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청소년활동론(2020).hwp

닫기

청소년수련활동론(청소년활동론)

청소년의 개념

ㅇ 역사적으로 청소년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음.

ㅇ 농경사회에서는 어른 아니면 아이였고 청소년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음. Neil Postman(1994)청소년기의 소 이라는 저서에서 청소년기는 18세기 이후에 생성된 개념 이라고 주장함.

ㅇ 청소년의 개념은 사회, 문화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상이하 게 정의되고 있는데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청소년기는 짧 을 수도 있고, 길 수도 있고,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 다고 봄.

ㅇ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분야에서는 먼저 그 인간이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함.

1. 어원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영어권에서는 청소년을 나타내는 용어로 teenager(십대), puberty(사춘기), juvenile(어린아이, 청소년)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adolescentyouth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구분은 다음과 같음.

adolescent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

성장하다(to grow up),

성숙에 이르다

(come to maturity)의 뜻

youth

ㅇ 인간발달론적 관점

ㅇ 생리학적 발달국면 강조

ㅇ 과도기적 특성

ㅇ 유보된 시민권 강조

ㅇ 사회심리적 관점

ㅇ 사회심리적 생활국면 강조

ㅇ 고유한 청소년기 특성 강조

ㅇ 청소년의 인권, 책임 강조

우리나라에서는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youth에 무게 중심을 둠.

청소년백서(youth white paper), 청소년복지(youth welfar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 사회통념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는 소년, 소녀, 미성년, 중 생, 10대, 1318, 1315(별칭B세대)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어원적이라기보다는 발달적 제도적 성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관행화된 성격이 짙음.

3. 발달론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의 정의에 대한 발달론적 접근은 주로 발달심리학과 의학 등의 연구성과에 기초함.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을 태아기-영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 -중년기-장년기-노년기 등의 9단계로 구분하고 있음. 청소년기는 인간발달의 초기단계에 해당되며, 인간을 성년(성인)과 미성년으로 구분할 때 분기점이 됨.

4. 법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에 대한 법적 정의는 그 나라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 또한, 국가의 정책이나 제도는 법적 근거가 있어야 비로소 공식적 제도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 대한 법적 정의는 매우 실제적 의미를 지님.

<청소년관련법에서의 청소년의 호칭과 연령>

법 률 명

호 칭

연령구분

아동복지법

아동

18세 미만인 사람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

청소년활동진흥법

청소년

청소년복지지원법

청소년

청소년보호법

청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아동청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소년법

소년

19세 미만인 사람

민법

미성년자

19세 미만의 자

형법

형사미성년자

14세 되지 아니한 자

근로기준법

연소자

15세 미만인 사람 * 취직인허증(고용노동부 장관 발행)

청소년기의 특성

청소년기는 부모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해당함. 이 시기는 의존적인 아동기와 독립적인 성인기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공유하여 아동도 성인도 아닌 양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주변인(marginal man)으로서의 특질을 갖는 시기임.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기는 제2의 탄생기, 부적응 시기, 제2의 반항기, 질풍노도의 시기라고도 함.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특성을 신체·생리적 특성,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 신체·생리적 특성

첫째, 호르몬의 변화. 청소년기는 그 어떤 시기보다도 안드로겐 (androgen, 남성호르몬)과 에스트로겐(estrogen, 여성호르 몬)이 왕성하게 분비되는 시기.

둘째, 신장과 체중의 증가. 청소년기는 유아기 이후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가장 왕성한 신체적 발육이 일어나는 시기로 서 남녀 모두 신장과 체중이 급격히 증가함.

셋째, 성적 측면의 성숙. 1차적으로 남녀를 구분하는 1차 성징 은 청소년기 이전에 부분적으로 완성되지만, 청소년기에는 성인과 같은 생식능력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남녀를 구분 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2차 성징들이 나타나게 됨.

넷째, 뇌 발달과 구조의 변화.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뇌의 변화 는 청소년의 인지, 행동에 영향을 미침. 과거 학자들은 뇌 세포의 증식과 발달은 생후 첫 18개월까지만 일어난다고

생각하였고 따라서 청소년의 뇌는 성인과 동일하다고 생각 해 왔음. 그러나 최근 뇌 과학의 발달로 청소년의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뇌 활동이나 구조가 성인의 뇌와 다르 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음.

2. 인지적 특성

Piaget의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기는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함. 이 시기는 눈앞의 현실세계를 뛰어넘어 자신이 경험해 보지 못한 이상이나 가능성의 세계, 추상적인 것에 대한 사고가 발달하게 됨. 이러한 인지 발달은 청소년의 심리와 행동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침.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 출생 ~ 2유아의 반사적 감각

2. 전조작기: 2 ~ 7직관적 사고단계

* 조작: 정보의 전환을 이해하는 정신 능력. 즉, 처음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능력

* 전조작기: 논리적 조작이 불가능한 시기

3. 구체적 조작기: 7 ~ 12비논리적 사고에서 논리적 사고로 전환

4. 형식적 조작기: 12 ~ 15지각이나 경험보다 논리적 원리의 지배, 추상적 사고, 과학적 사고

첫째,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이 형성, 발전하는 동시에 정체 감 형성의 위기를 경험함. 자아정체감은 전 생애에 걸쳐

인간이 획득해야 할 발달과업인 동시에 청소년기의 중요한 과업임. 성공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은 자신과 타인에게 신뢰 감을 주고, 정신적 안정감을 주며, 삶의 가치를 명료화하게 함. 그러나 자아정체감 형성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미래의

전망에 대해 불안해지며 이에 대처할 자신의 잠재력에

확신을 갖지 못하게 됨.

둘째, 자기중심적임.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은 가상청중(상상속 의 청중,imaginary audience)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로 나타남.

가상청중(상상속의 청중)이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과장된 자의식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함.

개인적 우화란 청소년이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경향을 말함. 즉, 청소년 스스로가 자신은 어떤 행동을

해도 무방하다고 여기고, 주변에 모든 사람들이 이해해 줄 것이라고 믿는 경향임. 예를 들면, 청소년들이 성관계를 할 때 자신에게는 임신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임신의 위험에서 자신을 제외시키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 함.

셋째, 도덕성의 발달. 청소년기의 도덕적 사고와 행동은 아동기 와는 질적으로 다르며 그들의 인지적 성숙과 사회·환경적 역할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됨.

넷째, 사회적 이해력이 발달함으로써 자신이 경험하지 않았더라 도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느낌을 정확하게 파악 하게 되고 더 나아가 상대방의 감정이나 느낌을 그대로 느끼기도 함.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됨.

3. 정서적 특성

첫째,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예민함. 사소한 일에 예민하고

쉽게 우울하며 낙담에 빠지며, 화를 잘 내기도 하고,

불안정하게 보임.

둘째, 수줍음이 많음. 지나치게 남을 의식하기 때문에 마음과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특히 이성 앞에서 부끄러움을

많이 느끼고, 종종 수줍음을 감추기 위해 겉으로는 과장된 행동을 보이기도 함.

셋째, 열성적이며 호기심과 모방성이 강함. 어떤 일에 쉽게

흥분하며 현실감을 잃고 곧잘 열중해서 그 일에 빠지는

경향이 있음. 또한 자신의 관심사를 가정에서 지역사회로 확대시키기 시작함으로써 귀가시간이 늦고 외출이 잦으며,

특히 우상을 만들어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경향이 있음.

4. 사회적 특성

첫째, 부모로부터 개별화되고자 함. 개별화란 청소년이 부모와 정서적인 유대를 지속하면서 자신을 부모와는 다른 독특한 한 사람의 인격체로 인식하고 경험해가는 심리적인 과정임. 이러한 영향으로 애착대상이 부모에서 친구로 바뀌며 부모와는 상이한 가치관이나 생각들을 하게 되고 그것을

내면화하게 됨. 이런 청소년들의 개별화 노력은 성인으로 독 립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임. 때로는 이러한

개별화 과정에서 부모와의 갈등이 증폭될 수 있음.

둘째, 동성이나 이성친구 등 또래집단(peer group)에 몰입함. 청소년 이전 시기부터 또래관계는 유지되어 오지만 청소년 기에 들어서는 그 이전과는 구별되게 심리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가 매우 깊어지고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이처럼 비슷한 발달단계에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있는 또래와의 관계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 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심리적·사회적 지지를 얻게 됨.

제1장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청소년개발의 원리

1. 서론

ㅇ 청소년활동은 우리나라 청소년분야의 형성과 발전의 역사를 통해서 그 성격을 특징짓는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자리매김함.

ㅇ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

청소년분야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청소년활동은 그 중심내용 임.

2. 청소년활동의 개념적 이해

ㅇ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ㅇ 청소년활동을 광의적으로 보면 청소년들의 삶 자체,

협의적으로 보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신체 중심의

프로그램 참가활동.

ㅇ 청소년활동에 대한 법적 개념과 분류

1991년 청소년기본법에서의 청소년활동

2004년 청소년관련법 정비 이후의 청소년활동

고유활동 영역: 학교·직장·복무처를 중심 으로 이루어지는 학업·근로·복무활동 영역

수련활동 영역: 생활권이나 자연권에서 심신단련·자질배양·정서함양·사회봉사 등 배움을 실천하는 체험활동 영역

임의활동 영역: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자유활동 영역

수련활동,

교류활동,

문화활동

ㅇ 청소년정책의 흐름과 변화과정에서 본 청소년활동

- 당초 일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요보호청소년을 위한 복리 적 서비스와 비행을 범한 청소년에 대한 선도 및 교화 중심 의 내용.

- 현재 모든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 고, 그 핵심에는 청소년활동이 자리 매김되고 있으며, 참여 와 권리, 청소년의 역량 개발이 중요한 내용임.

ㅇ 2019년 12월 말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주무 부서의 업무를 기준으로 보면,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른 청소년수련활동, 청소년문화활동, 청소년교류활동을 중심으로 참여활동, 진로 개발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청소년역량개발을 위한 정책기 반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활동정책을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음.

- 청소년활동의 진흥과 기반에 관한 기본 업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및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17개 시· 도)의 청소년활동의 지역전달체계 업무, 방과후 활동에 관한 업무, 청소년수련활동 관련업무(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국제 청소년성취포상제 등 프로그램 보급 및 평가), 여가 및 문화 예술 체험, 축제와 동아리, 활동정보 제공, 청소년지도자 및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수련지구 및 수련시설 등에 관한 업무

- 청소년 권리증진을 위한 정책과 지원기능을 중심으로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의 정책참여 활동, 자원봉사활동,

진로개발활동 등

- 청소년교류활동을 중심으로

청소년국제교류활동, 교포청소년 및 남북 청소년교류, 국제 청소년축제 등 제반의 교류정책 업무가 수행되고 있음.

청소년 참여기구: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3. 적극적 관점에서의 청소년활동의 이해

ㅇ 청소년활동이란 청소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개인적

또는 사회적 가치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정신적·신체적 행위 일반을 지칭함.

ㅇ 선진국에서는 청소년활동을 청소년서비스(youth service) 는 영역으로 관장하고 있으며, 청소년활동을 수행하는 관련 기관, 협회, 조직, 관련사업 및 청소년지도자를 총칭하여

청소년부분(youth sector)로 지칭.

ㅇ 청소년업무의 중요한 역할(3가지 측면)

직접적 서비스 역할: 청소년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당면 한 문제를 직접 해결해 주는 역할. 건강, 보건문제, 빈곤문 제 등을 해결해 주는 일과 카운슬링 등을 통해 고민을

해결해 주는 일 등.

발달적 역할: 청소년을 정서적·경제적·사회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미래의 바람직한 성인으로 발달시 키며 준비시키는 일. 여기에는 교육 기회와 직업훈련 기회 를 제공하고, 단체활동을 통한 사회적응력을 함양시키는 일 등이 포함됨.

사회변화적 역할: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 여건을 개선하고, 사회적 변화를 유도하는 일. 여기에는 유해환경을 제거하거 나 실업문제를 해결하는 일,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를 개선 하는 일이 있음.

ㅇ 청소년활동의 세 분야

사교와 여가분야: 유기적 청소년활동 영역으로 분류함.

청소년들의 자연스러운 사교활동이나 스포츠 및 취미활동 이 포함됨.

개인 및 사회적 발달분야와 복지분야: 전문화된 청소년

활동 영역으로 분류함.

- 개인 및 사회적 발달분야: 청소년 개개인의 사회적응능력 함양, 자아실현을 촉진시키기 위한 제반 활동, 지역사회 의 발전과 관련제도 및 구조개선을 통한 청소년의 권리 신장을 도모하는 다양한 활동.

- 복지분야: 문제에 처한 청소년들이나 청소년집단을 대상 으로 행해지는 지원적 성격의 활동과 관련한 사회사업, 개인 및 가족치료 중심의 케이스워크, 카운슬링 등의

활동.

인격형성, 정치화, 구제분야: 운동중심 청소년활동으로

분류함.

- 인격형성: 훈련을 통해 청소년에게 사회규범에 부합하는 품성, 가치관 형성을 위한 리더십 훈련이나 집단활동 등 제반 정신교육과 훈련들을 의미.

- 정치화: 청소년에게 정치적 이해와 행위능력을 향상시키 며, 세계정세와 사회변화의 안목을 키우는 활동.

- 구제: 주로 종교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로서 개인 의 내면적 성향과 정서를 중심으로 사상적 개조나 도덕 적 무장을 강조하는 활동.

4. 청소년역량개발과 청소년활동

ㅇ 역량의 개념

- 일반적으로 역량은 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적(잠재적)인 특성으로 McClelland(1973)

의해 처음 소개.

- McClelland의 정의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평균적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에 중점을 둠.

- 역량의 사전적 의미는 적절하거나 뛰어난 자격을 갖춘

상태나 질또는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나 그 능력의 정도를 말함.

- 학력과 역량의 개념을 비교하면, 학력이 학교의 교육과정 에 근거하여 무엇을 배웠는가에 근접한 개념이라면,

역량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 지는 지적 능력 이상의 복합적인 능력으로 행동능력 강조하는 개념.

-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역량

· 거시적 관점의 역량: 조직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기업

전략 관점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개념으로 조직이론과

경영전략에 바탕을 두는 개념.

· 미시적 관점의 역량: 개인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도 록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는 조직 심리학이나 산업 심리학 에 바탕을 두는 개념.

ㅇ 역량(competence)에 대한 개념 정의는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7가지가 중요하 게 논의됨.

첫째, 시민적 역량(civic competence): 청소년이 민주시민으로 서 사회적 선을 위하여 타인과 협력하고 공동체 구성원 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역량.

둘째, 사회적 역량(social competence): 주변 사람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의사결정기술, 대화

기술, 책임성, 헌신적 참여, 갈등해결능력 등을 의미.

셋째,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집단 간 또는 개인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경제적 배경과 흥미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할 뿐 아니라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 하는 것.

넷째, 신체적 건강(physical health): 영양섭취, 다이어트,

운동, 피임, 위험행동 등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

다섯째, 정서적 건강(emotional health): 자신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고, 주변의 다양한 상황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뿐 아니라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역량.

여섯째, 지적 역량(intellectual competence): 학교교육, 그 밖 의 교육기관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기초지식, 비판적 사 고,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습득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

일곱째, 취업능력(employ ability): 자신이 원하는 진로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춘 역량.

ㅇ 청소년역량개발의 핵심요소

- Little(1993)의 견해

생활기술(life skill)역량의 개발

성인지도자와의 연결(멘토링, 튜토링, 지역사회봉사,

지도력 개발)

인격함양(의사결정, 가치, 정직성, 고결성)

자신감 개발(희망과 자존감, 목표설정과 부합)

- Delgado(2002)의 견해

건강

정서

사회적 역량

인지적 역량

도덕적 역량

영적 역량

5. 청소년개발적 접근의 의미

ㅇ 적극적 관점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접근은 기존과 다른,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이론적 기반을 요구함.

ㅇ 청소년개발에 따른 활동프로그램의 세 가지 기준

첫째, 비학술적 초점을 가진 학구적 주제를 제공할 것.

둘째, 활동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의 사용.

셋째, 유능성의 증진.

Zeldin, Kimball, Price가 제시한 적극적 관점에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기준

다른 사람의 복지에 기여하는 지역사회봉사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계획하는 일.

새로운 유능성을 획득하고 그것들과 새로운 역할을 적용 하거나 실천할 수 있는 것.

그들의 경험을 학교에 연결하는 것.

성인, 가족 및 비가족적 그리고 동료들과 밀접히 그리고 협동적으로 일하는 것.

적절한 과업과 결과를 가진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

ㅇ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역량개발 활동의 기본 특성

기존의 접근에 따른

청소년활동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역량개발 활동

문제 중심

자산과 역량 중심

일시적 제공

지속적 전개

힘의 불균형을 재강화

힘 관계의 균형 유지

소극성의 증진

역량과 주도성의 증진

전문지도자에 의존

동반자관계에 의존

청소년은 문제를 가짐

가능성에 대한 상호적 소유감

청소년은 의존적

상호 이해관계가 같은 사람들을 연결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재능을 사용

재능과 자극을 능력으로 받아들임

없는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

가능한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

주기를 원함

구축하기를 원함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으로 믿음

우리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물음

현재의 조건 유지

현재의 조건을 변화

서비스를 받음

새로운 기술을 획득함

6.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의 원리와 개념

ㅇ 지난 20여 년간 학자들의 관심은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초점 을 맞춘 경험적이고 이론적인 문제중심적 관점(결함모델)에 대한 비판에서 긍정적 청소년개발(PYD: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관점으로의 변화에 초점을 둠.

PYD관점은 청소년발달에 대한 이전의 결함모델과는 대두 됨.

결함모델에서는 청소년들을 관리될 문제로서 받아들여졌지 만, PYD관점은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성공적 발전을 위한 잠재성을 강조.

ㅇ 청소년 및 청소년분야를 보는 관점

- 문제중심적 관점: 청소년을 사회적 지위나 역할의 관점에 서 보기보다는 하나의 인간발달적 시기로 보는 관점.

- 예방적 관점: 문제중심적 견해들이 비판되면서 강조되기 시작한 것으로 문제가 생기고 난 뒤에 해결하려고 애쓰기 보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보다

비용 효과적이고 또 효율적일 수 있다는 관점.

- 청소년개발적 관점: 예방적 관점에서 나아가 문제가 발생 하거나 위기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긍정적 발달과 청소년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하 는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관점.

ㅇ 발달심리학은 물론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삶의 질, 심리적 안녕(wellbeing), 가족지지(family support)운동, 자산중심(asset-based)지역개발 등과 관련한 학문적 또는

실제적 발전에 주목하고 있음.

* Saleebey(2005)의 강점관점의 본질

3P: promise(가망성)

possibility(가능성)

positive expectation(긍정적 기대)

3C: competence(역량)

capacities(능력)

courage(용기)

3R: resilience(회복탄력성)

reserve(준비성)

resource(자원)

* 전 미국대통령 조시부시 2세의 자서전

A charge to keep“3F

- Faith(시간이 소중하다는 믿음)

- Family(가족의 소중함)

- Friend(친구의 조언과 충고)

ㅇ 지난 수십 년간 전개되어 온 청소년에 대한 결함 관점과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한 비판은 점차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대안적 접근법을 인식함.

특히, 레질리언스(resilience)와 청소년개발의 개념은 아동과 청소년들이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매김됨.

ㅇ 청소년개발의 관점(시각)은 청소년은 관리될 수 있는 문제로 서가 아니라 개발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함.

청소년에 대한 시각

기존 시각

청소년(역량)개발적 시각

- 대상: 청소년은 성인사회 와 구별되는 별도의 대상.

- 문제: 청소년은 문제를

가진 집단.

- 수혜자: 청소년들은 성인 들로부터 치료와 통제, 교 육, 지도를 받아야 하는 집단.

- 자원: 청소년은 무한한

잠재력과 실천력을 가진 사회의 귀중한 자산.

- 생산자: 청소년은 가치있 고, 필요하고 존경받을

만한 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존재.

- 시민(사회구성원): 청소년 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역 사회에 책임과 의무, 권리 를 가진 존재.

ㅇ 서치연구소에서 지난 10여 년간 연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더 많은 발전자산을 경험할수록 위험성 많은 행태들에 그

만큼 연루될 가능성이 더 적으며, 긍정적으로 처신하는 일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음. 발전자산은 20개의 외적 자산20개의 내적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외적자산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것이며, 내적자산은 개인적 요인과 관련된 것임(교재PP. 22∼24).

7. 청소년개발의 작용체계와 다섯 개의 C

ㅇ 청소년개발의 작용체계

(ⅰ) 배경부문: 청소년개발의 투입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서 경제적 요인, 자원요인, 리더십, 국가정책 등이

포함.

(ⅱ) 투입부문: 청소년개발이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장으로서

프로그램, 조직, 사회화 제도, 지역사회 등으로 유형화됨.

(ⅲ) 긍정적 발달 촉진요인: 청소년이 프로그램, 조직, 사회화 제도, 지역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중간물로서 소속감, 연대성, 지지 획득, 정체감, 효능감,

유능감 등이 포함됨.

(ⅳ) 결과부문: 청소년개발의 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단기적, 장기적 결과를 말함. 단기적 결과는 청소년기의 위험행동 을 감소시키고 발전적 행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의미하 며, 장기적 결과는 성인기의 위험 등을 감소시키고 발전적 행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의미함.

PYD관점의 핵심적 특질에 해당하는 다섯 개의 C

- 역량(competence)

- 자신감(confidence)

- 연결(connection)

- 성격(character)

- 돌봄(caring)

여섯 번째 C인 기여(contribution) 추가, 즉 자기 자신,

가족,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에 대한 기여를 강조한 것.

청소년 리더십, 사회봉사경험, 남을 돕는 행태 및 이데올 로기 등과 관련됨.

제2장 지역사회의 개념과 청소년개발 전략

1. 서론

ㅇ 한 개인이 사회적인 인격체로서 완성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사회화(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체득하는 ) 과정을 거쳐야 함.

ㅇ 사회화의 유형 중에서도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 지는 일련의 사회화 과정은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

ㅇ 지역사회는 가장 직접적인 생활의 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일정한 문화와 행동양식을 공유하기도 하며, 전통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시대적인 사회변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잉태하는 교화(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 아가게 함)기능을 갖기도 함.

2. 지역사회의 개념과 중요성

사회에 관한 개관

1. 사회의 정의

ㅇ 사회란 사람과 사람과의 인간관계이며, 인간의 공동적인

행위체계로 정의할 수 있음.

ㅇ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란 일정한 경계가 설정된 영토 에서 종교·가치관·규범·언어·문화 등을 상호공유하고 특정 한 제도와 조직을 형성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성적 관계를 통하여 성원을 재생산하면서 존속하는 인간집단을 말함.

2. 사회와 관련된 학설

(ⅰ) 사회유기체설: 사회는 생물체와 마찬가지로 내적 분화

과정을 통하여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는 것임. 생물체의 구 성 요소를 세포, 조직, 기관으로 구분하고, 사회는 개별성 원, 가족, 조직과 집단을 유기체에 대응시켜 설명하고 있음.

(ⅱ) 구조기능론: 사회를 체제(system)로 보고 있음. 사회는 정치, 경제, 문화, 가치의 4개의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고 보며, 각각의 하위체계는 적응, 목적성취, 통합, 질서

관리 및 재생산이라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봄.

