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청소년활동론(2020)10.05.hwp

닫기

청소년수련활동론(청소년활동론)

청소년의 개념

ㅇ 역사적으로 청소년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음.

ㅇ 농경사회에서는 어른 아니면 아이였고 청소년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음. Neil Postman(1994)청소년기의 소 이라는 저서에서 청소년기는 18세기 이후에 생성된 개념 이라고 주장함.

ㅇ 청소년의 개념은 사회, 문화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상이하 게 정의되고 있는데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청소년기는 짧 을 수도 있고, 길 수도 있고,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 다고 봄.

ㅇ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분야에서는 먼저 그 인간이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함.

1. 어원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영어권에서는 청소년을 나타내는 용어로 teenager(십대), puberty(사춘기), juvenile(어린아이, 청소년)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adolescentyouth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구분은 다음과 같음.

adolescent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

성장하다(to grow up),

성숙에 이르다

(come to maturity)의 뜻

youth

ㅇ 인간발달론적 관점

ㅇ 생리학적 발달국면 강조

ㅇ 과도기적 특성

ㅇ 유보된 시민권 강조

ㅇ 사회심리적 관점

ㅇ 사회심리적 생활국면 강조

ㅇ 고유한 청소년기 특성 강조

ㅇ 청소년의 인권, 책임 강조

우리나라에서는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youth에 무게 중심을 둠.

청소년백서(youth white paper), 청소년복지(youth welfar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 사회통념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는 소년, 소녀, 미성년, 중 생, 10대, 1318, 1315(별칭B세대)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어원적이라기보다는 발달적 제도적 성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관행화된 성격이 짙음.

3. 발달론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의 정의에 대한 발달론적 접근은 주로 발달심리학과 의학 등의 연구성과에 기초함.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을 태아기-영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 -중년기-장년기-노년기 등의 9단계로 구분하고 있음. 청소년기는 인간발달의 초기단계에 해당되며, 인간을 성년(성인)과 미성년으로 구분할 때 분기점이 됨.

4. 법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에 대한 법적 정의는 그 나라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 또한, 국가의 정책이나 제도는 법적 근거가 있어야 비로소 공식적 제도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 대한 법적 정의는 매우 실제적 의미를 지님.

<청소년관련법에서의 청소년의 호칭과 연령>

법 률 명

호 칭

연령구분

아동복지법

아동

18세 미만인 사람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

청소년활동진흥법

청소년

청소년복지지원법

청소년

청소년보호법

청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아동청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소년법

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민법

미성년자

19세 미만의 자

형법

형사미성년자

14세 되지 아니한 자

근로기준법

연소자

15세 미만인 사람 * 취직인허증(고용노동부 장관 발행)

청소년기의 특성

청소년기는 부모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해당함. 이 시기는 의존적인 아동기와 독립적인 성인기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공유하여 아동도 성인도 아닌 양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주변인(marginal man)으로서의 특질을 갖는 시기임.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기는 제2의 탄생기, 부적응 시기, 제2의 반항기, 질풍노도의 시기라고도 함.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특성을 신체·생리적 특성,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 신체·생리적 특성

첫째, 호르몬의 변화. 청소년기는 그 어떤 시기보다도 안드로겐 (androgen, 남성호르몬)과 에스트로겐(estrogen, 여성호르 몬)이 왕성하게 분비되는 시기.

둘째, 신장과 체중의 증가. 청소년기는 유아기 이후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가장 왕성한 신체적 발육이 일어나는 시기로 서 남녀 모두 신장과 체중이 급격히 증가함.

셋째, 성적 측면의 성숙. 1차적으로 남녀를 구분하는 1차 성징 은 청소년기 이전에 부분적으로 완성되지만, 청소년기에는 성인과 같은 생식능력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남녀를 구분 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2차 성징들이 나타나게 됨.

넷째, 뇌 발달과 구조의 변화.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뇌의 변화 는 청소년의 인지, 행동에 영향을 미침. 과거 학자들은 뇌 세포의 증식과 발달은 생후 첫 18개월까지만 일어난다고

생각하였고 따라서 청소년의 뇌는 성인과 동일하다고 생각 해 왔음. 그러나 최근 뇌 과학의 발달로 청소년의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뇌 활동이나 구조가 성인의 뇌와 다르 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음.

2. 인지적 특성

Piaget의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기는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함. 이 시기는 눈앞의 현실세계를 뛰어넘어 자신이 경험해 보지 못한 이상이나 가능성의 세계, 추상적인 것에 대한 사고가 발달하게 됨. 이러한 인지 발달은 청소년의 심리와 행동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침.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 출생 ~ 2유아의 반사적 감각

2. 전조작기: 2 ~ 7직관적 사고단계

* 조작: 정보의 전환을 이해하는 정신 능력. 즉, 처음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능력

* 전조작기: 논리적 조작이 불가능한 시기

3. 구체적 조작기: 7 ~ 12비논리적 사고에서 논리적 사고로 전환

4. 형식적 조작기: 12 ~ 15지각이나 경험보다 논리적 원리의 지배, 추상적 사고, 과학적 사고

첫째,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이 형성, 발전하는 동시에 정체 감 형성의 위기를 경험함. 자아정체감은 전 생애에 걸쳐

인간이 획득해야 할 발달과업인 동시에 청소년기의 중요한 과업임. 성공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은 자신과 타인에게 신뢰 감을 주고, 정신적 안정감을 주며, 삶의 가치를 명료화하게 함. 그러나 자아정체감 형성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미래의

전망에 대해 불안해지며 이에 대처할 자신의 잠재력에

확신을 갖지 못하게 됨.

둘째, 자기중심적임.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은 가상청중(상상속 의 청중,imaginary audience)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로 나타남.

가상청중(상상속의 청중)이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과장된 자의식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함.

개인적 우화란 청소년이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경향을 말함. 즉, 청소년 스스로가 자신은 어떤 행동을

해도 무방하다고 여기고, 주변에 모든 사람들이 이해해 줄 것이라고 믿는 경향임. 예를 들면, 청소년들이 성관계를 할 때 자신에게는 임신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임신의 위험에서 자신을 제외시키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 함.

셋째, 도덕성의 발달. 청소년기의 도덕적 사고와 행동은 아동기 와는 질적으로 다르며 그들의 인지적 성숙과 사회·환경적 역할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됨.

넷째, 사회적 이해력이 발달함으로써 자신이 경험하지 않았더라 도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느낌을 정확하게 파악 하게 되고 더 나아가 상대방의 감정이나 느낌을 그대로 느끼기도 함.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됨.

3. 정서적 특성

첫째,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예민함. 사소한 일에 예민하고

쉽게 우울하며 낙담에 빠지며, 화를 잘 내기도 하고,

불안정하게 보임.

둘째, 수줍음이 많음. 지나치게 남을 의식하기 때문에 마음과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특히 이성 앞에서 부끄러움을

많이 느끼고, 종종 수줍음을 감추기 위해 겉으로는 과장된 행동을 보이기도 함.

셋째, 열성적이며 호기심과 모방성이 강함. 어떤 일에 쉽게

흥분하며 현실감을 잃고 곧잘 열중해서 그 일에 빠지는

경향이 있음. 또한 자신의 관심사를 가정에서 지역사회로 확대시키기 시작함으로써 귀가시간이 늦고 외출이 잦으며,

특히 우상을 만들어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경향이 있음.

4. 사회적 특성

첫째, 부모로부터 개별화되고자 함. 개별화란 청소년이 부모와 정서적인 유대를 지속하면서 자신을 부모와는 다른 독특한 한 사람의 인격체로 인식하고 경험해가는 심리적인 과정임. 이러한 영향으로 애착대상이 부모에서 친구로 바뀌며 부모와는 상이한 가치관이나 생각들을 하게 되고 그것을

내면화하게 됨. 이런 청소년들의 개별화 노력은 성인으로 독 립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임. 때로는 이러한

개별화 과정에서 부모와의 갈등이 증폭될 수 있음.

둘째, 동성이나 이성친구 등 또래집단(peer group)에 몰입함. 청소년 이전 시기부터 또래관계는 유지되어 오지만 청소년 기에 들어서는 그 이전과는 구별되게 심리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가 매우 깊어지고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이처럼 비슷한 발달단계에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있는 또래와의 관계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 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심리적·사회적 지지를 얻게 됨.

제1장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청소년개발의 원리

1. 서론

ㅇ 청소년활동은 우리나라 청소년분야의 형성과 발전의 역사를 통해서 그 성격을 특징짓는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자리매김함.

ㅇ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

청소년분야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청소년활동은 그 중심내용 임.

2. 청소년활동의 개념적 이해

ㅇ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ㅇ 청소년활동을 광의적으로 보면 청소년들의 삶 자체,

협의적으로 보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신체 중심의

프로그램 참가활동.

ㅇ 청소년활동에 대한 법적 개념과 분류

1991년 청소년기본법에서의 청소년활동

2004년 청소년관련법 정비 이후의 청소년활동

고유활동 영역: 학교·직장·복무처를 중심 으로 이루어지는 학업·근로·복무활동 영역

수련활동 영역: 생활권이나 자연권에서 심신단련·자질배양·정서함양·사회봉사 등 배움을 실천하는 체험활동 영역

임의활동 영역: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자유활동 영역

수련활동,

교류활동,

문화활동

ㅇ 청소년정책의 흐름과 변화과정에서 본 청소년활동

- 당초 일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요보호청소년을 위한 복리 적 서비스와 비행을 범한 청소년에 대한 선도 및 교화 중심 의 내용.

- 현재 모든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 고, 그 핵심에는 청소년활동이 자리 매김되고 있으며, 참여 와 권리, 청소년의 역량 개발이 중요한 내용임.

ㅇ 2019년 12월 말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주무 부서의 업무를 기준으로 보면,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른 청소년수련활동, 청소년문화활동, 청소년교류활동을 중심으로 참여활동, 진로 개발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청소년역량개발을 위한 정책기 반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활동정책을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음.

- 청소년활동의 진흥과 기반에 관한 기본 업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및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17개 시· 도)의 청소년활동의 지역전달체계 업무, 방과후 활동에 관한 업무, 청소년수련활동 관련업무(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국제 청소년성취포상제 등 프로그램 보급 및 평가), 여가 및 문화 예술 체험, 축제와 동아리, 활동정보 제공, 청소년지도자 및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수련지구 및 수련시설 등에 관한 업무

- 청소년 권리증진을 위한 정책과 지원기능을 중심으로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의 정책참여 활동, 자원봉사활동,

진로개발활동 등

- 청소년교류활동을 중심으로

청소년국제교류활동, 교포청소년 및 남북 청소년교류, 국제 청소년축제 등 제반의 교류정책 업무가 수행되고 있음.

청소년 참여기구: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3. 적극적 관점에서의 청소년활동의 이해

ㅇ 청소년활동이란 청소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개인적

또는 사회적 가치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정신적·신체적 행위 일반을 지칭함.

ㅇ 선진국에서는 청소년활동을 청소년서비스(youth service) 는 영역으로 관장하고 있으며, 청소년활동을 수행하는 관련 기관, 협회, 조직, 관련사업 및 청소년지도자를 총칭하여

청소년부분(youth sector)로 지칭.

ㅇ 청소년업무의 중요한 역할(3가지 측면)

직접적 서비스 역할: 청소년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당면 한 문제를 직접 해결해 주는 역할. 건강, 보건문제, 빈곤문 제 등을 해결해 주는 일과 카운슬링 등을 통해 고민을

해결해 주는 일 등.

발달적 역할: 청소년을 정서적·경제적·사회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미래의 바람직한 성인으로 발달시 키며 준비시키는 일. 여기에는 교육 기회와 직업훈련 기회 를 제공하고, 단체활동을 통한 사회적응력을 함양시키는 일 등이 포함됨.

사회변화적 역할: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 여건을 개선하고, 사회적 변화를 유도하는 일. 여기에는 유해환경을 제거하거 나 실업문제를 해결하는 일,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를 개선 하는 일이 있음.

ㅇ 청소년활동의 세 분야

사교와 여가분야: 유기적 청소년활동 영역으로 분류함.

청소년들의 자연스러운 사교활동이나 스포츠 및 취미활동 이 포함됨.

개인 및 사회적 발달분야와 복지분야: 전문화된 청소년

활동 영역으로 분류함.

- 개인 및 사회적 발달분야: 청소년 개개인의 사회적응능력 함양, 자아실현을 촉진시키기 위한 제반 활동, 지역사회 의 발전과 관련제도 및 구조개선을 통한 청소년의 권리 신장을 도모하는 다양한 활동.

- 복지분야: 문제에 처한 청소년들이나 청소년집단을 대상 으로 행해지는 지원적 성격의 활동과 관련한 사회사업, 개인 및 가족치료 중심의 케이스워크, 카운슬링 등의

활동.

인격형성, 정치화, 구제분야: 운동중심 청소년활동으로

분류함.

- 인격형성: 훈련을 통해 청소년에게 사회규범에 부합하는 품성, 가치관 형성을 위한 리더십 훈련이나 집단활동 등 제반 정신교육과 훈련들을 의미.

- 정치화: 청소년에게 정치적 이해와 행위능력을 향상시키 며, 세계정세와 사회변화의 안목을 키우는 활동.

- 구제: 주로 종교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로서 개인 의 내면적 성향과 정서를 중심으로 사상적 개조나 도덕 적 무장을 강조하는 활동.

4. 청소년역량개발과 청소년활동

ㅇ 역량의 개념

- 일반적으로 역량은 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적(잠재적)인 특성으로 McClelland(1973)

의해 처음 소개.

- McClelland의 정의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평균적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에 중점을 둠.

- 역량의 사전적 의미는 적절하거나 뛰어난 자격을 갖춘

상태나 질또는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나 그 능력의 정도를 말함.

- 학력과 역량의 개념을 비교하면, 학력이 학교의 교육과정 에 근거하여 무엇을 배웠는가에 근접한 개념이라면,

역량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 지는 지적 능력 이상의 복합적인 능력으로 행동능력 강조하는 개념.

-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역량

· 거시적 관점의 역량: 조직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기업

전략 관점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개념으로 조직이론과

경영전략에 바탕을 두는 개념.

· 미시적 관점의 역량: 개인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도 록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는 조직 심리학이나 산업 심리학 에 바탕을 두는 개념.

ㅇ 역량(competence)에 대한 개념 정의는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7가지가 중요하 게 논의됨.

첫째, 시민적 역량(civic competence): 청소년이 민주시민으로 서 사회적 선을 위하여 타인과 협력하고 공동체 구성원 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역량.

둘째, 사회적 역량(social competence): 주변 사람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의사결정기술, 대화

기술, 책임성, 헌신적 참여, 갈등해결능력 등을 의미.

셋째,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집단 간 또는 개인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경제적 배경과 흥미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할 뿐 아니라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 하는 것.

넷째, 신체적 건강(physical health): 영양섭취, 다이어트,

운동, 피임, 위험행동 등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

다섯째, 정서적 건강(emotional health): 자신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고, 주변의 다양한 상황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뿐 아니라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역량.

여섯째, 지적 역량(intellectual competence): 학교교육, 그 밖 의 교육기관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기초지식, 비판적 사 고,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습득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

일곱째, 취업능력(employ ability): 자신이 원하는 진로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춘 역량.

ㅇ 청소년역량개발의 핵심요소

- Little(1993)의 견해

생활기술(life skill)역량의 개발

성인지도자와의 연결(멘토링, 튜토링, 지역사회봉사,

지도력 개발)

인격함양(의사결정, 가치, 정직성, 고결성)

자신감 개발(희망과 자존감, 목표설정과 부합)

- Delgado(2002)의 견해

건강

정서

사회적 역량

인지적 역량

도덕적 역량

영적 역량

5. 청소년개발적 접근의 의미

ㅇ 적극적 관점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접근은 기존과 다른,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이론적 기반을 요구함.

ㅇ 청소년개발에 따른 활동프로그램의 세 가지 기준

첫째, 비학술적 초점을 가진 학구적 주제를 제공할 것.

둘째, 활동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의 사용.

셋째, 유능성의 증진.

Zeldin, Kimball, Price가 제시한 적극적 관점에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기준

다른 사람의 복지에 기여하는 지역사회봉사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계획하는 일.

새로운 유능성을 획득하고 그것들과 새로운 역할을 적용 하거나 실천할 수 있는 것.

그들의 경험을 학교에 연결하는 것.

성인, 가족 및 비가족적 그리고 동료들과 밀접히 그리고 협동적으로 일하는 것.

적절한 과업과 결과를 가진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

ㅇ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역량개발 활동의 기본 특성

기존의 접근에 따른

청소년활동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역량개발 활동

문제 중심

자산과 역량 중심

일시적 제공

지속적 전개

힘의 불균형을 재강화

힘 관계의 균형 유지

소극성의 증진

역량과 주도성의 증진

전문지도자에 의존

동반자관계에 의존

청소년은 문제를 가짐

가능성에 대한 상호적 소유감

청소년은 의존적

상호 이해관계가 같은 사람들을 연결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재능을 사용

재능과 자극을 능력으로 받아들임

없는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

가능한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

주기를 원함

구축하기를 원함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으로 믿음

우리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물음

현재의 조건 유지

현재의 조건을 변화

서비스를 받음

새로운 기술을 획득함

6.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원리와 개념

ㅇ 지난 20여 년간 학자들의 관심은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초점 을 맞춘 경험적이고 이론적인 문제중심적 관점(결함모델)에 대한 비판에서 긍정적 청소년개발(PYD: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관점으로의 변화에 초점을 둠.

