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014 다산학술논문대전 연구계획서.hwp

닫기

연구계획서 양식

연 구 계 획 서

(2014년도 다산학술논문대전 연구계획서)

연 구

주제명

참가자명

참여형태

공동 ( ) 단독 ( )

과정

학부/석사과정/석사수료/박사과정/박사수료

휴대전화

번호

소속대학/

소속학과

메일주소

공동연구의 경우 연구책임자를 포함하여 각자 모두 작성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연구계획서에는 참가자 이름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것

연구계획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 자유 형식으로 기술하되, A4 5매 이내 기술

연구계획서 포함 내용

1. 연구목적

2. 연구필요성

3. 연구방법

4. 연구내용

5. 기대효과

6. 개요

일반 원칙

1. 자격 : 전국 대학(원)생 재학 및 휴학, 수료생

2. 형태 : 1차 투고의 경우는 연구계획서이며, 2차 투고는 논문으로 미발표된 완성본이어야 한다.

3. 주제 : 신청 투고하는 논문은 다산학과 관련된 분야의 주제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콘텐츠 기획 분야까지 포함한다.

4. 지적소유권 : 신청 투고한 논문에 대한 소유권은 1차적으로 다산문화제위원회 측에서 갖는다.

투고 규정

1. 신청 투고는 정해진 기간에만 할 수 있다.

2. 분량 : 1차 투고는 소정의 양식에 따른 연구계획서이다. 2차 투고는 논문 200자 원고지 100매를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수 있다. 단, 콘텐츠 기획의 경우 사진과 도판을 포함 150매까지 가능하다.

3. 투고 시에는 글 혹은 워드로 작성된 파일을 E-mail[tasan98@daum.net]로 전송할 수 있다.

4. 투고시에는 국문요약(원고지 5매 내외)와 함께 참고문헌을 제출해야 한다.

논문작성 원칙

1. 가능한 한 한글로 작성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한자 및 외국어를 혼용할 수 있다.

2. 원고는 한글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한자) 병기한다.

3. 모든 脚註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동아시아어로 된 논문은 「 」 안에, 단행본정기간행물 등은 󰡔 󰡕 안에 제목을 넣는다.

5. 논문논설의 경우 필자명, 발행연대, 논문논설명, 게재지명 및 호수, 발행처(필요한 경우), 쪽수 순으로 표기한다.

예) 홍길동, 2000, 한국사 연구에 대하여」, 󰡔史學硏究󰡕 63, 50쪽.

6. 단행본의 경우 저자명(편찬주체), 발행연대, 서명, 발행처, 쪽수순으로 표기한다.

예) 홍길동, 2000, 󰡔한국사 연구󰡕, 한국출판사, 230쪽.

7. 서양어로 된 논문은 “ ”에 제목을 써놓고, 단행본정기간행물 등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Akira Iriye, 1981, Review”, American Historical Review 86-1, February, pp.191~193.

Martina Deuchler, 1992,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pp.1~5.

8. 앞에 든 문헌은 그 반복을 피하여 바로 앞에서 인용한 책과 논문은 위의 책’, 위의 논문으로 쓰고, 바로 앞이 아닌 앞에서 인용한 책이나 논문은 앞의 책’, 앞의 논문으로 적는다. 이 때 바로 위에서 인용한 책이나 논문이 둘 이상일 경우와 앞의 책앞의 논문을 인용할 경우 저자와 출판 연도를 첨가한다.

예) 위의 논문(책), 200쪽홍길동, 2000, 앞의 논문(책), 200쪽홍길동, 2000a, 앞의 논문(책), 200쪽.

9. 위(바로 앞)에서 인용한 책논문과 쪽수까지 같을 때는 위와 같음이라고 표기한다.

10. 구미문헌의 경우는 Ibid., op. cit.,를 사용한다.

11. 번역본의 경우 원저자 이름과 서명, 서지사항을 밝힌 뒤 역자의 이름, 서지사항을 밝힌다. 표기 순서는 앞의 예에 따른다.

12. 모든 인용문(한문 포함)은 논리전개상 불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3. 모든 종류의 인용문은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까지 제시해야 한다.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인용서를 최대한 밝혀야 한다.

14. ‘서론’, ‘결론등의 명칭은 머리말’, ‘맺음말로 통일하며, 머리말’, ‘맺음말에는 별도로 로마자 등은 넣지 않는다. 장절의 경우 Ⅰ. 1. 1)로 표시한다.

<예시>

국문요약

머리말

Ⅰ. 다산학이란 무엇인가?

1. 경학으로서의 관점

2. 실학으로서의 관점

Ⅱ. 다산학과 실학

1. 다산학의 특징과 실학

2. 근대전환기 학문으로서의 다산학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