(ⅲ) 갈등이론: 사회집단 내부와 집단 간 진행되는 권력적

갈등현상이 사회의 동력으로 봄. 지배자와 피지배자, 지배 집단과 피지배집단을 사회의 기본적 구성요소로 봄.

3. 사회의 유형

(ⅰ) 성원의 재생산과 성적관계를 기준: 부계사회와 모계사회

(ⅱ) 규모의 정도와 분업의 발전수준: 단순사회와 복잡사회

(T. Parsons)

(ⅲ) 제도와 규범의 발전수준 및 내용을 기준: 군사형 사회와 산업형 사회 (H. Spencer)

(ⅳ) 본질의지와 선택의지를 기준: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F. To˝nnis)

(ⅴ) 인간관계와 분업적 질서의 특성: 기계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와 유기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Durkheim)

(ⅵ) 재산의 소유 형태를 기준: 자본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사회 (K. Marx)

지역사회의 개념

ㅇ 사회과학에 나타나고 있는 지역사회에 관한 정의는 무수히 많으나 지역사회라는 개념에는 다음의 두 가지 속성이 있음 을 보여주고 있음. 하나는 물리적 지리성 및 지역적인 경계 를 가지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적 혹은 문화적인 동질 성, 합리성, 자조성 또는 다른 형태의 집단행위와 상호작용 을 갖는다는 것임.

지역사회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는 이상의 두 가지 속성 중 어느 것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에 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

(ⅰ) 지리적인 의미의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개념에서 지역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것으로는 파크와 버제스(Park & Burgess, 1921)의 정의를 들 수 있음. 이들에 따르면 지역사회라는 용어는 한 지역을 구성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의 지리적 분포 라는 견지에서 고려될 수 있는 사회와 사회집단에 적용된다. 모든 지역사회는 사회이지만, 모든 사회는 지역사회가 아니 라고 주장함.

(ⅱ) 사회적 동질성을 띤 지역으로서의 지역사회: 이 개념에서 는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합의성, 일체감, 공동 생활양식, 공 통적인 관심과 가치 그리고 공동 노력이 강조됨. 즉, 지역사 회라고 하는 것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사회적 특성을 지닌 독립적인 지역이라고 보는 견해임.

대전 지역을 예로 들면, 둔산 지역은 신흥 개발지역으로,

이기적인 성향이 있으며, 유성 지역은 외지인이 많고, 개방적 인 성향이 강하며, 산내 지역은 도농 복합지역으로, 인심이 좋고, 구도심 지역은 대전 토박이가 많이 살고, 보수적인 성 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임.

(ⅲ) 지리적 및 사회적 동질성을 동시에 강조하는 지역사회:

지리적인 특성과 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동질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념은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학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히이로니머스(Hieronymus, 1917)지역사회라고 하는 것 은 다소간 잘 짜여지고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공 동 관심사를 위해서 함께 행동하게 되는 일단의 사람들로 구 성된다고 함으로써 지역성과 상호작용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음.

ㅇ 사회집단을 일차적인 기본생활 집단과 이차적인 사회생활 집단으로 구분

- 일차적인 기본생활 집단: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신 의 의지와 무관하게 살아가는 부모와 형제자매, 친척, 가족 이 포함됨.

- 이차적인 사회생활 집단: 한 개인이 가족에서 벗어나

학교, 사회생활 그리고 종교 활동 과정에서 접촉하게 되는 자신의 동료집단, 교사, 이웃주민, 사회동료 등이 포함됨.

지리적인 지역사회(geographic community): 지역 중심의 인간집단.

기능적인 지역사회(functional community): 복지, 농업, 교육, 종교 등에 있어서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집단.

ㅇ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을 명료하게 하기 위한 전제조건

첫째, 지역사회는 사람을 포함하고 있어야 함.

* 속인주의: 부모의 혈통에 따라 국적을 취득하는 혈통주의.

(영국, 독일, 한국, 일본 등)

속지주의: 출생지주의라고도 함. 출생지에 따라 국적을

취득함. (미국, 캐나다 등)

둘째, 장소 혹은 지리적 영역.

셋째, 사회적 상호작용.

넷째,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 소속감, 심리적 유대감.

ㅇ 지역사회의 개념 정의에 대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지역사회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일정한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공간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성장과정에서 해당지역의

다양한 시설 및 기관들을 포함하여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갖게 되는 소속감, 애착심과 같은 공동의 심리적 유대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장소라고 정의할 수 있음.

ㅇ 최근 들어 급속한 사회의 변화가 진전되면서 지역사회에

관한 전통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의 및 재구성 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첫째, 장소에 대한 공간적 개념은 교통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 의 활동 반경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지역에 대한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져 가고 있음.

둘째, 지역사회(community)라는 의미는 국가 간의 개방화가 현실화되어 이미 지구촌시대로 불리는 오늘날에 있어서 특정의 지역이나 국가의 의미는 다소 희미해져 가고 있 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국적 조직이나 다국적 기업이 생겨나는 추세에 있음.

셋째, 지역사회가 전반적으로 도시화되어 감에 따라 주민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에 있어서도 지역적인 특성이나

정체성을 구분하기가 매우 모호해지고 있음.

3. 바람직한 지역사회가 지녀야 할 특성

1) 건전한 청소년육성을 위한 구성요소

국가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지역주민 모두가 건전한 청소년육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제2호에 명시된 청소년육성의 의미

청소년육성이란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고 청소년복지를 증진며 근로청소년을 보호하는 한편, 사회여건과 환경을 청소년에게 유익하도록 개선하고 청소년을 보호하여 청소년에 대한 교육을 보완함으로써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돕는 것을 말한다.

첫째, 일차적으로 청소년들을 지역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아로서가 아닌 투자해야 할 가치를 지닌 현재 혹은 미래의 자원으로 인식해야함.

둘째,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측면의 잠재력 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청소년들을 지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협의체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 여 지역 주민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셋째, 지역사회 청소년육성을 위한 인적 구성, 시설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한 많은 주변 요소들에 대한 체계 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함.

넷째, 주5일제의 전반적인 실시에 걸맞게 청소년들과 가족들 의 활동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함.

다섯째,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혹은 집단적인 발전을 강화시키 기 위하여 소속감을 높이고 구성원 각자의 다양성 존중 을 바탕으로 하는 강한 자아정체감 확립방안이 강구되어 야 함.

여섯째, 긍정적인 청소년개발사업의 결과를 확산시킬 수 있는 정책, 실천 그리고 우선순위 결정 등과 같은 일련의 정책 들이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면서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함.

ㅇ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개발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삶의 기회를 장기적으로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것임.

첫째, 경제적으로 자립을 이루는 것.

둘째, 화목한 가정 유지와 사회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위하여 청소년들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성장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보호자, 친척 및 동료들과 적극적이며 호의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함.

셋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헌을 기대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지역사회를 위한 환경지킴이, 특산품에 대한 마케팅, 다양한 전통문화 계승 및 문화행 사 참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2) 지역사회 생산적인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

ㅇ 지역사회의 생산적인 네트워크는 지역사회의 의사결정,

정보의 흐름, 자원의 배분 등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

* 네트워크 구축의 전제조건

- 정보교류

- 신뢰

- 수평적 관계

* 의사결정의 5단계

(ⅰ) 문제 규정

(ⅱ) 문제 분석

(ⅲ) 여러 가지 대안적 해결책 모색

(ⅳ) 최선의 해결책 결정

(ⅴ) 결정을 효과적 행동으로 전환

ㅇ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역적 네트워크의 가장 큰 문제는 수직 적, 폐쇄적, 하향적 그리고 행정 중심적 속성에 있음. 이러한 네트워크가 수평적, 개방적, 상향적 그리고 민간 중심적인

성격으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함.

ㅇ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 및 단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 이션 구조도 하향식(top­down)에서 탈피하여 동등구조 혹은 상향식(bottom-up)으로 과감하게 전환하고,

운영상의 민주적인 절차와 의사결정 및 재정관리의 투명성을 유지함으로써 진정한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음.

그림2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의 핵심적 네트워크 참조

Betts(1996)는 시민사회를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미시적

협력을 기초로 형성되는 자발적이고 협력적이며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으로 규정함.

사회적 자본은 공동의 이익을 위한 조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네트워크(networks), 규범(norms), 신뢰(trust) 등과 같은

사회 조직의 특성들로 구성됨.

ㅇ 사회적 네트워크는 동일한 분야에 관심과 전문성을 가진

집단들로 구성되고 있으며, 수직적 측면보다 수평적 성격이 강하고, 인적 개방성이 매우 높은 경향이 있음.

ㅇ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학연이나 지연과 같은 연고적 연결 고리에 의존하는 수직적 사회관계는 지역사회의 현실을 구성 하는 지배적인 측면임을 부정할 수 없음.

지방화 시대의 전개와 더불어 수직적 사회관계와는 다른

새로운 시민사회의 연결고리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

우리나라 지방자치 역사의 개요

1949. 7. 4 - 지방자치법 제정·공포

1949. 8. 15 – 지방자치법 시행

1950. 12 - 지방선거 실시 예정이었으나 한국전쟁

으로 연기

1952. 4. 25 – 최초 지방선거 실시

(미수복 지역과 지리산 지역은 제외)

1961. 5. 16 – 지방선거 중단(군정포고 제4호)

* 30년간 지방자치 중단

1991. 3. 27 – 지방선거 실시(지방자치 부활)

* 현재 지방자치 민선 7기 시행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비고

주민자치

단체자치

민주주의의 원리를 표현

지방분권의 원리를 표현

지방자치단체 안에서 주민과의 관계에 중점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와의

관계에 중점

주민의 권리를 중시

단체의 권리를 중시

자치권을 주민이 인정한 것으로 간주

자치권을 인정한 주체를

중앙정부로 간주

·미에서 발달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에서 발달

4.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

청소년정책에서나 단체의 활동 운영목표를 보면 전반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고, 청소년시설과 단체는 규모 중심이 아닌 서비스중심으로 변모해가고 있음.

* 정책: 문제해결, 공익달성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음.

예를 들면,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문제해결과 공익달성이라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으며, 청소년정책은

청소년과 관련된 문제해결과 공익달성이라는 성격이 있음.

청소년정책이 국가정책의 하나로 대두되면서

현재 시행중인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8∼2022)

에서도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라는 정책목표 아래

- ‘청소년활동 및 성장지원 체계 혁신

-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

- ‘지역중심의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강화라는 중점과제가 제시되어 있음.

* 중앙정부의 청소년정책 : 여성가족부 중심

지역중심의 청소년정책(대전을 기준) : 청년가족국

교육청소년과 중심(2020. 7. 1 ∼ )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개요

제1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3~1997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 문화체육부

제2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8~2002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 - 문화관광부 청소년에 대한

시각 변화

제3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2003~2007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 국가청소년위원회

제4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08~2012

(이명박 정부) - 보건복지가족부/여성가족부(2010. 3. 19)

제5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13~2017

(박근혜 정부) - 여성가족부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18~2022

(문재인 정부) - 여성가족부현재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8∼2022) 개요

ㅇ 정책비전: 현재를 즐기는 청소년, 미래를 여는 청소년, 청소년 을 존중하는 사회

ㅇ 정책목표(4대 목표)

- 청소년 참여 및 권리증진

-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 청소년 자립 및 보호지원 강화

-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혁신

ㅇ 중점과제(12개 중점과제, 144개 세부과제)

1. 청소년 참여 확대

2. 청소년 권리증진 기반 조성

3. 청소년 민주시민 성장 지원

4. 청소년활동 및 성장지원 체제 강화

5.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

6. 청소년 진로교육 지원 체제 강화

7. 청소년 사회안전망(CYS-net) 확충

* Community Youth Safety - net

8. 대상별 맞춤형 지원

9.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 및 보호지원 강화

10. 청소년정책 총괄·조정 강화

11. 지역 중심의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강화

12. 청소년지도자 역량 제고

ㅇ 지역사회생활의 범주에서는 정부의 생활권 내 각종 청소년

수련시설의 보급을 위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특화시설 등)을 통한 활동, 청소년단체 나 종교단체에서 주관하는 단체활동, 동아리활동 그리고 비조직 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여가활동 등이 여기에 해당함.

* 자연권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ㅇ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이 거주하는 종합적 생활공간으로 전체 사회구조라는 거시적 공간에 둘러싸인 지역사회의 환경과 그 안의 가족, 학교, 또래집단 등이 존재함.

ㅇ 이러한 지역사회의 제반 환경은 청소년들에게 위험요소이기 도 하고 때로는 보호요소가 되기도 함. 지역사회가 청소년 개개인을 위협하는 여러 위험요소에 능동적으로 잘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는냐에 따라

청소년의 문제를 유발시키는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Blun(2002)은 지역사회는 그 자체가 생태학적 관점에서

개인, 학교, 가족, 또래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양면성에 따라 문제가 확대되거나 아니면 청소년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가를 결정해 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음.

ㅇ 향후 청소년정책의 접근은 지방분권화에 의한 지역중심의 현장과 실천위주의 청소년정책이 될 필요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함.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의한 지역중심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청소년 지원과 서비스를 확대해야 함.

청소년사업공모제 등을 통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청소년

기관·단체 및 시민단체의 참여유도 및 내실화를 기해야 함.

지역사회 중심의 건전한 사회 환경 조성과 기회 확대를 위한 청소년과 함께하는 사회공동체 형성을 추진해야 함.

* 중앙집권화: 효과성 중시 - 하향식(top­down)

지방분권화: 민주성 중시 - 상향식(bottom-up)

5.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들과 성인들 간의 파트너십 전략

1) 성공적인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 프로그램 개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요소

- R. Perlman & A. Gurin

(ⅰ) 일의 내용(working)

(ⅱ) 자원(resoures)

(ⅲ) 가능성(feasibility)

Betts(1996)는 청소년참여의 본질은 성인들과 청소년들

간의 진정한 파트너십(성인과 청소년이 함께 만들어감)에 있 다고 보았으며, 청소년참여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청소년들은 중요한 의사결정에 책임이 있음.

청소년들은 그들의 참여 결과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실행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

청소년들과 관련된 활동들은 청소년들과 지역사회의 실질 적인 이슈들과 요구들에 중점을 두어야 함.

청소년들과 성인들 각자가 필요한 역할과 협력관계를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

청소년들은 성인들과 동등한 수준의 단체 및 조직을 유지 해야 함.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많은 활동들은 그들이 성공을

확신할 수 있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어야 함.

지역사회의 자문위원회 등과 같은 조직은 성인들과 청소 년들이 같은 숫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시너지(synergy)효과를 경험할 수 있음.

청소년활동의 초점은 지역사회 차원에 두어야 함.

청소년들이 자신의 임무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규칙적인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2) 청소년 참여기회 확대를 위한 접근방안

ㅇ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청소년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미국의 청소년정책과 실천 기조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음.

대표적인 이슈들 중에서 결함(deficits)이라는 용어가 자산 (assets)이라는 개념으로 그리고 문제중심적 청소년개발 (problem-focused youth development)긍정적 청소년개발 (positive youth development) 시각으로 바뀐 것이 커다란

변화임.

ㅇ 미국의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정책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960년대: 청소년을 심각한 문제집단으로 규정하는 분위기 였으며, 정책의 초점은 학교중퇴, 가출, 미혼모, 청소년 학대, 청소년 범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공적 기관과 단체들의 역할 강조.

- 1970년대: 문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 복지센터 설립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는 불우한 처지에 놓인 청소년에 관심을 둠.

- 1980년대: 문제발생에 대한 사전예방 차원에 초점을 둠.

접근방식에 있어서 같은 문제를 가진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와 포괄적인 예방대책에 대한

주장도 점차 확대됨.

- 1990년대: 청소년개발 사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 시기. 청소년들이 단순히 프로그램 속에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생겨났으며, 청소년개발을 위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해야 한 다는 주장이 현실적인 공감대를 얻게 됨.

ㅇ 지역사회의 효과적인 청소년개발 프로그램에서 고려되어야 할 구체적인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긍정적인 청소년 개발사업의 방향이 예측 가능하고 목표 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함.

청소년들의 자산(assets)에 초점을 두어야하며, 프로그램의 고안, 실행 그리고 평가(총괄평가, 형성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참여를 중요시해야 함.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적인 상황 의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안전과 접근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주어야 함.

청소년들의 도전의식이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지역

사회 내부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들을 고려해야 함.

다소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며 그리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전체적인 지원체계와의

유기적인 연계성이 필요함.

성인지도자들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

청소년들의 생활기술 개발을 강조해야 함.

프로그램 평가에 역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인권옹호를 위한 관심과 제도적 장치를 통한 실천에 적극 적으로 앞장서야 함.

* 표 1 일반적 접근법과 자산 토대 접근법의 비교(교재 P.46)

6.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정책방향 및 실천전략

1)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에 대한 국제적 시각

ㅇ 일반적으로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이란 인간됨의 향상과 개인적 능력의 신장을 포함하는 일련의 사회화 과정 으로 이해할 수 있음.

ㅇ 청소년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향 및 실천내용을 살펴

보면,

청소년의 인간성을 발전시킴과 아울러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게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 속에서도 기여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사회적 학습과정,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들의 개발을 돕기 위한 환경적 요인 을 재정립해 가는 사회적 노력까지도 포함함.

ㅇ 미국과 서구 유럽 국가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미 20세기 동안 내내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해 왔음.

그 주된 활동은 지역사회 봉사기관, 종교단체 그리고 사회

활동 클럽과 같은 기관 및 단체들이 청소년들에게 교육적,

오락적 그리고 직업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는 국가의 청소년정책에 대한 기본방향을 청소년에게 관심을 전환하여 그들의 미래사회를 책임질 수 있는 미래세대로 양성하며,

청소년관련 기획이나 사업에서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강화되도록 힘써야 한다라고 설정하고 있음.

2) 21세기 바람직한 지역사회 청소년상

첫째, 글로벌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내적으로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이 확립되고, 국제적으로는 글로벌 정보네트

워크체제가 구축됨에 따라 이에 대한 능력을 함양해야 함.

둘째, 전 세계가 다원화, 다양화, 개별화, 분권화 등을 특징으 로 하는 지구촌 문화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세계의식과 공동체의식을 갖춘 인간상이 요구됨.

셋째, 치열한 경제 전쟁의 가속화로 인한 풍요속의 결핍을 경험하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물질에 대한 지나친 소유 욕과 소비를 자제할 수 있는 인간상이 요구됨.

넷째, 고도 산업사회로 인한 환경오염의 위협은 더욱 증가됨 에 따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을 보존하고 이해하며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인간상이 요구됨.

3)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전략

ㅇ 각국의 청소년정책은 긍정적인 인간형성 및 지역사회 중심 의 청소년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추세임.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은 다음과 같은 개념적 요소들을 고려 하여 청소년개발에 힘써야 함.

첫째, 청소년들이 가진 재능, 자신감, 개인적 특성, 상호연관 성 그리고 가정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에 기여 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함.

둘째, 청소년들의 삶을 전체적인 상황 속에서 이해함.

셋째, 모든 사람들이 청소년개발에 대한 각자 다른 견해와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해야 함.

넷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유용한 자원으로서 활용되어야 하며, 청소년들을 중요한 의사결정에 성인들과 동등한

파트너로 참여시켜야 함.

다섯째,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학습활동 및 경제

활동을 지원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그들이 지역사회 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함.

ㅇ 청소년개발은 다음의 원리를 바탕에 두고 실시되어야 함.

청소년 개발사업은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추구하고 제도 적인 틀을 벗어나 긍정적인 청소년개발에 초첨을 두어야 함.

유용한 지식, 정보, 그리고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개인 간 혹은 기관 간의 협력과 파트너십을 증진시킴.

문화, 정체성, 종교, 그리고 사고의 다양성을 존중함으로써 폭넓은 시각을 갖도록 함.

지역사회에서 진행되는 청소년활동에 성인들이 적극적으 로 참여하고 서로 신뢰하며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하도록 함.

청소년개발기관들이 중요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청소년 지도사들의 혁신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가치 있는 파트너로서 전념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임.

3장 청소년 현장 체험학습의 원리와 실제

1. 서론

ㅇ 청소년 현장학습은 기존의 교사 중심의 교실 수업으로부터 벗어나 체험활동을 중시하는 수업방식임.

지식정보화 중심의 현장학습은 다변화되고 가속화된 사회

구조 속에서 학습자들의 독특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됨.

* 지식의 존속기관

구분

농경사회

산업사회

정보화사회

지식정보사회

존속기간

3,000년

300년

30년

3년

자산

토지

노동,자본,기계

정보

지식

인재상

체력인

모범생

세계인

창조인

ㅇ 현장학습 활동에서는 무엇보다도 교사가 학생들의 안전관리 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하며 지나친 통제 위주의 진행으로

현장학습이 지닌 본래의 의미를 구현하기 어려움 것임을

감안해야 함.

ㅇ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책과제와 민간 프로젝트들의 한계는 교육학에서 제시된 학습이론경험학습(현장 체험학습)이론, 구성주의, 동기이론 등)에 근거하지 않고, 일시적인 행사에 기초한 내용이나 진행상의 구성으로 인하여 참가한 학생들에 게 동기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유인력이 미약하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음.

구성주의

(ⅰ) 구성주의의 의미

ㅇ 구성주의는 지식의 인식과 획득에 관한 새로운 관점

이면서 이론임.

ㅇ 구성주의에서 볼 때 지식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에

따라 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임. 예를 들면, 동일한

강의를 듣지만 받아들이는 것은 학생들의 입장에서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임.

ㅇ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삶의 맥락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삶의 맥락이 달라지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구성물임.

ㅇ 구성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지식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객관적 진리성이 아니라 삶에의 적합성이나 유용성임.

ㅇ 이런 점에서 구성주의를 상대주의 인식론 또는 주관 적인 인식론이라고 함.

* 전통적인 지식관에 따르면 지식은 학습자와 별개로

학습자 외부에 객관적인 진리의 형태로 존재함. 따라서 지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절대적이고 불변적인 성격을 가지며, 모든 경우 모든 사람에게 적용됨.

따라서 지식은 개인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음. 이런 점 에서 전통적인 지식관을 절대주의 인식론 또는 객관적 인 인식론이라 함.

(ⅱ) 구성주의적 학습원리

첫째, 학습은 구성적·능동적 과정임. 즉 학습자의 자율성, 자기주도성,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함.

둘째, 학습은 반성적 능력을 통해서 추진됨. 반성을 통해 서 자신에게 적합한 의미를 창출하고 구성함.

셋째, 학습은 사회적·대화적 활동임. 학습에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대화를 통해 수평적인 소통적 관계 형성이 중요함.

넷째, 학습은 적절한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서 촉진됨.

학습자의 능력보다는 과제의 수준이 조금 더 높아야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 학습을 촉진하는 계기가 됨.

다섯째,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서 촉진됨. 학습에서 다양한 물리적 도구, 언어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상징체계가 활용될 수 있어야 함.

여섯째, 학습은 앎의 방법을 알게 하는 과정임. 학습에서 앎 자체 즉 what보다 앎의 방법 즉 how to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함.

동기이론

(ⅰ) 동기의 의미

ㅇ 동기(motive)는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동력임.

따라서 어떤 행동이든 동기가 있기 마련이고, 인간은

동기 없이는 행동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님.

ㅇ 동기는 유발하는 요소와 관련해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 적 동기로 분류함.

- 내재적 동기는 자기 만족, 성취감, 즐거움 등과 같이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가 행위자 내부에 있는 것임.