PYD관점은 청소년발달에 대한 이전의 결함모델과는 대두 됨.

결함모델에서는 청소년들을 관리될 문제로서 받아들여졌지 만, PYD관점은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성공적 발전을 위한 잠재성을 강조.

ㅇ 청소년 및 청소년분야를 보는 관점

- 문제중심적 관점: 청소년을 사회적 지위나 역할의 관점에 서 보기보다는 하나의 인간발달적 시기로 보는 관점.

- 예방적 관점: 문제중심적 견해들이 비판되면서 강조되기 시작한 것으로 문제가 생기고 난 뒤에 해결하려고 애쓰기 보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보다

비용 효과적이고 또 효율적일 수 있다는 관점.

- 청소년개발적 관점: 예방적 관점에서 나아가 문제가 발생 하거나 위기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긍정적 발달과 청소년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하 는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관점.

ㅇ 발달심리학은 물론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삶의 질, 심리적 안녕(wellbeing), 가족지지(family support)운동, 자산중심(asset-based)지역개발 등과 관련한 학문적 또는

실제적 발전에 주목하고 있음.

* Saleebey(2005)의 강점관점의 본질

3P: promise(가망성)

possibility(가능성)

positive expectation(긍정적 기대)

3C: competence(역량)

capacities(능력)

courage(용기)

3R: resilience(회복탄력성)

reserve(준비성)

resource(자원)

* 전 미국대통령 조시부시 2세의 자서전

A charge to keep“3F

- Faith(시간이 소중하다는 믿음)

- Family(가족의 소중함)

- Friend(친구의 조언과 충고)

ㅇ 지난 수십 년간 전개되어 온 청소년에 대한 결함 관점과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한 비판은 점차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대안적 접근법을 인식함.

특히, 레질리언스(resilience)와 청소년개발의 개념은 아동과 청소년들이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매김됨.

ㅇ 청소년개발의 관점(시각)은 청소년은 관리될 수 있는 문제로 서가 아니라 개발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함.

청소년에 대한 시각

기존 시각

청소년(역량)개발적 시각

- 대상: 청소년은 성인사회 와 구별되는 별도의 대상.

- 문제: 청소년은 문제를

가진 집단.

- 수혜자: 청소년들은 성인 들로부터 치료와 통제, 교 육, 지도를 받아야 하는 집단.

- 자원: 청소년은 무한한

잠재력과 실천력을 가진 사회의 귀중한 자산.

- 생산자: 청소년은 가치있 고, 필요하고 존경받을

만한 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존재.

- 시민(사회구성원): 청소년 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역 사회에 책임과 의무, 권리 를 가진 존재.

ㅇ 서치연구소에서 지난 10여 년간 연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더 많은 발전자산을 경험할수록 위험성 많은 행태들에 그

만큼 연루될 가능성이 더 적으며, 긍정적으로 처신하는 일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음. 발전자산은 20개의 외적 자산20개의 내적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외적자산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것이며, 내적자산은 개인적 요인과 관련된 것임(교재PP. 22∼24).

7. 청소년개발의 작용체계와 다섯 개의 C

ㅇ 청소년개발의 작용체계

(ⅰ) 배경부문: 청소년개발의 투입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서 경제적 요인, 자원요인, 리더십, 국가정책 등이

포함.

(ⅱ) 투입부문: 청소년개발이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장으로서

프로그램, 조직, 사회화 제도, 지역사회 등으로 유형화됨.

(ⅲ) 긍정적 발달 촉진요인: 청소년이 프로그램, 조직, 사회화 제도, 지역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중간물로서 소속감, 연대성, 지지 획득, 정체감, 효능감,

유능감 등이 포함됨.

(ⅳ) 결과부문: 청소년개발의 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단기적, 장기적 결과를 말함. 단기적 결과는 청소년기의 위험행동 을 감소시키고 발전적 행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의미하 며, 장기적 결과는 성인기의 위험 등을 감소시키고 발전적 행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의미함.

PYD관점의 핵심적 특질에 해당하는 다섯 개의 C

- 역량(competence)

- 자신감(confidence)

- 연결(connection)

- 성격(character)

- 돌봄(caring)

여섯 번째 C인 기여(contribution) 추가, 즉 자기 자신,

가족,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에 대한 기여를 강조한 것.

청소년 리더십, 사회봉사경험, 남을 돕는 행태 및 이데올 로기 등과 관련됨.

제2장 지역사회의 개념과 청소년개발 전략

1. 서론

ㅇ 한 개인이 사회적인 인격체로서 완성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사회화(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체득하는 ) 과정을 거쳐야 함.

ㅇ 사회화의 유형 중에서도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 지는 일련의 사회화 과정은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

ㅇ 지역사회는 가장 직접적인 생활의 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일정한 문화와 행동양식을 공유하기도 하며, 전통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시대적인 사회변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잉태하는 교화(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 아가게 함)기능을 갖기도 함.

2. 지역사회의 개념과 중요성

사회에 관한 개관

1. 사회의 정의

ㅇ 사회란 사람과 사람과의 인간관계이며, 인간의 공동적인

행위체계로 정의할 수 있음.

ㅇ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란 일정한 경계가 설정된 영토 에서 종교·가치관·규범·언어·문화 등을 상호공유하고 특정 한 제도와 조직을 형성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성적 관계를 통하여 성원을 재생산하면서 존속하는 인간집단을 말함.

2. 사회와 관련된 학설

(ⅰ) 사회유기체설: 사회는 생물체와 마찬가지로 내적 분화

과정을 통하여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는 것임. 생물체의 구 성 요소를 세포, 조직, 기관으로 구분하고, 사회는 개별성 원, 가족, 조직과 집단을 유기체에 대응시켜 설명하고 있음.

(ⅱ) 구조기능론: 사회를 체제(system)로 보고 있음. 사회는 정치, 경제, 문화, 가치의 4개의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고 보며, 각각의 하위체계는 적응, 목적성취, 통합, 질서

관리 및 재생산이라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봄.

(ⅲ) 갈등이론: 사회집단 내부와 집단 간 진행되는 권력적

갈등현상이 사회의 동력으로 봄. 지배자와 피지배자, 지배 집단과 피지배집단을 사회의 기본적 구성요소로 봄.

3. 사회의 유형

(ⅰ) 성원의 재생산과 성적관계를 기준: 부계사회와 모계사회

(ⅱ) 규모의 정도와 분업의 발전수준: 단순사회와 복잡사회

(T. Parsons)

(ⅲ) 제도와 규범의 발전수준 및 내용을 기준: 군사형 사회와 산업형 사회 (H. Spencer)

(ⅳ) 본질의지와 선택의지를 기준: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F. To˝nnis)

(ⅴ) 인간관계와 분업적 질서의 특성: 기계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와 유기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Durkheim)

(ⅵ) 재산의 소유 형태를 기준: 자본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사회 (K. Marx)

지역사회의 개념

ㅇ 사회과학에 나타나고 있는 지역사회에 관한 정의는 무수히 많으나 지역사회라는 개념에는 다음의 두 가지 속성이 있음 을 보여주고 있음. 하나는 물리적 지리성 및 지역적인 경계 를 가지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적 혹은 문화적인 동질 성, 합리성, 자조성 또는 다른 형태의 집단행위와 상호작용 을 갖는다는 것임.

지역사회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는 이상의 두 가지 속성 중 어느 것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에 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

(ⅰ) 지리적인 의미의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개념에서 지역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것으로는 파크와 버제스(Park & Burgess, 1921)의 정의를 들 수 있음. 이들에 따르면 지역사회라는 용어는 한 지역을 구성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의 지리적 분포 라는 견지에서 고려될 수 있는 사회와 사회집단에 적용된다. 모든 지역사회는 사회이지만, 모든 사회는 지역사회가 아니 라고 주장함.

(ⅱ) 사회적 동질성을 띤 지역으로서의 지역사회: 이 개념에서 는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합의성, 일체감, 공동 생활양식, 공 통적인 관심과 가치 그리고 공동 노력이 강조됨. 즉, 지역사 회라고 하는 것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사회적 특성을 지닌 독립적인 지역이라고 보는 견해임.

대전 지역을 예로 들면, 둔산 지역은 신흥 개발지역으로,

이기적인 성향이 있으며, 유성 지역은 외지인이 많고, 개방적 인 성향이 강하며, 산내 지역은 도농 복합지역으로, 인심이 좋고, 구도심 지역은 대전 토박이가 많이 살고, 보수적인 성 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임.

(ⅲ) 지리적 및 사회적 동질성을 동시에 강조하는 지역사회:

지리적인 특성과 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동질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념은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학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히이로니머스(Hieronymus, 1917)지역사회라고 하는 것 은 다소간 잘 짜여지고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공 동 관심사를 위해서 함께 행동하게 되는 일단의 사람들로 구 성된다고 함으로써 지역성과 상호작용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음.

ㅇ 사회집단을 일차적인 기본생활 집단과 이차적인 사회생활 집단으로 구분

- 일차적인 기본생활 집단: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신 의 의지와 무관하게 살아가는 부모와 형제자매, 친척, 가족 이 포함됨.

- 이차적인 사회생활 집단: 한 개인이 가족에서 벗어나

학교, 사회생활 그리고 종교 활동 과정에서 접촉하게 되는 자신의 동료집단, 교사, 이웃주민, 사회동료 등이 포함됨.

지리적인 지역사회(geographic community): 지역 중심의 인간집단.

기능적인 지역사회(functional community): 복지, 농업, 교육, 종교 등에 있어서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집단.

ㅇ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을 명료하게 하기 위한 전제조건

첫째, 지역사회는 사람을 포함하고 있어야 함.

* 속인주의: 부모의 혈통에 따라 국적을 취득하는 혈통주의.

(영국, 독일, 한국, 일본 등)

속지주의: 출생지주의라고도 함. 출생지에 따라 국적을

취득함. (미국, 캐나다 등)

둘째, 장소 혹은 지리적 영역.

셋째, 사회적 상호작용.

넷째,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 소속감, 심리적 유대감.

ㅇ 지역사회의 개념 정의에 대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지역사회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일정한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공간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성장과정에서 해당지역의

다양한 시설 및 기관들을 포함하여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갖게 되는 소속감, 애착심과 같은 공동의 심리적 유대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장소라고 정의할 수 있음.

ㅇ 최근 들어 급속한 사회의 변화가 진전되면서 지역사회에

관한 전통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의 및 재구성 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첫째, 장소에 대한 공간적 개념은 교통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 의 활동 반경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지역에 대한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져 가고 있음.

둘째, 지역사회(community)라는 의미는 국가 간의 개방화가 현실화되어 이미 지구촌시대로 불리는 오늘날에 있어서 특정의 지역이나 국가의 의미는 다소 희미해져 가고 있 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국적 조직이나 다국적 기업이 생겨나는 추세에 있음.

셋째, 지역사회가 전반적으로 도시화되어 감에 따라 주민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에 있어서도 지역적인 특성이나

정체성을 구분하기가 매우 모호해지고 있음.

3. 바람직한 지역사회가 지녀야 할 특성

1) 건전한 청소년육성을 위한 구성요소

국가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지역주민 모두가 건전한 청소년육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제2호에 명시된 청소년육성의 의미

청소년육성이란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고 청소년복지를 증진며 근로청소년을 보호하는 한편, 사회여건과 환경을 청소년에게 유익하도록 개선하고 청소년을 보호하여 청소년에 대한 교육을 보완함으로써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돕는 것을 말한다.

첫째, 일차적으로 청소년들을 지역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아로서가 아닌 투자해야 할 가치를 지닌 현재 혹은 미래의 자원으로 인식해야함.

둘째,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측면의 잠재력 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청소년들을 지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협의체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 여 지역 주민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셋째, 지역사회 청소년육성을 위한 인적 구성, 시설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한 많은 주변 요소들에 대한 체계 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함.

넷째, 주5일제의 전반적인 실시에 걸맞게 청소년들과 가족들 의 활동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함.

다섯째,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혹은 집단적인 발전을 강화시키 기 위하여 소속감을 높이고 구성원 각자의 다양성 존중 을 바탕으로 하는 강한 자아정체감 확립방안이 강구되어 야 함.

여섯째, 긍정적인 청소년개발사업의 결과를 확산시킬 수 있는 정책, 실천 그리고 우선순위 결정 등과 같은 일련의 정책 들이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면서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함.

ㅇ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개발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삶의 기회를 장기적으로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것임.

첫째, 경제적으로 자립을 이루는 것.

둘째, 화목한 가정 유지와 사회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위하여 청소년들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성장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보호자, 친척 및 동료들과 적극적이며 호의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함.

셋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헌을 기대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지역사회를 위한 환경지킴이, 특산품에 대한 마케팅, 다양한 전통문화 계승 및 문화행 사 참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2) 지역사회 생산적인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

ㅇ 지역사회의 생산적인 네트워크는 지역사회의 의사결정,

정보의 흐름, 자원의 배분 등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

* 네트워크 구축의 전제조건

- 정보교류

- 신뢰

- 수평적 관계

* 의사결정의 5단계

(ⅰ) 문제 규정

(ⅱ) 문제 분석

(ⅲ) 여러 가지 대안적 해결책 모색

(ⅳ) 최선의 해결책 결정

(ⅴ) 결정을 효과적 행동으로 전환

ㅇ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역적 네트워크의 가장 큰 문제는 수직 적, 폐쇄적, 하향적 그리고 행정 중심적 속성에 있음. 이러한 네트워크가 수평적, 개방적, 상향적 그리고 민간 중심적인

성격으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함.

ㅇ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 및 단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 이션 구조도 하향식(top­down)에서 탈피하여 동등구조 혹은 상향식(bottom-up)으로 과감하게 전환하고,

운영상의 민주적인 절차와 의사결정 및 재정관리의 투명성을 유지함으로써 진정한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음.

그림2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의 핵심적 네트워크 참조

Betts(1996)는 시민사회를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미시적

협력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발적이고 협력적이며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으로 규정함.

사회적 자본은 공동의 이익을 위한 조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네트워크(networks), 규범(norms), 신뢰(trust) 등과 같은

사회 조직의 특성들로 구성됨.

ㅇ 사회적 네트워크는 동일한 분야에 관심과 전문성을 가진

집단들로 구성되고 있으며, 수직적 측면보다 수평적 성격이 강하고, 인적 개방성이 매우 높은 경향이 있음.

ㅇ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학연이나 지연과 같은 연고적 연결 고리에 의존하는 수직적 사회관계는 지역사회의 현실을 구성 하는 지배적인 측면임을 부정할 수 없음.

지방화 시대의 전개와 더불어 수직적 사회관계와는 다른

새로운 시민사회의 연결고리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

우리나라 지방자치 역사의 개요

1949. 7. 4 - 지방자치법 제정·공포

1949. 8. 15 – 지방자치법 시행

1950. 12 - 지방선거 실시 예정이었으나 한국전쟁

으로 연기

1952. 4. 25 – 최초 지방선거 실시

(미수복 지역과 지리산 지역은 제외)

1961. 5. 16 – 지방선거 중단(군정포고 제4호)

* 30년간 지방자치 중단

1991. 3. 27 – 지방선거 실시(지방자치 부활)

* 현재 지방자치 민선 7기 시행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비고

주민자치

단체자치

민주주의의 원리를 표현

지방분권의 원리를 표현

지방자치단체 안에서 주민과의 관계에 중점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와의

관계에 중점

주민의 권리를 중시

단체의 권리를 중시

자치권을 주민이 인정한 것으로 간주

자치권을 인정한 주체를

중앙정부로 간주

·미에서 발달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에서 발달

4.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

청소년정책에서나 단체의 활동 운영목표를 보면 전반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고, 청소년시설과 단체는 규모 중심이 아닌 서비스중심으로 변모해가고 있음.

* 정책: 문제해결, 공익달성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음.

예를 들면,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문제해결과 공익달성이라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으며, 청소년정책은

청소년과 관련된 문제해결과 공익달성이라는 성격이 있음.

청소년정책이 국가정책의 하나로 대두되면서

현재 시행중인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8∼2022)

에서도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라는 정책목표 아래

- ‘청소년활동 및 성장지원 체계 혁신

-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

- ‘지역중심의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강화라는 중점과제가 제시되어 있음.

