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의 신학이해 “신학공부의 올바른 방법”
- 1 -
I . 바른
신학함이란 무엇인가
?
신학을 바르게
공 부하는 방법은
?
1) 루터는 세 가지 개념으로 대답을 한다.
1.
o r a t i o .
기도
2.
m e d i t a t i o .
묵상
3.
t e n t a t i o .
시련
= >
이것은
- 2 -
짧은 말이지만 루터의
( 신학)
개혁
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으며
, 18세기에 이르기까 지
루터교 및 개신교 내에서 신학함에 대한 모델 이 되었
다
.
이 개념은
1539년 출판된 그의 독일어 전집 제 1권 서문에
나온다
. 이 개념은 소위 오늘날의 영성훈련의 한 방법으로
소개되는 것이 아니라
, 이미 말했듯이 “신학을 바르게
공부하는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
신학공부의
- 3 -
시작과
중심은
2 ) 신학은 성서주석,
성서연구이다.
특히 여기서 우리의 주의를 끄는 것은
, 루터가 신학이
무엇이며 신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에 대해 시편
119편을 통해 정립하고 있다는 사 실이다.
그는 잘 알고 있던 중세의 학문적 전통을 따르지 않고
성서에 근거해 주장하고 있다
. 여기에 성서 에 권위를
두는 루터의 입장이 나타난다
. 루터에 게 있어 신학은
무엇보다도 성서주석이며
, 신학공 부의 시작과 중심은
성서연구이다
.
- 4 -
3 ) 루터가 복음을 깨닫고
된 계기도 초기에 행한
- 5 -
성서 강의와
이를
종교개혁신학을
갖게
위한
성서연구에 있었다
.
15 13 - 15 시편강의,
15 15 - 16 로마서
강의
,
1 5 1 6 - 1 7 갈라디아서 강의, 1 5 1 7 - 1 8 히브리서 강
의를 하였다
. 이 가운데 루터는 칭의, 믿음, 하나님의 의,
복음의 의미를 깨닫고
,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 직
그리스도라는 종교개혁 신학을 발견하게 되었다
.
I I . O r a t i o .
1) 기도의 중요성: 하나님 말씀은 이성으로 이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깨닫게 하심으로 만 가능
신학 공부는 성령의 조명이 필요하다
.
- 6 -
물론
루터가
- 7 -
인간의
이성에
하고
, 이 이성을 통해서도
중요한
가치를
부여 성서에 기록된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설교도 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
하지만 이 이성을 가지고는
님의 계시와 구원에
이르는
성서에 나타난
하나 지혜를
온전히 깨닫
는 데는 한계를 가진다
. 여기에 성령에 의해 다
시 밝아진 계몽된이성이 요구된다
.
신학함의 첫
번째
- 8 -
과제는 이성의 한계를
인식하
성령의 조명을 구해야
하
고 겸손하게 하나님께
는 기도이다
.
2 ) 기도 = 자기가 성서해석자가 아니라, 하나님
이 성서해석자임을 인정하는 것
- 9 -
기도란 자신과 다른 신학자들의 능력과 권위에 귀를 기
울이는 것이 아니라
, 성서본문의 영에
귀를 기울이고
,
이영이 말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찾는 자는 오
직 듣는 자로서만 하나님의 진리를 경험할 수 있다
. (
신앙인의 기관
: 귀, fi d e s e x a u d i t u ,
하나님을 만나고 경험하는 것은 들음으로 이루어진다
.
설교의 중요성)
I II . M e d i t a t i o .
1) 단순한 묵상이 아니라, 성서연구를 의미
M e d i t a t i o 란
단순히
내적
경건함양을 위한 성 서묵상
, 내적인
영성훈련이
아니다
.
루터가 의미한 것은
, 성령에 의해 조명되고
계몽
된 이성의 도움으로 성서의 본문을 알고 이해하 기 위해
성서를 문법적으로
, 내용적으로 주석하는 학문적인
연구를 말한다
.