- 외재적 동기는 물질적 보상, 칭찬, 인정 등과 같이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가 행위자 외부에 있는 것임.

(ⅱ) 동기유발의 필요성

ㅇ 동기유발(motivation)은 행동의 원동력인 동기를 불러 일으키고 지속시키는 과정과 관련됨.

ㅇ 특히, 청소년지도는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와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소년이 스스로 움직이지 않으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동기를 적절하게 유발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행위자인 청소년의 행동을 세밀하고 체계적으로 관찰해서 동기와 관련된 것을 확 인하는 것이 중요함.

ㅇ 이런 관찰을 통해서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동기의

본질, 유형, 수준, 장애요인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ⅲ) 동기 유발 전략

ㅇ 동기 유발과 관련한 이론이나 전략은 다양하지만 여기 에서는 켈러(Keller)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음.

ㅇ 켈러의 ARCS 모형은 청소년의 동기 유발에 유용함.

A(주의, attention): 동기유발의 첫 번째 요소인 주의는 학습이나 활동의 출발점으로서 감각이나 인지기능을 어느 한 곳에 집중하는 것을 말함.

R(관련성, relevance): 두 번째 요소인 관련성은 학업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 학습 과제, 방법, 결과 등이 학습자의 요구, 희망, 관심, 흥미 등과 관련을 가 져야 됨을 의미함.

C(자신감, confidence): 세 번째 요소인 자신감은 과제의 수행과 성공에 대한 자기 확신을 의미함.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 학습 과제에 대한 통제력, 성공 가능성에 대한 낙관 등이 커질수록 높아짐.

S(만족감, satisfaction): 네번째 요소인 만족감은 학습의 수행이나 결과로부터 얻는 성취감이나 흡족함을 말함.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피드백 전략(칭찬, 격려, 인센티브 제공 등), 공정성 유지 전략(일관된 기 준 유지, 성과에 대한 공정한 판단과 보상) 등의 전략 이 사용될 수 있음.

2. 현장 체험학습의 개념과 원리

1) 현장 체험학습의 개념

ㅇ 체험학습은 학생들의 경험을 학습과정에 통합하고 또한 그들 의 경험을 의식적으로 적용을 시도하는 학습과정으로 학생들 을 유도하는 교육이며,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 느낌, 신체적, 감성적 그리고 사회적인 존재로서 표출할 수 있는 감각을

총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임.

Kolb(1984)는 깊이 있는 학습(deep learning)에 관심을 가졌 으며, 깊이 있는 학습은 정확한 원리 및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 하고, 사실과 느낌을 이해하며, 이전에 획득된 지식과 통합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함.

Kolb의 체험학습 과정은 연속적인 4단계, 즉 구체적인 경험 (체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인 개념화 활동적인 적용 과 검증이라는 4단계를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이루어짐.

- 구체적인 경험(체험): 구체적인 활동에 참여하여 새로운

사물, 사람, 상황 등에 대하여 새로운 외적인 정보와 자극 을 학습자가 지닌 오감(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을 통해서 파악함.

- 반성적 관찰: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서 접하게 된 정보와

자극 등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내적 으로 생각하게 됨.

- 추상적인 개념화: 내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파악한

체험활동의 의미를 일반화하여 새로운 개념, 이론 등을 형성 하게 됨.

- 활동적인 적용과 검증: 새롭게 형성된 추상적인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서의 문제를 진단하거나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서 적용하고 검증해봄.

ㅇ 체험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지도자)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

체험학습은 신중하게 선택된 경험들이 반성적 사고, 비판 적인 분석, 종합적 사고 그리고 적극적인 실천 등이 순차적 으로 이루어질 때 그 의미를 갖게 됨.

경험들은 주도성을 가져야 하며, 적극적인 의사결정 그리 고 결과에 대한 책임이 요구되는 구조임.

체험학습의 전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의문을 제기,

조사, 실험, 호기심 발휘, 문제해결, 책임감 감수, 창의성

발휘 그리고 의미를 구축하는 데 몰두해야 함.

학습자들은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그리고 신체적인 모든 측면이 서로 균형 있게 작용해야 함.

학습자와 교사들이 자신의 가치를 탐색하고 결정하도록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적절한 경험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교사들의 일차적 인 역할은 문제를 제기하고, 범주를 결정하고, 학습자들을 지원하고, 신체적 혹은 정서적인 안정을 보장하고 그리고 학습 과정을 지원함.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자발적인 학습기회들을 인식

시키고 격려함.

교사들은 학습자들에 대한 자신들의 편견, 판단 그리고

선입견을 감지하고, 또한 그것들이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학습경험에 대한 고안은 자연스러운 결과, 실수 그리고

성공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능성들이 포함되어야 함.

2) 현장 체험학습의 교육적 원리

(1) 진정한 활용가치: 학습활동과 학습결과들이 그들의 생활 에 적절한 관련성(생활에 적용 가능하고, 활용 가능한 것) 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평가구조는 체계적이어야 하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인생관을 반영하여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함.

* 담당교수(김명수)의 인생관

- 평균 이상의 삶을 위해 노력하는 것.

- 평범이 모이고 쌓여서 비범이 된다는 신념.

(2) 적극적인 학습: 학습자들은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측면

에서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해야 함.

* 적극적인 학습태도: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해결에 필수 적인 사고과정, 즉 설명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한 탐색,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에 관한 이해, 상상력 활용, 창의 적인 사고력 등을 학습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내면화하 는 것.

* 수동적인 학습태도: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 제시된

내용을 비판 없이 수용하거나 암기하는 정도로 학습에 관여하는 것.

(3) 학습자의 경험 도출: 학습자들은 그들이 경험했던

내용들에 관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현상, 사건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도록 유도되어 야 함.

(4) 경험과 미래의 기회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 제공: 학생 들은 미래 그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습관, 기억력, 기능

그리고 지식 등을 개발해야 함.

(5) 학생들의 경험: 체험학습은 앞에서 제시한 진정한 활용

가치에서 경험과 미래의 기회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

제공 등 다양한 학습자원과 고안된 행위를 통하여 학생들 의 활동능력(주도력, 촉진능력), 소속감 그리고 재능개발을 촉진하는 과정임.

*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세부목표의 세 가지 영역(ABC)

주도력, 촉진능력(agency, 활동능력)개발: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활 및 지역사회에서 좀 더 강력한 변화 촉진자가 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

소속감(belonging): 자신이 속한 단체나 혹은 지역

사회를 유지하고 개발하기 위하여 자신들 스스로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감. 영향력 행사와 피해의식 등을 갖는 것.

재능(competence)개발: 학생들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영역(예: 인지적, 신체적, 문화적, 사회적 영역 등)의

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이며, 공부하는 기법, 지식을

획득하고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개발 등 을 포함.

(6) 교사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주도력, 소속감

그리고 재능을 개발할 수 환경을 조성하는 것임.

환경을 조성하는 것

· 물리적 혹은 사회적인 학습 상황을 구성하고

교육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임.

학습사회의 선배로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역할모델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델 행위와 더불어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대응도 학생들의 감수성과 경험에 영향을 미침.

3. 우리나라 현장 체험학습의 실제

ㅇ 창의적 체험활동

* 2009 개정교육 과정 혹은 미래형 교육과정

* 특별활동 + 창의적 재량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일명: 창체)

* 2011년 부분 시행(초1, 2 · 중1 · 고1), 2013년 전면 시행

-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적

·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교과와 상호 보완 관계에 있으 며,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에 있음.

-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적응활동

- 자치활동

- 행사활동

- 창의적

특색활동

- 학술활동

- 문화예술

활동

- 스포츠

활동

- 실습 노작

활동

- 청소년

단체활동

- 교내봉사

활동

- 지역사회

봉사활동

- 자연환경

보호활동

- 캠페인

활동

- 자기 이해

활동

- 진로 정보

탐색활동

-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징

(ⅰ)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인성함양을 지향.

(ⅱ)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지역 단위의 교육과정.

(ⅲ)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4. 현장학습 계획 수립

1) 장소 선정: 적절한 장소를 몇 곳 선정하여 사전 답사나 자료 를 수집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참석하여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

2) 계획 수립: 계획 수립은 현장 학습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단계. 일반적으로 현장의 지리적인 특성, 활동 기간, 학생들의 연령이나 성별 등을 고려하여 학교나 교사들이

작성하는 것이 보통이나 기본적인 활동 지침이나 내용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협의를 통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3) 안전 관리: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한 안전 관리가 필요 함.

실시 당일에 가까운 날에 사전 답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상태를 점검.

위험에 대한 사전 지도를 철저히 하고, 위험한 장소에

로프를 치고 접근 금지 표시함.

참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전 적응훈련을 실시하고,

안전사고에 관한 주의를 주고 가정통신문을 발송함.

사용할 기자재를 점검하고, 손질함.

긴급 사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준비를 함.

현장에 도착하여 현장 관리자와 협의하여 반드시 오리엔 테이션을 실시하고,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주의를 환기

시킴.

청소년들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지도자(교사)가 있어야 함.

5. 현장학습의 전개과정

1) 도입: 현장학습의 목적 및 필요성을 주지시킴과 동시에 그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킴.

2) 현장학습 준비: 교사 혹은 지도자와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임.

3) 현장학습 활동: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들을 발견하고 각각의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아보 거나 실제로 활동을 해 보는 것.

4) 결과보고 활동: 현장학습 활동을 끝마친 후 학습내용을 검토 하고 정리하는 단계.

5) 적용 및 평가: 현장학습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체득하게 된 새로운 사실, 정보 및 지식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관련

자료들을 참고하여 정리하고 리포트를 작성함으로써 다음

현장학습 활동의 자료로 활용함.

6. 현장학습의 종류

1) 역할놀이 현장학습: 학습자들에게 구체적인 실제 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실제 현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이해하고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학습방법.

역할놀이 현장학습에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첫째,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에의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

둘째, 역할놀이 현장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감정이입적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음.

셋째, 역할놀이 현장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견해를 명료화할 수 있는 언어 적 능력과 대화기술을 함양하게 해 줌.

2) 참여관찰 현장학습: 원칙적으로 연구자가 관찰이 이루어지는 사건이나 현장에서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연구방법.

적극적인 의미로서의 참여관찰은 사회현상의 실재에 대한

분석을 통제된 실험과 같이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환경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관찰해 냄으로써 비로소

가능하다는 방법론적 입장을 견지함.

참여관찰의 유형은 참여의 수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함.

완전관찰자: 현장이나 사건의 부분이 되지 않고서 관찰을 하는 사람.

예를 들면, 길가에 서서 관찰자가 지나가는 사람들의 행동 을 유심히 바라보면서 왜 그런 행동이 나왔는가를 생각해 보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함.

관찰자적 참여자: 연구자로서의 지위가 연구대상이 되는 참여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면서, 사건이나 현장에는 참여하 지 않는 사람.

예를 들면, 경기장의 아나운서가 여기에 해당함.

참여자적 관찰자: 활동 참여자들에게 연구자로서 알려져 있으면서 동시에 진행되는 활동에 전적으로 참여하면서

관찰하는 사람.

예를 들면, 노동조합의 활동을 면밀히 연구하기 위해서

노동조합원들에게 자신이 연구자라는 사실을 알리고, 노조 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관찰을 진행하는 유형이 여기에

해당함.

완전참여자: 사건이나 현장에 전적으로 참여는 하지만

연구자로서의 위치가 다른 참여자들, 즉 연구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의 관찰자를 의미함.

예를 들면, 어떤 정치학도가 대통령 선거 과정을 연구하려 는 사실을 일체 알리지 않고, 어느 한 입후보자의 선거

참모로서 활동하면서 관찰을 진행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 함.

3) 시청각 자료 활용 현장학습

ㅇ 일반적으로 현장학습은 사전활동, 현장활동, 사후활동의 세 단계로 이루어짐.

ㅇ 시청각 자료 활용 현장학습은 교실 밖 사회 현장에서 이루 어지는 현장학습인 현장활동 단계를 교실 내부로 가져오는 방법으로 굳이 여러 가지 비용과 위험 요소를 수반하는 관행 적인 현장견학 위주의 현장학습을 고집할 필요가 없음.

ㅇ 시청각 자료는 각종 화보, 신문, 녹음 자료, 사진, 비디오

자료, CD자료, 그림 자료 등

제4장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의의

1. 서론

ㅇ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참여의 개념 도입은 국가청소년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ㅇ 1998년 정부가 확정한 제2차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1998 ∼2002)을 통해서 국가청소년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처음

설정된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ㅇ 서구에서 청소년참여에 대한 관심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첫 번째, 개발도상국가에서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필요에 의 해서 개발과정에서 청소년의 동력화(움직여 어떤 일을 하게 ) 필요에 따라 청소년참여에 관심을 갖는 경우.

두 번째, 선진국들에서 1960년대에 청소년들의 반전운동과

징집문제에 대한 회의, 대항 문화적인 도전 그리고 교육과 사회체제에 대한 회의가 교육받은 청소년들이 권력 자체에 도전하고, 자신들을 위하여 권력을 공유하기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2. 청소년참여의 개념과 관련용어

ㅇ 청소년참여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는 관점청소년과 성인의 파트너십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해 볼 수 있음.

첫 번째,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는 관점에서 청소년참여는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함. 청소년이 의사 결정의 권한을 갖는 방법은 그 권한을 갖고 있던 성인의 양보나 권한이양을 통해서 임파워먼트 (empowerment) 거나 청소년 스스로의 권리에 대한 자각을 통해서 권한을 획득해 가는 방식이 있음.

두 번째,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청소년과 성인의 파트너십

형성으로 보는 관점임. 이는 청소년들이 의사결정 권한을 어느 정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함. 구체적 으로 청소년-성인의 관계에서 벗어나 청소년과 성인이

강력한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함께 일하고, 권한을 공유하 고, 서로에게서 배우는 것을 의미함.

Hart(1997)는 청소년참여의 단계를 8단계로 제시하면서 최종 8단계를 청소년 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설정함. 청소년참여를 통해 청소년이 의사결정 권한을 독점

하고 청소년들만의 공화국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임.

ㅇ 청소년참여는 관여(involvement)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권한부여) 등과 유사

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음.

- 참여는 실제 행위를 수반하지만,

관여는 태도를 말하는 것이며

- 다른 한편으로 통제가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 청소년들이 통제하는 경우는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사용하고,

· 성인들이 통제하는 경우는 관여라는 용어를 사용함.

- 권한부여(empowerment)도 청소년참여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두 가지 의미를 가짐.

첫째, 집합적 의사결정과정에서 개인들의 자율성이 유지되 고 동등한 영향력을 공유할 수 있게 사회의 제도가

모든 시민들의 동등한 영향력을 보장하고 집합적 통치 과정을 통제하여야 한다는 관점.

둘째, 각각의 개인이 사회적 지배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내면화하고 자신들의 사회적·지적 역량을 개발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함.

3. 청소년참여의 가치

Bopp(1994)학습하는 존재(learning beings)로서 인간

발달의 속성을 고려해 볼 때 참여는 인간의 학습과 인간의 발달에서 주요한 역동성이라 함.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 와 직접적인 상호작용(interaction)과 숙고(reflection)를 통해 서 학습하고 성장하고 발달하기 때문에 참여가 없으면 학습 도 발달도 없다는 것임.

Hart(1997)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기술이나 책임감에 대한 경험 없이 16세, 18세 또는 21세가 되면 갑자기 책임감이 있 고 참여하는 성인으로 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라고 함.

따라서 Hart는 청소년참여를 통해서 청소년이 성장하고 발달 하고 더 나아가서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참여하여 지역사회 전체를 활성화하는 촉매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함.

Checkoway(1999)는 청소년들의 참여로 인한 편익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함.

(ⅰ) 개인적 발달의 측면: 청소년들은 현실세계 삶의 문제

해결을 통해서 실질적인 지식과 유용한 기술을 증가시키 고 자신들의 환경에 대해 보다 더 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도전을 하게 됨.

(ⅱ) 조직개발의 측면: 청소년들이 사람들을 모으고 그 사람 들에게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가르치 고 조직을 위하여 기여할 수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게 함.

(ⅲ) 지역사회개발의 측면: 청소년참여는 지역사회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함.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가르치고, 병원 에서 자원봉사하고, 노숙자 수용시설에서 일하고, 간이

식당에서 음식을 나르고, 버려진 건물을 재단장하고,

지역사회의 재건을 위한 전략을 세울 때와 같은 일을 수 행하면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발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를 개발하는 것임.

The African Youth Alliance(AYA-아프리카청소년연맹)에서 는 청소년참여를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모니터링 및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의사결정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성인과 청소년 사이의 파트너십이 청소년참여의

핵심이라고 규정함.

4. 청소년참여의 모형 – 9. 28

ㅇ 청소년이 의사결정과정에 어느 정도 참여하는가를 중심으로 청소년참여 단계를 구분할 수 있음. 청소년참여 수준은 실제 적인 참여와 명목적인 참여를 구분할 수 있는 준거가 됨.

1) Hart의 청소년참여 사다리

Hart(1997)는 청소년참여의 원리로서 청소년이 알고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청소년참여를 8단계로

구분한 청소년참여 사다리를 제시함.

제1단계: 성인들이 이용하는 단계

- 참여의 가장 낮은 단계로 어른들이 의도적으로 청소년의 목소리를 이용하는 단계.

- 청소년들과 의논하지만 피드백이 전혀 없고, 성인들은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것처럼 꾸미는 단계.

- 청소년들이 문제나 사안에 대한 이해 없이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에 참여하는 단계.

제2단계: 장식처럼 동원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고 청소년과 함께 운영하지만 청소년들은 그 사안에 대한 이해가 적고 조직화 과정에서 참여도 없음.

- 이 단계는 어린이에게 관련된 주장이나 내용을 담은 티셔 츠를 입히는 단계로 상황의 전개과정에서 어린이는 자신의 의사를 말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음.

제3단계: 명목상으로 참여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고 청소년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가진 것 처럼 보이지만 주제에 대한 선택권이 없고 자신의 의견을 형성할 기회가 없음.

- 명목적 참여단계는 다루기가 매우 어려운 단계이고 구분하 기도 어려운 단계임.

- Hart는 제3단계까지는 실질적으로 청소년의 참여로 보지 않았음.

제4단계: 성인들이 지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성인 주도로 운영하지만 청소년들이 그 의도를 이해하고 누가 그리고 왜 의사결정을 내리는지를 이해하며, 이후에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하거나 자원봉사를 할 수도 있는

단계.

- 청소년의 참여와 비참여가 구분되는 단계.

제5단계: 성인들이 정보를 제공하고 협의하는 단계

- 성인들에 의하여 계획되고 운영되지만 청소년들이 그 과정 을 이해하고 자신들의 의견이 신중하게 고려된다는 것을 아는 단계.

- 예를 들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의 경우 청소년 들이 조사목적을 이해하고 조사결과의 분석과 결과에 대한 논의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함.

제6단계: 성인주도로 청소년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

- 진정한 참여가 시작되는 단계.

- 성인들이 주도하지만 의사결정과정에 청소년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단계.

- 청소년참여에서 제6단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성인들이 청소년참여에 대한 유능성이나 확신을 갖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어렵게 됨.

제7단계: 청소년이 주도하고 청소년들이 감독하는 단계

- 청소년들이 성인들의 참여 없이 자신들의 프로젝트를 시작 하고 운영하는 단계.

- 실제에서는 청소년들의 놀이의 세계를 제외하고는 현실적 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단계.

제8단계: 청소년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

- 청소년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실제로 는 매우 드문 경우임.

- 이 단계에서는 대개 나이 많은 청소년들과 성인이 포함

되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운영함.

- 이 단계는 여전히 청소년들과 함께 성인들의 참여가 이루 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단계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 지만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이를 수행 하는 데 성인들과 협력한다는 것은 청소년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청소년참여의 유형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음.

2) van LindenFertman의 의사결정 참여와 리더십 개발

van LindenFertman(1998)은 청소년들이 의사결정과정

참여와 리더십 개발의 관점에서 의사결정과정에서 청소년의 역할을 구분함.

즉, 의사결정과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중요할수록 청소년의 리더십 개발의 기회가 많다고 하면서 5단계로 구분되는 참여 의 연속체를 제시함.

- 1단계: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는 단계.

- 2단계: 선택된 청소년들이 의견을 제시하는 단계.

- 3단계: 성인들의 집단에 청소년들이 형식적으로 참여하는 단계.

- 4단계: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을 위한 투표권의 대부분 을 갖는 단계.

- 5단계: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단계.

ㅇ 이러한 연속체에서 청소년들이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수록 청소년들이 리더십을 개발하고 지도자로 성장하는 것을 촉진하는 환경이고, 반면에 청소년들의 역할이 적어질수록 청소년들의 리더십 개발을 방해하는 환경이라고 지적함.

3) FlecherVavrus의 청소년참여의 서클 모형

FlecherVavrus(2006)는 청소년참여의 서클 모형을 제시 함.

이 모형은 실제로 청소년참여를 통한 사회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기획하고 평가하는 데 적용된 것임.

- 1단계는 청소년의 의견을 듣는 단계(Listen)

· 사회변화에서 성공적인 청소년참여는 청소년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청소년들의 의견을 듣는

방법은 일대일의 대화, 집단토론, 청소년들의 실천연구,

청소년들이 만들어낸 매체, 예술적인 표현 등이 있음.

- 2단계는 청소년들의 의견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것

(Validate)

· 청소년들의 의견에 신중하게 반응하고 비판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함.

· 지도자도 의견이나 지식을 갖고 있을 때 그것을 청소년들 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함.

- 3단계는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주는 단계(Authorize)

·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주는 것은 청소년들이 변화에 영향 을 줄 수 있도록 청소년을 훈련시키고, 지위를 만들어주 고, 공간을 허용해 주는 것을 말함.

- 4단계는 청소년이 실천하는 것(Act)

· 수동적인 참여자에서 능동적인 변화촉진자나 지도자로

전환시키는 것은 청소년 스스로가 변화를 창출하기 위한 실천에 참여하는 것을 말함.

- 5단계는 청소년참여를 통한 사회변화에 대한 반성적 사고 (Reflect)

· 청소년참여로 이루어진 변화의 과정, 반응, 산출, 변화 등 에 대해서 청소년과 성인이 함께 신중하게 검토하고 그것 을 통해서 배우려는 책임감을 가져야 함.

5. 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유형

1) 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청소년의 역할

ㅇ 청소년참여의 영역은 청소년이 무엇(in what)에 참여하는가 에 관한 것임. 청소년참여의 영역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청소년의 모든 생활환경이 대상임.

청소년참여의 영역을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음.

- 제도(institution)적인 측면에서 구분하면

· 가족, 근린지역사회, 지역사회, 학교, 경제, 정치적 과정,

대중매체, 지역사회개발, 정부, 복지서비스, 문화 등

- 문제(issue)중심으로 구분하면

· 교육문제, 환경문제, 보건문제 등

ㅇ 청소년참여의 주요 정책영역은

· 또래중심 참여, 지역중심 참여, 정책과정 참여, 단체자율 참여, 사이버 참여 등

* 정책과정 3단계: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4단계: 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5단계: 의제설정, 대안형성, 정책채택,

정책집행, 정책평가

* 정책과정 7단계모형(Lasswell): 정보의 수집 및 처리,

관심 유발, 처방, 행동화, 적용, 종결, 평가

* 의제설정: 정부가 정책적 해결을 위하여 사회문제를

정책의제로 채택하는 과정.