* 중앙정부의 청소년정책 : 여성가족부 중심

지역중심의 청소년정책(대전을 기준) : 청년가족국

교육청소년과 중심(2020. 7. 1 ∼ )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개요

제1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3~1997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 문화체육부

제2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8~2002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 - 문화관광부 청소년에 대한

시각 변화

제3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2003~2007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 국가청소년위원회

제4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08~2012

(이명박 정부) - 보건복지가족부/여성가족부(2010. 3. 19)

제5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13~2017

(박근혜 정부) - 여성가족부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18~2022

(문재인 정부) - 여성가족부현재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8∼2022) 개요

ㅇ 정책비전: 현재를 즐기는 청소년, 미래를 여는 청소년, 청소년 을 존중하는 사회

ㅇ 정책목표(4대 목표)

- 청소년 참여 및 권리증진

-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 청소년 자립 및 보호지원 강화

-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혁신

ㅇ 중점과제(12개 중점과제, 144개 세부과제)

1. 청소년 참여 확대

2. 청소년 권리증진 기반 조성

3. 청소년 민주시민 성장 지원

4. 청소년활동 및 성장지원 체제 강화

5.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

6. 청소년 진로교육 지원 체제 강화

7. 청소년 사회안전망(CYS-net) 확충

* Community Youth Safety - net

8. 대상별 맞춤형 지원

9.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 및 보호지원 강화

10. 청소년정책 총괄·조정 강화

11. 지역 중심의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강화

12. 청소년지도자 역량 제고

ㅇ 지역사회생활의 범주에서는 정부의 생활권 내 각종 청소년

수련시설의 보급을 위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특화시설 등)을 통한 활동, 청소년단체 나 종교단체에서 주관하는 단체활동, 동아리활동 그리고 비조직 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여가활동 등이 여기에 해당함.

* 자연권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ㅇ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이 거주하는 종합적 생활공간으로 전체 사회구조라는 거시적 공간에 둘러싸인 지역사회의 환경과 그 안의 가족, 학교, 또래집단 등이 존재함.

ㅇ 이러한 지역사회의 제반 환경은 청소년들에게 위험요소이기 도 하고 때로는 보호요소가 되기도 함. 지역사회가 청소년 개개인을 위협하는 여러 위험요소에 능동적으로 잘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는냐에 따라

청소년의 문제를 유발시키는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Blun(2002)은 지역사회는 그 자체가 생태학적 관점에서

개인, 학교, 가족, 또래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양면성에 따라 문제가 확대되거나 아니면 청소년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가를 결정해 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음.

ㅇ 향후 청소년정책의 접근은 지방분권화에 의한 지역중심의 현장과 실천위주의 청소년정책이 될 필요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함.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의한 지역중심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청소년 지원과 서비스를 확대해야 함.

청소년사업공모제 등을 통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청소년

기관·단체 및 시민단체의 참여유도 및 내실화를 기해야 함.

지역사회 중심의 건전한 사회 환경 조성과 기회 확대를 위한 청소년과 함께하는 사회공동체 형성을 추진해야 함.

* 중앙집권화: 효과성 중시 - 하향식(top­down)

지방분권화: 민주성 중시 - 상향식(bottom-up)

5.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들과 성인들 간의 파트너십 전략

1) 성공적인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 프로그램 개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요소

- R. Perlman & A. Gurin

(ⅰ) 일의 내용(working)

(ⅱ) 자원(resoures)

(ⅲ) 가능성(feasibility)

Betts(1996)는 청소년참여의 본질은 성인들과 청소년들

간의 진정한 파트너십(성인과 청소년이 함께 만들어감)에 있 다고 보았으며, 청소년참여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청소년들은 중요한 의사결정에 책임이 있음.

청소년들은 그들의 참여 결과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실행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

청소년들과 관련된 활동들은 청소년들과 지역사회의 실질 적인 이슈들과 요구들에 중점을 두어야 함.

청소년들과 성인들 각자가 필요한 역할과 협력관계를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

청소년들은 성인들과 동등한 수준의 단체 및 조직을 유지 해야 함.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많은 활동들은 그들이 성공을

확신할 수 있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어야 함.

지역사회의 자문위원회 등과 같은 조직은 성인들과 청소 년들이 같은 숫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시너지(synergy)효과를 경험할 수 있음.

청소년활동의 초점은 지역사회 차원에 두어야 함.

청소년들이 자신의 임무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규칙적인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2) 청소년 참여기회 확대를 위한 접근방안

ㅇ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청소년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미국의 청소년정책과 실천 기조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음.

대표적인 이슈들 중에서 결함(deficits)이라는 용어가 자산 (assets)이라는 개념으로 그리고 문제중심적 청소년개발 (problem-focused youth development)긍정적 청소년개발 (positive youth development) 시각으로 바뀐 것이 커다란

변화임.

ㅇ 미국의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정책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960년대: 청소년을 심각한 문제집단으로 규정하는 분위기 였으며, 정책의 초점은 학교중퇴, 가출, 미혼모, 청소년 학대, 청소년 범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공적 기관과 단체들의 역할 강조.

- 1970년대: 문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 복지센터 설립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는 불우한 처지에 놓인 청소년에 관심을 둠.

- 1980년대: 문제발생에 대한 사전예방 차원에 초점을 둠.

접근방식에 있어서 같은 문제를 가진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와 포괄적인 예방대책에 대한

주장도 점차 확대됨.

- 1990년대: 청소년개발 사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 시기. 청소년들이 단순히 프로그램 속에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생겨났으며, 청소년개발을 위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해야 한 다는 주장이 현실적인 공감대를 얻게 됨.

ㅇ 지역사회의 효과적인 청소년개발 프로그램에서 고려되어야 할 구체적인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긍정적인 청소년 개발사업의 방향이 예측 가능하고 목표 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함.

청소년들의 자산(assets)에 초점을 두어야하며, 프로그램의 고안, 실행 그리고 평가(총괄평가, 형성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참여를 중요시해야 함.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적인 상황 의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안전과 접근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주어야 함.

청소년들의 도전의식이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지역

사회 내부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들을 고려해야 함.

다소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며 그리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전체적인 지원체계와의

유기적인 연계성이 필요함.

성인지도자들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

청소년들의 생활기술 개발을 강조해야 함.

프로그램 평가에 역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인권옹호를 위한 관심과 제도적 장치를 통한 실천에 적극 적으로 앞장서야 함.

* 표 1 일반적 접근법과 자산 토대 접근법의 비교(교재 P.46)

6.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정책방향 및 실천전략

1)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에 대한 국제적 시각

ㅇ 일반적으로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이란 인간됨의 향상과 개인적 능력의 신장을 포함하는 일련의 사회화 과정 으로 이해할 수 있음.

ㅇ 청소년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향 및 실천내용을 살펴

보면,

청소년의 인간성을 발전시킴과 아울러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게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 속에서도 기여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사회적 학습과정,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들의 개발을 돕기 위한 환경적 요인 을 재정립해 가는 사회적 노력까지도 포함함.

ㅇ 미국과 서구 유럽 국가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미 20세기 동안 내내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해 왔음.

그 주된 활동은 지역사회 봉사기관, 종교단체 그리고 사회

활동 클럽과 같은 기관 및 단체들이 청소년들에게 교육적,

오락적 그리고 직업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는 국가의 청소년정책에 대한 기본방향을 청소년에게 관심을 전환하여 그들의 미래사회를 책임질 수 있는 미래세대로 양성하며,

청소년관련 기획이나 사업에서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강화되도록 힘써야 한다라고 설정하고 있음.

2) 21세기 바람직한 지역사회 청소년상

첫째, 글로벌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내적으로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이 확립되고, 국제적으로는 글로벌 정보네트

워크체제가 구축됨에 따라 이에 대한 능력을 함양해야 함.

둘째, 전 세계가 다원화, 다양화, 개별화, 분권화 등을 특징으 로 하는 지구촌 문화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세계의식과 공동체의식을 갖춘 인간상이 요구됨.

셋째, 치열한 경제 전쟁의 가속화로 인한 풍요속의 결핍을 경험하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물질에 대한 지나친 소유 욕과 소비를 자제할 수 있는 인간상이 요구됨.

넷째, 고도 산업사회로 인한 환경오염의 위협은 더욱 증가됨 에 따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을 보존하고 이해하며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인간상이 요구됨.

3)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전략

ㅇ 각국의 청소년정책은 긍정적인 인간형성 및 지역사회 중심 의 청소년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추세임.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은 다음과 같은 개념적 요소들을 고려 하여 청소년개발에 힘써야 함.

첫째, 청소년들이 가진 재능, 자신감, 개인적 특성, 상호연관 성 그리고 가정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에 기여 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함.

둘째, 청소년들의 삶을 전체적인 상황 속에서 이해함.

셋째, 모든 사람들이 청소년개발에 대한 각자 다른 견해와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해야 함.

넷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유용한 자원으로서 활용되어야 하며, 청소년들을 중요한 의사결정에 성인들과 동등한

파트너로 참여시켜야 함.

다섯째,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학습활동 및 경제

활동을 지원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그들이 지역사회 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함.

ㅇ 청소년개발은 다음의 원리를 바탕에 두고 실시되어야 함.

청소년 개발사업은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추구하고 제도 적인 틀을 벗어나 긍정적인 청소년개발에 초첨을 두어야 함.

유용한 지식, 정보, 그리고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개인 간 혹은 기관 간의 협력과 파트너십을 증진시킴.

문화, 정체성, 종교, 그리고 사고의 다양성을 존중함으로써 폭넓은 시각을 갖도록 함.

지역사회에서 진행되는 청소년활동에 성인들이 적극적으 로 참여하고 서로 신뢰하며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하도록 함.

청소년개발기관들이 중요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청소년 지도사들의 혁신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가치 있는 파트너로서 전념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임.

3장 청소년 현장 체험학습의 원리와 실제

1. 서론

ㅇ 청소년 현장학습은 기존의 교사 중심의 교실 수업으로부터 벗어나 체험활동을 중시하는 수업방식임.

지식정보화 중심의 현장학습은 다변화되고 가속화된 사회

구조 속에서 학습자들의 독특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됨.

* 지식의 존속기관

구분

농경사회

산업사회

정보화사회

지식정보사회

존속기간

3,000년

300년

30년

3년

자산

토지

노동,자본,기계

정보

지식

인재상

체력인

모범생

세계인

창조인

ㅇ 현장학습 활동에서는 무엇보다도 교사가 학생들의 안전관리 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하며 지나친 통제 위주의 진행으로

현장학습이 지닌 본래의 의미를 구현하기 어려움 것임을

감안해야 함.

ㅇ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책과제와 민간 프로젝트들의 한계는 교육학에서 제시된 학습이론경험학습(현장 체험학습)이론, 구성주의, 동기이론 등)에 근거하지 않고, 일시적인 행사에 기초한 내용이나 진행상의 구성으로 인하여 참가한 학생들에 게 동기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유인력이 미약하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음.

구성주의

(ⅰ) 구성주의의 의미

ㅇ 구성주의는 지식의 인식과 획득에 관한 새로운 관점

이면서 이론임.

ㅇ 구성주의에서 볼 때 지식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에

따라 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임. 예를 들면, 동일한

강의를 듣지만 받아들이는 것은 학생들의 입장에서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임.

ㅇ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삶의 맥락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삶의 맥락이 달라지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구성물임.

ㅇ 구성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지식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객관적 진리성이 아니라 삶에의 적합성이나 유용성임.

ㅇ 이런 점에서 구성주의를 상대주의 인식론 또는 주관 적인 인식론이라고 함.

* 전통적인 지식관에 따르면 지식은 학습자와 별개로

학습자 외부에 객관적인 진리의 형태로 존재함. 따라서 지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절대적이고 불변적인 성격을 가지며, 모든 경우 모든 사람에게 적용됨.

따라서 지식은 개인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음. 이런 점 에서 전통적인 지식관을 절대주의 인식론 또는 객관적 인 인식론이라 함.

(ⅱ) 구성주의적 학습원리

첫째, 학습은 구성적·능동적 과정임. 즉 학습자의 자율성, 자기주도성,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함.

둘째, 학습은 반성적 능력을 통해서 추진됨. 반성을 통해 서 자신에게 적합한 의미를 창출하고 구성함.

셋째, 학습은 사회적·대화적 활동임. 학습에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대화를 통해 수평적인 소통적 관계 형성이 중요함.

넷째, 학습은 적절한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서 촉진됨.

학습자의 능력보다는 과제의 수준이 조금 더 높아야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 학습을 촉진하는 계기가 됨.

다섯째,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서 촉진됨. 학습에서 다양한 물리적 도구, 언어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상징체계가 활용될 수 있어야 함.

여섯째, 학습은 앎의 방법을 알게 하는 과정임. 학습에서 앎 자체 즉 what보다 앎의 방법 즉 how to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함.

동기이론

(ⅰ) 동기의 의미

ㅇ 동기(motive)는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동력임.

따라서 어떤 행동이든 동기가 있기 마련이고, 인간은

동기 없이는 행동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님.

ㅇ 동기는 유발하는 요소와 관련해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 적 동기로 분류함.

- 내재적 동기는 자기 만족, 성취감, 즐거움 등과 같이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가 행위자 내부에 있는 것임.

- 외재적 동기는 물질적 보상, 칭찬, 인정 등과 같이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가 행위자 외부에 있는 것임.

(ⅱ) 동기유발의 필요성

ㅇ 동기유발(motivation)은 행동의 원동력인 동기를 불러 일으키고 지속시키는 과정과 관련됨.

ㅇ 특히, 청소년지도는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와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소년이 스스로 움직이지 않으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동기를 적절하게 유발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행위자인 청소년의 행동을 세밀하고 체계적으로 관찰해서 동기와 관련된 것을 확 인하는 것이 중요함.

ㅇ 이런 관찰을 통해서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동기의

본질, 유형, 수준, 장애요인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ⅲ) 동기 유발 전략

ㅇ 동기 유발과 관련한 이론이나 전략은 다양하지만 여기 에서는 켈러(Keller)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음.

ㅇ 켈러의 ARCS 모형은 청소년의 동기 유발에 유용함.

A(주의, attention): 동기유발의 첫 번째 요소인 주의는 학습이나 활동의 출발점으로서 감각이나 인지기능을 어느 한 곳에 집중하는 것을 말함.

R(관련성, relevance): 두 번째 요소인 관련성은 학업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 학습 과제, 방법, 결과 등이 학습자의 요구, 희망, 관심, 흥미 등과 관련을 가 져야 됨을 의미함.

C(자신감, confidence): 세 번째 요소인 자신감은 과제의 수행과 성공에 대한 자기 확신을 의미함.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 학습 과제에 대한 통제력, 성공 가능성에 대한 낙관 등이 커질수록 높아짐.

S(만족감, satisfaction): 네번째 요소인 만족감은 학습의 수행이나 결과로부터 얻는 성취감이나 흡족함을 말함.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피드백 전략(칭찬, 격려, 인센티브 제공 등), 공정성 유지 전략(일관된 기 준 유지, 성과에 대한 공정한 판단과 보상) 등의 전략 이 사용될 수 있음.

2. 현장 체험학습의 개념과 원리

1) 현장 체험학습의 개념

ㅇ 체험학습은 학생들의 경험을 학습과정에 통합하고 또한 그들 의 경험을 의식적으로 적용을 시도하는 학습과정으로 학생들 을 유도하는 교육이며,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 느낌, 신체적, 감성적 그리고 사회적인 존재로서 표출할 수 있는 감각을

총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임.

Kolb(1984)는 깊이 있는 학습(deep learning)에 관심을 가졌 으며, 깊이 있는 학습은 정확한 원리 및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 하고, 사실과 느낌을 이해하며, 이전에 획득된 지식과 통합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함.

Kolb의 체험학습 과정은 연속적인 4단계, 즉 구체적인 경험 (체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인 개념화 활동적인 적용 과 검증이라는 4단계를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이루어짐.

- 구체적인 경험(체험): 구체적인 활동에 참여하여 새로운

사물, 사람, 상황 등에 대하여 새로운 외적인 정보와 자극 을 학습자가 지닌 오감(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을 통해서 파악함.

- 반성적 관찰: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서 접하게 된 정보와

자극 등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내적 으로 생각하게 됨.

- 추상적인 개념화: 내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파악한

체험활동의 의미를 일반화하여 새로운 개념, 이론 등을 형성 하게 됨.

- 활동적인 적용과 검증: 새롭게 형성된 추상적인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서의 문제를 진단하거나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서 적용하고 검증해봄.

ㅇ 체험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지도자)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

체험학습은 신중하게 선택된 경험들이 반성적 사고, 비판 적인 분석, 종합적 사고 그리고 적극적인 실천 등이 순차적 으로 이루어질 때 그 의미를 갖게 됨.

경험들은 주도성을 가져야 하며, 적극적인 의사결정 그리 고 결과에 대한 책임이 요구되는 구조임.

체험학습의 전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의문을 제기,

조사, 실험, 호기심 발휘, 문제해결, 책임감 감수, 창의성

발휘 그리고 의미를 구축하는 데 몰두해야 함.

학습자들은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그리고 신체적인 모든 측면이 서로 균형 있게 작용해야 함.

학습자와 교사들이 자신의 가치를 탐색하고 결정하도록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적절한 경험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교사들의 일차적 인 역할은 문제를 제기하고, 범주를 결정하고, 학습자들을 지원하고, 신체적 혹은 정서적인 안정을 보장하고 그리고 학습 과정을 지원함.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자발적인 학습기회들을 인식

시키고 격려함.