- 10 -
(그래서 루터는 묵상하다는 말을 독일어로 번역할 때,
1521 년 시 편 119 편 번 역 에 서 “ 주 석 하
다 ”
( a u s l e g e n ) 로 번역하였다.)
- 11 -
2 ) 주석작업, 성서연구로서의 묵상 방법 (성서
원어의 중요성과 필요성
)
이것은 읽은 본문을 한 번 묵상하는 것으로 그치 는 것이
아니다
.
본문을 통해 성령 하나님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읽고 또 읽으며 진지하게 숙 고하는
것으로
, 한, 두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되풀이하는 학문적인 작업이다
.
- 12 -
그런데 루터는 영적인 의미보다는 문법적인 정확한 의 미를
파악하는 것을 중시
.
루터는
1545년 루터 라틴어 전집 1권 서문에서, 이 러한
성서연구방법을 통하여 종교개혁적인 사상
(“하나 님의 의”)
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증언했다
.
-
과거
: 능동적인 하나님의 의 , 심판하시는, 벌하시는
하나님의 공의로우신 의
-
이후
: 수동적인 하나님의 의. 죄인을 믿음의 선물 을 통해
의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
.
- 13 -
I V. Te n t a t i o .
1) 시련 = 성서연구를 통해 알고 이해한
것을 실존적인 삶의
자리에서 경험하고
현장화하는
것
.
경험은 어떤 내적인 경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 자신의
구체적인
,
실제적인
삶의
자리를
의미한
다
. 가정과 사회와 학교에서 겪게 되는 경험이
다
.
- 14 -
루터는
자신의
- 15 -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
만나는
“포악한 제후들과 전제군주들” “열광주의적 신비 가들”
“가톨릭 신학자들”의 핍박과 도전과 비판이 그로 하여금
더욱 더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훌륭한 신학자가 되 었다고 고백한다
.
2 ) 경험
강조
- 16 -
루터는 “신학자는 실천적인 경험을
것이지 독서를 통해서만 되는
것은
통해서
되는
아니다”
라고
말했으며
, 시련을 신학의 역동성과 생동성을
측정 하는 시금석이라고
말했다
.
“경험만이 신학자를 만든다”
( s o l a
e x p e r ie n t i a f a c i t
t h e o l o g u m )
3 ) 신학은 학문이 아니라 실천이다.
- 17 -
시련을 강조
- > 루터에게 있어 신학은 학문이라기 보다는 경험이기 때문.
루터에게
신학은
경험과
관련된
지혜이다
( s a p i e n t i a
e x p e r i m e n t a l i s ) .
=>
신학은 학문적 체계에 의해 논리적으로 다 설명할 수 없는
하
나님 말씀에 대한 무한한 경험과 연관되어 있다
. 신학은
사변 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이다
.
루터의 신학 이해
=> 어떻게 하면 올바른 신학자가 될 수
있는가
?
루터에 따르면
, 신학자란 독서나 사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적인 지식에 의해 되는 것이 아니라
, 자신에게 주어진
구체적인 삶의 장 안에서 만나게 되는 실천적 인 신앙의
경험을 통해 되는 것이다
.
이 경험은 곧 십자가의 경험이다
.
십자가의 경험이란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올곧게 서려
- 18 -
고 할 때
, 그리고 그 말씀대로 바르게 살려고 할 때 따르는
비난과 비웃음과 고난 심지어는 죽음의 위협을 말한다
.
루터는 이러한 비난을 받으면 받을수록
, 고난을 받으 면
받을수록 더욱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 루터는 이
것이 자신을 훌륭한 신학자로 만들었다고 고백한다
.
다시말해
, 시련이란 신학자로 하여금 학문적으로나 영
적으로 정금같이 훈련받게 하시는 하나님의 사건인 것
이다
.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