(사회문제사회적 이슈공중의제정책의제)

ㅇ 청소년참여의 영역에서 청소년들이 실제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역할

- 의사결정자

- 기획자

- 상담자

- 교육자

- 모니터 및 평가자

- 옹호자 등

2) 청소년참여의 유형

Checkoway(1998)는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참여 유형을 다음 과 같이 구분함.

(1) 자생적 청소년조직: 지역사회수준에서 청소년주도로 자신 을 조직화하는 과정을 자생적 청소년조직이라 할 수 있음. 이러한 조직을 통하여 청소년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조직화는 대부분 자생적인

동아리활동과 같은 형태로 나타남.

- 청소년자신에 의한 조직화는 많은 장애요인이 존재함.

첫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체제나 성인의 지배유형 등에 관한 정보가 적음.

둘째, 청소년들이 주도로 조직화하는 경우 자원이 적음.

셋째, 청소년들의 활동에 대한 성인들의 저항이 존재함.

(2) 청소년개발조직: 청소년개발조직은 청소년의 결점을 극복 하기 위한 것보다는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는 조직임.

- 청소년개발조직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위하여 기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생산성과 책임감이 있는 긍정적인

자원으로 간주함.

- 청소년을 청소년을 지원하는 청소년(youth serving

youth)이라는 관점으로 청소년들을 참여시킴.

예를 들면,

· 갱단(모임, 단체)의 멤버로서 경험이 있는 청소년(선행학 습을 한 멤버)이 멘토로 활동하는 경우

· 프로그램 수료자들이 프로그램의 운영에 참가하는 경우

(3)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사업: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과 근린 지역사회개발을 동시에 촉진하는 사업.

· 청소년들이 실제적 활동(real work)과 실천적 학습 (practical learning)을 필요로 하고, 근린 지역사회는

물리적 개선인간 서비스가 필요하므로 이 두 가지 목적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는 것 으로 인식함.

· 교육, 고용, 서비스를 조합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면서 동시에 청소년 자신도 변화할 수 있도록 함.

·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예를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실정임.

(4) 지역사회개발 조직: 근린 지역사회 수준에서 주민들 자신 이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임. 주로

주택재개발, 경제개발, 물리적 환경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함.

· 이러한 조직에서는 기본적으로 참여의 이념을 신봉하며, 리더십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간자원을 요구함.

· 지역사회개발 조직에서는 청소년의 실제적인 활동 참여 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5) 시민운동: 지역사회 수준에서 보다 강력한 시민이나 조직 을 형성하여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시민운동 에서 참여자들에게 권력의 의미를 알게 해주고 사람들

사이의 권력관계를 변화시키고 지역사회 변화를 창출할 수 있다고 봄.

6. 청소년참여의 장애요인

Stoneman은 청소년참여의 중요한 장애요인을 다음과 같이 지적함.

첫째, 성인중심주의. 성인중심주의는 성인이 청소년들과 관련 된 의사결정에 개입하여 좌지우지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보는 태도나 행위를 말함. 청소년참여를 주장하는 청소년

지도자 조차 성인중심주의에 빠져있는 경우가 있음.

둘째, 성인중심주의로 인해 성인들이 청소년을 동등한 파트너 로 인정하고 의사결정 권한을 실제로 공유하기가 쉽지 않다 는 점.

셋째, 청소년과 성인이 의사결정을 공유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과 수단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고, 청소년과 성인이 모두

연습이 덜 되어 있다는 점.

넷째, 청소년참여와 비참여를 명확히 구분하고, 참여수준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제5장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참여의 형태

1. 서론

ㅇ 청소년정책을 추진하는 법령체계가 우리나라처럼 잘 갖추어 져 있는 나라는 거의 없음.

ㅇ 청소년참여 또한 우리나라처럼 법률로 규정하는 보장하는 나라도 거의 없음.

청소년참여기구 현황

구분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기능

청소년들이 발굴

한 정책의제 및

정책과제를 정부

에 제안

청소년들이 국가 및 지자체 정책에 참여(의견제안, 모니터링, 기타 참여활동 등)

청소년 수련시설 사업 · 프로그램

운영관련 의사

결정 참여

근거

청소년기본법

제12조

청소년기본법

제5조의 2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조

운영

현황

17개 시·

청소년위원 430명

전국 189개소

(여성가족부 1개,

·도 17개,

··구 171개)

전국 305개소

ㅇ 청소년참여는 국가 청소년정책의 핵심이념으로 이미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과 제도에 걸맞게 청소년분야에 서 당위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현장에서 사명감 을 갖고 청소년참여 활동을 전개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들도 생겨나고 있음.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는 최근에 나타난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기본원리에 해당함.

ㅇ 청소년활동의 주체로서 또는 프로그램의 수요자인 청소년들 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들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 청소년들의 의견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청소년활동의 기획과 운영 및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 운 것임.

2.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의의(중요성)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중요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 에서 검토해 볼 수 있음.

(ⅰ) 청소년활동의 개발 및 운영의 기본원리로서 청소년참여 를 당연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 청소년은 활동의 주체로 서 또는 프로그램의 대상자로서 청소년이 기획, 운영, 평가 의 전반적인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 율성을 높일 수 있음. 따라서 청소년활동의 기획에서부터 최종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청소년참여는 당연한 원리 라는 점.

* 효과성: 목표의 달성 정도를 의미함.

능률성: 투입(input)에 대한 산출(output)의 비율을

나타냄.

효율성: 효과성과 능률성을 혼합한 의미임.

경제성과 유사한 용어.

(ⅱ) 청소년문화의 변화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음. 청소 년문화가 성인들의 지도나 교육에 수동적으로 따르기보다 는 청소년 스스로의 참여를 통해 변화를 만들어 문화로

진화해 가고 있음. 이러한 청소년문화의 변화는 청소년활동 의 개발과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변화를 요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

ㅇ 최근 청소년문화의 특징은 2002년 월드컵 응원문화(붉은

악마로 대변되는 거리 응원문화), 2008년도 이명박 정부 초기 의 광우병쇠고기 수입 반대 운동의 과정에서 나타난 바와 같 이 청소년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라 할 수 있음.

ㅇ 청소년들의 선택의 기준도 옳고 그름보다는 좋고 싫음

으로 바뀌어 가고, 하기 싫은 것을 분명히 표현하는 특성을 갖고 있음.

ㅇ 청소년들은 하기 싫은 것은 거부하지만 스스로 원해서 하고 싶은 것은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확산되고 있음.

3.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현황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는 국가 청소년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청소년참여의 개념이 국가 청소년정책에 의해 서 도입되어 청소년 현장(field)으로 상의하달식(top-down) 로 파급된 특색이 있음.

ㅇ 우리나라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첫째, 초기 형태의 청소년의 정책참여 활동은 청소년참여의 정책화 이전(1998년 이전을 의미함)에 나타남.

- 1997년부터 송파구청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구정평가단

- 1996년부터 충남도청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시책모니터단

- 1995년부터 한국청소년개발원(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에서 시행해 온 청소년창안제

- 1997년부터 수원YMCA의 청소년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한 쾌적하고 안전한 거리 만들기운동

- 1997년부터 황지중학교에서 시행한 열린법정

둘째, 청소년참여의 정책화 과정에서 청소년위원회 활동과

청소년동아리 활동이 크게 증가함. 국가 청소년정책에서 추진하는 청소년참여와 관련된 활동은 대표적인 사업으로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등이 있음.

셋째, 청소년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청소년의 주체적인 참여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임. 청소년 프로그램에

청소년참여는 지역 단위의 청소년축제와 같은 청소년문화

활동을 청소년 주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청소년축제

기획단 또는 청소년문화기획단과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 운영팀을 청소년들로 구성·운영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확산되었음.

넷째, 청소년분야의 각종 사업에 청소년참여를 의무화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음. 2000년대 초반에 청소년분야에서

각종 정부지원 사업들이 공모에 의한 심사 방식을 도입하 면서 각 사업의 시행과 평가에 청소년참여를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음.

- 2000년부터 시행된 청소년시범시설 선정을 위한 평가

- 2003년부터 시행된 청소년수련시설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사업, 청소년육성기금

공모사업, 서울특별시의 청소년 프로그램 지원사업 등

청소년 분야에서 시행되는 각종 지원사업 등에 청소년을 참여시키고 있음.

* 지원사업에는 두 가지 방식으로 청소년의 참여를

반영하고 있음.

지원사업을 선정하기 위한 심사와 지원된 사업의

운영실태를 평가하는 과정에 청소년들이 평가위원 또는 모니터링 요원으로 참여하는 것.

각 지원사업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지표의

하나로서 청소년참여를 반영함으로써 현장의 청소년

프로그램 기획과정에서부터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는 것.

다섯째, 청소년들의 정치적인 결사체가 등장하고 집회와 시위 가 나타나고 있음. 청소년의 인권 또는 청소년정책과

관련하여 주요 정치적 쟁점이나 정책에 관하여 관심을 갖는 청소년이 많아지고 있음.

이와 같이 청소년이 활동한 주요 내용을 보면,

- 대한민국청소년의회, 대한민국고등학교총학생회, 우리 스쿨, 낮추자, 아이두, 청소년 웹연대, 18세 선거연령 인하(2020년부터 선거연령이 18세로 인하되었음),

두발제한 반대, 나이스(NEIS)폐지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함.

4.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형태: 청소년-성인 파트너십

1)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개념

ㅇ 청소년참여의 개념은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나 청소년과 성인의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고 정의할 수 있음.

ㅇ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청소년참여를 의사결정 권한의 공유라 고 할 때 청소년이 갖게 되는 권한이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임.

ㅇ 일반적으로 청소년이 주도하고 청소년이 모든 결정 권한을 갖게 될 때를 가장 최고의 청소년참여 단계로 생각할 수 있음. 그러나 청소년참여 이론에서는 의사결정 권한을 청소년이

독점하는 것을 최고의 단계로 보지 않음. 청소년참여의 최고 단계는 청소년 주도로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로

보고 있음.

ㅇ 이러한 측면에서 청소년참여의 개념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청소년과 성인 간의 협력개발로 규정함. 즉 청소년참여란

청소년-성인 간의 파트너십의 개발이라고 볼 수 있음.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개념은 전통적인 청소년-성인의

관계는 아동과 부모의 관계, 학생과 교사의 관계 등과 같은

구조 속에서 파악될 수 있음.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기존의 청소년-성인의 관계에서

벗어나 청소년과 성인이 강력한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함께 일하고(work together), 권한을 공유하고(sharing

power), 서로에게서 배우는 것(learning each other)

의미함.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청소년들이 당면하는 문제(issue)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나 정책과 관련하여 성인들이 청소년들과 완전하게 파트너십 관계를 갖는 것을 강조함.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은 청소년들에게 제공 되는 활동의 형성에 청소년들이 참여할 권리가 있고, 청소년 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의 형성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는 신념에서 생겨난 것임.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주장자들은 청소년활동의 구상,

개발, 적용에 청소년이 파트너로 참여할 경우 청소년활동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이 커진다고 주장함.

ㅇ 청소년활동에 있어서 청소년과 성인이 파트너십으로 가능한 일(분야)은 다음과 같음.

- 요구분석(need assessment)의 시행,

- 계획서의 작성,

- 재원의 확보,

- 프로그램의 기획,

- 프로그램 담당자의 훈련,

- 프로그램의 시행,

-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 개선

ㅇ 성공적인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이 되기 위해서는

파트너십의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하고,

의사결정 권한을 공유하여야 하며,

조직의 최고위층까지 각종 사업에 청소년참여를 기꺼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청소년과 성인이 각각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함.

2)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을 위해서는 청소년과 성인

각각의 측면에서 변화가 필요함.

일반적으로 당면하는 문제는

-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시간 확보,

- 청소년들의 관심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

- 교통편 등과 같은 참여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

- 청소년참여에 따른 권한 공유의 문제,

- 청소년과 성인에 대한 편견,

· 청소년은 성인들이 우리의 입장을 이해주지 못할 것이라 는 점

· 성인들은 청소년들이 성인들의 보살핌 속에서 생활해 왓 고, 여러모로 부족하고, 제대로 이루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스러운 점(부모가 자식을 보는 입장과 유사)

- 청소년을 수혜자로만 보는 시각(청소년을 보는 시각 참조)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형성을 위하여 청소년과 성인들이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사항

* 표 1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을 위한 고려사항 참조

ㅇ 청소년-성인 파트너십의 적용을 위한 원칙(14가지 원칙)

첫째, 청소년들이 책임지도록 해야 함.

- 청소년들이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고, 지도자는 청소년이 필요로 할 때 그리고 필요로 한 곳 에서 항상 도와줄 준비를 하여야 함.

둘째, 지도자가 항상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함.

셋째, 부모의 참여가 중요함.

- 부모들에게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고 행사에 초대하는 것이 필요함.

-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활동에 대해서 부모들과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함.

넷째, 지도자가 일관성 있고 헌신적이어야 하고 열정이

있어야 함.

다섯째, 청소년들도 항상 의견(opinion)이 있음을 알아야 함.

여섯째, 청소년들을 존중하면서 말해야 함.

일곱째, 청소년들의 영역(turf)에서 청소년과 만나야 함.

- 정형화된 학교, 상담실, 청소년회관, 청소년 프로그램실 등을 벗어난 상가, 아케이트, 게임방 등 청소년들이

자주 가는 장소에서 청소년을 만나는 것이 바람직함.

여덟째, 재미(흥미)있는 시간을 가져야 함.

아홉째, 지도자는 필요할 때 개입하여야 함.

열 번째, 청소년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space)을 주어야 함.

열한 번째, 청소년들이 서로 의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열두 번째, 청소년들이 낙담(실망)하는 것을 허용해야 함.

열세 번째, 지도자가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함.

열네 번째, 지도자가 자신에 대해서 열어야 함.

- 자신의 인생에서의 성공과 실패, 장점과 단점, 현재의 어려움 등을 청소년과 공유하는 것이 청소년들과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됨.

5.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참여의 방법

ㅇ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음.

첫째, 청소년들은 프로그램 기획자(program planner)로 참여 할 수 있음.

- 프로그램과 관련된 청소년의 요구 확인,

- 실천계획과 일정의 개발,

- 자원봉사자 확보,

- 프로그램의 전개,

- 프로그램 성과의 평가 등

둘째, 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의 지도자(program staff)로서 참여 할 수 있음.

- 청소년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과 장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staff 또는 또래지도자로 참여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two way process)리더십(별도자료

참조) 기술을 개발하고 정교화할 수 있음.

셋째, 청소년은 프로그램의 평가자(program evaluator)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은 프로그램의 평가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 램의 효과성(목표의 달성도)을 분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설문조사의 실시,

· 면접조사의 실시,

· 조사결과의 정리 등

- 프로그램의 평가과정에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 참가대상자의 파악,

· 평가방법의 결정,

· 평가계획 수립,

· 참여청소년에 대한 교육,

· 라포(rapport)형성,

· 또래들에 대한 면접조사 실시,

· 필요시 자료처리에 대한 교육 실시 등

넷째, 청소년은 대표단(youth summits)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관련회의 등에 대표단으로 참여

다섯째, 청소년은 자문위원(youth advisory councils)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자문위원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 조직과 성인들의 준비 정도 분석,

· 자문위원회의 체계 구성,

· 필요한 자원의 확보,

· 성인 담당자의 지정,

· 청소년과 성인 담당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

· 오리엔테이션과 훈련실시,

· 실행계획의 수립과 적용,

· 반성적 사고(reflection)의 기회 제공,

· 자문위원회 위원에 대한 인정감 부여 등

여섯째, 청소년은 조직(기관, 시설)의 운영위원(youth

governance)으로 참여할 수 있음.

- 청소년을 조직의 운영위원회에 참여시키기 위해서 고려 해야 할 사항.

왜 청소년을 운영위원회에 참여시키려고 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함.

조직의 경영관리자(최고책임자)로부터 지원을 얻어야 함.

청소년을 운영위원회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함.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함.

청소년참여자를 신중하게 선발하여야 함.

참여청소년에게 운영위원회 위원의 역할과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하여야 하고,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함.

운영위원회, 조직의 구조와 정책 등에 대하여 참여

청소년에게 오리엔테이션과 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청소년참여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하여야 함.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청소년을 참여시켜야 함.

한 명 청소년을 참여시킬 경우 명목적인 참여가 될

가능성이 있음.

* 참여 수준의 정도에 따른 구분

(ⅰ) 참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프로그램에 단순히 등록하는 것을 의미함.

(ⅱ) 참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역할을

부여받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수준 정도를 의미함.

(ⅲ) 참획: 청소년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의사결정까지 행할 수 있는 참여 정도를 의미함(권한부여, 역량강화와 유사한 용어로 쓰임).

* 청소년의 참여형태

생활적 참여 학습적 참여 활동적 참여

봉사적 참여 보호적 참여 권한부여를 위한 참여

6. 청소년참여자 선정 방식

Haid 등(1999)은 청소년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구분함.

- 선거에 의한 선정,

- 위원회에서 선정,

- 순환참여,

- 집단대표참여 방식.

ㅇ 여기에서는 선거방식, 위원회선정방식, 순환방식, 프로그램

기획단방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함.

첫째, 선거방식은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평가에 참여할

청소년을 투표를 통하여 선정하는 방식임.

- 장점: 보다 명확한 자신의 가치관과 리더십을 갖고 있는 청소년이 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청소년

참여의 의의를 높일 수 있음.

- 단점: 청소년참여자를 선정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

둘째, 위원회선정방식은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된 위원회

에서 청소년참여자를 선정하는 방식임. 다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원회 를 소집하여 참여자를 결정하는 방식.

- 장점: 신속하고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고, 참여청소년의 능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음.

- 단점: 청소년참여자를 광범위하게 탐색하기 어렵고,

청소년참여자의 대표성이 낮아지는 점.

셋째, 순환참여는 여러 청소년집단이 순서를 정해서 돌아

가면서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임.

- 장점: 많은 청소년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

- 단점: 참여청소년이 단계별로 달라짐으로써 사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참여자가 바뀔 때마다 사업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하고 이해를 시키는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넷째, 청소년 프로그램기획단을 구성하여 참여하는 방식은

지도자들과 공동으로 프로그램의 기획에서 운영과 평가 를 담당할 청소년의 조직(팀)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방식.

- 장점: 청소년 스스로의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관한 역량을 개발하는 측면 그리고 청소년과 지도자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간다는 측면에서 의의 가 있음.

- 단점: 진행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과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청소년참여 자체가 하나의 프로그램 으로서 성격을 갖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

리더십 관련이론 요약

1. 리더십의 의미

ㅇ 일반적으로 리더란 많은 삶들의 사고와 감정, 행동에 의미심장 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을 말함. 리더십이란 그런 영향을 미치는 힘이며, 영향력이라 할 수 있음.

ㅇ 저명한 리더십 학자인 스토그딜(Stogdill, 1974)은 리더십이란 집단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특정목표를 지향하게 하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해 실제 행동을 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음.

2. 리더십의 원천

ㅇ 리더십을 결정하는 원천들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크게 두 가지 로 한정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음. 즉, 리더 자신에게서 비롯되었 는가 아니면 주변 상황이 그렇게 만들었는가 하는 문제임.

ㅇ 리더중심의 이론에서는 리더의 특성을 중시하느냐 리더의 행동 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짐. 즉, 리더의 특성을

중시하는 경우 리더 개인이 가진 성격이나 자질이 남다르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으며, 훌륭한 리더로 만드는 특성을 타고 난 다고 봄. 반면, 리더의 행동을 중시하는 경우는 구성원들 앞에서 보여주는 행동이 바로 리더십 스타일이 되기 때문에 어떤 자질 을 가졌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 행동 인지를 찾아내면 된다고 봄.

ㅇ 상황중심의 이론에서는 조직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서 한 유형의 리더십은 좋은 것일 수도 있고 나쁜 것일 수도

있음. 상황에 맞는 리더가 훌륭한 리더이고, 따라서 리더는

상황이 결정한다고 봄.

ㅇ 현대적 이론에서는 구성원들의 신뢰를 얻어 그들을 변화시켜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초인적 능력이 요구되는 리더십의

유형이 있을 수 있고, 현대 조직은 변화 상황 속에 있으므로

조직을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느냐가 리더십의 관건이 된다고 보기도 함. 또한 구성원들에게 일방적으로 희생하고 지원하면

저절로 통솔이 되고 구성원들의 헌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보 는 경우도 있음.

3. 전통적 리더십이론

(1) 특성이론: 리더의 특성과 자질 중시

ㅇ 리더십의 특성이론은 리더십과 관련된 성격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리더가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자질이나 특성만 있으면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이나 환경이 변하더라도 언제나

효과적인 리더가 될 수 있다는 이론임.

ㅇ 모든 사람이 리더가 될 수 있는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리더 가 될 수 있다고 봄. 여기에서 자질이란 활력과 인내성, 결단력, 설득력, 책임성, 지적 능력 등으로 보는 학자도 있고(Barnard, 1946), 리더의 판단능력과 언어솜씨와 관련하여 육체적 특성, 사 회적 배경, 지능, 성격, 과업과 관련된 특성, 사회적 특성 등을 제시하는 학자도 있음(Stogdill, 1957).

또한, 성공적인 리더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사회적 성숙 및 관용, 내적 동기부여 및 성취동기, 인간관계적 태도 등을 지적하는

학자도 있음(Davis, 1976).

(2) 행위이론: 리더의 행동 중시

ㅇ 행동과학자들은 리더십의 특성이론이 비판받게 되자 실제적인 리더의 행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음. 즉, 어떤 특성 및 자질 을 가진 리더가 효과적인가 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리더가 하는 일은 무엇이며, 그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관점에서 적합한 리더의 행동유형을 밝히려는 방향으로 리더십 연구가 전개됨.

(가) 권위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리더십

ㅇ 리더십 유형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정치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행태에서 어떤 유형을 발견하고자 한 것임. 처음으 로 리더십의 유형이 권위형,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구분되었음.

- 권위형: 자신의 권위를 앞세워 구성원들을 명령하고, 지시하며, 과업에 높은 관심을 갖는 형. 구성원의 불만이 높고,

사기도 낮음.

- 민주형: 과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성원과 함께

책임을 공유하고 인간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갖는 형. 협조적자발적으로 일이 행해져 생산성과 사기가 높음.

- 자유방임형: 집단의 구성원들이 원하는 것을 하도록 허용하는 형. 리더에게 반감과 적의성은 없으나 구성원 상호간에 협조심이 적고 방관자가 되는 경우가 있음.

(나) 직원중심적, 과업중심적 리더십: 미시간 연구

ㅇ 미시간(Michigan)대학의 연구팀에서 어떤 유형의 리더의 행동 이 작업집단의 성과와 구성원의 만족을 가져오는가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두 가지 유형의 리더십 행동 유형이 있음을 발견하였음.

- 직원중심적 리더십(employee-centered leadership style): 인간중심적이며 권한과 책임의 위임과 구성원의 복지와 니드, 승진, 개인적인 성장에 관심을 갖는 유형.

- 과업중심적 리더십(job-centered leadership style): 세밀한 감독과 합법적이고 강제적인 권력을 활용하며, 업무계획표에 따라 실천하고 성과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는 유형.