교사들은 학습자들에 대한 자신들의 편견, 판단 그리고

선입견을 감지하고, 또한 그것들이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학습경험에 대한 고안은 자연스러운 결과, 실수 그리고

성공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능성들이 포함되어야 함.

2) 현장 체험학습의 교육적 원리

(1) 진정한 활용가치: 학습활동과 학습결과들이 그들의 생활 에 적절한 관련성(생활에 적용 가능하고, 활용 가능한 것) 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평가구조는 체계적이어야 하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인생관을 반영하여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함.

* 담당교수(김명수)의 인생관

- 평균 이상의 삶을 위해 노력하는 것.

- 평범이 모이고 쌓여서 비범이 된다는 신념.

(2) 적극적인 학습: 학습자들은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측면

에서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해야 함.

* 적극적인 학습태도: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해결에 필수 적인 사고과정, 즉 설명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한 탐색,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에 관한 이해, 상상력 활용, 창의 적인 사고력 등을 학습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내면화하 는 것.

* 수동적인 학습태도: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 제시된

내용을 비판 없이 수용하거나 암기하는 정도로 학습에 관여하는 것.

(3) 학습자의 경험 도출: 학습자들은 그들이 경험했던

내용들에 관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현상, 사건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도록 유도되어 야 함.

(4) 경험과 미래의 기회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 제공: 학생 들은 미래 그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습관, 기억력, 기능

그리고 지식 등을 개발해야 함.

(5) 학생들의 경험: 체험학습은 앞에서 제시한 진정한 활용

가치에서 경험과 미래의 기회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

제공 등 다양한 학습자원과 고안된 행위를 통하여 학생들 의 활동능력(주도력, 촉진능력), 소속감 그리고 재능개발을 촉진하는 과정임.

*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목표의 세 가지 영역(ABC)

주도력, 촉진능력(agency, 활동능력)개발: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활 및 지역사회에서 좀 더 강력한 변화 촉진자가 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

소속감(belonging): 자신이 속한 단체나 혹은 지역

사회를 유지하고 개발하기 위하여 자신들 스스로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감. 영향력 행사와 피해의식 등을 갖는 것.

재능(competence)개발: 학생들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영역(예: 인지적, 신체적, 문화적, 사회적 영역 등)의

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이며, 공부하는 기법, 지식을

획득하고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개발 등 을 포함.

(6) 교사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주도력, 소속감

그리고 재능을 개발할 수 환경을 조성하는 것임.

환경을 조성하는 것

· 물리적 혹은 사회적인 학습 상황을 구성하고

교육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임.

학습사회의 선배로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역할모델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델 행위와 더불어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대응도 학생들의 감수성과 경험에 영향을 미침.

3. 우리나라 현장 체험학습의 실제

ㅇ 창의적 체험활동

* 2009 개정교육 과정 혹은 미래형 교육과정

* 특별활동 + 창의적 재량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일명: 창체)

* 2011년 부분 시행(초1, 2 · 중1 · 고1), 2013년 전면 시행

-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적

·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교과와 상호 보완 관계에 있으 며,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에 있음.

-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적응활동

- 자치활동

- 행사활동

- 창의적

특색활동

- 학술활동

- 문화예술

활동

- 스포츠

활동

- 실습 노작

활동

- 청소년

단체활동

- 교내봉사

활동

- 지역사회

봉사활동

- 자연환경

보호활동

- 캠페인

활동

- 자기 이해

활동

- 진로 정보

탐색활동

-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징

(ⅰ)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인성함양을 지향.

(ⅱ)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지역 단위의 교육과정.

(ⅲ)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4. 현장학습 계획 수립

1) 장소 선정: 적절한 장소를 몇 곳 선정하여 사전 답사나 자료 를 수집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참석하여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

2) 계획 수립: 계획 수립은 현장 학습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단계. 일반적으로 현장의 지리적인 특성, 활동 기간, 학생들의 연령이나 성별 등을 고려하여 학교나 교사들이

작성하는 것이 보통이나 기본적인 활동 지침이나 내용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협의를 통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3) 안전 관리: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한 안전 관리가 필요 함.

실시 당일에 가까운 날에 사전 답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상태를 점검.

위험에 대한 사전 지도를 철저히 하고, 위험한 장소에

로프를 치고 접근 금지 표시함.

참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전 적응훈련을 실시하고,

안전사고에 관한 주의를 주고 가정통신문을 발송함.

사용할 기자재를 점검하고, 손질함.

긴급 사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준비를 함.

현장에 도착하여 현장 관리자와 협의하여 반드시 오리엔 테이션을 실시하고,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주의를 환기

시킴.

청소년들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지도자(교사)가 있어야 함.

5. 현장학습의 전개과정

1) 도입: 현장학습의 목적 및 필요성을 주지시킴과 동시에 그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킴.

2) 현장학습 준비: 교사 혹은 지도자와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임.

3) 현장학습 활동: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들을 발견하고 각각의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아보 거나 실제로 활동을 해 보는 것.

4) 결과보고 활동: 현장학습 활동을 끝마친 후 학습내용을 검토 하고 정리하는 단계.

5) 적용 및 평가: 현장학습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체득하게 된 새로운 사실, 정보 및 지식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관련

자료들을 참고하여 정리하고 리포트를 작성함으로써 다음

현장학습 활동의 자료로 활용함.

6. 현장학습의 종류

1) 역할놀이 현장학습: 학습자들에게 구체적인 실제 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실제 현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이해하고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학습방법.

역할놀이 현장학습에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첫째,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에의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

둘째, 역할놀이 현장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감정이입적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음.

셋째, 역할놀이 현장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견해를 명료화할 수 있는 언어 적 능력과 대화기술을 함양하게 해 줌.

2) 참여관찰 현장학습: 원칙적으로 연구자가 관찰이 이루어지는 사건이나 현장에서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연구방법.

적극적인 의미로서의 참여관찰은 사회현상의 실재에 대한

분석을 통제된 실험과 같이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환경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관찰해 냄으로써 비로소

가능하다는 방법론적 입장을 견지함.

참여관찰의 유형은 참여의 수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함.

완전관찰자: 현장이나 사건의 부분이 되지 않고서 관찰을 하는 사람.

예를 들면, 길가에 서서 관찰자가 지나가는 사람들의 행동 을 유심히 바라보면서 왜 그런 행동이 나왔는가를 생각해 보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함.

관찰자적 참여자: 연구자로서의 지위가 연구대상이 되는 참여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면서, 사건이나 현장에는 참여하 지 않는 사람.

예를 들면, 경기장의 아나운서가 여기에 해당함.

참여자적 관찰자: 활동 참여자들에게 연구자로서 알려져 있으면서 동시에 진행되는 활동에 전적으로 참여하면서

관찰하는 사람.

예를 들면, 노동조합의 활동을 면밀히 연구하기 위해서

노동조합원들에게 자신이 연구자라는 사실을 알리고, 노조 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관찰을 진행하는 유형이 여기에

해당함.

완전참여자: 사건이나 현장에 전적으로 참여는 하지만

연구자로서의 위치가 다른 참여자들, 즉 연구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의 관찰자를 의미함.

예를 들면, 어떤 정치학도가 대통령 선거 과정을 연구하려 는 사실을 일체 알리지 않고, 어느 한 입후보자의 선거

참모로서 활동하면서 관찰을 진행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 함.

3) 시청각 자료 활용 현장학습

ㅇ 일반적으로 현장학습은 사전활동, 현장활동, 사후활동의 세 단계로 이루어짐.

ㅇ 시청각 자료 활용 현장학습은 교실 밖 사회 현장에서 이루 어지는 현장학습인 현장활동 단계를 교실 내부로 가져오는 방법으로 굳이 여러 가지 비용과 위험 요소를 수반하는 관행 적인 현장견학 위주의 현장학습을 고집할 필요가 없음.

ㅇ 시청각 자료는 각종 화보, 신문, 녹음 자료, 사진, 비디오

자료, CD자료, 그림 자료 등

제4장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의의

1. 서론

ㅇ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참여의 개념 도입은 국가청소년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ㅇ 1998년 정부가 확정한 제2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1998 ∼2002)을 통해서 국가청소년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처음

설정된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ㅇ 서구에서 청소년참여에 대한 관심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첫 번째, 개발도상국가에서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필요에 의 해서 개발과정에서 청소년의 동력화(움직여 어떤 일을 하게 ) 필요에 따라 청소년참여에 관심을 갖는 경우.

두 번째, 선진국들에서 1960년대에 청소년들의 반전운동과

징집문제에 대한 회의, 대항 문화적인 도전 그리고 교육과 사회체제에 대한 회의가 교육받은 청소년들이 권력 자체에 도전하고, 자신들을 위하여 권력을 공유하기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2.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관련용어

ㅇ 청소년참여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는 관점청소년과 성인의 파트너십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해 볼 수 있음.

첫 번째,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는 관점에서 청소년참여는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함. 청소년이 의사 결정의 권한을 갖는 방법은 그 권한을 갖고 있던 성인의 양보나 권한이양을 통해서 임파워먼트 (empowerment) 거나 청소년 스스로의 권리에 대한 자각을 통해서 권한을 획득해 가는 방식이 있음.

두 번째,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청소년과 성인의 파트너십

형성으로 보는 관점임. 이는 청소년들이 의사결정 권한을 어느 정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함. 구체적 으로 청소년-성인의 관계에서 벗어나 청소년과 성인이

강력한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함께 일하고, 권한을 공유하 고, 서로에게서 배우는 것을 의미함.

Hart(1997)는 청소년참여의 단계를 8단계로 제시하면서 최종 8단계를 청소년 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설정함. 청소년참여를 통해 청소년이 의사결정 권한을 독점

하고 청소년들만의 공화국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임.

ㅇ 청소년참여는 관여(involvement)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권한부여) 등과 유사

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음.

- 참여는 실제 행위를 수반하지만,

관여는 태도를 말하는 것이며

- 다른 한편으로 통제가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 청소년들이 통제하는 경우는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사용하고,

· 성인들이 통제하는 경우는 관여라는 용어를 사용함.

- 권한부여(empowerment)도 청소년참여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두 가지 의미를 가짐.

첫째, 집합적 의사결정과정에서 개인들의 자율성이 유지되 고 동등한 영향력을 공유할 수 있게 사회의 제도가

모든 시민들의 동등한 영향력을 보장하고 집합적 통치 과정을 통제하여야 한다는 관점.

둘째, 각각의 개인이 사회적 지배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내면화하고 자신들의 사회적·지적 역량을 개발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함.

3. 청소년참여의 가치

Bopp(1994)학습하는 존재(learning beings)로서 인간

발달의 속성을 고려해 볼 때 참여는 인간의 학습과 인간의 발달에서 주요한 역동성이라 함.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 와 직접적인 상호작용(interaction)과 숙고(reflection)를 통해 서 학습하고 성장하고 발달하기 때문에 참여가 없으면 학습 도 발달도 없다는 것임.

Hart(1997)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기술이나 책임감에 대한 경험 없이 16세, 18세 또는 21세가 되면 갑자기 책임감이 있 고 참여하는 성인으로 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라고 함.

따라서 Hart는 청소년참여를 통해서 청소년이 성장하고 발달 하고 더 나아가서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참여하여 지역사회 전체를 활성화하는 촉매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함.

Checkoway(1999)는 청소년들의 참여로 인한 편익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함.

(ⅰ) 개인적 발달의 측면: 청소년들은 현실세계 삶의 문제

해결을 통해서 실질적인 지식과 유용한 기술을 증가시키 고 자신들의 환경에 대해 보다 더 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도전을 하게 됨.

(ⅱ) 조직개발의 측면: 청소년들이 사람들을 모으고 그 사람 들에게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가르치 고 조직을 위하여 기여할 수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게 함.

(ⅲ) 지역사회개발의 측면: 청소년참여는 지역사회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함.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가르치고, 병원 에서 자원봉사하고, 노숙자 수용시설에서 일하고, 간이

식당에서 음식을 나르고, 버려진 건물을 재단장하고,

지역사회의 재건을 위한 전략을 세울 때와 같은 일을 수 행하면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발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를 개발하는 것임.

The African Youth Alliance(AYA-아프리카청소년연맹)에서 는 청소년참여를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모니터링 및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의사결정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성인과 청소년 사이의 파트너십이 청소년참여의

핵심이라고 규정함.

4. 청소년참여의 모형 – 9. 28

ㅇ 청소년이 의사결정과정에 어느 정도 참여하는가를 중심으로 청소년참여 단계를 구분할 수 있음. 청소년참여 수준은 실제 적인 참여와 명목적인 참여를 구분할 수 있는 준거가 됨.

1) Hart의 청소년참여 사다리

Hart(1997)는 청소년참여의 원리로서 청소년이 알고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청소년참여를 8단계로

구분한 청소년참여 사다리를 제시함.

제1단계: 성인들이 이용하는 단계

- 참여의 가장 낮은 단계로 어른들이 의도적으로 청소년의 목소리를 이용하는 단계.

- 청소년들과 의논하지만 피드백이 전혀 없고, 성인들은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것처럼 꾸미는 단계.

- 청소년들이 문제나 사안에 대한 이해 없이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에 참여하는 단계.

제2단계: 장식처럼 동원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고 청소년과 함께 운영하지만 청소년들은 그 사안에 대한 이해가 적고 조직화 과정에서 참여도 없음.

- 이 단계는 어린이에게 관련된 주장이나 내용을 담은 티셔 츠를 입히는 단계로 상황의 전개과정에서 어린이는 자신의 의사를 말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음.

제3단계: 명목상으로 참여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고 청소년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가진 것 처럼 보이지만 주제에 대한 선택권이 없고 자신의 의견을 형성할 기회가 없음.

- 명목적 참여단계는 다루기가 매우 어려운 단계이고 구분하 기도 어려운 단계임.

- Hart는 제3단계까지는 실질적으로 청소년의 참여로 보지 않았음.

제4단계: 성인들이 지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성인 주도로 운영하지만 청소년들이 그 의도를 이해하고 누가 그리고 왜 의사결정을 내리는지를 이해하며, 이후에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하거나 자원봉사를 할 수도 있는

단계.

- 청소년의 참여와 비참여가 구분되는 단계.

제5단계: 성인들이 정보를 제공하고 협의하는 단계

- 성인들에 의하여 계획되고 운영되지만 청소년들이 그 과정 을 이해하고 자신들의 의견이 신중하게 고려된다는 것을 아는 단계.

- 예를 들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의 경우 청소년 들이 조사목적을 이해하고 조사결과의 분석과 결과에 대한 논의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함.

제6단계: 성인주도로 청소년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

- 진정한 참여가 시작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지만 의사결정과정에 청소년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단계.

- 청소년참여에서 제6단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성인들이 청소년참여에 대한 유능성이나 확신을 갖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어렵게 됨.

제7단계: 청소년이 주도하고 청소년들이 감독하는 단계

- 청소년들이 성인들의 참여 없이 자신들의 프로젝트를 시작 하고 운영하는 단계.

- 실제에서는 청소년들의 놀이의 세계를 제외하고는 현실적 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단계.

제8단계: 청소년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

- 청소년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실제로 는 매우 드문 경우임.

- 이 단계에서는 대개 나이 많은 청소년들과 성인이 포함

되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운영함.

- 이 단계는 여전히 청소년들과 함께 성인들의 참여가 이루 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단계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 지만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이를 수행 하는 데 성인들과 협력한다는 것은 청소년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청소년참여의 유형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음.

2) van LindenFertman의 의사결정 참여와 리더십 개발

van LindenFertman(1998)은 청소년들이 의사결정과정

참여와 리더십 개발의 관점에서 의사결정과정에서 청소년의 역할을 구분함.

즉, 의사결정과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중요할수록 청소년의 리더십 개발의 기회가 많다고 하면서 5단계로 구분되는 참여 의 연속체를 제시함.

- 1단계: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는 단계.

- 2단계: 선택된 청소년들이 의견을 제시하는 단계.

- 3단계: 성인들의 집단에 청소년들이 형식적으로 참여하는 단계.

- 4단계: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을 위한 투표권의 대부분 을 갖는 단계.

- 5단계: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단계.

ㅇ 이러한 연속체에서 청소년들이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수록 청소년들이 리더십을 개발하고 지도자로 성장하는 것을 촉진하는 환경이고, 반면에 청소년들의 역할이 적어질수록 청소년들의 리더십 개발을 방해하는 환경이라고 지적함.

3) FlecherVavrus의 청소년참여의 서클 모형

FlecherVavrus(2006)는 청소년참여의 서클 모형을 제시 함.

이 모형은 실제로 청소년참여를 통한 사회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기획하고 평가하는 데 적용된 것임.

- 1단계는 청소년의 의견을 듣는 단계(Listen)

· 사회변화에서 성공적인 청소년참여는 청소년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청소년들의 의견을 듣는

방법은 일대일의 대화, 집단토론, 청소년들의 실천연구,

청소년들이 만들어낸 매체, 예술적인 표현 등이 있음.

- 2단계는 청소년들의 의견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것

(Validate)

· 청소년들의 의견에 신중하게 반응하고 비판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함.

· 지도자도 의견이나 지식을 갖고 있을 때 그것을 청소년들 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함.

