File:Bohaiseamap2.pn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Bohaiseamap2.png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2.5 편집자: User:Kmusser
파일:Prc-counterfeiting-flier.jp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Prc-counterfeiting-flier.jpg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편집자: User:Dave
swagon
그림: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Flag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User:D
enelson83, User:SKopp, User:Shizhao, User:Zscout370
그림:Flag of Hong Kong.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Flag_of_Hong_Kong.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Designed by
그림:Flag of Macau.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Flag_of_Macau.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User:PhiLiP
그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 Source: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China.svg License: Public Domain 편집자: 555, Bestalex, Bigmorr,
Denelson83, Ed veg, Gzdavidwong, Herbythyme, Isletakee, Kakoui, Kallerna, Kibinsky, Mattes, Mizunoryu, Neq00, Nickpo, Nightstallion, Odder, Pymouss, R.O.C, Reisio, Reuvenk, Rkt2312, R
ocket000, Runningfridgesrule, Samwingkit, Sasha Krotov, Shizhao, Tabasco, Vzb83, Wrightbus, ZooFari, Zscout370, 72 anonymous ed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