ㅇ 미시간 대학의 연구에서는 직원중심적 리더십이 과업중심적

리더십보다 상대적으로 생산성과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다) 배려적 및 구조적 리더십: 오하이오 연구

ㅇ 1945년부터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는 리더 행위의 결정요인과 작업집단의 성과와 만족에 대한

리더십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음.

연구의 결과는 리더의 행위를 두 가지 차원,

즉 배려(consideration)와 구조주도(initiating structure)로 집약 하고 있음.

- 배려적 리더십: 관계지향적인간중심적으로 온화한 인간관계, 신뢰, 상호 존경과 우정, 지원, 구성원의 의견수렴, 구성원의

복지를 위한 부분에 관심을 나타내는 행동 유형.

- 구조주도적 리더십: 지도자가 과업을 조직하고 정의하며 업무 를 할당하고 의사전달의 통로를 확립하여 작업집단의 성과를 평가하는 행동 유형.

ㅇ 오하이오 연구에서는 구조주도와 배려가 높은 리더가 구조주도 와 배려가 어느 한 쪽에서 낮거나 둘 다 낮은 리더보다 조직

성원들의 성과와 만족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라) 관리격자 이론

ㅇ 관리격자(managerial grid)는 블레이크와 뮤톤(Blake Muton)에 의해 개발된 리더십 유형에 관한 2차원의 표를 말함 그림-A〕.

ㅇ 그들은 인간에 대한 관심생산(산출)에 대한 관심에 대한

유형에 근거해서 관리격자를 제시함.

그림-A에서 묘사된 관리격자 기본적인 리더유형 다섯 가지 에 대한 설명은 <표-2>와 같음.

ㅇ 브레이크와 뮤톤은 (9.9형)의 팀형의 리더십이 업무수행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림.

9

(1.9형)

(9.9형)

8

컨트리클럽형

팀형

7

6

중도형

5

(5.5형)

4

3

무기력형

과업

2

(1.1형)

(9.1형)

1

1

2

3

4

5

6

7

8

9

생산에 대한 관심

그림-A관리격자

<표-2> 관리격자에 대한 설명

(1.9형)

컨트리클럽형(Country Club) : 인간중심형 리더

생산을 특성으로 한 인간에의 최대관심.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에 대한 구성원의 니드에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써 편안하고 호의적인 조직 분위기.

(1.1형)

무기력형(Impoverished) : 방임형 리더

생산과 인간 쌍방에 무관심, 무기력한 관리

요구되는 작업수행을 최소한의 노력을 통해 조직의 구성원으로만 남아 있고자 함.

(9.1형)

과업형(task) : 과업관리형 리더

인간을 희생하여 생산에 최대 관심

생산에 있어서의 효율성은 인간적인 요소를 최저의 수준

으로 작업조건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

(5.5형)

중도형(middle of the road) : 중용형 리더

인간과 생산 쌍방이 중용을 얻는 관심, 타협과 균형이 특징

적절한 조직성과는 만족스러운 수준에서 구성원의 사기를 유지하는 것과 작업수행의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이룸.

(9.9형)

팀형(team) : 이상형 리더

인간과 생산 쌍방에 최대 관심, 동기부여, 상호존중, 문제

해결과 창조를 촉진

작업은 몰입된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며 조직목표에서 공동의 이해관계를 통한 상호의존성은 신뢰와 존경의 관계를 형성됨.

(3) 상황이론: 리더가 처한 상황의 중시

ㅇ 특성이론이나 행위이론은 어떤 유일한 이상적인 리더십 유형을 발견하려고 하는 것임.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유효성과 관련하여 어떤 리더십이 가장 효율적인 유형이라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지 는 못함.

ㅇ 따라서 어떤 상황에서나 효과적인 유일한 리더십 유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리더십의 유효성을 상황과 연결시 키려는 이론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상황이론 (contingency theory)임. 상황이론에 의하면, 리더란 상황의 산 물임. 즉, 주어진 상황에 따라 지도자의 능력이나 가치가 달리 평가되는 동시에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행태와 자질이 달라진다 고 봄.

(가) 피들러의 상황이론

ㅇ 상황이론의 최초 연구는 피들러(Fiedler)에 의해 시도되었음. 피들러에 따르면, 높은 직무성과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리더십의 유효성은 리더와 집단간의 상호작용과 상황의 호의성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임. 여기서 상황의 호의성(favorableness of the situation)이란 그 상황이 리더로 하여금 자기 집단에 대하여 그 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정도를 의미함. 피들러는

조직에 대한 리더의 영향력은 세 가지 상황적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함.

첫째, 원래 구성원이 리더를 신뢰하고 존경하는 친밀한 분위기 의 조직인지 아니면 리더가 누가 되었던 간에 눈치만 보고 욕이나 하고 서로 불신하는 풍토를 가진 조직인지를 의미하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둘째, 항상 반복되는 일인지, 복잡한 일인지, 과업목표가 구체적이 고 분명한지, 의사결정 체제가 잘 정비되어 있는지 등의

구조화 정도를 가리키는 과업구조(task structure).

셋째, 전통과 분위기 그리고 조직 내 제도와 법규가 원래 리더에게 막강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상황인지, 리더의 자리는 구성원 의 승진, 상벌에 대한 실권이 없는 허상의 자리인지 등을 나타 내는 직위권력(position power).

ㅇ 위의 세 가지가 모두 강하면 리더에게 유리한 상황이요, 모두 약하면 불리한 상황으로서 이런 경우에는 리더가 과업중심적

행동을 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이며, 위의 세 요소들이 한두 가지 는 좋지만 나머지 한 가지가 나쁘다면 리더에게는 중간 정도의 상황으로서 인간중심의 행동을 해야 효과적이라고 주장함.

(나) 하우스의 경로-목표 이론

ㅇ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은 하우스(House)에 의해서 발전된 이론으로 경로의 명확화, 니드 충족, 목표 달성을 주요 변수로 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리더십의 패턴이

달라진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음. 하우스는 리더의 역할이란 구성 원이 목적지(goal)에 이르도록 길(path)과 방향을 가르쳐 주고 따라가면서 어디가 지름길이고 어디가 가시덤불이 있는지의

행동경로를 코치해 주며 도와주는 것이라고 주장함.

(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ㅇ 허시와 블랜차드(Hersey Blanchard)의 상황이론은 다양한 상황 중에서 구성원의 상황에 주목하고 있음.

ㅇ 이 이론은 구성원이 없으면 리더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즉, 리더십은 구성원의 존재여부에 따라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만큼 리더십에서 구성원의 존재 그리고 그 들의 상황에 적합한 관리적 행동이 중요함을 강조함.

ㅇ 리더십 차원을 인간중심과 과업중심으로 나누고 상황변수를

고려한 리더십 모형이란 점에서 이들의 연구도 다른 학자들과 유사하지만, 이 이론만이 갖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

첫째, 리더십 유형이 단 한 가지 상황요인, 즉 구성원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임.

둘째, 리더십의 두 차원(과업행위와 관계행위)이 연속선상에 있지 않고, 과업차원과 관계차원은 별개의 것으로 상호 영향을

주지 않고, 두 요소가 동시에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함.

4. 현대적 리더십이론 – 10. 5

새로운 관점의 접근방법은 과거의 이론보다도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 대표적인 이론으로 변혁적 리더십이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서번트

리더십이론, 팔로우십이론 등이 있음.

(1) 변혁적 리더십이론

ㅇ 변혁적 리더십이론(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기존의

모든 리더십 연구가 리더와 구성원간의 교환관계에 기초한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에 치중해 왔다는 비판 에서 비롯되었다고 봄. 거래적 리더십 과정에서 리더는 구성원들 의 리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리더 자신이 원하는 결과와

구성원들이 원하는 보상을 거래하는 것임.

ㅇ 거래적 리더십은 구성원이 복종하는 대가로 리더로부터 임금이 나 신임을 얻는 교환(exchange)적 관계에 토대를 두는 것이다고 주장함(임창희, 2007).

ㅇ 반면,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 모두의 동기와 목적의식 을 고취시키는 것을 포함함.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사를 조직발전 속에서 찾도록 영감을 불러일으켜

주며 항상 새로운 창조와 혁신을 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해 준다고 봄.

ㅇ 어떤 의미에서 변혁적 리더는 자기가 없어도 구성원들 스스로 바람직한 행동(창조, 학습, 변화, 도전 등)을 할 수 있는 사람들 로 변혁시키는 리더임(임창희, 2007).

ㅇ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 스스로 업무에 대한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업무결과에 대한 구성원의 니드를 자극 하여 구성원 스스로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함.

ㅇ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자질을 갖추어야 함(정수진김양호, 2005).

첫째, 구성원들에게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주며, 비전을 통한 단결 능력을 가져야 함.

둘째, 비전은 제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 비전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함.

셋째, 구성원들로부터 전적으로 신뢰감을 얻어야 함.

넷째, 리더 스스로 자신의 이미지 관리에 능통해야 함.

(2)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ㅇ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charismatic leadership theory)은 구성 원으로 하여금 대가없이 또는 리더의 구체적 간섭 없이 자발적 으로 조직에 헌신토록 하는 리더십임.

ㅇ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리더의 특성, 구성원의 특성, 상황의 특성 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음.

첫째,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추종자에게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비전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야 함.

둘째,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반응이 중요 함. 리더가 자신이 아무리 훌륭하다고 생각해도 구성원들이

인정해 주지 않으면 카리스마적 리더가 될 수 없음. 이러한 점 에서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리더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리더의 권위에 순종하게 하여야 하며, 리더의 비전을 따르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음.

셋째, 리더 자신의 능력보다는 상황의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카리 스마적 리더로 지각되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면, 사람들이

위기의식을 느낄 때, 자신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들을 구할 수 있는 리더를 찾게 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카리스마적 리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3) 서번트 리더십 이론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란 최고관리자가 조직에서 군림하지 않고 구성원을 섬기며, 그들이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도 록 적극적으로 동기부여를 하면서 러더십을 발휘하는 것을 말함.

ㅇ 서번트 리더십 하에서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는 상하 종속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동료관계에 가깝다. 즉, 서번트 리더는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권한과 책임을 위임 하고 그들을 지원하게 됨.

ㅇ 서번트 리더십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질을 갖추 어야 함.

첫째, 경청(listening)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경청은 조직 구성 원을 존중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이해하는 것임. 리더는 적극적 이고 능동적인 경청을 통해서 조직 구성원의 니드를 파악할 수 있음.

둘째, 공감(empathy)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리더는 조직 구성 원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구성원이 무엇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해결해 주어야 함.

셋째, 치유(healing)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치유는 리더가

조직 구성원들을 이끌어 가면서 보살펴 주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것임.

넷째, 스튜어트십(stewardship)을 갖추어야 한다.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을 위해 자원을 관리하고 봉사해야 한다는 것임.

다섯째, 조직 구성원의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함. 이를 위해서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을 위해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야 함.

마지막으로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 존중하며 봉사하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를 형성해 가야 함.

(4) 팔로우십 이론

최근 현대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리더십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음.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이론이 팔로우십임.

ㅇ 팔로우십은 Kelly(1988)에 의해 제기되면서 학자와 실무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음. Kelly는 다섯 가지의 팔로우십 유형을 제시 하고 있음. 즉, 팔로우의 사고성향이 독립적비판적인가’, ‘의존 무비판적인가’, 그리고 행동성향이 수동적인가적극적인가 기준으로 소외형, 순응형, 실무형, 수동형, 모범형 팔로우로 구분 함.

중간시험 대체 과제 제출

- 과제: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의 개요,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 분량: 8매 내외(겉표지, 참고문헌 포함)

- 글씨크기: 12포인트

- 제출방법: E-mail()

- 제출기한: 2020년 11월 2까지

제6장 청소년단체와 활동시설

1. 서론

청소년활동의 주요한 실천적 기반

- 청소년단체와 청소년시설,

- 활동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ⅰ) 프로그램 기획

(ⅱ) 프로그램 설계

(ⅲ) 프로그램 마케팅

(ⅳ) 프로그램 실행

(ⅴ) 프로그램 평가

- 청소년지도자.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청소년지도자란 다음의 각목을 말한다.

가. 제21조에 따른 청소년지도사

나. 제22조에 따른 청소년상담사

다. 청소년시설, 청소년단체 및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청소년육성 에 필요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ㅇ 이 장에서는 청소년활동의 주요 요소인 청소년단체시설 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그 현황과 문제점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함.

2. 청소년단체와 시설의 개념

ㅇ 청소년단체 및 시설은 청소년들의 흥미와 욕구를 조직적

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집단활동을 다채롭게 시행하는 기관

이자 장소이며,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성장을

도우는 주요 요소로서 그 동안 다양하게 설립·운영되어 왔음.

ㅇ 청소년단체는 청소년 집단을 근간으로 구성·설립된 사회

조직체의 하나로 특성에 따라 그룹, 서클, 클럽, 동아리, 또는 조직, 협의회, 연맹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음.

ㅇ 우리나라의 현행 청소년단체는

- 회원 조직 중심단체

- 시설 중심단체

- 자생적 모임인 동아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

ㅇ 조직의 정의: 조직이란 인간의 집합체로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구성한 사회체제임.

ㅇ 조직의 특성

- 인간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실체

- 목표지향성

- 구조화된 활동체제

- 지속성

- 투과가능한 경계(모든 조직은 환경과 구분짓는 경계가

있음)

- 환경과 상호작용(경계가 있다고 해서 외부와 단절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니며 조직은 환경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청소년단체란 청소년들로 하여금 일정한 만남과 접촉을

통해 상호작용함으로써 개인적인 성장을 이룩하는 동시에,

장차 사회의 건전한 일원으로서 생활해 갈 수 있는 태도를 습득케 하며, 전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정신을 연마하는 실천적인 활동 현장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넓은 의미의 사회

단체의 하나임.

청소년시설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내의 생활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여가, 문화활동이나 일상생활공간을 벗어 나 자연환경을 활용한 야외활동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며 심신을 단련하는 공간으로 제공되는 각종 장소, 시설, 설비를 총칭하는 개념임.

ㅇ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에 의해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이용시설로 구분됨.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청소년활동시설의 종류) 청소년활동

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청소년수련시설

가. 청소년수련관: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나. 청소년수련원: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과 다양한 청소년수련 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다. 청소년문화의 집: 간단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

라.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

마. 청소년야영장: 야양에 적합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청소년

수련거리 또는 야영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

바. 유스호스텔: 청소년의 숙박 및 체류에 적합한 시설·설비와

부대·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청소년의 활동지원 (청소년수련활동 지원은 제11조에 따라 허가된 시설·설비의

범위에 한정한다)을 기능으로 하는 시설

2. 청소년이용시설: 수련시설이 아닌 시설로서 그 설치 목적의

범위에서 청소년활동의 실시와 청소년의 건전한 이용 등에 제공 할 수 있는 시설

ㅇ 청소년단체활동의 역사: 신라 화랑도

ㅇ 현대적 의미의 단체활동이 본격화된 시기: 1960년대

ㅇ 청소년단체활동의 상호협력을 협의기구로 한국청소년단체

협의회(일명: 청협) 발족: 1965년

ㅇ 청소년단체들이 전개하는 활동의 종류

- 청소년수련활동

- 지도자 연수활동

- 연구활동

- 상담활동

- 지역사회 개발활동

- 자원봉사활동

* 자원봉사의 핵심단어: 변화, 학습, 약속, 책임, 감사, 사랑, 나눔

- 사회교육 및 체육활동

- 국제교류활동

- 홍보 및 출판활동

- 문예·취미 등 여가활동

- 장학 및 포상

- 유해환경 민간 감시활동

- 조직강화활동 등

2005년 이전까지 청소년수련시설의 구분

- 생활권 수련시설: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 자연권 수련시설: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 유스호스텔

2005년 이후 현재까지 청소년수련시설의 구분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특화

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수련시설 현황(단위:개소, 2018. 12. 31) - 전국

구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

호스텔

801

185

181

270

11

39

115

청소년수련시설 현황(단위:개소, 2019. 12. 31) - 대전광역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

호스텔

16

4

3

8

·

·

1

평송청소년

문화센터,

대전청소년

위캔센터,

대덕구청소년수련관,

유성구청소년수련관

대전

청소년수련마을,

동구청소년자연수련원,

살레시오청소년

수련원

갈마청소년문화의집,

대덕구법동 〃 ,

대흥동 〃 ,

도솔 〃 ,

도안 〃 ,

도화 〃 ,

장대 〃 ,

탄방 〃 .

유성유스호스

ㅇ 청소년이용시설의 종류

- 문화시설(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3호): 국립중앙

극장,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

민속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 과학관(과학관육성법 제2조 제1호):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서울과학관

- 체육시설(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생활체육공원, 국민체육센터, 마을단위 생활체육시설, 동네 운동장, 길거리농구대 등

- 평생 교육시설(평생교육법 제2조 제3호)

- 자연휴양림(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4조,

제19조)

- 수목원(수목원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 사회복지관(사회복지사업법 제34조 제4항대전 22개소)

- 시민회관

- 어린이회관

- 공원

- 광장

- 고수부지

ㅇ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청소년기본법 제40조)

- 설립목적: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청소년

육성과 국내·외 청소년단체 상호 간의 협력 및 교류와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65년 12월 8일

- 주요사업(청소년기본법 제40조 제1항)

· 회원단체의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조·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와 권익 증진

· 청소년 관련 분야의 국제기구활동

· 외국 청소년단체와의 교류 및 지원

· ·북청소년 및 해외교포청소년과의 교류·지원

· 청소년활동에 관한 조사·연구·지원

· 청소년 관련 도서 출판 및 정보지원

· 청소년육성을 위한 홍보 및 실천 운동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단체협의회에 대한 협조 및

지원

· 그 밖에 청소년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 가입현황: 63개 단체(2020. 9. 20 현재)

ㅇ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 설립목적: 청소년시설의 전문화 및 선진화를 통하여

청소년활동 활성화와 건전 청소년육성에 기여함 을 목적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89년 10월 1일

- 주요사업(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제1항)

·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운영자 및 위탁운영

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연구·지원사업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 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801개(2019, 청소년백서 기준)

4. 청소년단체의 특성과 운영조건

1) 청소년단체의 특성

(1) 일반 조직으로서 특성

ㅇ 일반적으로 어떤 집합이나 모임이 하나의 집단 또는 단체로 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조직화 과정이 필요함.

ㅇ 어떤 집단이 공식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서는

- 집단이 추구하는 공동목표가 있어야 하고,

- 권위와 조정능력을 가지고 공동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의결기관, 집행기구가 있어야 하며,

- 권력과 노동의 분화,

- 커뮤니케이션의 책임,

- 분업,

- 권력중심체,

- 성원의 교체 기능 등 특정적 요소를 가져야 함.

ㅇ 청소년단체도 공식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서는

각기 추구해 나가는 분명한 목적을 수립해 놓고 있으며,

목적을 성취하고자 공동으로 노력하는 조직성원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단체의 조직이 소규모임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명시된 조직표가 있으며, 이러한 조직표에 따라 위계적

권위구조가 존재한다는 점(예를 들면, 회장, 부회장,

사무총장, 부장, 과장 등),

청소년단체에서도 업무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청소년단체 조직 내에도 조직행위를 통제하고 조정하는 권위의 중심체가 존재한다는 점 등이 있음.

ㅇ 청소년단체는 위와 같이 일반 조직으로서 지녀야 하는 공통 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측면도 있음.

- 조직의 규모가 타 조직체에 비해 비교적 작은 편이며,

- 조직성원의 수가 적어 성원간의 대면접촉에 의한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 자발적 조직체이므로 성원들 모두 적극적이며,

- 자발적인 참여와 세밀한 협동을 기반으로 단체가 지향하는 활동을 수행해 나간다는 점.

(2) 청소년단체의 목적적 특성

ㅇ 모든 조직이나 단체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목적은

조직이나 단체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합법적인 근거 가 되는 동시에 조직이나 단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평가

척도가 되기도 함.

ㅇ 청소년단체의 경우 공통적으로 그 목적이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다는 교육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

ㅇ 청소년단체의 목적을 조직이나 단체의 목적이 관계대상과 그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여러 가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조직이론에 의거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목적 대상을 조직 외적 대상과 조직 내적 대상으로 분류하여

대상별 목적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표 2>와 같음.

(교재 P. 128 참조)

조직이론

1) 고전적 조직이론

가) 과학적 관리론: 과학적 관리론은 테일러(Taylor)가 산업

현장(철강회사)에서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에 새로 대두되고 있던 경영 및 생산의 기술들을 종합하면서 만들어 진 것임. 과학적 관리론은 조직에 있어 기획과 실행의 분리 를 전제로 함.

테일러에 있어 일에 관한 계획은 관리자의 몫이고, 일의

실행은 노동자의 몫이라고 함. 과학적 관리론은 동기부여 및 유인제도에 있어 개인의 물질적 이익에 호소하는 차별적 성과 급 제도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과학분석과 경험을 바탕 으로 한 능률적 작업방법은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노동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면 된다고 주장함.

과학적 관리론의 최대 단점(약점)은 조직의 핵심적 요소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는 점.

나) 행정관리론: 행정관리론은 조직의 관리기능을 중시하면서 관리층이 맡아야 할 조직 및 관리작용의 원칙들을 개발하는데 주력하였으며, 핵심적 특성으로는

첫째, 집권화되고 기능적으로 전문화된 조직구조,

둘째, 면밀한 감독과 통제를 강조하는 것

행정관리론은 패욜(Fayol, 1916)일반 및 산업관리라는 저서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행정관리론은 명령통일의

원칙, 통솔범위의 원칙, 예외의 원칙, 일치의 원칙, 부성화의 원칙, 조정의 원칙, 계선(line)과 막료(staff)의 원칙, 집권과 분권의 원칙 등 다양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다) 관료제: 관료제는 계층제적 구조를 가진 대규모의 복잡한 합리적·능률적 관리조직을 의미함. 베버(Weber)는 18세기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에서 생성된 대규모 공공조직들의

공통된 특징을 통찰하고, 합리적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상적인 조직형태로 관료제를 제시하였음. 관료제 모형 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필요한 권위의 정당성은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등으로 설명함. 관료제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이 있음.

첫째, 조직내부 또는 조직 간의 상하관계가 계층제의 원리에 의하여 명확한 명령복종 관계가 확립되어 있음.

둘째, 계층의 직위에 따라 관료의 권한과 직무 범위는 법규 에 의해 규정.

셋째, 공공사무는 민간사무와 구별.

넷째, 모든 직무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지닌 관료가 담당.

다섯째, 모든 업무 수행은 서류에 의하여 이루어짐.

2) 신고전적 조직이론

가) 인간관계론: 인간관계론은 조직의 구성원을 감정의 논리나 대인 관계에 따라서 움직이는 인간으로 파악하고 욕구·동기· 태도를 중심으로 개인 간’, ‘집단 간’, ‘개인·집단과 조직 간 에 형성되는 조직체 내의 여러 가지 사회적·심리적 관계를

분석하는 이론임.

인간관계론의 내용은 호손(Hawthorne)공장 실험결과를 통해 도출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첫째, 조직은 인간과 인간으로 구성된 사회적 체제임.

(기계적 구조물이 아님, 비공식적 인간관계가 강조됨)

둘째, 조직구성원은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적 요인, 심리적 요인에 의해 동기를 부여 받음.

셋째, 권위주의적 리더십보다 민주적인 리더십이 바람직함.

넷째, 사회심리적 만족감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짐.

나) 의사결정론: 의사결정론은 복잡한 상황에서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조직과 개인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 임.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개념이 합리성 (rationality)임.