- 3단계는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주는 단계(Authorize)

·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주는 것은 청소년들이 변화에 영향 을 줄 수 있도록 청소년을 훈련시키고, 지위를 만들어주 고, 공간을 허용해 주는 것을 말함.

- 4단계는 청소년이 실천하는 것(Act)

· 수동적인 참여자에서 능동적인 변화촉진자나 지도자로

전환시키는 것은 청소년 스스로가 변화를 창출하기 위한 실천에 참여하는 것을 말함.

- 5단계는 청소년참여를 통한 사회변화에 대한 반성적 사고 (Reflect)

· 청소년참여로 이루어진 변화의 과정, 반응, 산출, 변화 등 에 대해서 청소년과 성인이 함께 신중하게 검토하고 그것 을 통해서 배우려는 책임감을 가져야 함.

5. 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유형

1) 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청소년의 역할

ㅇ 청소년참여의 영역은 청소년이 무엇(in what)에 참여하는가 에 관한 것임. 청소년참여의 영역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청소년의 모든 생활환경이 대상임.

청소년참여의 영역을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음.

- 제도(institution)적인 측면에서 구분하면

· 가족, 근린지역사회, 지역사회, 학교, 경제, 정치적 과정,

대중매체, 지역사회개발, 정부, 복지서비스, 문화 등

- 문제(issue)중심으로 구분하면

· 교육문제, 환경문제, 보건문제 등

ㅇ 청소년참여의 주요 정책영역은

· 또래중심 참여, 지역중심 참여, 정책과정 참여, 단체자율 참여, 사이버 참여 등

* 정책과정 3단계: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4단계: 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5단계: 의제설정, 대안형성, 정책채택,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7단계모형(Lasswell): 정보의 수집 및 처리,

관심 유발, 처방, 행동화, 적용, 종결, 평가

* 의제설정: 정부가 정책적 해결을 위하여 사회문제를

정책의제로 채택하는 과정.

(사회문제사회적 이슈공중의제정책의제)

ㅇ 청소년참여의 영역에서 청소년들이 실제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역할

- 의사결정자

- 기획자

- 상담자

- 교육자

- 모니터 및 평가자

- 옹호자 등

2) 청소년참여의 유형

Checkoway(1998)는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참여 유형을 다음 과 같이 구분함.

(1) 자생적 청소년조직: 지역사회수준에서 청소년주도로 자신 을 조직화하는 과정을 자생적 청소년조직이라 할 수 있음. 이러한 조직을 통하여 청소년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조직화는 대부분 자생적인

동아리활동과 같은 형태로 나타남.

- 청소년자신에 의한 조직화는 많은 장애요인이 존재함.

첫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체제나 성인의 지배유형 등에 관한 정보가 적음.

둘째, 청소년들이 주도로 조직화하는 경우 자원이 적음.

셋째, 청소년들의 활동에 대한 성인들의 저항이 존재함.

(2) 청소년개발조직: 청소년개발조직은 청소년의 결점을 극복 하기 위한 것보다는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는 조직임.

- 청소년개발조직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위하여 기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생산성과 책임감이 있는 긍정적인

자원으로 간주함.

- 청소년을 청소년을 지원하는 청소년(youth serving

youth)이라는 관점으로 청소년들을 참여시킴.

예를 들면,

· 갱단(모임, 단체)의 멤버로서 경험이 있는 청소년(선행학 습을 한 멤버)이 멘토로 활동하는 경우

· 프로그램 수료자들이 프로그램의 운영에 참가하는 경우

(3)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사업: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과 근린 지역사회개발을 동시에 촉진하는 사업.

· 청소년들이 실제적 활동(real work)과 실천적 학습 (practical learning)을 필요로 하고, 근린 지역사회는

물리적 개선인간 서비스가 필요하므로 이 두 가지 목적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는 것 으로 인식함.

· 교육, 고용, 서비스를 조합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면서 동시에 청소년 자신도 변화할 수 있도록 함.

·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예를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실정임.

(4) 지역사회개발 조직: 근린 지역사회 수준에서 주민들 자신 이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임. 주로

주택재개발, 경제개발, 물리적 환경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함.

· 이러한 조직에서는 기본적으로 참여의 이념을 신봉하며, 리더십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간자원을 요구함.

· 지역사회개발 조직에서는 청소년의 실제적인 활동 참여 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5) 시민운동: 지역사회 수준에서 보다 강력한 시민이나 조직 을 형성하여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시민운동 에서 참여자들에게 권력의 의미를 알게 해주고 사람들

사이의 권력관계를 변화시키고 지역사회 변화를 창출할 수 있다고 봄.

6. 청소년참여의 장애요인

Stoneman은 청소년참여의 중요한 장애요인을 다음과 같이 지적함.

첫째, 성인중심주의. 성인중심주의는 성인이 청소년들과 관련 된 의사결정에 개입하여 좌지우지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보는 태도나 행위를 말함. 청소년참여를 주장하는 청소년

지도자 조차 성인중심주의에 빠져있는 경우가 있음.

둘째, 성인중심주의로 인해 성인들이 청소년을 동등한 파트너 로 인정하고 의사결정 권한을 실제로 공유하기가 쉽지 않다 는 점.

셋째,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을 공유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과 수단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고, 청소년과 성인이 모두

연습이 덜 되어 있다는 점.

넷째, 청소년참여와 비참여를 명확히 구분하고, 참여수준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제5장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참여의 형태

1. 서론

ㅇ 청소년정책을 추진하는 법령체계가 우리나라처럼 잘 갖추어 져 있는 나라는 거의 없음.

ㅇ 청소년참여 또한 우리나라처럼 법률로 규정하는 보장하는 나라도 거의 없음.

청소년참여기구 현황

구분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기능

청소년들이 발굴

한 정책의제 및

정책과제를 정부

에 제안

청소년들이 국가 및 지자체 정책에 참여(의견제안, 모니터링, 기타 참여활동 등)

청소년 수련시설 사업 · 프로그램

운영관련 의사

결정 참여

근거

청소년기본법

제12조

청소년기본법

제5조의 2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조

운영

현황

17개 시·

청소년위원 430명

전국 189개소

(여성가족부 1개,

·도 17개,

··구 171개)

전국 305개소

ㅇ 청소년참여는 국가 청소년정책의 핵심이념으로 이미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과 제도에 걸맞게 청소년분야에 서 당위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현장에서 사명감 을 갖고 청소년참여 활동을 전개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들도 생겨나고 있음.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는 최근에 나타난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기본원리에 해당함.

ㅇ 청소년활동의 주체로서 또는 프로그램의 수요자인 청소년들 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들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 청소년들의 의견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청소년활동의 기획과 운영 및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 운 것임.

2.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의의(중요성)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중요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 에서 검토해 볼 수 있음.

(ⅰ) 청소년활동의 개발 및 운영의 기본원리로서 청소년참여 를 당연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 청소년은 활동의 주체로 서 또는 프로그램의 대상자로서 청소년이 기획, 운영, 평가 의 전반적인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 율성을 높일 수 있음. 따라서 청소년활동의 기획에서부터 최종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청소년참여는 당연한 원리 라는 점.

* 효과성: 목표의 달성 정도를 의미함.

능률성: 투입(input)에 대한 산출(output)의 비율을

나타냄.

효율성: 효과성과 능률성을 혼합한 의미임.

경제성과 유사한 용어.

(ⅱ) 청소년문화의 변화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음. 청소 년문화가 성인들의 지도나 교육에 수동적으로 따르기보다 는 청소년 스스로의 참여를 통해 변화를 만들어 문화로

진화해 가고 있음. 이러한 청소년문화의 변화는 청소년활동 의 개발과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변화를 요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

ㅇ 최근 청소년문화의 특징은 2002년 월드컵 응원문화(붉은

악마로 대변되는 거리 응원문화), 2008년도 이명박 정부 초기 의 광우병쇠고기 수입 반대 운동의 과정에서 나타난 바와 같 이 청소년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라 할 수 있음.

ㅇ 청소년들의 선택의 기준도 옳고 그름보다는 좋고 싫음

으로 바뀌어 가고, 하기 싫은 것을 분명히 표현하는 특성을 갖고 있음.

ㅇ 청소년들은 하기 싫은 것은 거부하지만 스스로 원해서 하고 싶은 것은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확산되고 있음.

3.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현황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는 국가 청소년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청소년참여의 개념이 국가 청소년정책에 의해 서 도입되어 청소년 현장(field)으로 상의하달식(top-down) 로 파급된 특색이 있음.

ㅇ 우리나라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첫째, 초기 형태의 청소년의 정책참여 활동은 청소년참여의 정책화 이전(1998년 이전을 의미함)에 나타남.

- 1997년부터 송파구청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구정평가단

- 1996년부터 충남도청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시책모니터단

- 1995년부터 한국청소년개발원(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창안제

- 1997년부터 수원YMCA의 청소년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한 쾌적하고 안전한 거리 만들기운동

- 1997년부터 황지중학교에서 시행한 열린법정

둘째, 청소년참여의 정책화 과정에서 청소년위원회 활동과

청소년동아리 활동이 크게 증가함. 국가 청소년정책에서 추진하는 청소년참여와 관련된 활동은 대표적인 사업으로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등이 있음.

셋째, 청소년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청소년의 주체적인 참여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임. 청소년 프로그램에

청소년참여는 지역 단위의 청소년축제와 같은 청소년문화

활동을 청소년 주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청소년축제

기획단 또는 청소년문화기획단과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 운영팀을 청소년들로 구성·운영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확산되었음.

넷째, 청소년분야의 각종 사업에 청소년참여를 의무화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음. 2000년대 초반에 청소년분야에서

각종 정부지원 사업들이 공모에 의한 심사 방식을 도입하 면서 각 사업의 시행과 평가에 청소년참여를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음.

- 2000년부터 시행된 청소년시범시설 선정을 위한 평가

- 2003년부터 시행된 청소년수련시설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사업, 청소년육성기금

공모사업, 서울특별시의 청소년 프로그램 지원사업 등

청소년 분야에서 시행되는 각종 지원사업 등에 청소년을 참여시키고 있음.

* 지원사업에는 두 가지 방식으로 청소년의 참여를

반영하고 있음.

지원사업을 선정하기 위한 심사와 지원된 사업의

운영실태를 평가하는 과정에 청소년들이 평가위원 또는 모니터링 요원으로 참여하는 것.

각 지원사업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지표의

하나로서 청소년참여를 반영함으로써 현장의 청소년

프로그램 기획과정에서부터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는 것.

다섯째, 청소년들의 정치적인 결사체가 등장하고 집회와 시위 가 나타나고 있음. 청소년의 인권 또는 청소년정책과

관련하여 주요 정치적 쟁점이나 정책에 관하여 관심을 갖는 청소년이 많아지고 있음.

이와 같이 청소년이 활동한 주요 내용을 보면,

- 대한민국청소년의회, 대한민국고등학교총학생회, 우리 스쿨, 낮추자, 아이두, 청소년 웹연대, 18세 선거연령 인하(2020년부터 선거연령이 18세로 인하되었음),

두발제한 반대, 나이스(NEIS)폐지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함.

4.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형태: 청소년-성인 파트너십

1)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개념

ㅇ 청소년참여의 개념은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나 청소년과 성인의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고 정의할 수 있음.

ㅇ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청소년참여를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 고 할 때 청소년이 갖게 되는 권한이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임.

ㅇ 일반적으로 청소년이 주도하고 청소년이 모든 결정 권한을 갖게 될 때를 가장 최고의 청소년참여 단계로 생각할 수 있음. 그러나 청소년참여 이론에서는 의사결정 권한을 청소년이

독점하는 것을 최고의 단계로 보지 않음. 청소년참여의 최고 단계는 청소년 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보고 있음.

ㅇ 이러한 측면에서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청소년과 성인 간의 협력개발로 규정함. 즉 청소년참여란

청소년-성인 간의 파트너십의 개발이라고 볼 수 있음.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개념은 전통적인 청소년-성인의

관계는 아동과 부모의 관계, 학생과 교사의 관계 등과 같은

구조 속에서 파악될 수 있음.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기존의 청소년-성인의 관계에서

벗어나 청소년과 성인이 강력한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함께 일하고(work together), 권한을 공유하고(sharing

power), 서로에게서 배우는 것(learning each other)

의미함.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청소년들이 당면하는 문제(issue)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나 정책과 관련하여 성인들이 청소년들과 완전하게 파트너십 관계를 갖는 것을 강조함.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청소년들에게 제공 되는 활동의 형성에 청소년들이 참여할 권리가 있고, 청소년 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의 형성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는 신념에서 생겨난 것임.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주장자들은 청소년활동의 구상,

개발, 적용에 청소년이 파트너로 참여할 경우 청소년활동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이 커진다고 주장함.

ㅇ 청소년활동에 있어서 청소년과 성인이 파트너십으로 가능한 일(분야)은 다음과 같음.

- 요구분석(need assessment)의 시행,

- 계획서의 작성,

- 재원의 확보,

- 프로그램의 기획,

- 프로그램 담당자의 훈련,

- 프로그램의 시행,

-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 개선

ㅇ 성공적인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이 되기 위해서는

파트너십의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하고,

의사결정 권한을 공유하여야 하며,

조직의 최고위층까지 각종 사업에 청소년참여를 기꺼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청소년과 성인이 각각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함.

2)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을 위해서는 청소년과 성인

각각의 측면에서 변화가 필요함.

일반적으로 당면하는 문제는

-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시간 확보,

- 청소년들의 관심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

- 교통편 등과 같은 참여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

- 청소년참여에 따른 권한 공유의 문제,

- 청소년과 성인에 대한 편견,

· 청소년은 성인들이 우리의 입장을 이해주지 못할 것이라 는 점

· 성인들은 청소년들이 성인들의 보살핌 속에서 생활해 왓 고, 여러모로 부족하고, 제대로 이루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스러운 점(부모가 자식을 보는 입장과 유사)

- 청소년을 수혜자로만 보는 시각(청소년을 보는 시각 참조)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형성을 위하여 청소년과 성인들이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사항

* 표 1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을 위한 고려사항 참조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을 위한 원칙(14가지 원칙)

첫째, 청소년들이 책임지도록 해야 함.

- 청소년들이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고, 지도자는 청소년이 필요로 할 때 그리고 필요로 한 곳 에서 항상 도와줄 준비를 하여야 함.

둘째, 지도자가 항상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함.

셋째, 부모의 참여가 중요함.

- 부모들에게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고 행사에 초대하는 것이 필요함.

-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활동에 대해서 부모들과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함.

넷째, 지도자가 일관성 있고 헌신적이어야 하고 열정이

있어야 함.

다섯째, 청소년들도 항상 의견(opinion)이 있음을 알아야 함.

여섯째, 청소년들을 존중하면서 말해야 함.

일곱째, 청소년들의 영역(turf)에서 청소년과 만나야 함.

- 정형화된 학교, 상담실, 청소년회관, 청소년 프로그램실 등을 벗어난 상가, 아케이트, 게임방 등 청소년들이

자주 가는 장소에서 청소년을 만나는 것이 바람직함.

여덟째, 재미(흥미)있는 시간을 가져야 함.

아홉째, 지도자는 필요할 때 개입하여야 함.

열 번째, 청소년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space)을 주어야 함.

열한 번째, 청소년들이 서로 의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열두 번째, 청소년들이 낙담(실망)하는 것을 허용해야 함.

열세 번째, 지도자가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함.

열네 번째, 지도자가 자신에 대해서 열어야 함.

- 자신의 인생에서의 성공과 실패, 장점과 단점, 현재의 어려움 등을 청소년과 공유하는 것이 청소년들과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됨.

5.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방법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음.

첫째, 청소년들은 프로그램 기획자(program planner)로 참여 할 수 있음.

- 프로그램과 관련된 청소년의 요구 확인,

- 실천계획과 일정의 개발,

- 자원봉사자 확보,

- 프로그램의 전개,

- 프로그램 성과의 평가 등

둘째, 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의 지도자(program staff)로서 참여 할 수 있음.

- 청소년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과 장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staff 또는 또래지도자로 참여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two way process)리더십(별도자료

참조) 기술을 개발하고 정교화할 수 있음.

셋째, 청소년은 프로그램의 평가자(program evaluator)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은 프로그램의 평가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 램의 효과성(목표의 달성도)을 분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설문조사의 실시,

· 면접조사의 실시,

· 조사결과의 정리 등

- 프로그램의 평가과정에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 참가대상자의 파악,

· 평가방법의 결정,

· 평가계획 수립,

· 참여청소년에 대한 교육,

· 라포(rapport)형성,

· 또래들에 대한 면접조사 실시,

· 필요시 자료처리에 대한 교육 실시 등

넷째, 청소년은 대표단(youth summits)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관련회의 등에 대표단으로 참여

다섯째, 청소년은 자문위원(youth advisory councils)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자문위원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 조직과 성인들의 준비 정도 분석,

· 자문위원회의 체계 구성,

· 필요한 자원의 확보,

· 성인 담당자의 지정,

· 청소년과 성인 담당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

· 오리엔테이션과 훈련실시,

· 실행계획의 수립과 적용,

· 반성적 사고(reflection)의 기회 제공,

· 자문위원회 위원에 대한 인정감 부여 등

여섯째, 청소년은 조직(기관, 시설)의 운영위원(youth

governance)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을 조직의 운영위원회에 참여시키기 위해서 고려 해야 할 사항.

