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 왜, 그리고 무엇인가?
- 필립 멜란히톤
[ 루터의 동료, 인문주의자, 종교개혁에서 처음으
로 교회사를 다루었던 학자중하나
]
교회사 통론
1-1
- 1 -
„
Ü b e r h a u p
t
Ge s c h i c h t
e
i s t d i e K e n n t n i s d e r
f ür
a l l e
M e n s c h e n
n o t w e n d i g “( Wi d m u n g s b r i e f
z u m
1.
교회사 통론
1-1
- 2 -
T e i l d e s C h r o n i c o n C a r i o n i s
i m M ä r z
1 5 5 8
[ M BW
8 6 0 0 ] )
그는 역사를 교육과 학문의 전체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위치에 놓았다
.
“역사
( 역사 공부) 에 흥미를 갖지 않는 사람은 쓸
모없는 암퇘지와 같다
.”
교회사 통론
1-1
- 3 -
그에 따르면
(좁은 의미의 교회사 뿐만 아니라) 역사에
대한 지식을 통해 우리는 포괄적으로 배 우게 된다는
것이다
. 역사를 통한 배움을 거절하 는 것은 아무
쓸모없는 암퇘지 같은 존재인 것이 다
.
교회사 통론
1-1
- 4 -
- 종교개혁에 있어 역사에 대한 지식은 중요했
다
.
1) 종교개혁자 자신들이 서 있는 위치를 해명해
야 하고
,
2 ) 상대방인 가톨릭 교회의 주장들을 역사적으로
반박해야 하고
,
교회사 통론
1-1
- 5 -
3 ) 자신들의 이해에 따라 참된 전통들을 출발점 으로
삼기 위해서이다
. 이러한 것에서 배우게 되 는, 배울
수 있는 교회사는 바로 신학적인 자기 정체성 을
발견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
교회사 통론
1-1
- 6 -
J.X. 초대교회 ㅣ
중세교회
ㅣ
종교개혁
교회사 통론
1-1
- 7 -
- 기독교, 기독교 교파들, 종교들은 시간과 장소
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 이들의 실제적인 모 습은
역사적인 발전들의 결과물이다
. 이러한 사실 은 19
세기 이후로 무엇보다도 개신교 신학의 자 기이해에
속한다
.
교회사 통론
1-1
- 8 -
교회사를 성서주석
, 조직신학이나 실천신학처럼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사람은
, 왜 기독교와, 그 리고
기독교의 사회적 형태로서의 교회가 오늘날 의 모습으로
있고 또한 왜 이와 다르게 되지 않 았는가 라는 질문
앞에서 속수무책이다
.
교회사 통론
1-1
- 9 -
= 교회사란 무엇인가
1. 신학의 한 분과
◌ 교회사의 대상
: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
(Eusebius)와 많은 그 의
후계자들에게 교회사의 대상은 분명한 것이었 는데
,
바로 참된 교회이다
.
교회사 통론
1-1
- 10 -
다시말해
이단과 박해들에 의해 동요되지
않고
대항
자신의 길을 가고 결국 모든 장애요소들에
해 승리한 교회이다
.
이에 근거하여 유세비우스는 또한 첫 번째 시대 구분을
하였다
. - 콘스탄틴 대제의 기독교 회심. 황제
콘스탄틴
(272-337)은 교회사가 완성되는 새로운
시기를 시작한 사람이다
.
교회사 통론
1-1
- 11 -
교회사의 대상
: 역사적인 의미에서의 교회[
시간과 공간안에서 교회의성장과
전개
]
*
교회의
생일
: 오순절 성령사건
*
교회의
근거
: 예수님의
말씀
(마
1 6 : 1 3 - 2 0 )
교회는
순전한 세상내적인
( i n n e r w e l t l i c h ) ,
종 교사적인
현상이 아니라
,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가 세우신 것으로
예
수의 사명을 계속해 나가며 또한 그것을 항 상
새롭게 세상안으로 실행시키고자 시도하 는
것
으
로
간
주
교회사 통론
1-1
- 12 -
교회사 통론
1-1
- 13 -
◌ 교회사가 다루는 교회는 교리적
(종교적) 의미 의
교회가 아니라
, 역사적인 의미에서의 교회이 다 .
교회사는 기독교의 역사 혹은 기독교라는 종 교의
역사이다
. 다시말해 예수와 사도들의 활동으 로
시작되어
1 9 0 0 년 이상 이루어진 역사적 총 체인
기독교
(교회)의 역사이다.
교회사 통론
1-1
- 14 -
◌ 교회사 내용
:
-
교리사
-
기독교
신학의 역사
-
교회의
사회적
, 정치적인 전개
-
교회의 전개와
관련된 법제사적
, 경제사적,
정치사적, 사회사적 측면.
교회사 통론
1-1
- 15 -
2 . 역사적-비판적 방법 (역사학의 부분)
◌ 교회사
= 역사학의 한 분야
- > 교회사의 방법론은 역사학 방법론과
동일
[객관적, 비판적 연구방법]
구술로 된 자료 형태로
교회사는
한 사건이 문서적
, 기념비같은,
흔적을 남긴 경우에만 가능
이 자료들은 발견되어야 하고
, 사실임이 검토되어야 하 고,
문서로 편집되어야 하고
, 때로는 신뢰할만한 번역으
내용을 연구해
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 역사적 야
하고
, 신중하게 해석되어야 함
-
이러한 자료에 대한 작업이 역사가 및 교회사가들의 본 질적인
임무임
교회사 통론
1-1
- 16 -
교회사 통론
1-1
- 17 -
3 . 교회사가 필요한 이유
◌ 오늘날까지 사회와 개인을 특징짓는 많은
것
들이 역사의 뿌리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 그리 고
오늘날 대화속의 많은 내용은 과거에 대한 다 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충분하게 토론 될 수 있기도
하다
.
교회사 통론
1-1
- 18 -
◌ 기독교라는 주제에 있어서 교회사가 필수불가 결한
보다 깊은 이유
=>
기독교는 그 근원부터 역사적으로 중개되었기 때 문
.
다른 말로 하면
, 하나님의 계시는 역사라는 매개체에서
실현
(성취)됨.
교회사 통론
1-1
- 19 -
“하나님은
(삶의) 역사와 역사적 경험들 가운데서 인
간들과 만나신다
.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님 자신 은
인간이 되신다
. 하나님은 공간과 시간 안으로 들 어오시고,
역사를 이루어 나가실 뿐만 아니라 최종적 으로 역사를
처리하신다
.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우 연적이고 방향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역사의 전 개는 새로운 관점에서
모습을 드러낸 다
. ”
( M a n f r e d S i t z m a n n /
C h r i s t i a n
교회사 통론
1-1
- 20 -
z u r
We b e r ,
Üb e r s i c h t e n
K i r c h e n g e s c h i c h t e , 5 ) .
◌ 교회사
= 교회라는 골동품이나 고대 유품 진
열장이 아니다
. 교회사는 본질적으로 교회의 자기
이해에 기여하고
, 따라서 교회에 관한 교리(교회 론)
의 중요한 요소에 속한다
.
교회사 통론
1-1
- 21 -
◌ 모든 신학자
(목회자)는 교회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회사는 기쁨을 주며
,
매우 흥미진진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