의사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첫째, 적극적인 행동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목표가 설정 되어야 하며,

둘째, 기존의 환경이나 어떤 제약 아래에서 목표가 달성될 수 있는 대안이 명백하게 밝혀져야 하며,

셋째, 목표추구라는 견지 아래에서 대안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마련되어야 하며,

넷째, 목표달성을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대안을 선택함으로 써 최선의 해결책을 강구해야 함. 하지만 앞에서 제시한 모든 합리적 과정과 내용을 담보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점임.

이에 조직에서 활용하는 합리성은 사실상 제한된 합리성이라 는 점을 알 수 있음.

3) 현대적 조직이론

가) 체제이론: 체제이론은 공식적·체계적으로 구성된 인간의

복합체인 조직을 하나의 물리적·생물학적 체제와 유사한 특성 을 갖는 체제(system)으로 인식하는 조직이론임.

체제이론의 기본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음.

첫째, 하나의 체제는 다른 체제와의 상호작용 속에 존재하 며, 전체 체제속의 하위체제로 구성되어져 각각은 상호 의존관계를 유지함.

둘째, 체제는 일정한 구분이 되는 경계를 가지고 있음.

셋째, 조직은 갈등과 협동이 수반된 내·외부의 여러 가지

관계에 의해 특징지어짐.

넷째, 조직은 생물학적 유기체로 생각될 수 있으며, 조직의 목표나 욕구는 정태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동태적으로도 인식될 수 있음

다섯째, 하나의 체제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폐쇄

체제로 인식될 수도 있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개방체제 로 인식될 수도 있음.

나) 상황적응이론: 환경과 조직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 양자간에 어떠한 관계가 성립될 때 조직의 효과성이 높 아지는가에 초점을 둔 이론임. 상황적응이론에서는 모든 상황 에 유효한 조직특성은 존재하지 않음. 즉 환경·규모·기술 등의 상황변수에 따라 조직구조와 관리체제는 조직 유효성과 관련 하여 변화함.

다) 무정부적 조직이론(쓰레기통 모형): 기존의 조직이론은

대부분 인간의 합리적 관리에 토대를 두고 있는 반면, 무정부 적 조직이론은 조직 합리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음.

일명 쓰레기통 모형으로 알려진 이 이론은 고도로 불확실한 조직상황에서의

- ‘일관성이 없이 빈약하게 정의된 신호체계(개인은 자신의

선호도를 모르면서 의사결정에 참여함)’,

- ‘불확실한 기술(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수단

으로 택해야 할지 확실하게 알지 못함)’,

- ‘유동적인 참여자(조직구성원들은 각 상황에 따라 회의에 수시로 참여 또는 결석함)’로 특징지어지는 의사결정과정 임.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무정부적 조직이라 명명함.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 내 문제, 해결책, 참가자, 선택기회가 서로 뒤엉켜 있는 쓰레기통의 형상을 닮았다고 해서 유래된 용어임.

라) 조직이론의 발전 및 분류

(조직이론 구분 및 특징)

구분

고전적 조직이론

신고전적 조직이론

현대적 조직이론

가치

기계적 능률

사회적 능률

다원적 목표 및 가치

환경

폐쇄체제

환경유관론

개방체제

인간관

합리적·기계적

인간관

사회·심리적

인간관

자아실현적

인간관

관련

이론

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관료제

인간관계론

행정행태론

의사결정론

체제론적 접근법

상황적응론

탈관료제

거버런스론

동기

부여

외재적 동기부여

요인제공

(피·수동적 인간)

외재적 동기부여

요인제공

(피·수동적 인간)

내재적

동기요인 제공

(능동적·적극적

인간)

(3) 청소년단체의 운영적 특성

ㅇ 청소년단체의 운영에 있어서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

첫째, 회원자격과 필요조건에 대한 것. 청소년단체 중에는

모든 청소년들에게 개방되어 있고, 회원 자격 조건은 그 단체의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회원 자격 필요조건에 제한을 하지 않고 있음.

둘째, 모든 단체는 지도자들의 훈련을 위해 노력함.

셋째, 후원에 관한 것. 일반적으로 후원자들은 전국적 단체의 목표를 수행하며 집단지도력, 회원 자격 및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함. 조사에 의하면 공식적인 후원

제도가 청소년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계속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Giving USA 2019

2018년 미국 1년간 기부총액: 4,277억 1,000만 $

(한화 약 500조 4,207억원)

2020. 9. 28 환율 1$ ≒ 1,170

※ 2020년 우리나라 예산규모(당초예산 512조 2,504억원)

넷째, 국제적인 강조. 많은 단체가 국제적인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것을 선호함.

다섯째, 비용과 상품판매활동. 단체 참가를 위한 비용에는

최저한으로 대체로 회원 회비와 참가회비, 보험료 및 제복 비 등이 있음. 많은 단체들은 현지 자금과 운영비를 충당 하기 위해 상품 판매로부터 생기는 수입에 의존하기도 함.

여섯째, 경쟁과 서비스의 역할. 대부분의 청소년단체들은

여러 가지 점에서 경쟁적인 활동들을 지지함.

2) 청소년단체의 운영요건

ㅇ 청소년단체·운영을 위한 제반 요건에 대해서는 일반적 구비 요건과 단체활동의 조직운영상의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단체운영의 일반적 구비요건

전문성과 사명감을 가진 지도인력의 확보와 지위보장

재정적 자립과 예산의 확보

청소년활동 시설 및 공간의 확보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청소년단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성인들의 의식전환

청소년단체 간의 유대강화와 지도력

정부 및 외부기관의 의존에서 탈피한 자율적인 운영의 확대

지방단위 조직으로의 확산

- 청소년단체의 조직·운영상의 요소 – 10. 12

단체 목적설정의 명확화는 단체의 모든 운영방향은

설립목적으로 규정되며 목적을 기반으로 단체의 현황과 활동결과를 평가하며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성원이 무엇을 바라고 필요로 하는지, 또 지역사회의 요청이 무엇인지 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목적 이 명확하게 되었다면 구성원에게 충분히 이해시켜야 함.

단체활동의 조직과 운영을 위해서는 목적달성과 집단

유지 기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함.

· 목적달성 기능: 단체는 공통의 목적이 있고, 그것을

달성하는 것으로 단체의 존재의의가 있음. 예를 들면,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의 목적 달성 기능은 역량있 는 훌륭한 사회복지인 양성을 위한 강의, 철저한 교육 과 훈련, 실습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

· 집단유지 기능: 단체의 구성원이 상호 교제하고 사귀 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구성원 간에는 따뜻한

애정이 넘쳐 있어야 한다는 것임. 예를 들면, 목원대학 교 사회복지학과의 집단유지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학 술제, MT, 동아리 친목모임 등을 들 수 있음.

청소년단체의 운영은 조직편성의 적정화를 도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소집단화와 역할분담을 중시할

필요가 있음. 큰 집단에는 소집단에서 볼 수 없는 특유의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는 점. 즉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하 는 마음과 거부현상, 불참여 현상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단체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 이를 위해

회원들의 흥미·욕구를 만족시킬 것

회원 상호간의 단결과 참여분위기를 조성할 것

협력과 경쟁

회원 간의 상호작용

개별지도

시설과 설비의 효과적인 이용 등이 요구됨.

5. 청소년시설의 설치와 운영지원

1) 청소년시설의 설치

(1) 중앙정부의 수련시설 설치

청소년활동진흥법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전국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운영

하도록 명시하고 있음.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1조(수련시설의 설치·운영 등)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청소년기본법제18조 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은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1. 국가는 둘 이상의 시·도 또는 전국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2.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이 ·도지사라 한다)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각각 제10조 제1호 가목에 따른 청소년수련관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 여야 한다.

3.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읍··동에 제10조 제1호 다목에 따른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여 야 한다.

4.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0조 제1호 라목부터 바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청소년특화시설·청소년야영장 및 유스호스텔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국가는 제1항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수련시설의 설치·운영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보조할 수 있다.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개인·법인 또는 단체는 특별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사항 중 대규모의 부지변경, 건축 연면적의 증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제3항에 따른 허가를 받아 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는자(이하수련시설 설치·운영자라 한다)에게 예산의 범위에서 그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ㅇ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시설로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국립

평창청소년수련원이 운영 중임. 또한 청소년의 우주과학에 대한 욕구와 관심을 제고하고, 창의적인 첨단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과학·탐구체험을 위한 국립청소년우주센 , 청소년에게 해양환경체험을 통해 해양생명체의 소중함을 인식하게하고 미래해양자원 개발 및 기술발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위한 국립청소년해양센터, FTA(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국가간 무역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 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협정), DDA(도하개발아젠더, Doha Development Agenda: 2001.11.14. 카타르 도하 각료 회의에서 합의된 WTO 제4차 다자간 무역협상) 등으로 인한 농업수입개방의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우리 농업의 비전과 소중함을 인식시키고 새로운 농업생명의 발전상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청소년농생명센터가 건립되어 운영중임.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및

시범운영, 청소년지도자의 양성 및 연수, 국내·외 청소년교류 및 수련시설간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국립수련시설. 충남 천안시 목천면 독립기념관 부지 내 약 640억원 투입, 2001년 6월 준공.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자연권 청소년수련활동의 시범적

운영 및 총괄·지원을 위한 자연권수련시설. 수련시설에 대한 지원과 청소년수련활동 운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 수행.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약 240억원 투입,

1998년 10월 준공(최초로 설립된 국립수련시설).

국립청소년우주센터: 우주분야에 대해 전문화·특성화된 수련 시설로서 청소년의 우주체험 활동의 장을 해외에서 국내로 전환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우주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건립됨. 전남 고흥군 동일면 덕흥리 약 498억원 예산 투입. 2010년 7월 준공.

국립청소년해양센터: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으로 건립된 해양환경체험시설.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에 약 372억원의 민간자금이 투입되어

2012년 7월 준공됨.

국립청소년농생명센터: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으로 건립된 농경문화체험시설. 전북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에 약 220억원의 민간자금이 투입되어

2012년 7월에 준공됨.

(2) 지방자치단체의 수련시설 설치

ㅇ 지방자치단체가 건립하는 청소년수련시설은 주로 생활권

수련시설로 행정구역별로 1개소씩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제12조 제1항 제2호, 제3호)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수련관을 1개소 이상을 설치·운영해야 하며, 읍··동에는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씩 설치하여야 할 의무를 지님.

(3) 민간 수련시설 설치

ㅇ 청소년수련시설의 확충을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과 더불어 청소년활동진흥법에 의거하여 민간수련시설을

건립하는 민간법인이나 단체, 기업 등에게 세제 등의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청소년활동진흥법 제30조(민간인의 참여 유도)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개인·법인 또는 단체가 수련시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토지·금융·세제 또는 그 밖의 행정절차상의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인·법인 또는 단체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는 수련시설에 대하여 토지·금전 등을 출연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연자의 성명 등을 그 수련시설의 명칭으로 할 수 있다.

사례: 평송청소년문화센터기증자(출연자) 이남용 선생의 호평송】: 1990년초 이남용 선생은 청소년회관 건립을 위해 써 달라고 30억원을 대전시에 기부함.

(4) 수련시설 설립 사전검토와 주택건립 시 설치계획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르면 국립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련

시설을 설치하려고 할 경우, 입지조건이나 내부구조, 설계사항 등 건립의 타당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여성가족부의 심의를 받은 후 시행하여야 하며, 수련시설 건립 시에도 수련시설건립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심의원원회에는 청소년전문가 및 청소년이 각 5분의 1 이상 참여하도록 해야 함.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8조(수련시설 건립 시 타당성의 사전 검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1조 제1항에 따라 설치되는 수련시설이 청소년활동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지 조건, 내부 구조, 그 밖의 설계사항 등 건립의 타당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설계사항을 사전에 심의한 후 시행하여야 한다.

제1항에 따른 기본계획 및 관련 설계사항의 심의 과정에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및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다.

제1항 및 제2항의 심의 과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시행령 제15조(수련시설 건립심의위원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법 제28조제2항에 따라 심의 과정에 청소년 관련 전문가 및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관 수련시설 건립 시 수련시설건립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라 한다)를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심의위원회의 위원은 5명 이상 10명 이하로 구성하며, 위원 중 청소년 및 청소년 전문가의 참여 비율은 각각 5분의 1 이상으로 한다.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위원장은 심의위원회를 대표하고, 심의위원회의 직무를 총괄한다.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위원장은 필요시 회의를 소집하며, 그 의장이 된다.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開議)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수련시설을 설치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수요자 요구조사, 운영계획 및 건축물의 설계계획 등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심의위원회에 제출하여 심의하도록 하고, 심의 결과는 수련시설의 설계 및 건축 시 반영하여야 한다.

심의위원회는 심의에 필요한 경우 현장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영에 규정된 것 외에 심의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2) 수련시설 운영 지원

(1) 수련시설 안점점검 및 보험가입

ㅇ 수련시설의 증가와 함께, 시설의 안전을 위해 여성가족부

주관 하에 관련기관(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과 합동으로

안전관리 실태 점검 사항은

- 청소년 수련시설 관리운영,

- 주요 구조부의 균열,

- 내구성 저하 등의 위험사항,

- 석축, 옹벽, 담장 및 부대시설의 안정성,

- 전기, 기계, 소방 및 냉·난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 기타 관리 주체의 안전의식 및 재난 관리 체계 구축 여부

ㅇ 청소년활동진흥법(제18조)에 따르면, 수련시설 운영대표자는 정기 및 수시 안점점검을 실시해야 하며, 그 결과를 특별자치 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8조(수련시설의 안전점검 등)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시설에 대하여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제1항에 따라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2항에 따른 결과를 받은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필요한 경우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에게 시설의 보완 또는 개수(改修)ㆍ보수(補修)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는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의 범위에서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점검이나 시설의 보완 및 개수ㆍ보수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정기 안전점검 및 수시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는 시설의 범위ㆍ시기, 안전점검기관, 안전점검 절차 및 안전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4. 1. 21.]

청소년활동진흥법 제72조(과태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6조의8을 위반하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2. 제67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검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7. 12. 12., 2018. 3. 13.>

1. 제9조의2제1항을 위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또는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신고한 자

2. 제9조의2제4항을 위반하여 청소년수련활동의 모집을 한 자

3. 제9조의3제2항을 위반하여 필요한 의료조치를 하지 아니한

4. 제9조의5를 위반하여 표시 또는 고지를 하지 아니한 자

5. 제13조제1항을 위반하여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수련시설을 운영한 자

6. 제14조제1항을 위반하여 운영대표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제16조제4항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7. 제18조의2를 위반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아니한 자

7의2. 제18조의3제3항 후단을 위반하여 자료 제출의 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7의3. 제19조의2제3항 후단을 위반하여 자료 제출의 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8. 제20조에 따른 시정명령을 위반한 자

9. 제21조를 위반하여 같은 조 각 호의 행위를 한 자

10. 제25조를 위반하여 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한 자

11. 제27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수련시설을 휴지, 재개 또는 폐지한 자

12. 제38조를 위반하여 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인증수련활동이나 청소년수련활동의 인증 등 인증을 받았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거나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한 자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여성가족부장관 또는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부과ㆍ징수한다.

ㅇ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5조에서는 수련시설 운영자로 하여금 이용자에게 발생한 생명·신체상의 손해를 배상하기 위하여 보험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5조(보험 가입) 제9조의2에 따라 숙박형등 청소년수련활동 계획을 신고하려는 자,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또는 위탁운영단체는 청소년활동의 운영 또는 수련시설의 설치ㆍ운영과 관련하여 청소년활동 참가자 및 수련시설의 이용자에게 발생한 생명ㆍ신체 등의 손해를 배상하기 위하여 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제1항에 따른 보험에 가입하여야 할 수련시설의 종류 및 보험금액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와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ㅇ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 설립목적: 청소년시설의 전문화 및 선진화를 통하여

청소년활동 활성화와 건전 청소년육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됨.

- 설립일: 1989년 10월 1일

- 주요사업(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 제1항)

·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운영자 및 위탁운영

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 청소년지도자의 연수·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연구·지원사업

·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 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801개(2019, 청소년백서 기준)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0조(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및 위탁운영단체는 수련시설의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여성가족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하는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이하 "시설협회"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

1. 시설협회의 회원인 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 및 위탁운영단체가 실시하는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및 지원

2. 청소년지도자의 연수ㆍ권익증진 및 교류사업

3.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 및 수련시설의 안전에 관한 홍보 및 실천운동

4.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조사ㆍ연구ㆍ지원사업

5.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대한 지원

6. 그 밖에 수련시설의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여성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사업

시설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시설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국가는 예산의 범위에서 시설협회의 운영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시설협회는 제1항에 따른 사업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41조에 따른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에 위탁할 수 있다.

시설협회에 관하여는 이 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ㅇ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제41조(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 특정 지역을 활동범위로 하는 수련시설은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ㆍ발전을 위하여 그 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를 설치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의 범위에서 해당 지방청소년수련시설협회의 운영경비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6. 청소년단체와 시설운영의 평가

1) 단체와 시설운영의 문제점

설립목적과 목표가 활동내용을 통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음.

활동과 운영상 청소년들의 욕구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단체 간, 시설 간 또는 단체와 시설 상호 간 협력과 연대 의식을 결여하고 있음.

단체와 민간시설의 재정이 영세하고 이에 대한 지원도

미약함.

단체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수가 적음.

청소년 인구에 비해 청소년시설의 수는 여전히 부족하며 기존 시설의 활용도도 높지 않음.

2) 청소년시설 운영의 과제

첫째, 청소년시설의 대상 집단을 명확히 해야 함. 청소년들이 청소년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가 프로그램의 성공을 좌우함. 중요한 인식문제의 하나는 청소년시설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집단의 인식이라고 할 수 있음.

둘째, 지도력의 개발과 전문적 운영요원 확보가 필요함. 청소 년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동원하 고 활용해가는 지도력이 필요함. 적절한 지도력의 개발이 청소년시설의 성공적인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됨.

그러나 청소년시설·단체에 종사하는 직원의 전반적인

급여 수준이 열악하여 전문성있는 지도자 확보에 어려움 이 있으나 최근 이에 대한 보완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음.

셋째, 청소년지향적인 직원을 채용하고 참여시켜야 함. 성인 지향이나 지도자 지향이 아닌 청소년 지향적이고 청소년 의 요구와 문제에 민감한 직원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넷째, 지역사회의 지원(지지, 옹호)을 확보하여야 함.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물음에 답해야 함.

지역사회 내 청소년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의 지원이 특정 청소년만을 위한 것인가?

지역사회나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청소년

시설을 지역사회의 자원만 낭비하는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가?

경찰서 등에서는 청소년시설을 어떻게 보는가?

기업이나 부모, 행정조직 등을 포함하여 지역사회가 청소년시설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다섯째, 청소년시설이 지역사회로부터 인정과 지원을 받기

위해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지역주민을 청소년시설의 운영에 참여시키는 것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청소년 시설 운영에서 지역주민의 참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여섯째, 재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함. 청소년 시설의 운영을 통해서 돈을 벌지 못한다는 것이 일반 적임. 청소년시설을 운영하면서 돈을 버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따라서 청소년시설들이 지역 의 재정지원기관, 시민단체, 사업체 등과 성공적으로 연계를 맺는 것이 문제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

일곱째, 청소년시설의 기획과 운영에 청소년을 참여시키는

일이 중요함. 청소년들이 청소년시설의 단순한 이용자 가 아니라 지역 청소년시설이 주체로서 참여가 있어야 함.

청소년참여의 범위는 청소년시설의 운영, 운영위원회, 프로그램의 선정, 일상적인 시설의 운영(유지와 개선 포 함) 등을 포함함.

여덟째, 지역 청소년시설이 인기 있는 장소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사회적 변화에 한발 앞서

나가는 것임.

아홉째, 수련시설의 안전과 수련활동의 위험에 대한 대비책 을 강구해야 함.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국가적 점검과

전문기관의 평가를 통하여 그 내용을 공개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수련시설을 선택하는 데 용이하도록 하고 안전기준이 미비하거나 무허가시설이 이용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임.

안전한 청소년활동을 위해 기억해야 할 사항.

하인리히의 1:29:300의 법칙

1번의 대형 참사 이전에 유사한 29번의 작은 사고가 있고, 그 사고들에 앞서 300번 이상의 사고 징후가 나타난다는 것임.

제7장 청소년활동의 조직과 프로그램의 운영

서론

ㅇ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지도력 기술과 지식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며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잠재

능력을 성장시키고 개발하는 일련의 과정임.

ㅇ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이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발현(發顯)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됨.

ㅇ 청소년활동은 급격한 신체적 발달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극복하고 자아정체감을 발견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정체감의 4가지 차원(구분)

- Marcia(1980년)

1. 정체감 유실(identity foreclosure) : 부모나 사회의 가치관을 자신의 것으로 그대로 선택하므로 위기도 경험하지 않고,

쉽게 의사결정을 내리지만 독립적 의사결정은 하지 못하는

상태.

2. 정체감 유예(identity moratorium) : 정체감 위기상태에 처하 여 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역할실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 즉, 정체감 성취 또는 정체감 혼란 중 어느 방향이 라도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태.

3. 정체감 혼란(identity diffusion) : 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도 없고, 기존의 가치관에 대한 의문도 제기하지 않는

상태. - 될 때로 되라는 식

4.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 :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정치적 또는 개인적 이념체계를 확립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자율적 의사결정을 하며, 직업적 역할을 성공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

ㅇ 청소년활동은 최근 개정된 교과과정에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반영됨으로써 청소년활동이 학교 외 환경뿐만 아니라 학교 내 환경에서 활발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함.

창의적 체험활동

* 2009 개정교육 과정 혹은 미래형 교육과정

* 특별활동 + 창의적 재량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일명: 창체)

* 2011년 부분 시행(초1, 2 · 중1 · 고1), 2013년 전면 시행

-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적

·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교과와 상호 보완 관계에 있 으며,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에 있음.

-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적응활동

- 자치활동

- 행사활동

- 창의적

특색활동

- 학술활동

- 문화예술

활동

- 스포츠

활동

- 실습 노작

활동

- 청소년

단체활동

- 교내봉사

활동

- 지역사회

봉사활동

- 자연환경

보호활동

- 캠페인

활동

- 자기 이해

활동

- 진로 정보

탐색활동

-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징

(ⅰ)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인성함양을 지향.

(ⅱ)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지역 단위의 교육과정.

(ⅲ)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ㅇ 여기에서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참여로로 이루 어지는 제반(모든) 체험중심의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보고, 청소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개인적 또는 사회적 가치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정신적·신체적 행위 일반 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함.

2. 청소년활동의 조직

1) 청소년활동의 목표 설정

ㅇ 청소년활동의 목표를 정하는 것이 활동에 우선하는 것은

당연함.

ㅇ 활동의 목표는 진지하고 냉정한 토론과정을 거쳐서 설정되 어야 하고, 일단 결정된 목표는 성원 간에 확실한 공동이해가 이루어져야 함.

ㅇ 활동의 목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국가와 사회의 기대,

소속단체 또는 클럽의 목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동시에

청소년의 욕구와 흥미를 양면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여야 함.

2) 청소년활동 집단의 구성

ㅇ 청소년활동에 집단의 크기는 중요한 사안임.