왜 청소년을 운영위원회에 참여시키려고 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함.

조직의 경영관리자(최고책임자)로부터 지원을 얻어야 함.

청소년을 운영위원회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함.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함.

청소년참여자를 신중하게 선발하여야 함.

참여청소년에게 운영위원회 위원의 역할과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하여야 하고,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함.

운영위원회, 조직의 구조와 정책 등에 대하여 참여

청소년에게 오리엔테이션과 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청소년참여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하여야 함.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청소년을 참여시켜야 함.

한 명 청소년을 참여시킬 경우 명목적인 참여가 될

가능성이 있음.

* 참여 수준의 정도에 따른 구분

(ⅰ) 참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프로그램에 단순히 등록하는 것을 의미함.

(ⅱ) 참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역할을

부여받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수준 정도를 의미함.

(ⅲ) 참획: 청소년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의사결정까지 행할 수 있는 참여 정도를 의미함(권한부여, 역량강화와 유사한 용어로 쓰임).

* 청소년의 참여형태

생활적 참여 학습적 참여 활동적 참여

봉사적 참여 보호적 참여 권한부여를 위한 참여

6. 청소년참여자 선정 방식

Haid 등(1999)은 청소년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구분함.

- 선거에 의한 선정,

- 위원회에서 선정,

- 순환참여,

- 집단대표참여 방식.

ㅇ 여기에서는 선거방식, 위원회선정방식, 순환방식, 프로그램

기획단방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함.

첫째, 선거방식은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평가에 참여할

청소년을 투표를 통하여 선정하는 방식임.

- 장점: 보다 명확한 자신의 가치관과 리더십을 갖고 있는 청소년이 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청소년

참여의 의의를 높일 수 있음.

- 단점: 청소년참여자를 선정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

둘째, 위원회선정방식은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된 위원회

에서 청소년참여자를 선정하는 방식임. 다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원회 를 소집하여 참여자를 결정하는 방식.

- 장점: 신속하고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고, 참여청소년의 능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음.

- 단점: 청소년참여자를 광범위하게 탐색하기 어렵고,

청소년참여자의 대표성이 낮아지는 점.

셋째, 순환참여는 여러 청소년집단이 순서를 정해서 돌아

가면서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임.

- 장점: 많은 청소년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

- 단점: 참여청소년이 단계별로 달라짐으로써 사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참여자가 바뀔 때마다 사업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하고 이해를 시키는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넷째, 청소년 프로그램기획단을 구성하여 참여하는 방식은

지도자들과 공동으로 프로그램의 기획에서 운영과 평가 를 담당할 청소년의 조직(팀)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방식.

- 장점: 청소년 스스로의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관한 역량을 개발하는 측면 그리고 청소년과 지도자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간다는 측면에서 의의 가 있음.

- 단점: 진행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과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청소년참여 자체가 하나의 프로그램 으로서 성격을 갖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

리더십 관련이론 요약

1. 리더십의 의미

ㅇ 일반적으로 리더란 많은 삶들의 사고와 감정, 행동에 의미심장 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을 말함. 리더십이란 그런 영향을 미치는 힘이며, 영향력이라 할 수 있음.

ㅇ 저명한 리더십 학자인 스토그딜(Stogdill, 1974)은 리더십이란 집단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특정목표를 지향하게 하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해 실제 행동을 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음.

2. 리더십의 원천

ㅇ 리더십을 결정하는 원천들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크게 두 가지 로 한정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음. 즉, 리더 자신에게서 비롯되었 는가 아니면 주변 상황이 그렇게 만들었는가 하는 문제임.

ㅇ 리더중심의 이론에서는 리더의 특성을 중시하느냐 리더의 행동 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짐. 즉, 리더의 특성을

중시하는 경우 리더 개인이 가진 성격이나 자질이 남다르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으며, 훌륭한 리더로 만드는 특성을 타고 난 다고 봄. 반면, 리더의 행동을 중시하는 경우는 구성원들 앞에서 보여주는 행동이 바로 리더십 스타일이 되기 때문에 어떤 자질 을 가졌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 행동 인지를 찾아내면 된다고 봄.

ㅇ 상황중심의 이론에서는 조직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서 한 유형의 리더십은 좋은 것일 수도 있고 나쁜 것일 수도

있음. 상황에 맞는 리더가 훌륭한 리더이고, 따라서 리더는

상황이 결정한다고 봄.

ㅇ 현대적 이론에서는 구성원들의 신뢰를 얻어 그들을 변화시켜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초인적 능력이 요구되는 리더십의

유형이 있을 수 있고, 현대 조직은 변화 상황 속에 있으므로

조직을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느냐가 리더십의 관건이 된다고 보기도 함. 또한 구성원들에게 일방적으로 희생하고 지원하면

저절로 통솔이 되고 구성원들의 헌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보 는 경우도 있음.

3. 전통적 리더십이론

(1) 특성이론: 리더의 특성과 자질 중시

ㅇ 리더십의 특성이론은 리더십과 관련된 성격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리더가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자질이나 특성만 있으면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이나 환경이 변하더라도 언제나

효과적인 리더가 될 수 있다는 이론임.

ㅇ 모든 사람이 리더가 될 수 있는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리더 가 될 수 있다고 봄. 여기에서 자질이란 활력과 인내성, 결단력, 설득력, 책임성, 지적 능력 등으로 보는 학자도 있고(Barnard, 1946), 리더의 판단능력과 언어솜씨와 관련하여 육체적 특성, 사 회적 배경, 지능, 성격, 과업과 관련된 특성, 사회적 특성 등을 제시하는 학자도 있음(Stogdill, 1957).

또한, 성공적인 리더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사회적 성숙 및 관용, 내적 동기부여 및 성취동기, 인간관계적 태도 등을 지적하는

학자도 있음(Davis, 1976).

(2) 행위이론: 리더의 행동 중시

ㅇ 행동과학자들은 리더십의 특성이론이 비판받게 되자 실제적인 리더의 행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음. 즉, 어떤 특성 및 자질 을 가진 리더가 효과적인가 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리더가 하는 일은 무엇이며, 그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관점에서 적합한 리더의 행동유형을 밝히려는 방향으로 리더십 연구가 전개됨.

(가) 권위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리더십

ㅇ 리더십 유형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정치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행태에서 어떤 유형을 발견하고자 한 것임. 처음으 로 리더십의 유형이 권위형,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구분되었음.

- 권위형: 자신의 권위를 앞세워 구성원들을 명령하고, 지시하며, 과업에 높은 관심을 갖는 형. 구성원의 불만이 높고,

사기도 낮음.

- 민주형: 과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성원과 함께

책임을 공유하고 인간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갖는 형. 협조적자발적으로 일이 행해져 생산성과 사기가 높음.

- 자유방임형: 집단의 구성원들이 원하는 것을 하도록 허용하는 형. 리더에게 반감과 적의성은 없으나 구성원 상호간에 협조심이 적고 방관자가 되는 경우가 있음.

(나) 직원중심적, 과업중심적 리더십: 미시간 연구

ㅇ 미시간(Michigan)대학의 연구팀에서 어떤 유형의 리더의 행동 이 작업집단의 성과와 구성원의 만족을 가져오는가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두 가지 유형의 리더십 행동 유형이 있음을 발견하였음.

- 직원중심적 리더십(employee-centered leadership style): 인간중심적이며 권한과 책임의 위임과 구성원의 복지와 니드, 승진, 개인적인 성장에 관심을 갖는 유형.

- 과업중심적 리더십(job-centered leadership style): 세밀한 감독과 합법적이고 강제적인 권력을 활용하며, 업무계획표에 따라 실천하고 성과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는 유형.

ㅇ 미시간 대학의 연구에서는 직원중심적 리더십이 과업중심적

리더십보다 상대적으로 생산성과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다) 배려적 및 구조적 리더십: 오하이오 연구

ㅇ 1945년부터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는 리더 행위의 결정요인과 작업집단의 성과와 만족에 대한

리더십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음.

연구의 결과는 리더의 행위를 두 가지 차원,

즉 배려(consideration)와 구조주도(initiating structure)로 집약 하고 있음.

- 배려적 리더십: 관계지향적인간중심적으로 온화한 인간관계, 신뢰, 상호 존경과 우정, 지원, 구성원의 의견수렴, 구성원의

복지를 위한 부분에 관심을 나타내는 행동 유형.

- 구조주도적 리더십: 지도자가 과업을 조직하고 정의하며 업무 를 할당하고 의사전달의 통로를 확립하여 작업집단의 성과를 평가하는 행동 유형.

ㅇ 오하이오 연구에서는 구조주도와 배려가 높은 리더가 구조주도 와 배려가 어느 한 쪽에서 낮거나 둘 다 낮은 리더보다 조직

성원들의 성과와 만족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라) 관리격자 이론

ㅇ 관리격자(managerial grid)는 블레이크와 뮤톤(Blake Muton)에 의해 개발된 리더십 유형에 관한 2차원의 표를 말함 그림-A〕.

ㅇ 그들은 인간에 대한 관심생산(산출)에 대한 관심에 대한

유형에 근거해서 관리격자를 제시함.

그림-A에서 묘사된 관리격자 기본적인 리더유형 다섯 가지 에 대한 설명은 <표-2>와 같음.

ㅇ 브레이크와 뮤톤은 (9.9형)의 팀형의 리더십이 업무수행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림.

9

(1.9형)

(9.9형)

8

컨트리클럽형

팀형

7

6

중도형

5

(5.5형)

4

3

무기력형

과업

2

(1.1형)

(9.1형)

1

1

2

3

4

5

6

7

8

9

생산에 대한 관심

그림-A관리격자

<표-2> 관리격자에 대한 설명

(1.9형)

컨트리클럽형(Country Club) : 인간중심형 리더

생산을 특성으로 한 인간에의 최대관심.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에 대한 구성원의 니드에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써 편안하고 호의적인 조직 분위기.

(1.1형)

무기력형(Impoverished) : 방임형 리더

생산과 인간 쌍방에 무관심, 무기력한 관리

요구되는 작업수행을 최소한의 노력을 통해 조직의 구성원으로만 남아 있고자 함.

(9.1형)

과업형(task) : 과업관리형 리더

인간을 희생하여 생산에 최대 관심

생산에 있어서의 효율성은 인간적인 요소를 최저의 수준

으로 작업조건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

(5.5형)

중도형(middle of the road) : 중용형 리더

인간과 생산 쌍방이 중용을 얻는 관심, 타협과 균형이 특징

적절한 조직성과는 만족스러운 수준에서 구성원의 사기를 유지하는 것과 작업수행의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이룸.

(9.9형)

팀형(team) : 이상형 리더

인간과 생산 쌍방에 최대 관심, 동기부여, 상호존중, 문제

해결과 창조를 촉진

작업은 몰입된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며 조직목표에서 공동의 이해관계를 통한 상호의존성은 신뢰와 존경의 관계를 형성됨.

(3) 상황이론: 리더가 처한 상황의 중시

ㅇ 특성이론이나 행위이론은 어떤 유일한 이상적인 리더십 유형을 발견하려고 하는 것임.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유효성과 관련하여 어떤 리더십이 가장 효율적인 유형이라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지 는 못함.

ㅇ 따라서 어떤 상황에서나 효과적인 유일한 리더십 유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리더십의 유효성을 상황과 연결시 키려는 이론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상황이론 (contingency theory)임. 상황이론에 의하면, 리더란 상황의 산 물임. 즉, 주어진 상황에 따라 지도자의 능력이나 가치가 달리 평가되는 동시에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행태와 자질이 달라진다 고 봄.

(가) 피들러의 상황이론

ㅇ 상황이론의 최초 연구는 피들러(Fiedler)에 의해 시도되었음. 피들러에 따르면, 높은 직무성과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리더십의 유효성은 리더와 집단간의 상호작용과 상황의 호의성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임. 여기서 상황의 호의성(favorableness of the situation)이란 그 상황이 리더로 하여금 자기 집단에 대하여 그 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정도를 의미함. 피들러는

조직에 대한 리더의 영향력은 세 가지 상황적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함.

첫째, 원래 구성원이 리더를 신뢰하고 존경하는 친밀한 분위기 의 조직인지 아니면 리더가 누가 되었던 간에 눈치만 보고 욕이나 하고 서로 불신하는 풍토를 가진 조직인지를 의미하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둘째, 항상 반복되는 일인지, 복잡한 일인지, 과업목표가 구체적이 고 분명한지, 의사결정 체제가 잘 정비되어 있는지 등의

구조화 정도를 가리키는 과업구조(task structure).

셋째, 전통과 분위기 그리고 조직 내 제도와 법규가 원래 리더에게 막강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상황인지, 리더의 자리는 구성원 의 승진, 상벌에 대한 실권이 없는 허상의 자리인지 등을 나타 내는 직위권력(position power).

ㅇ 위의 세 가지가 모두 강하면 리더에게 유리한 상황이요, 모두 약하면 불리한 상황으로서 이런 경우에는 리더가 과업중심적

행동을 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이며, 위의 세 요소들이 한두 가지 는 좋지만 나머지 한 가지가 나쁘다면 리더에게는 중간 정도의 상황으로서 인간중심의 행동을 해야 효과적이라고 주장함.

(나) 하우스의 경로-목표 이론

ㅇ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은 하우스(House)에 의해서 발전된 이론으로 경로의 명확화, 니드 충족, 목표 달성을 주요 변수로 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리더십의 패턴이

달라진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음. 하우스는 리더의 역할이란 구성 원이 목적지(goal)에 이르도록 길(path)과 방향을 가르쳐 주고 따라가면서 어디가 지름길이고 어디가 가시덤불이 있는지의

행동경로를 코치해 주며 도와주는 것이라고 주장함.

(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ㅇ 허시와 블랜차드(Hersey Blanchard)의 상황이론은 다양한 상황 중에서 구성원의 상황에 주목하고 있음.

ㅇ 이 이론은 구성원이 없으면 리더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즉, 리더십은 구성원의 존재여부에 따라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만큼 리더십에서 구성원의 존재 그리고 그 들의 상황에 적합한 관리적 행동이 중요함을 강조함.

ㅇ 리더십 차원을 인간중심과 과업중심으로 나누고 상황변수를

고려한 리더십 모형이란 점에서 이들의 연구도 다른 학자들과 유사하지만, 이 이론만이 갖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

첫째, 리더십 유형이 단 한 가지 상황요인, 즉 구성원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임.

둘째, 리더십의 두 차원(과업행위와 관계행위)이 연속선상에 있지 않고, 과업차원과 관계차원은 별개의 것으로 상호 영향을

주지 않고, 두 요소가 동시에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함.

4. 현대적 리더십이론 – 10. 5

새로운 관점의 접근방법은 과거의 이론보다도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 대표적인 이론으로 변혁적 리더십이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서번트

리더십이론, 팔로우십이론 등이 있음.

(1) 변혁적 리더십이론

ㅇ 변혁적 리더십이론(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기존의

모든 리더십 연구가 리더와 구성원간의 교환관계에 기초한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에 치중해 왔다는 비판 에서 비롯되었다고 봄. 거래적 리더십 과정에서 리더는 구성원들 의 리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리더 자신이 원하는 결과와

구성원들이 원하는 보상을 거래하는 것임.

ㅇ 거래적 리더십은 구성원이 복종하는 대가로 리더로부터 임금이 나 신임을 얻는 교환(exchange)적 관계에 토대를 두는 것이다고 주장함(임창희, 2007).

ㅇ 반면,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 모두의 동기와 목적의식 을 고취시키는 것을 포함함.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사를 조직발전 속에서 찾도록 영감을 불러일으켜

주며 항상 새로운 창조와 혁신을 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해 준다고 봄.

ㅇ 어떤 의미에서 변혁적 리더는 자기가 없어도 구성원들 스스로 바람직한 행동(창조, 학습, 변화, 도전 등)을 할 수 있는 사람들 로 변혁시키는 리더임(임창희, 2007).

ㅇ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 스스로 업무에 대한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업무결과에 대한 구성원의 니드를 자극 하여 구성원 스스로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함.

ㅇ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자질을 갖추어야 함(정수진김양호, 2005).

첫째, 구성원들에게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주며, 비전을 통한 단결 능력을 가져야 함.

둘째, 비전은 제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 비전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함.

셋째, 구성원들로부터 전적으로 신뢰감을 얻어야 함.

넷째, 리더 스스로 자신의 이미지 관리에 능통해야 함.

(2)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ㅇ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charismatic leadership theory)은 구성 원으로 하여금 대가없이 또는 리더의 구체적 간섭 없이 자발적 으로 조직에 헌신토록 하는 리더십임.

ㅇ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리더의 특성, 구성원의 특성, 상황의 특성 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음.

첫째,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추종자에게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비전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야 함.

둘째,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반응이 중요 함. 리더가 자신이 아무리 훌륭하다고 생각해도 구성원들이

인정해 주지 않으면 카리스마적 리더가 될 수 없음. 이러한 점 에서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리더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리더의 권위에 순종하게 하여야 하며, 리더의 비전을 따르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음.

