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종교개혁사 2-1.pptx

닫기

background image

종교개혁란  무엇인가

?

- 1 -

‘ 종 교 개 혁 ’

(Reformation) 이 란 ,  라틴어.  

r e f o r m a t i o   (갱신/개혁)에서 온 말이다.
이 

r e f o r m a t i o   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교회와 

사회의  폐해들을  정화하는  것

,  즉  좋은  규범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했다

.  특정한  제도,  조직,  

도덕을 회복하는 것이다

.


background image

본래의 의미를 넘어 시대구분

- 2 -

그런데 이 용어가 
용어로 사용되었다

.  

  초대교회사 
중세교회사 
종교개혁사

,현대 교회사.


background image

종교개혁이란
루터로부터 출발하여 기독교 교회를 나뉘게 한 
 운동을 말하고

,

종교개혁사란 이러한 운동이 일어난 시기를
나타  내는 용어이다

.

그래서

일반적으로

15 17- 15 5 5 ( 아욱스부르크 종교화약) 년 교회개 
 혁운동이 일어난 시기를 나타낸다

.

- 3 -


background image

종교개혁은

i)우선적으로

교회내적인 부분을 향해 이루어졌 

 으나

,

ii)사회적으로

, 경제적으로

불안한 시대에

,

모든  교황의

권위를

거부함으로써

교회분열을

일으키게

되었고

,

iii)세속

제후들 가운데서 개신교 국가교회를 형 

 성하도록 하였다

. ( = L a n d e s k i r c h e )

- 4 -


background image

종교개혁의  본질

종교개혁은

새로운 신학에 근거한 것으로

, 로 

 마

교황의

교회로부터

분리된

것을

말한다

.

- 5 -

전통적인

교회를 통한 구원중재 및 위계질서의 
 체계
는 새로운  교회형태로 대체되었다

.

- >
여기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복음으로의 소 
 급
이다

.


background image

복음으로의 소급은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때는 칭의론이다

.

-

오직 그리스도

(solus C h r i s t u s ) ,   오직 믿 

음 으 로

(sola  fi d e ) ,   오직  은 혜 로 (sola   

g r a t i a )   < - >   성인( 聖 人 ) ,  행위, 공로

형식 측면에서 볼때는 성서원칙이다

.

- 오직

성서로

(sola s c r i p u r a )

< -

> 전통

- 6 -


background image

이러한

(새로운/ 종교개혁적인) 신학은

i)먼저

개인의  경건과  신앙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심성을 만들어주었다

.

ii)그리고

이로부터 외적인 구조의 변화

일어  났다

(1525년 이후).

[믿음: 믿음 - > 행위: 사랑]

- 7 -


background image

따라서

종교개혁 및 개신교 운동의 시작과 종 

 교개혁의  확정적인  실행을 구분하는 것이 좋다

.

i ) 종교개혁 및 개신교 운동의 시작 [ 신앙적 측 
 면

]

- 8 -

전파

(

교회의

[ 제도적

= > 복음적인 설교와 예배형태의 
 변화추구

)

i i ) 종교개혁의 확정적인 실행
= >  면]


background image

개신교  가르침에  의해  규정된  교회규정 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  이것은 교회생활의 전체 영역을  포  

함하여 학교나 빈민자 구제와 같은 세속적인 제  도들을 
새롭게  규정하였다

.  이러한  종교개혁의  수   행은 

1525년 이후에 비로소 이루어졌다.

- 9 -


background image

○ 종교개혁의  개념
•종교개혁이란

용어에는 네 요소가

포함

-  루터교, 개혁교회(칼빈주의), 급진적

- 10 -

종교개혁

(재세례파),

반종교개혁

(가톨릭종교개혁)

넓은 의미의 종교개혁은 이 네 가지를 모두
포함  한다

.

좁은 의미의 종교개혁은 가톨릭 종교개혁을
제외  한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을

나타낸다

.


background image

학문적인 연구에서 종교개혁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
관주도적 종교개혁’

(개혁과정에서  세속권력의  적  

극적인 지원을 받았고 제도권 내 개혁운동이기  때문

)

혹은 주류적인  종교개혁

,  즉  루터파와  개   혁파를 

지칭한다

.

- 11 -


background image

프로테스탄트’라는 용어는 

1529년 2월 슈파  이어

(Speyer)회의 후에 생겨난 것이다. 4월에  6명의 
독일 제후와 

14개 도시들이, 독일에서 루  터파에 대한 

관용을 끝낼 것을 결의한 슈파이어  회의의 강압적인 
조 처 에  항 의 하 였 다

.  프 로 테 스 탄    트

( p r o t e s t a n t < -   p ro t e s t ) 라 는   말은  이  
항의에서 유래된 말이다

.

- 12 -


background image

1) 루터파 종교개혁

루터파

종교개혁은 독일 영토

, 루터라는 한 인 

 물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있다

.

루터는 특히

 칭의론에 관심을 가졌고

, 칭의론 

 이

그의

신학의 핵심을

이루었다

.

루터파 종교개혁은 원래는 학문적인  운동이었으며
비텐베르크 대학에서의 신학 개혁과 일차적으로 
 연관된 것이다

.

- 13 -


background image

비텐베르크 대학은 별로 알져지지 않은 대학이었  으며
(1502년 세워짐. 1409년에  세워진 라이  프찌히 
대학과 경쟁하기 위한 것

), 루터와 그 신  학부 동료들에 

의해 도입된 개혁은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

이 개혁이 흥미를 끌게 되고 주목을 받게 된 것 은 루터의 
개인적 활동

, 즉 95개  논제의 계시  또는 라이프찌히 

논쟁들 때문이었다

.

- 14 -


background image

그러나
엄밀히

- 15 -

터가 바르트부르크에서 비텐베르크로
되돌아

말하면

, 루터파 종교개혁은 루

1522년에 비로소 시작된 것이다.
이 시점에 루터의 학문적 개혁프로그램은 교회와 
 사회의  개혁  프로그램으로  변화
되었다

. 이후로


터는 종교적

, 사회적, 정치적 개혁 운동의

지도  자로

여겨지게

되었다

.


background image

루터의 종교개혁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 영향  력을 

끼쳤으나

,  네덜란드나 영국에서는 개혁파  신   학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

-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