ㅇ 집단이 크면 클수록 그룹 내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는

공식적이 되고 결국 인간소외 현상은 더욱 심화되기 쉽고,

집단이 너무 작으면 예산의 효율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집단의 규모를 적정선으로 조정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임.

ㅇ 집단에 관한 정의와 소그룹과 대그룹에 대한 견해는 학자들 간에도 다양한데 15명을 기준으로 구분하거나 소그룹은 8명 을 적정한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인간관계 훈련을 위해 서는 5명을 적정수라는 연구보고도 있음. 대체로 청소년집단 활동의 경험적 인원 기준은 20명 전후가 적정하다는 것임.

3) 청소년 전문지도자

ㅇ 학교, 청소년단체 등의 청소년활동 현장에는 일반적으로

전문적 지도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ㅇ 청소년지도자는 활동의 과정에서 청소년들과 원만한 관계 속에서 지도력을 발휘해야 하므로 성숙한 인격과 섬세한

전문기술이 요구됨.

ㅇ 청소년지도자는 자신의 주장이 청소년들 보다 앞서지 않게 하면서 청소년들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받고, 아울러 선배로서 의 권위와 지도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함.

4) 자원봉사자와 지역사회의 참여

ㅇ 청소년활동에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이들을 도와줄 자원봉 사자, 학교장, 소속 단체장,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유지

가운데서 후견인이 되어줄 인적 자원을 끊임없이 발굴하여 참여하도록 하여야 함.

ㅇ 자원봉사자는 대학생, 학부모, 교사 등 청소년에 대한 관심 과 애정을 가진 자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함.

3. 청소년활동과 프로그램 운영

1) 청소년활동과 프로그램의 의미

ㅇ 청소년활동은 궁극적으로 프로그램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임.

ㅇ 청소년을 위하여 마련하게 되는 프로그램 활동은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정서적, 오락적 및 흥미 중심적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함.

ㅇ 프로그램이란 특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 계획 또는 집단이 합의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순서를 짜고 예정계획 을 수립, 실행,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함.

ㅇ 이런 점에서 보면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활동을 실현시 키는 데 필요한 모든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종합적 으로 제시한 것으로, 목표, 계획, 설계, 수단과 방법, 창안된 행위, 정돈된 준비, 도식화 등을 포함함.

ㅇ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육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첫째, 청소년 프로그램은 어떤 활동을 목적으로 시간과 활동 의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나열한 사전계획표로 정의됨.

둘째, 청소년 프로그램은 선택적이고 융통성이 강한 성격을 갖는다. 이 점에서 규범적이고 필수적인 성격을 갖는

학교 교육과정과 구별됨.

셋째,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들에게 지도 해야 할 내용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한 것임.

넷째, 청소년 프로그램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청소년의 성장·발달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경험과 환경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을 의미함.

2) 청소년활동 운영의 조건과 프로그램의 기능

ㅇ 청소년활동 운영의 3가지 전제조건

모든 청소년활동은 구성원의 욕구와 흥미에 기초해야

한다는 점.

청소년활동에서 과정은 결과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점.

청소년활동의 제반 과정은 청소년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

ㅇ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기능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집단의 성향(풍토)를 수정하고 청소년집단 내에 바람직한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자체 활동을 변경시키는데 도움을 줌.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이익을 줄 수 있고, 활동 에 대한 만족에도 영향을 주며, 활동의 전 과정을 촉진시키 기 위해서도 유용하게 활용됨.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에게 간접적 수단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활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단 지도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사용됨.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의사 및 사회의 가치 와 규범을 변화·유지시키고 집단성원의 흥미와 요구를 충족 시킴.

청소년 프로그램은 청소년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 며 정서적 건강 및 갈등(관점의 차이에서 발생)의 완화에도 도움을 줌.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과제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기회를 제공하며, 특별한 생활과제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함.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활동을 통해 형성된 긍정적 관계 를 기초로 금기나 수용된 규범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허용하기도 함.

3) 청소년활동의 형태와 프로그램 유형

ㅇ 청소년활동의 형태

집중식

분산식

주최자, 성인의 입장을 고려

참가자(청소년)의 입장(측면)을 고려

강의식, 대그룹활동 중심

소그룹 활동 중심

청소년활동의 틀로서 유익하지만 유능한 지도력의 확보가 전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음

ㅇ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 프로그램의 목적, 대상, 지원기관, 프로그램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구분함.

(ⅰ) 프로그램의 목적을 기준

안전하고 관리된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안전사고, 폭력, 유괴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

학습적·문화적 역량의 향상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청소년기에 필요한 학업적 능력과 문화적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기회를 목적으로 교육과 다양한 활동기회 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위험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음주, 흡연, 가출, 학교중도탈락, 범죄행동 등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한 문제행동을 집단 프로그램으로 운영함으로써

예방하고 치료하는 프로그램.

(ⅱ) 프로그램의 대상을 기준

- 연령에 따라서

· ·중등학생 연령의 어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 그램과 고등학생 이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 그램.

-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청소년과 그 가족을 대상 으로 하는 프로그램(대부분의 경우는 청소년만을 대상 으로 하고 있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청소년과 그 부모 또는 후견인 등을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 경우도 있음).

(ⅲ) 프로그램 개발 지원기관에 따른 분류

-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정부 청소년 프로그램.

-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지자체 청소년 프로그램.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매칭으로 지원하는 청소년 프로 그램

- 청소년기관이 기관의 설립목적에 맞게 자체적으로 개발 하여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기관 프로그램.

(ⅳ) 프로그램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분류

- 고도로 구조화된 프로그램

- 구조화된 프로그램

- 느슨한 구조의 프로그램

- 비구조화된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구조화 정도가 높을수록 세분화되고 전

과정에 대한 연계가 틀에 맞춰져 있게 되며, 구조화

정도가 낮을수록 선택적이고 자율적인 부분이 많음.

4.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원리

1)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원리

ㅇ 청소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첫째, 청소년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개발과 운영원리는 그 과정에 청소년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는 것임.

둘째, 프로그램은 지도 및 활동과정과 결과에 있어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조직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함.

셋째, 청소년 프로그램은 의도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원활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제반요소와 자원(인적·

물적 자원 포함)을 고려하여 개발·운영되어야 함.

- 프로그램의 제반요소: 청소년지도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과 기술, 재정적인 여건, 자료와 시설의 여건,

행정적 지원, 지역사회의 요구와 기대, 대외적인 협력

관계 등

넷째, 프로그램의 실행뿐만 아니라 계획과 설계, 평가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에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함.

2)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특성

ㅇ 청소년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개발주체, 내용 및 방법,

시간적 관점,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등의 측면에서 몇 가지

특성이 있음.

첫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주로 청소년단체나 기관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둘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학교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의적이거나 심동적 측면이 강조됨.

Bloom의 교육 목표 분류

(ⅰ) 인지적 영역(측면):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ⅱ) 정의적 영역(측면): 주의,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ⅲ) 심동적 영역(측면): 반사동작, 기본동작, 지각능력,

숙련동작 등

셋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시간적으로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지향함. 학교교육이 지나치게 청소년들의 미래의 삶에 초점을 두는 반면,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은 청소년 들의 현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동시에 초점을 맞춤.

넷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이 학교에 서의 교사보다 휠씬 크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다섯째,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은 청소년기관 및 단체의 성격, 프로그램의 유형, 프로그램의 단위, 참여자의 형태,

프로그램 개발자의 성향 등에 따라서 다른 양상을 보임.

3)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패러다임

(1) 실증주의 패러다임

실증주의(positivism)

실증주의의 기본 입장은 과학으로 얻어지는 지식의 총체 이외의 참된 지식은 없다고 주장함. 실증주의라는 명칭은 자연과학의 방법을 철학에 적용하려고 했던 생시몽에서 비롯되었고, 콩트가 실증철학으로 확립함.

실증주의의 연원에는 영국의 경험론과 프랑스 계몽주의 유물론이 있고, 배경에는 자연과학의 급속한 발달과 산업사회의 성립이 자리 잡고 있음. 그러나 이 시기의 실증주의는 논리학이나 수학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고, 그 후 1920년대 빈학파를 중심으로 실증주의에 논리학이나 수학을 보충하려는 새로운 실증주의를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실증주의를 논리적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함.

ㅇ 실증주의 패러다임은 지식이 인식의 주체인 인간과 분리

되어 존재한다는 객관적 인식론의 입장으로 객관적으로 존재 하는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기계론적 교육관에 초점을 둠.

ㅇ 실증주의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학교교육과 같이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을 수동적이고 학습자로서의

경험이 없는 존재로 인식함.

ㅇ 실증주의 패러다임과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법은 전통적인 합리성 이론(타일리안 모델, 수단-결과 모델)과

체제접근이론이 있음.

- 전통적인 합리성 이론: 기술 공학적 합리성에 기초를 두고 교육의 효능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 의 절차에 초점을 맞춤. 타일리안 모델이 대표적인데, 바라 는 결과와 결과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과 이 수단이 목표를 성취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주로 기술하므로 수단-결과 모델이라고도 함.

- 체제이론: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필요한 관련 요소와 맥락 에 초점을 두며, 프로그램 개발이 교육기관을 둘러싼 사회 ·기능적 맥락과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짐을 전제로 함.

휼, 본, 코왈스키 모델 등이 있음.

(2) 구성주의 패러다임 – 11. 2

구성주의

(ⅰ) 구성주의의 의미

ㅇ 구성주의는 지식의 인식과 획득에 관한 새로운 관점

이면서 이론임.

ㅇ 구성주의에서 볼 때 지식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에

따라 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임. 예를 들면, 동일한

강의를 듣지만 받아들이는 것은 학생들의 입장에서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임.

ㅇ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삶의 맥락에 적합하게 구성

되고 삶의 맥락이 달라지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구성물임.

ㅇ 구성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지식에 있어서 중요한 것 은 객관적 진리성이 아니라 삶에의 적합성이나 유용 성임.

ㅇ 이런 점에서 구성주의를 상대주의 인식론 또는 주관 적인 인식론이라고 함.

* 전통적인 지식관에 따르면 지식은 학습자와 별개로

학습자 외부에 객관적인 진리의 형태로 존재함. 따라 서 지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절대적이고 불변 적인 성격을 가지며, 모든 경우 모든 사람에게 적용 됨.

따라서 지식은 개인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음. 이런 점에서 전통적인 지식관을 절대주의 인식론 또는

객관적인 인식론이라 함.

(ⅱ) 구성주의적 학습원리

첫째, 학습은 구성적·능동적 과정임. 즉 학습자의 자율 성, 자기주도성,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함.

둘째, 학습은 반성적 능력을 통해서 추진됨. 반성을

통해서 자신에게 적합한 의미를 창출하고 구성함.

셋째, 학습은 사회적·대화적 활동임. 학습에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대화를 통해 수평적 인 소통적 관계 형성이 중요함.

넷째, 학습은 적절한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서 촉진됨.

학습자의 능력보다는 과제의 수준이 조금 더 높아 야 인지적 불균형에 의해 학습을 촉진하는 계기가 됨.

다섯째,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서 촉진됨. 학습에서 다양한 물리적 도구, 언어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 한 상징체계가 활용될 수 있어야 함.

여섯째, 학습은 앎의 방법을 알게 하는 과정임. 학습에 서 앎 자체 즉 what보다 앎의 방법 즉 how to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함.

ㅇ 구성주의 패러다임은 지식은 인간의 감각적 혹은 지각적 경험으로부터 구성되며, 학습이란 그러한 구성적 과정을 통해 지식에 대한 내적 표상을 형성시켜나가는 과정으로 규정함.

ㅇ 구성주의 패러다임에서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프로 그램 개발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합의에 기초를 둔 집단의사결정과정임.

실증주의 패러다임이 일부 특권계층의 권위있는 프로그램 개발전문가 중심이었다면, 구성주의 패러다임은 실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청소년지도자와 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 중심이라고 볼 수 있음.

ㅇ 프로그램 개발은 슈왑(Schwab)의 재개념주의자의 논리에 입각하여 교육실천과 실질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의 집단적

노력과 합의를 강조하는 순환적 합의제 모형을 뜻함.

재개념주의: 1969년 슈왑이 교육과정학 분야는 죽어가고 있다고 선언하면서 재개념주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노력하였고, 그 후 파이나의 업적이 더해져 재개념주의의 개념을 확립함.

재개념주의자들은 탐구영역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음.

교육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이론과 실제의 관련성 연구

정치적 관심에서의 교육과정

심미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탐구

현상학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탐구

남녀간 사회적 불평등 문제 탐구

ㅇ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관련 있는 접근 이론은 맥락적 상호

작용 이론임. 프로그램 개발자와 학습고객 사이의 상호작용 행위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중시함.

(3) 비판주의 패러다임

ㅇ 비판주의 패러다임은 비판적 또는 해방적 패러다임이라고도 하며, 이데올로기적 사회경제적 힘들로부터 발생되는 인간의 억압의 상태를 해방시키는 데 관심을 기울임.

ㅇ 이와 같은 인간의 억압상태는 교육적 성장을 방해하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밝혀내고 극복하기 위해 교육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함. 즉, 교육이 개인의 진정한 해방을 목적으로 하므로 교육을 의식화과정으로 간주하여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임파워먼트(역량강화)를 부각시킴.

ㅇ 비판주의 패러다임은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변혁시켜 나가는 비판적 실천

행위를 강조함. 프로그램의 내용은 청소년의 반성과 행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되는 비판적 실천행위이고, 프로그램의

개발형태는 대화모형의 형태를 갖고 있음.

ㅇ 교육자와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행동하는 비판적 실천과정 을 프로그램 개발로 규정하고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경험을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는 통제력을 가지며 비판적 실천이라 는 행위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됨.

5. 활동프로그램의 편성·운영

1) 프로그램의 계획과 편성

ㅇ 이 단계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을 설계하며

목표를 구체화시킬 활동내용과 방법을 선정·조직하는 것임.

여기에는 교재, 시설, 인력 등의 실천계획을 세우는 일, 일정 계획과 평가기준을 수립하는 일, 자원할당의 선정 및 계획도 포함됨.

ㅇ 프로그램계획에 포함될 항목으로는

명칭(계획안)

목적, 취지(무엇을 위한)

주최(누가 할 것인가)

일시(언제, 얼마만큼의 시간으로 할 것인가)

장소(어디에서)

방법(어떻게)

대상(누구를 위해 행하는가)

경비(관련 예산을 수립한다)

PR(누가 어떻게 하는가를 알림)

ㅇ 프로그램의 편성 시에 특히 유의해야할 점

초점성: 전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중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

탄력성: 한번 정해진 프로그램에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이해하는 것

생활성: 실제생활에 밀접한 참가자의 구체적 요구에

근거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

적시성: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시의적절한 사회적 행사

등에 맞추어 가는 것

발전성: 참가자에게 이것으로 끝났다고 하는 완결감이

아니라 향후 어떠한 점에서 발전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

2) 프로그램의 실시 시행단계

ㅇ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편성하는 단계가

끝나면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시행단계로 넘어감.

ㅇ 프로그램 전략을 세워 프로그램의 특성과 의도를 살리고,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참가자의 자율성과 지도자의 전문성 을 잘 조화시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

ㅇ 청소년활동의 목적과 참가 청소년의 성향과 프로그램 실행 의 구체적 방법이라는 몇 가지 측면에서 각기 다른 지도기술 및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

ㅇ 프로그램 참여동기

- 목표지향형: 참여 동기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자격증의 획득이라든지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형.

- 활동지향형: 특정한 목표달성이라든가 프로그램의 내용

획득보다는 그를 통하여 얻게 되는 인간관계 의 폭과 넓이에 관심을 두는 형.

- 학습지향형: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참여하는 형.

ㅇ 프로그램의 구체적 실행방법

- 강의법

- 토의법

- 실습법

효과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방법별로 적합 한 지도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실제적인 프로 그램 실행에는 어느 한 방법으로 실행되는 예 보다는

다양한 방법을 혼용하여 실행하는 것이 대부분임.

ㅇ 실행단계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

- 역할분담 내용의 확인: 주로 운영조직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지도자 및 운영조직의 확인, 준비물의 사전체크 등 프로그램 실시 당일에 확인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임.

- 프로그램 지도안의 진행: 해당 프로그램 분야에 있어서 전

문가에 의하여 개별 프로그램을 지도하기 위하여 구안되고 편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이고도 계획적인 활동을 요구함.

- 상황변화에의 대응(적응): 프로그램 편성 시에 예상하지

못했던 기상조건의 변화, 지도자의 사정, 지도대상자의

상황변화 등과 같은 일에 직면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3) 프로그램의 평가단계

ㅇ 진행된 프로그램은 계속적인 평가를 실시해야 함.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장단점이 밝혀지므로 장점은 계속 권장 장려하되, 단점은 줄이거나 없애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되도록

수시로 수정·보완해야 함.

ㅇ 청소년지도자의 입장에 있는 사람이 행하는 평가의

착안점은

프로그램은 참가자 모두의 희망 및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는가?

참가자 모두 진심으로 참가하고 있는가?

참가자 모두가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지도, 훈련을 받고 있는가?

레크리에이션의 여러 가지 활동이 적당히 도입되고(너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참가자의 창조적인 자기 표현을 위해 충분한 기회가 부여 되고 있는가?

참가자가 서로 잘 알고 지내며, 친근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는가?

참가자의 이기적인 동기로 그룹 내에 당파(파벌조성)를 만든 다든가, 그것을 지배하려 한다는가 하는 경우는 없는가?

지도자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는가?

활동의 조직·체제, 경리, 홍보 등도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ㅇ 일반적으로 평가는 과정평가와 결과평가로 구분됨.

과 정 평 가

결 과 평 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영향평가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검토하는 것

프로그램 결과를 파악하고 측정하기 위한 것

프로그램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객관적으로 설명

프로그램의 참가자와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을 설명

기획, 재정 등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수립하고 기록

결과평가 설계의 중요한

특징은 비교집단 또는 기준요소

ㅇ 프로그램 평가가 가지는 이점

첫째, 프로그램 평가는 무엇이 수행되고 있고, 무엇이 수행

되고 있지 않은지를 찾아낼 수 있음.

둘째, 프로그램 평가는 지역사회 및 후원자들에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여줄 수 있음.

셋째,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담당자의 수행능력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함.

넷째,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서 비평적인 자체평가 수행

능력과 미래기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

다섯째,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서 학교 밖 활동분야에 대한

지식을 구축할 수 있음.

6. 청소년활동의 조직과 운영상의 유의점

ㅇ 청소년활동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몇 가지 기본적인 전략과 지도자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

첫째, 청소년활동에 있어서 최대한의 성과를 거두려면 지도자 는 항상 지도방법의 기준이 될 만한 다음과 같은 제

원리를 염두에 두어야 함.

모든 청소년들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보여라.

참여과정에 대한 책무성을 주지시켜라.

지도과정을 참가자의 관심 흥미와 연결 지어라.

참여활동으로부터 얻게되는 이익을 명백하게 제시하라.

참여과정에 있어서 적극적인 반응 및 참여를 유도

하도록 하라.

연속적인 경험을 위한 기회조건을 만들어라.

참여과정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인간적인 관점을

강조하라.

청소년으로 하여금 물리적·정서적 수준에서 직접적인

인지적인 경험을 하도록 도와라.

활동내용 및 지도절차를 청소년의 관심과 일치하도록 하라.

참여집단 내에서 응집력을 개발하여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협동적인 목표구조를 사용하라.

둘째, 프로그램의 계획·편성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특성과

정서를 감안해서 청소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형태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

셋째, 청소년활동을 진행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지도자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청소년활동 자체에 열중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

넷째, 청소년활동의 운영을 직접 담당하는 지도자는 활동

목표와 활동과제에 따라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동원

하여 지도하는 임무를 지닌 자로서 일정한 자질과

능력을 지녀야 함.

다섯째, 청소년활동이 제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는 청소년활동 을 지도자 중심에서 청소년 중심으로 바뀌는 시각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청소년활동에 적합한 지도력의 개발 및 청소년과 지도자가 만나는 활동의 장인

프로그램의 새로운 모형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

제8장 청소년지도자

청소년지도자의 인성교육·역량강화 방안

김 명 수

(한국청소년학회 이사, 행정학박사)

* 2017년 한국청소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

보완한 것임.

Ⅰ. 들어가는 말

ㅇ 지식정보사회로의 진입은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화적 환경에도 변화를 일으켜 청소년지도를 더욱 힘들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청소년지도 인력에게도 인성함양 및 전문적 기능과 역량을 요구하게 됨.

ㅇ 청소년지도의 목적은 청소년의 개인적·사회적·교육적 발달을 촉진하고 의존에서 독립적인 상태로 이행해가는 시기에 그들이 주장을 펼치고 영향력을 가지며 사회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음.

ㅇ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의 개인적·사회적·교육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지식·기술 등의 전문성과 역량을 가져야 함.

ㅇ 청소년지도를 위한 외형적 여건은 1990년대 한국청소년기본계획수립과 청소년기본법 제정으로 시설·기관 설립과 인력 양성 등에 대한 제도가 구체화되면서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볼 수 있음.

ㅇ 청소년시설 수가 늘어나면서 지도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근무환경과 근무조건은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도 역량 개발의 기회도 감소시키고 있는 형편임.

ㅇ 청소년지도자들이 자신의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근로환경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량강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청소년지도와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됨.

ㅇ 효과적인 청소년지도를 위해서는 청소년지도를 담당하는 인력의 역할이 중요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으며, 인간관계를 위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의 경우 그 전문가의 직무에 대한 태도나 마인드가 어떠하냐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사회적 기능이 큰 영향을 받게 됨(김성한, 1997).

ㅇ 이런 맥락에서 보면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그들이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를 지니고 있는가는 청소년지도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개괄적인 사항을 살펴보고, 청소년지도자의 인성교육과 역량강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함.

Ⅱ. 청소년지도자

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

ㅇ 과거에는 역할모델로서 부모, 교사의 지위와 위치가 중시되었지만 이제는 사회변화와 더불어 많은 부분이 약화되고 있으며, 어쩌면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s)로 자리 잡을 지역사회 내에서 성인과의 접촉이 거의 사라졌다고 할 수 있음.

ㅇ 사회구조가 1차 사회에서 2차 사회로 변모되고 서로의 익명성과 복잡성이 강조되면서 이러한 기능은 더욱더 줄어들고 있음.

ㅇ 역설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기에 청소년들에게 역할모델이 가장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에게 역할모델이 될 사람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의미임. 그렇다면 이러한 역할을 누군가가 인위적으로 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고 그 기능을 하는 사람들이 청소년지도자임(권일남 외, 2003).

ㅇ 그러나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명확한 개념에 관해서는 어떤 사람을 청소년지도자로 지칭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학자들이나 정책담당자, 현장전문가들의 견해는 일치하지 않음.

ㅇ 이는 사회가 변했다고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청소년의 성장과정에는 수없이 많은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청소년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고 도와주는 부모, 형제, 선배, 교사들도 넓은 의미에서 청소년지도자라 칭할 수 있음. 그러나 이들이 종사하고 있는 일과 과업, 역할,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형태와 방법, 성격과 기능 등을 고려할 때 청소년지도자로 규정에는 다소 무리가 따름.

ㅇ 특히,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에 대한 전문지식과 자질을 구비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양질의 지도력을 필요로 하는 현실적 이유와 정부의 정책 취지를 고려할 때 청소년지도자의 의미와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음.