셋째, 리더 자신의 능력보다는 상황의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카리 스마적 리더로 지각되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면, 사람들이

위기의식을 느낄 때, 자신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들을 구할 수 있는 리더를 찾게 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카리스마적 리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3) 서번트 리더십 이론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란 최고관리자가 조직에서 군림하지 않고 구성원을 섬기며, 그들이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도 록 적극적으로 동기부여를 하면서 러더십을 발휘하는 것을 말함.

ㅇ 서번트 리더십 하에서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는 상하 종속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동료관계에 가깝다. 즉, 서번트 리더는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권한과 책임을 위임 하고 그들을 지원하게 됨.

ㅇ 서번트 리더십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질을 갖추 어야 함.

첫째, 경청(listening)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경청은 조직 구성 원을 존중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이해하는 것임. 리더는 적극적 이고 능동적인 경청을 통해서 조직 구성원의 니드를 파악할 수 있음.

둘째, 공감(empathy)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리더는 조직 구성 원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구성원이 무엇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해결해 주어야 함.

셋째, 치유(healing)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치유는 리더가

조직 구성원들을 이끌어 가면서 보살펴 주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것임.

넷째, 스튜어트십(stewardship)을 갖추어야 한다.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을 위해 자원을 관리하고 봉사해야 한다는 것임.

다섯째, 조직 구성원의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함. 이를 위해서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을 위해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야 함.

마지막으로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 존중하며 봉사하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를 형성해 가야 함.

(4) 팔로우십 이론

최근 현대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리더십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음.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이론이 팔로우십임.

ㅇ 팔로우십은 Kelly(1988)에 의해 제기되면서 학자와 실무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음. Kelly는 다섯 가지의 팔로우십 유형을 제시 하고 있음. 즉, 팔로우의 사고성향이 독립적비판적인가’, ‘의존 무비판적인가’, 그리고 행동성향이 수동적인가적극적인가 기준으로 소외형, 순응형, 실무형, 수동형, 모범형 팔로우로 구분 함.

중간시험 대체 과제 제출

- 과제: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의 개요,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 분량: 8매 내외(겉표지, 참고문헌 포함)

- 글씨크기: 12포인트

- 제출방법: E-mail()

- 제출기한: 2020년 11월 2까지

제6장 청소년단체와 활동시설

1. 서론

청소년활동의 주요한 실천적 기반

- 청소년단체와 청소년시설,

- 활동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ⅰ) 프로그램 기획

(ⅱ) 프로그램 설계

(ⅲ) 프로그램 마케팅

(ⅳ) 프로그램 실행

(ⅴ) 프로그램 평가

- 청소년지도자.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청소년지도자란 다음의 각목을 말한다.

가. 제21조에 따른 청소년지도사

나. 제22조에 따른 청소년상담사

다. 청소년시설, 청소년단체 및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청소년육성 에 필요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ㅇ 이 장에서는 청소년활동의 주요 요소인 청소년단체시설 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그 현황과 문제점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함.

2. 청소년단체와 시설의 개념

ㅇ 청소년단체 및 시설은 청소년들의 흥미와 욕구를 조직적

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집단활동을 다채롭게 시행하는 기관

이자 장소이며,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성장을

도우는 주요 요소로서 그 동안 다양하게 설립·운영되어 왔음.

ㅇ 청소년단체는 청소년 집단을 근간으로 구성·설립된 사회

조직체의 하나로 특성에 따라 그룹, 서클, 클럽, 동아리, 또는 조직, 협의회, 연맹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음.

ㅇ 우리나라의 현행 청소년단체는

- 회원 조직 중심단체

- 시설 중심단체

- 자생적 모임인 동아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

ㅇ 조직의 정의: 조직이란 인간의 집합체로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구성한 사회체제임.

ㅇ 조직의 특성

- 인간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실체

- 목표지향성

- 구조화된 활동체제

- 지속성

- 투과가능한 경계(모든 조직은 환경과 구분짓는 경계가

있음)

- 환경과 상호작용(경계가 있다고 해서 외부와 단절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니며 조직은 환경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청소년단체란 청소년들로 하여금 일정한 만남과 접촉을

통해 상호작용함으로써 개인적인 성장을 이룩하는 동시에,

장차 사회의 건전한 일원으로서 생활해 갈 수 있는 태도를 습득케 하며, 전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정신을 연마하는 실천적인 활동현장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넓은 의미의 사회

단체의 하나임.

청소년시설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내의 생활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여가, 문화활동이나 일상생활공간을 벗어 나 자연환경을 활용한 야외활동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며 심신을 단련하는 공감으로 제공되는 각종 장소, 시설, 설비를 총칭하는 개념임.

ㅇ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에 의해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이용시설로 구분됨.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청소년활동시설의 종류) 청소년활동

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청소년수련시설

가. 청소년수련관: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나. 청소년수련원: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과 다양한 청소년수련 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다. 청소년문화의 집: 간단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

라.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

마. 청소년야영장: 야양에 적합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청소년

수련거리 또는 야영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

바. 유스호스텔: 청소년의 숙박 및 체류에 적합한 시설·설비와

부대·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청소년의 활동지원 (청소년수련활동 지원은 제11조에 따라 허가된 시설·설비의

범위에 한정한다)을 기능으로 하는 시설

2. 청소년이용시설: 수련시설이 아닌 시설로서 그 설치 목적의

범위에서 청소년활동의 실시와 청소년의 건전한 이용 등에 제공 할 수 있는 시설

ㅇ 청소년단체활동의 역사: 신라 화랑도

ㅇ 현대적 의미의 단체활동이 본격화된 시기: 1960년대

ㅇ 청소년단체활동의 상호협력을 협의기구로 한국청소년단체

협의회(일명: 청협) 발족: 1965년

ㅇ 청소년단체들이 전개하는 활동의 종류

- 청소년수련활동

- 지도자 연수활동

- 연구활동

- 상담활동

- 지역사회 개발활동

- 자원봉사활동

* 자원봉사의 핵심단어: 변화, 학습, 약속, 책임, 감사, 사랑, 나눔

- 사회교육 및 체육활동

- 국제교류활동

- 홍보 및 출판활동

- 문예·취미 등 여가활동

- 장학 및 포상

- 유해환경 민간 감시활동

- 조직강화활동 등

2005년 이전까지 청소년수련시설의 구분

- 생활권 수련시설: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 자연권 수련시설: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 유스호스텔

2005년 이후 현재까지 청소년수련시설의 구분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특화

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수년시설 현황(단위:개소, 2018. 12. 31) - 전국

구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

호스텔

801

185

181

270

11

39

115

청소년수년시설 현황(단위:개소, 2019. 12. 31) - 대전광역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

호스텔

16

4

3

8

·

·

1

평송청소년

문화센터,

대전청소년

위캔센터,

대덕구청소년수련관,

유성구청소년수련관

대전

청소년수련마을,

동구청소년자연수련원,

살레시오청소년

수련원

갈마청소년문화의집,

대덕구법동 〃 ,

대흥동 〃 ,

도솔 〃 ,

도안 〃 ,

도화 〃 ,

장대 〃 ,

탄방 〃 .

유성유스호스

ㅇ 청소년이용시설의 종류

- 문화시설(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3호): 국립중앙

극장,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

민속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 과학관(과학관육성법 제2조 제1호):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서울과학관

- 체육시설(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생활체육공원, 국민체육센터, 마을단위 생활체육시설, 동네 운동장, 길거리농구대 등

- 평생 교육시설(평생교육법 제2조 제3호)

- 자연휴양림(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4조,

제19조)

- 수목원(수목원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 사회복지관(사회복지사업법 제34조 제4항대전 22개소)

- 시민회관

- 어린이회관

- 공원

- 광장

- 고수부지

ㅇ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청소년기본법 제40조)

- 설립목적: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청소년

육성과 국내·외 청소년단체 상호 간의 협력 및 교류와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65년 12월 8일

- 주요사업(청소년기본법 제40조 제1항)

· 회원단체의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조·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와 권익 증진

· 청소년 관련 분야의 국제기구활동

· 외국 청소년단체와의 교류 및 지원

· ·북청소년 및 해외교포청소년과의 교류·지원

· 청소년활동에 관한 조사·연구·지원

· 청소년 관련 도서 출판 및 정보지원

· 청소년육성을 위한 홍보 및 실천 운동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단체협의회에 대한 협조 및

지원

· 그 밖에 청소년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 가입현황: 63개 단체(2020. 9. 20 현재)

ㅇ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 설립목적: 청소년시설의 전문화 및 선진화를 통하여 청소년 활동 활성화와 건전 청소년육성에 기여함을 목적 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89년 10월 1일

- 주요사업(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제1항)

·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운영자 및 위탁운영

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연구·지원사업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 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801개(2019, 청소년백서 기준)

4. 청소년단체의 특성과 운영조건

1) 청소년단체의 특성

(1) 일반 조직으로서 특성

ㅇ 일반적으로 어떤 집합이나 모임이 하나의 집단 또는 단체로 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조직화 과정이 필요함.

ㅇ 어떤 집단이 공식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서는

- 집단이 추구하는 공동목표가 있어야 하고,

- 권위와 조정능력을 가지고 공동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의결기관, 집행기구가 있어야 하며,

- 권력과 노동의 분화,

- 커뮤니케이션의 책임,

- 분업,

- 권력중심체,

- 성원의 교체 기능 등 특정적 요소를 가져야 함.

ㅇ 청소년단체도 공식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서는

각기 추구해 나가는 분명한 목적을 수립해 놓고 있으며,

목적을 성취하고자 공동으로 노력하는 조직성원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단체의 조직이 소규모임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명시된 조직표가 있으며, 이러한 조직표에 따라 위계적

권위구조가 존재한다는 점(예를 들면, 회장, 부회장,

사무총장, 부장, 과장 등),

청소년단체에서도 업무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청소년단체 조직 내에도 조직행위를 통제하고 조정하는 권위의 중심체가 존재한다는 점 등이 있음.

ㅇ 청소년단체는 위와 같이 일반 조직으로서 지녀야 하는 공통 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측면도 있음.

- 조직의 규모가 타 조직체에 비해 비교적 작은 편이며,

- 조직성원의 수가 적어 성원간의 대면접촉에 의한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 자발적 조직체이므로 성원들 모두 적극적이며,

- 자발적인 참여와 세밀한 협동을 기반으로 단체가 지향하는 활동을 수행해 나간다는 점.

(2) 청소년단체의 목적적 특성

ㅇ 모든 조직이나 단체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목적은

조직이나 단체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합법적인 근거 가 되는 동시에 조직이나 단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평가

척도가 되기도 함.

ㅇ 청소년단체의 경우 공통적으로 그 목적이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다는 교육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

ㅇ 청소년단체의 목적을 조직이나 단체의 목적이 관계대상과 그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여러 가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조직이론에 의거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목적 대상을 조직 외적 대상과 조직 내적 대상으로 분류하여

대상별 목적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표 2>와 같음.

(교재 P. 128 참조)

조직이론

1) 고전적 조직이론

가) 과학적 관리론: 과학적 관리론은 테일러(Taylor)가 산업

현장(철강회사)에서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에 새로 대두되고 있던 경영 및 생산의 기술들을 종합하면서 만들어 진 것임. 과학적 관리론은 조직에 있어 기획과 실행의 분리 를 전제로 함.

테일러에 있어 일에 관한 계획은 관리자의 몫이고, 일의

실행은 노동자의 몫이라고 함. 과학적 관리론은 동기부여 및 유인제도에 있어 개인의 물질적 이익에 호소하는 차별적 성과 급 제도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과학분석과 경험을 바탕 으로 한 능률적 작업방법은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노동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면 된다고 주장함.

과학적 관리론의 최대 단점(약점)은 조직의 핵심적 요소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는 점.

나) 행정관리론: 행정관리론은 조직의 관리기능을 중시하면서 관리층이 맡아야 할 조직 및 관리작용의 원칙들을 개발하는데 주력하였으며, 핵심적 특성으로는

첫째, 집권화되고 기능적으로 전문화된 조직구조,

둘째, 면밀한 감독과 통제를 강조하는 것

행정관리론은 패욜(Fayol, 1916)일반 및 산업관리라는 저서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행정관리론은 명령통일의

원칙, 통솔범위의 원칙, 예외의 원칙, 일치의 원칙, 부성화의 원칙, 조정의 원칙, 계선(line)과 막료(staff)의 원칙, 집권과 분권의 원칙 등 다양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다) 관료제: 관료제는 계층제적 구조를 가진 대규모의 복잡한 합리적·능률적 관리조직을 의미함. 베버(Weber)는 18세기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에서 생성된 대규모 공공조직들의

공통된 특징을 통찰하고, 합리적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상적인 조직형태로 관료제를 제시하였음. 관료제 모형 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필요한 권위의 정당성은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등으로 설명함. 관료제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이 있음.

첫째, 조직내부 또는 조직 간의 상하관계가 계층제의 원리에 의하여 명확한 명령복종 관계가 확립되어 있음.

둘째, 계층의 직위에 따라 관료의 권한과 직무 범위는 법규 에 의해 규정.

셋째, 공공사무는 민간사무와 구별.

넷째, 모든 직무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지닌 관료가 담당.

다섯째, 모든 업무 수행은 서류에 의하여 이루어짐.

2) 신고전적 조직이론

가) 인간관계론: 인간관계론은 조직의 구성원을 감정의 논리나 대인 관계에 따라서 움직이는 인간으로 파악하고 욕구·동기· 태도를 중심으로 개인 간’, ‘집단 간’, ‘개인·집단과 조직 간 에 형성되는 조직체 내의 여러 가지 사회적·심리적 관계를

분석하는 이론임.

인간관계론의 내용은 호손(Hawthorne)공장 실험결과를 통해 도출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첫째, 조직은 인간과 인간으로 구성된 사회적 체제임.

(기계적 구조물이 아님, 비공식적 인간관계가 강조됨)

둘째, 조직구성원은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적 요인, 심리적 요인에 의해 동기를 부여 받음.

셋째, 권위주의적 리더십보다 민주적인 리더십이 바람직함.

넷째, 사회심리적 만족감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짐.

나) 의사결정론: 의사결정론은 복잡한 상황에서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조직과 개인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 임.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개념이 합리성 (rationality)임.

의사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첫째, 적극적인 행동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목표가 설정 되어야 하며,

둘째, 기존의 환경이나 어떤 제약 아래에서 목표가 달성될 수 있는 대안이 명백하게 밝혀져야 하며,

셋째, 목표추구라는 견지 아래에서 대안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마련되어야 하며,

넷째, 목표달성을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대안을 선택함으로 써 최선의 해결책을 강구해야 함. 하지만 앞에서 제시한 모든 합리적 과정과 내용을 담보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점임.

이에 조직에서 활용하는 합리성은 사실상 제한된 합리성이라 는 점을 알 수 있음.

3) 현대적 조직이론

가) 체제이론: 체제이론은 공식적·체계적으로 구성된 인간의

복합체인 조직을 하나의 물리적·생물학적 체제와 유사한 특성 을 갖는 체제(system)으로 인식하는 조직이론임.

체제이론의 기본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음.

첫째, 하나의 체제는 다른 체제와의 상호작용 속에 존재하 며, 전체 체제속의 하위체제로 구성되어져 각각은 상호 의존관계를 유지함.

둘째, 체제는 일정한 구분이 되는 경계를 가지고 있음.

셋째, 조직은 갈등과 협동이 수반된 내·외부의 여러 가지

관계에 의해 특징지어짐.

넷째, 조직은 생물학적 유기체로 생각될 수 있으며, 조직의 목표나 욕구는 정태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동태적으로도 인식될 수 있음

다섯째, 하나의 체제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폐쇄

체제로 인식될 수도 있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개방체제 로 인식될 수도 있음.

나) 상황적응이론: 환경과 조직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 양자간에 어떠한 관계가 성립될 때 조직의 효과성이 높 아지는가에 초점을 둔 이론임. 상황적응이론에서는 모든 상황 에 유효한 조직특성은 존재하지 않음. 즉 환경·규모·기술 등의 상황변수에 따라 조직구조와 관리체제는 조직 유효성과 관련 하여 변화함.

다) 무정부적 조직이론(쓰레기통 모형): 기존의 조직이론은

대부분 인간의 합리적 관리에 토대를 두고 있는 반면, 무정부 적 조직이론은 조직 합리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음.

일명 쓰레기통 모형으로 알려진 이 이론은 고도로 불확실한 조직상황에서의

- ‘일관성이 없이 빈약하게 정의된 신호체계(개인은 자신의

선호도를 모르면서 의사결정에 참여함)’,

- ‘불확실한 기술(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수단

으로 택해야 할지 확실하게 알지 못함)’,

- ‘유동적인 참여자(조직구성원들은 각 상황에 따라 회의에 수시로 참여 또는 결석함)’로 특징지어지는 의사결정과정 임.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무정부적 조직이라 명명함.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 내 문제, 해결책, 참가자, 선택기회가 서로 뒤엉켜 있는 쓰레기통의 형상을 닮았다고 해서 유래된 용어임.

라) 조직이론의 발전 및 분류

(조직이론 구분 및 특징)

구분

고전적 조직이론

신고전적 조직이론

현대적 조직이론

가치

기계적 능률

사회적 능률

다원적 목표 및 가치

환경

폐쇄체제

환경유관론

개방체제

인간관

합리적·기계적

인간관

사회·심리적

인간관

자아실현적

인간관

관련

이론

고전적 조직이론

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관료제

인간관계론

행정행태론

의사결정론

체제론적 접근법

상황적응론

탈관료제

거버런스론

동기

부여

외재적 동기부여

요인제공

(피·수동적 인간)

외재적 동기부여

요인제공

(피·수동적 인간)

내재적

동기요인 제공

(능동적·적극적

인간)

(3) 청소년단체의 운영적 특성

ㅇ 청소년단체의 운영에 있어서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

첫째, 회원자격과 필요조건에 대한 것. 청소년단체 중에는

모든 청소년들에게 개방되어 있고, 회원 자격 조건은 그 단체의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회원 자격 필요조건에 제한을 하지 않고 있음.

둘째, 모든 단체는 지도자들의 훈련을 위해 노력함.

셋째, 후원에 관한 것. 일반적으로 후원자들은 전국적 단체의 목표를 수행하며 집단지도력, 회원 자격 및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함. 조사에 의하면 공식적인 후원

제도가 청소년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계속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Giving USA 2019

2018년 미국 1년간 기부총액: 4,277억 1,000만 $

(한화 약 500조 4,207억원)

2020. 9. 28 환율 1$ ≒ 1,170

※ 2020년 우리나라 예산규모(당초예산 512조 2,504억원)

넷째, 국제적인 강조. 많은 단체가 국제적인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것을 선호함.

다섯째, 비용과 상품판매활동. 단체 참가를 위한 비용에는

최저한으로 대체로 회원 회비와 참가회비, 보험료 및 제복 비 등이 있음. 많은 단체들은 현지 자금과 운영비를 충당 하기 위해 상품 판매로부터 생기는 수입에 의존하기도 함.

여섯째, 경쟁과 서비스의 역할. 대부분의 청소년단체들은

여러 가지 점에서 경쟁적인 활동들을 지지함.

2) 청소년단체의 운영요건

ㅇ 청소년단체·운영을 위한 제반 요건에 대해서는 일반적 구비 요건과 단체활동의 조직운영상의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단체운영의 일반적 구비요건

전문성과 사명감을 가진 지도인력의 확보와 지위보장

재정적 자립과 예산의 확보

청소년활동 시설 및 공간의 확보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청소년단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성인들의 의식전환

청소년단체 간의 유대강화와 지도력

정부 및 외부기관의 의존에서 탈피한 자율적인 운영의 확대

지방단위 조직으로의 확산

- 청소년단체의 조직·운영상의 요소

단체 목적설정의 명확화는 단체의 모든 운영방향은

설립목적으로 규정되며 목적을 기반으로 단체의 현황과 활동결과를 평가하며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성원이 무엇을 바라고 필요로 하는지, 또 지역사회의 요청이 무엇인지 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목적 이 명확하게 되었다면 구성원에게 충분히 이해시켜야 함.

단체활동의 조직과 운영을 위해서는 목적달성과 집단

유지 기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함.

· 목적달성 기능: 단체는 공통의 목적이 있고, 그것을

달성하는 것으로 단체의 존재의의가 있음. 예를 들면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의 목적 달성 기능은 역량있 는 훌륭한 사회복지인 양성을 위한 강의, 철저한 교육 과 훈련, 실습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

· 집단유지 기능: 단체의 구성원이 상호 교제하고 사귀 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구성원 간에는 따뜻한

애정이 넘쳐 있어야 한다는 것임. 예를 들면 목원대학 교 사회복지학과의 집단유지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학 술제, MT, 동아리 침목모임 등을 들 수 있음.

청소년단체의 운영은 조직편성의 적정화를 도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소집단화와 역할분담을 중시할

필요가 있음. 큰 집단에는 소집단에서 볼 수 없는 특유의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는 점. 즉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하 는 마음과 거부현상, 불참여 현상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단체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 이를 위해

회원들의 흥미·욕구를 만족시킬 것

회원 상호간의 단결과 참여분위기를 조성할 것

협력과 경쟁

회원 간의 상호작용

개별지도

시설과 설비의 효과적인 이용 등이 요구됨.

5. 청소년시설의 설치와 운영지원

1) 청소년시설의 설치

(1) 중앙정부의 수련시설 설치

청소년활동진흥법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전국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운영

하도록 명시하고 있음.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1조(수련시설의 설치·운영 등)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청소년기본법제18조 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은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1. 국가는 둘 이상의 시·도 또는 전국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2.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이 ·도지사라 한다)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각각 제10조 제1호 가목에 따른 청소년수련관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 여야 한다.

3.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읍··동에 제10조 제1호 다목에 따른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여 야 한다.

4.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0조 제1호 라목부터 바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청소년특화시설·청소년야영장 및 유스호스텔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국가는 제1항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수련시설의 설치·운영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보조할 수 있다.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개인·법인 또는 단체는 특별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사항 중 대규모의 부지변경, 건축 연면적의 증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제3항에 따른 허가를 받아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는자(이하수련시설 설치·운영자라 한다)에게 예산의 범위에서 그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ㅇ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시설로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국립

평창청소년수련원이 운영 중임. 또한 청소년의 우주과학에 대한 욕구와 관심을 제고하고, 창의적인 첨단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과학·탐구체험을 위한 국립청소년우주센 , 청소년에게 해양환경체험을 통해 해양생명체의 소중함을 인식하게하고 미래해양자원 개발 및 기술발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위한 국립청소년해양센터, FTA(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국가간 무역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협정), DDA(도하개발아젠더, Doha Development Agenda: 2001.11.14. 카타르 도하 각료회의 에서 합의된 WTO 제4차 다자간 무역협상) 등으로 인한 농업 수입개방의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우리 농업의 비전과 소중 함을 인식시키고 새로운 농업생명의 발전상을 체험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청소년농생명센터가 건립되어 운영중임.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및

시범운영, 청소년지도자의 양성 및 연수, 국내·외 청소년교류 및 수련시설간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국립수련시설. 충남 천안시 목천면 독립기념관 부지 내 약 640억원 투입, 2001년 6월 준공.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자연권 청소년수련활동의 시범적

운영 및 총괄·지원을 위한 자연권수련시설. 수련시설에 대한 지원과 청소년수련활동 운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 수행.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약 240억원 투입,

1998년 10월 준공(최초로 설립된 국립수련시설).

국립청소년우주센터: 우주분야에 대해 전문화·특성화된 수련 시설로서 청소년의 우주체험 활동의 장을 해외에서 국내로 전환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우주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건립됨. 전남 고흥군 동일면 덕흥리 약 498억원 예산 투입. 2010년 7월 준공.

국립청소년해양센터: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으로 건립된 해양환경체험시설.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에 약 372억원의 민간자금이 투입되어

2012년 7월 준공됨.

국립청소년농생명센터: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으로 건립된 농경문화체험시설. 전북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에 약 220억원의 민간자금이 투입되어

2012년 7월에 준공됨.

(2) 지방자치단체의 수련시설 설치

ㅇ 지방자치단체가 건립하는 청소년수련시설은 주로 생활권

수련시설로 행정구역별로 1개소씩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제12조 제1항 제2호, 제3호)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수련관을 1개소 이상을 설치·운영해야 하며, 읍··동에는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씩 설치하여야 할 의무를 지님.

(3) 민간 수련시설 설치

ㅇ 청소년수련시설의 확충을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과 더불어 청소년활동진흥법에 의거하여 민간수련시설을

건립하는 민간법인이나 단체, 기업 등에게 세제 등의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청소년활동진흥법 제30조(민간인의 참여 유도)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개인·법인 또는 단체가 수련시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토지·금융·세제 또는 그 밖의 행정절차상의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인·법인 또는 단체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는 수련시설에 대하여 토지·금전 등을 출연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연자의 성명 등을 그 수련시설의 명칭으로 할 수 있다.

사례: 평송청소년문화센터기증자(출연자) 이남용 선생의 호평송】: 1990년초 이남용 선생은 청소년회관 건립을 위해 써 달라고 30억원을 대전시에 기부함.

(4) 수련시설 설립 사전검토와 주택건립 시 설치계획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르면 국립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련

시설을 설치하려고 할 경우, 입지조건이나 내부구조, 설계사항 등 건립의 타당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여성가족부의 심의를 받은 후 시행하여야 하며, 수련시설 건립 시에도 수련시설건립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심의원원회에는 청소년전문가 및 청소년이 각 5분의 1 이상 참여하도록 해야 함.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8조(수련시설 건립 시 타당성의 사전 검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1조 제1항에 따라 설치되는 수련시설이 청소년활동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지 조건, 내부 구조, 그 밖의 설계사항 등 건립의 타당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설계사항을 사전에 심의한 후 시행하여야 한다.

제1항에 따른 기본계획 및 관련 설계사항의 심의 과정에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및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다.

제1항 및 제2항의 심의 과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시행령 제15조(수련시설 건립심의위원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법 제28조제2항에 따라 심의 과정에 청소년 관련 전문가 및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관 수련시설 건립 시 수련시설건립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라 한다)를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심의위원회의 위원은 5명 이상 10명 이하로 구성하며, 위원 중 청소년 및 청소년 전문가의 참여 비율은 각각 5분의 1 이상으로 한다.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위원장은 심의위원회를 대표하고, 심의위원회의 직무를 총괄한다.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위원장은 필요시 회의를 소집하며, 그 의장이 된다.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開議)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수련시설을 설치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수요자 요구조사, 운영계획 및 건축물의 설계계획 등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심의위원회에 제출하여 심의하도록 하고, 심의 결과는 수련시설의 설계 및 건축 시 반영하여야 한다.

심의위원회는 심의에 필요한 경우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영에 규정된 것 외에 심의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2) 수련시설 운영 지원

(1) 수련시설 안점점검 및 보험가입

ㅇ 수련시설의 증가와 함께, 시설의 안전을 위해 여성가족부

주관 하에 관련기관(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과 합동으로

안전관리 실태 점검 사항은

- 청소년 수련시설 관리운영,

- 주요 구조부의 균열,

- 내구성 저하 등의 위험사항,

- 석축, 옹벽, 담장 및 부대시설의 안정성,

- 전기, 기계, 소방 및 냉·난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 기타 관리 주체의 안전의식 및 재난 관리 체계 구축 여부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제18조)에 따르면, 수련시설 운영대표자는 정기 및 수시 안점점검을 실시해야 하며, 그 결과를 특별자치 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8조(수련시설의 안전점검 등)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시설에 대하여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제1항에 따라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2항에 따른 결과를 받은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필요한 경우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에게 시설의 보완 또는 개수(改修)ㆍ보수(補修)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의 범위에서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점검이나 시설의 보완 및 개수ㆍ보수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는 시설의 범위ㆍ시기, 안전점검기관, 안전점검 절차 및 안전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4. 1. 21.]

청소년활동진흥법 제72조(과태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6조의8을 위반하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2. 제67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검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7. 12. 12., 2018. 3. 13.>

1. 제9조의2제1항을 위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또는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신고한 자

2. 제9조의2제4항을 위반하여 청소년수련활동의 모집을 한 자

3. 제9조의3제2항을 위반하여 필요한 의료조치를 하지 아니한

4. 제9조의5를 위반하여 표시 또는 고지를 하지 아니한 자

5. 제13조제1항을 위반하여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수련시설을 운영한 자

6. 제14조제1항을 위반하여 운영대표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제16조제4항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7. 제18조의2를 위반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아니한 자

7의2. 제18조의3제3항 후단을 위반하여 자료 제출의 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7의3. 제19조의2제3항 후단을 위반하여 자료 제출의 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8. 제20조에 따른 시정명령을 위반한 자

9. 제21조를 위반하여 같은 조 각 호의 행위를 한 자

10. 제25조를 위반하여 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한 자

11. 제27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수련시설을 휴지, 재개 또는 폐지한 자

12. 제38조를 위반하여 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인증수련활동이나 청소년수련활동의 인증 등 인증을 받았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거나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한 자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여성가족부장관 또는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부과ㆍ징수한다.

ㅇ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5조에서는 수련시설 운영자로 하여금 이용자에게 발생한 생명·신체상의 손해를 배상하기 위하여 보험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5조(보험 가입) 제9조의2에 따라 숙박형등 청소년수련활동 계획을 신고하려는 자,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또는 위탁운영단체는 청소년활동의 운영 또는 수련시설의 설치ㆍ운영과 관련하여 청소년활동 참가자 및 수련시설의 이용자에게 발생한 생명ㆍ신체 등의 손해를 배상하기 위하여 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제1항에 따른 보험에 가입하여야 할 수련시설의 종류 및 보험금액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와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ㅇ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 설립목적: 청소년시설의 전문화 및 선진화를 통하여 청소년 활동 활성화와 건전 청소년육성에 기여함을 목적 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89년 10월 1일

- 주요사업(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제1항)

·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운영자 및 위탁운영

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연구·지원사업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 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801개(2019, 청소년백서 기준)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및 위탁운영단체는 수련시설의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여성가족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하는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이하 "시설협회"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

1.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및 위탁운영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2. 청소년지도자의 연수ㆍ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3.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4.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ㆍ연구ㆍ지원사업

5.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6.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시설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시설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국가는 예산의 범위에서 시설협회의 운영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시설협회는 제1항에 따른 사업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위탁할 수 있다.

시설협회에 관하여는 이 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ㅇ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제41조(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특정 지역을 활동범위로 하는 수련시설은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그 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를 설치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의 범위에서 해당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의 운영경비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6. 청소년단체와 시설운영의 평가

1) 단체와 시설운영의 문제점

설립목적과 목표가 활동내용을 통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음.

활동과 운영상 청소년들의 욕구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단체 간, 시설 간 또는 단체와 시설 상호 간 협력과 연대 의식을 결여하고 있음.

단체와 민간시설의 재정이 영세하고 이에 대한 지원도

미약함.

단체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수가 적음.

청소년 인구에 비해 청소년시설의 수는 여전히 부족하며 기존 시설의 활용도도 높지 않음.

2) 청소년시설 운영의 과제

첫째, 청소년시설의 대상집단을 명확히 해야 함. 청소년들이 청소년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가 프로그램의 성공을 좌우함. 중요한 인식문제의 하나는 청소년시설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집단의 인식이라고 할 수 있음.

둘째, 지도력의 개발과 전문적 운영요원 확보가 필요함. 청소 년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동원하 고 활용해가는 지도력이 필요함. 적절한 지도력의 개발이 청소년시설의 성공적인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됨.

그러나 청소년시설·단체에 종사하는 직원의 전반적인

급여 수준이 열악하여 전문성있는 지도자 확보에 어려움 이 있으나 최근 이에 대한 보완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음.

셋째, 청소년지향적인 직원을 채용하고 참여시켜야 함. 성인 지향이나 지도자 지향이 아닌 청소년 지향적이고 청소년 의 요구와 문제에 민감한 직원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넷째, 지역사회의 지원(지지, 옹호)을 확보하여야 함.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물음에 답해야 함.

지역사회 내 청소년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의 지원이 특정 청소년만을 위한 것인가?

지역사회나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청소년

시설을 지역사회의 자원만 낭비하는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가?

경찰서 등에서는 청소년시설을 어떻게 보는가?

기업이나 부모, 행정조직 등을 포함하여 지역사회가 청소년시설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다섯째, 청소년시설이 지역사회로부터 인정과 지원을 받기

위해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지역주민을 청소년시설의 운영에 참여시키는 것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청소년 시설 운영에서 지역주민의 참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여섯째, 재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함. 청소년 시설의 운영을 통해서 돈을 벌지 못한다는 것이 일반 적임. 청소년시설을 운영하면서 돈을 버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따라서 청소년시설들이 지역 의 재정지원기관, 시민단체, 사업체 등과 성공적으로 연계를 맺는 것이 문제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

일곱째, 청소년시설의 기획과 운영에 청소년을 참여시키는

일이 중요함. 청소년들이 청소년시설의 단순한 이용자 가 아니라 지역 청소년시설이 주체로서 참여가 있어야 함.

청소년참여의 범위는 청소년시설의 운영, 운영위원회, 프로그램의 선정, 일상적인 시설의 운영(유지와 개선 포 함) 등을 포함함.

여덟째, 지역 청소년시설이 인기 있는 장소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사회적 변화에 한발 앞서

나가는 것임.

아홉째, 수련시설의 안전과 수련활동의 위험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함.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국가적 점검과

전문기관의 평가를 통하여 그 내용을 공개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수련시설을 선택하는 데 용이하도록 하고 안전기준이 미비하거나 무허가시설이 이용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임.

안전한 청소년활동을 위해 기억해야 할 사항

하인리히의 1:29:300의 법칙

1번의 대형 참사 이전에 유사한 29번의 작은 사고가 있고, 그 사고들에 앞서 300번 이상의 사고 징후가 나타난다는 것임.

제7장 청소년활동의 조직과 프로그램의 운영

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