ㅇ 따라서 청소년지도자의 개념정리를 위한 범주는 청소년지도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한정 지어 파악할 필요가 있음.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과 관련법에서의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ㅇ 함병수(1996)는 청소년활동조직이나 단체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행동을 이끌고 도와주면서 청소년 개개인의 욕구에 관심을 가지고 계획 및 절차를 구체화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집단의 유지·강화에 힘쓰는 사람로 정의하고 있음.

ㅇ 오치선(1999)은 광의적으로는 국가나 사회가 기대하는 청소년을 지도하는데 종사하는 모든 사람을 칭하고, 협의적으로는 청소년 관계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 직업인으로서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그들을 교육·지도·보호·선도하는 활동에 종사하는 사람로 정의하고 있음.

ㅇ 한상철(2001)은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 자격증소지자 혹은 다양한 청소년 관련 기관이나 단체에서 전문적으로 청소년을 교육·육성·지도·보호·선도하는 활동에 종사하는 사람이고,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에 대한 관심을 갖고 그들을 교육·육성·지도·보호·선도하는 활동에 종사하는 모든 이들을 의미하며,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음.

ㅇ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제7호에는 청소년지도자를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시설, 청소년단체 및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청소년육성에 필요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크게 3가지로 규정하고 있음.

ㅇ 이상과 같이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과 관련법에서의 규정을 종합해 보면 청소년지도자의 범주는 일반적으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성공적인 성인으로의 이행을 위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지도자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청소년지도자 중에서도 전문성 여부와 종사하는 업무의 성격 등에 따라 넓은 의미의 청소년지도자와 좁은 의미의 청소년지도자로 구분하고 있음.

2. 청소년지도자의 유형

ㅇ 청소년지도자의 유형을 일반적인 분류와 업무영역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1) 일반적 분류

청소년기본법 제3조 제7호에 명시된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및 청소년시설·청소년단체·청소년관련 기관 등에서 청소년육성에 필요한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말함. 이와 같이 법적 기준에 의한 청소년지도자를 분류해 보면 먼저 1급, 2급, 3급 청소년지도사와 1급, 2급, 3급 청소년상담사 그리고 청소년시설·청소년단체·청소년 관련 기관 종사자로서 청소년일반지도자와 청소년자원지도자로 분류하고 있음.

<그림 Ⅱ-1> 청소년지도자의 분류

*출처: 여성가족부(2019). 청소년백서

2) 기능적 분류

청소년지도자가 수행하게 되는 역할과 작용을 일컬어 청소년지도자의 기능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기능적인 분류는 청소년지도자가 수행하게 되는 과업과 역할을 중심으로 대상 청소년에 따른 주요 활동영역과 업무 등 청소년지도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실태를 중심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첫째, 청소년활동 영역의 청소년지도자는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과 사회적응을 지원하고 잠재된 역량 개발을 촉진하며 건강한 성인으로의 이행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은 주로 청소년단체나 청소년수련시설 등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지도자로 분류될 수 있음.

둘째, 청소년복지 영역의 청소년지도자는 기본적으로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되 국가와 사회의 지원이 절실한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균형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욕구를 충족케 하고 사회적 위험(장애, 빈곤, 가정불우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신적 · 신체적 · 물질적 요소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능(조영승,

1998)으로서 이들의 자립·자활·사회복지 활동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음. 이들은 주로 청소년복지기관(시설) 등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청소년복지기관(시설)은 무지개청소년센터, 청소년쉼터, 청소년자립지원관 등이 있음.

셋째, 청소년상담지도자는 큰 틀에서 청소년복지영역에 속하는 지도자이긴 하지만 상담의 기능을 고려할 때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영역으로서 청소년의 생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삶의 기술을 제공하는 한편 청소년들이 자기의 기본적인 갈등을 이해하고 또한 자신의 가치와 힘을 자각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발달 및 성장을 촉진하는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함(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이들은 다양한 영역의 기관, 즉 학교, 경찰청, 소년원, 보호관찰소, 비행예방센터, 직업지원센터 등에서 활동학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관으로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시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이 있음.

넷째, 청소년보호지도자는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유해한 물질·물건·장소·행위 등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청소년이 접촉 또는 접근하는 것을 예방 또는 보호활동을 위주로 하는 지도자를 의미함. 그러나 현실적으로서는 청소년보호활동을 전문적 또는 직업적으로 전개하고 있기보다는 청소년단체나 시설 등 청소년유해활동 감시운영기관(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으로 지정된 기관에 소속되어 활동 중인 지도자들이 부수적인 활동으로서 보호활동에 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이들은 지속적·정기적인 유해환경 감시활동을 하기 보다는 부정기적으로 활동에 임하고 있음.

다섯째, 청소년교정담당 청소년지도자들은 주로 법무부 소속 소년원, 보호관찰소 등에 소속되어 청소년들의 비행예방활동과 교정업무 등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함.

여섯째, 청소년정책·행정담당지도자는 청소년에 관련된 정책이나 행정사무에 종사하는 자로서 중앙정부의 청소년정책 전담부서에 소속되어 있거나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을 의미함. 이상과 같이 청소년지도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실태와 기능에 따른 분류를 정리하면 <그림 Ⅱ-2>와 같음.

<그림 Ⅱ-2> 청소년지도자의 기능적 분류

*출처: 여성가족부(2019). 청소년백서

3. 청소년지도자 양성현황

1) 청소년지도사 양성현황

청소년지도사 양성계획에 따라 1993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1급 청소년지도사 1,865명, 2급 청소년지도사 38,391명, 3급 청소년지도사 13,519명 등 총 53,775명의 국가공인 청소년지도사를 배출하였음. 연도별 청소년지도사 양성현황은 <표 Ⅱ-1>과 같음.

<표 Ⅱ-1> 청소년지도사 양성현황

(단위 : 명)

연도별

1급

2급

3급

합 계

1993년

-

-

311

174

156

72

467

246

713

1994년

78

18

229

146

137

100

444

264

708

1995년

81

20

193

168

137

116

411

304

715

1996년

36

11

105

88

54

47

195

146

341

1997년

98

33

167

147

110

80

375

260

635

1998년

87

33

122

158

93

100

302

291

593

1999년

77

51

266

264

96

114

439

429

868

2000년

70

43

255

330

139

151

464

524

988

2001년

58

39

421

569

221

275

700

883

1,583

2002년

78

39

310

527

189

286

577

852

1,429

2003년

47

43

269

431

194

386

510

860

1,370

2004년

28

46

232

431

180

400

440

877

1,317

2005년

14

17

160

296

217

688

391

1,001

1,392

2006년

43

47

314

478

148

218

505

743

1,248

2007년

11

20

247

448

37

146

295

614

909

2008년

7

20

342

1,744

114

517

463

2,281

2,744

2009년

11

23

359

1,806

186

546

556

2,375

2,931

2010년

20

33

437

1,937

177

691

634

2,661

3,295

2011년

30

52

436

1,826

140

567

606

2,445

3,051

2012년

3

5

454

2,048

163

589

620

2,642

3,262

2013년

13

28

697

2,344

225

530

935

2,902

3,837

2014년

-

-

12

50

13

31

25

81

106

2015년

9

19

837

2,438

216

543

1,062

3,000

4,062

2016년

39

37

906

2,440

192

482

1,137

2,959

4,096

2017년

19

32

831

2,201

182

516

1,032

2,749

3,781

2018년

32

32

843

2,181

217

567

1,092

2,780

3,872

2019년

46

89

790

2,176

278

550

1,114

2,815

3,929

누 계

1,035

830

10,545

27,846

4,211

9,308

15,791

37,984

53,775

*출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2019).

2) 청소년상담사 양성 현황

청소년상담사 양성계획에 2003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청소년상담사 양성 현황은 청소년상담사 1급 706명, 2급 7,558 명, 3급 14,637명으로 총 22,901명이며, 연도별 청소년상담사

양성 현황은 <표 Ⅱ-2>와 같음.

<표Ⅱ-2>청소년상담사 양성 현황

(단위 : 명)

연도

1급

2급

3급

2003년

8

99

22

271

37

247

684

2004년

4

17

6

84

11

92

214

2005년

5

16

21

150

19

132

343

2006년

6

24

17

154

10

196

407

2007년

0

1

11

166

17

279

474

2008년

6

41

23

171

39

411

691

2009년

3

12

20

219

56

461

771

2010년

1

13

12

128

21

311

486

2011년

1

18

16

282

27

391

735

2012년

3

26

31

304

65

863

1,292

2013년

3

9

17

208

94

896

1,227

2014년

3

12

39

370

142

1,416

1,982

2015년

9

43

48

516

135

1,396

2,147

2016년

5

34

74

756

239

1,902

3,010

2017년

10

78

98

944

193

1,401

2,724

2018년

15

94

84

703

193

1,322

2,411

2019년

17

70

155

1,438

223

1,400

3,303

99

607

694

6,864

1,521

13,116

22,901

*출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2019).

Ⅲ. 청소년지도자의 인성교육

1. 인성의 의미

ㅇ 인성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 인성이 인간의 성격을 말하는 것인지 또는 성격 그 이상의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음.

ㅇ 인성을 성격으로 볼 것인지 품격으로 볼 것인지를 규정하는 것이 쉽지 않음. 성격으로 본다면 심리학적 접근이, 품격으로 본다면 철학적 접근이 인성을 규정하는데 더 적절할 것임.

ㅇ 인성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용어들에는 인격, 품격, 품성, 성격, 인간성, 인품, 성품, 심성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각각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

ㅇ 일반적으로 교육학에서는 인성, 심리학에서는 성격, 철학에서는 인격으로 구분하기도 함.

ㅇ 교육학 용어사전(1994)에는 인성이란 인간의 지속적 동기의 경향이나 행동 성향의 조직으로서, 인지적 사고나 가치 그리고 신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규정함.

ㅇ 남궁달화(2013)는 인성이란 글자 그대로 사람의 성품이라고 함. 성품은 사람의 성질과 품격임. 성질은 마음의 바탕이고 품격은 사람의 됨됨이를 말함. 인성이란 곧 한 사람의 마음의 바탕과 사람됨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정의함.

ㅇ 박영태(1999)는 인성이란 한 개인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과의 특정한 형태의 상호작용으로 표출되는 내면적 특성으로, 상호작용 기술의 집합이라 볼 수 있다고 함. 즉, 인성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 사건, 사물, 동물 등 다양한 대상과의 상호작용 기술이라 하여 독특한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음.

ㅇ 손봉호(2010)는 인성이란 것이 인간의 본성을 뜻한다면 인성교육이란 표현은 모순을 포함하고 있음. 본성은 타고난 것이지 교육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임. 나아가 과연 인간의 본성(human nature)이란 것이 있는가에 대해서 회의하는 철학자들이 없지 않다고 전제하면서 여기서 말하는 인성인간의 본성이 아니라 인간이면 마땅히 가져야 하는 모습혹은 바람직한 인간의 성격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함.

ㅇ 최근에 제정·공포된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된 인성의 개념을 유추하여 제시하면 인성이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인성교육으로 규정하고 있음(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제1호, 2015).

2. 인성의 구성요소

ㅇ 인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규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인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님.

ㅇ 어떤 행동 특성 또는 덕목을 인성의 구성요소로 볼 것인가 하는 것도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음.

ㅇ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는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 중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7개 범주로 구분하고 각 범주에 3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한 인성의 구성요소는 <표 Ⅲ-1> 과 같음.

<표 Ⅲ-1> 인성의 구성요소

공정성

도덕성

리더십

배려/존중

신뢰성

자신감

책임감

정의

판단력

갈등관리

협동(다문화)

진정성

실행력

인내심

준법

감수성

문제해결

관용

일관성

도전정신

사명감

규칙준수

예민성

지도력

자존감

공동체의식

변화선도

주인의식

공정성(equity) :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합리적인

가치를 선택하는 것

도덕성(ethicality) : 인간미, 정직, 신뢰, 무결점, 원칙

준수 등

리더십(leadership) : 집단의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배려와 존중(caring and respect) : 다문화 및 다학문의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상충되는 의견과 합의에 이르게

하는 능력

신뢰성(trustworthiness) : 무엇에 대해 믿을 만한 바탕

이나 자질

자신감(confidence) : 어떤 일을 스스로의 능력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믿는 마음

책임감(responsibility) : 자신의 능력을 조절하여 하고자하는 임무를 완성하고 나아가 자신의 역할을 다해 세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며, 책임의식, 자율, 성실성, 사명감 등을 포함

ㅇ 인성교육진흥법(2015)에서는 핵심 가치·덕목이란 인성교육의 목표가 되는 것으로 예(禮), 효(孝),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의 마음가짐이나 사람됨과 관련되는 핵심적인 가치 또는 덕목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핵심 역량이란 핵심가치·덕목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실천 또는 실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공감·소통하는 의사소통능력이나 갈등해결능력 등이 통합된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3. 인성교육의 개념

ㅇ 인성교육이 인성을 교육하는 것인지 인성을 교육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인지 그 의미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필요함. 즉, 인성교육에서 내용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인지 방법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인지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야 할 것임.

인성의 교육은 내용적 측면이고, 인성교육은 방법적 측면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즉, 인성의 교육은 인성에 초점이 있고 인성교육은 교육에 초점이 있다는 것과 유사함.

ㅇ 인성을 교육하는 것은 인성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함양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교육이고, 인성을 교육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은 방법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임. 따라서 여기에서는 인성교육이라는 방법적 측면보다 인성의 교육이라는 내용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자 함.

ㅇ 남궁달화(2013)는 인성교육을 마음의 바탕을 교육하고 인간이 되는 것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제시함. 마음의 바탕을 교육한다는 것은 그것의 구성요소인 지(知), 정(情), 의(意)를 교육하는 것임.

ㅇ 인간이 되는 것을 교육한다는 것은 그것의 구성요소인 가치를 추구하고 실현하는 것을 교육하는 것임. 따라서 인성교육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음.

첫째, 인성교육이란 마음의 발달을 위한 정서교육을 하는 것.

둘째, 인성교육이란 자아실현을 위한 가치교육을 하는 것.

셋째, 인성교육이란 더불어 살기 위한 도덕교육을 하는 것.

ㅇ 김영태(1999)는 인성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 사건, 사물, 동물 등 다양한 대상과의 상호작용 기술로서, 이 상호작용 기술을 내면화시켜 주는 것이 인성교육이라 함.

ㅇ 지희진(2013)은 인성교육이란 도덕성, 사회성, 정서를 포함한 바람직한 인간으로서의 성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라 하였음. 즉, 인성교육은 바람직한 인간이 되도록 하는 교육 또는 올바른 사람 됨됨이를 위한 교육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4. 지식교육과 대조되는 인성교육

ㅇ 사람의 생존과 안정을 위협하는 도덕성 결핍이 어떤 원인들에 의한 것인가를 찾아 본 결과 그 가장 중요한 것 가운데 하나가 잘못된 교육이란 사실에 사회적 의견일치가 이루어지고 있음.

ㅇ 세계에서 교육열이 가장 높고, 대학진학률도 가장 높은데도 교육이 잘못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생죽음을 당하고 공직자들이 큰 액수의 검은 돈을 횡령하니 역설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음.

ㅇ 경제규모는 세계에서 11,12위를 다투는데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투명성 지수는 세계에서 39위로 아프리카의 보츠와나보다 뒤져있는 것도 균형 잡힌 사회의 모습이라 할 수 없음.

ㅇ 교육열도 높고 지식과 기술이 많은 사람들도 많은데, 그것이 우리의 생존과 행복을 보장해 주기는커녕 오히려 위협하는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에 인성교육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임.

ㅇ 인성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은 지금 그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음. 그렇다면 지금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이 어떤 것이기에 여기서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가? 그것은 말할 것도 없이 지식위주의 교육이고, 지식 위주 교육으로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임.

ㅇ 인성교육은 적어도 지식교육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특징 때문에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음. 하나는 지식의 도구적 측면에만 관심을 집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금의 윤리교육이 주지주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임.

ㅇ 고대 사회에서도 교육은 이루어졌고, 그것은 크게 나누어서 두 가지 종류임. 신을 두려워하라”, “자연을 거스리지 말아”,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고 손님 대접을 잘하라등 신, 자연, 다른 사람과 조화롭게 살기 위한 행동규범에 대한 것과 사냥하는 법, 농사짓는 법, 길쌈하는 법 등 기술에 대한 교육이었음.

ㅇ 전자는 올바른 몸과 마음가짐을 가르친 인간교육이었고, 후자는 자연을 이용하여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가르친 기술교육이었음.

ㅇ 고대 사회에서는 양자가 다 넓은 의미로의 실천교육이었으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때 기술교육에는 아예 교육이란 지위를 부여하지 않았거나 인간교육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함.

ㅇ 공자(孔子)는 예의를 지키고 올바로 행동한 다음에 여력(力)이 있으면 글공부를 하라 하였고, 자신을 올바로 관리하고 다른 사람에게 예의 바르게 행동하면 비록 그가 공부하지 않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를 가리켜 공부한 사람이라 할 것이다 라고 하였음.

ㅇ 그런 인간교육을 고대 그리스인들은 PAIDEIA(교육 혹은 문화)라 불렀고 독일어로는 Bildung이라 함.

ㅇ 훨씬 후에 시작된 이론적인 교육도 궁극적으로는 실천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음. 진리 그 자체, 존재 그 자체를 아는 것은 구체적인 삶의 이해와는 무관한 것 같이 보이나, 궁극적으로는 역시 사실을 바로 알아서 올바로 생각하고 적절하게 행동하고 살기 위해서였다고 할 수 있음.

ㅇ 신의 뜻을 알아야 신을 바로 섬길 수 있고, 자연의 법칙을 알아야 그에 순응할 수 있는 것임.

ㅇ 그러나 문화가 세속화됨으로 신의 위치가 무의미해지며 자연의 신비로운 힘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그 대신 인간이 점점 우주의 주인으로 등장하게 되었음.

ㅇ 그런 변화도 지식의 발전으로 가능해졌지만, 그것은 동시에 지식의 성격 자체를 변질시켰음.

ㅇ 지식은 이제 신과 자연에 순응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연과 사회의 법칙을 알아 그것을 지배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꾸어진 것임.

ㅇ 베이컨의 순종하지 않고는 지배할 수 없다”(Non nisi parendo vincitur)는 주장이나 꽁트의 예측하기 위한 지식(Savoir, pour prévoir)이란 생각은 그것을 잘 대변함.

ㅇ 즉, 자연의 법칙을 아는 것은 섬기고 순응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배하고 즐기기위한 것이고, 지식교육도 궁극적으로는 그런 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임.

ㅇ 인간이 육체적으로는 더 유리한 능력을 가진 짐승들을 누르고 만물의 영장이 된 것은 도구적 지식과 기술 때문임.

ㅇ 지식과 기술의 위치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더 중요해져서, 노동이나 자원보다는 정보가 더 중요하게 된 정보화시대에는 거의 절대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음.

ㅇ 이제는 한 나라의 힘을 결정하는 것이 인구, 영토, 천연자원이 아니라 우수한 정보를 많이 창조, 확보,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결정한다고 함. 모든 나라가 모든 다른 나라와 경쟁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오늘날 지식교육이 강조되는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님.

ㅇ 우리나라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룩했고, 국제사회에서 어느 정도 인정받게 된 것도 그 동안 우리 국민이 더 신사적이고 더 정의로운 사람들이 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엄청나게 빨리 성장시킨 경제력 때문임.

ㅇ 그런 경제적 성장은 자타가 공인하듯 우리 국민의 높은 교육열 때문이요, 교육열이 그렇게 높아진 것도 그것이 사람을 고상한 인격자로, 이웃에게 예의 바르고 도덕적인 시민으로 만들기보다는 돈, 권력, 명예를 가져다 줄 수 있었기 때문임.

ㅇ 적어도 우리 사회가 이만큼이라도 성장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 아무도 그 동안 지식 위주 교육을 부정적으로만 비판하지 못할 것임.

ㅇ 우리가 채택하게 된 자본주의 체제는 이런 경향을 더욱 강화하였음. 모두가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지식과 기술을 열심히 익히고 개발하면 그것이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되리라고 막연하게나마 믿어 왔음.

ㅇ 사회주의의 몰락은 그런 믿음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음. 이론적으로 보이지 않는 손을 19세기에서처럼 인정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행위나 정부의 정책은 아직도 무의식적으로 그런 것을 전제하고 있음.

ㅇ 그런데 최근 이런 지식 위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지는 것은 지식교육의 한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하기 때문임.

ㅇ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 반드시 이웃과 사회전체를 위하여 긍정적인 공헌만 하는 것이 아님이 드러났고, 물리적 힘이 항상 인간에게 유익한 결과만 가져오지 않음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임. ㅇ 경제와 과학기술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발전했지만 행복지수는 155개국 가운데 56번째로 과거보다 훨씬 더 불행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음. 지식과 기술이 축적되고 발전한다 해서 사람이 사람다운 대접을 받고 사람들이 행복해지는 것이 아님이 분명해진 것임.

ㅇ 지식과 기술만 강조하다가는 그것들이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던 결과와는 정반대되는 결과가 일어난다는 것을 경험하고, 좋은 지식, 훌륭한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마음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 것임.

5. 인성교육의 필요성

ㅇ 최근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사회 이슈와 문제들이 인성의 중요성을 논의하게 되었고, 각종 사건과 사고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될 때마다 인성교육의 부재를 질타하고 인성교육의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

ㅇ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음.

ㅇ 인성교육이 우리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강조되기 시작한 것은 몇 가지의 패륜 사건, 연쇄 살인 사건, 부실공사로 인한 대형사고 등이 일어나면서부터임. 이런 사건·사고들은 지식이나 기술의 부족에 의한 것이 아니라 도덕성 부재나 도덕성 결핍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ㅇ 주지주의 교육과 과도한 입시경쟁, 불평등한 사회구조 속에서 올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된 것이 현실이라고 볼 수 있음.

ㅇ 성장의 기회를 박탈당한 미숙한 성인들이 많은 혼란과 방황을 경험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고, 그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첫째,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심각한 사회적 병리 현상에 대한 대처와 예방으로서 인성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둘째, 약화된 정서조절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낮은 자아

존중감과 같은 개인적 역량을 강화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서 인성교육이 필요함.

셋째, 미래사회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협력, 공감, 사회 성, 의사소통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인성교육 이 필요함.

넷째, 국제화 시대에 자(自)문화뿐만 아니라 타(他)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인성교육이 필 요함.

다섯째, 지식중심 사회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이 바탕을 이루게 되는데, 이것을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라 하고, 사회 적 자본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신뢰를 형성하도록 인성교육 이 필요함(도승이, 2013).

6. 인성교육의 방향

Licona, SchapsLewis(2003)는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11가지 원리(CEPs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을 제시하였다(안범희, 2005 재인용).

좋은 인성의 기초가 되는 핵심적 윤리 가치(배려, 정직, 책임감 등 보편적 인성 덕목)를 증진시킴.

인성을 사고, 감정, 행동을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종합적

으로 정의함.

인성발달은 도모함에 있어서 종합적이고 계획적이며, 자발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동원해야 함. 종합적인 접근은 교과학습은 물론 특별활동, 잠재적 교육과정 활동까지도 망라하는 것이어야 함.

상호 배려적인 학교 분위기를 창출해야 함.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함. 행함으로써 배우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

모든 학습자가 그들의 인성을 발전시키고 성취를 할 수 있는 의미 있고 도전적인 학문적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함.

학생들이 자기 동기화(self-motivation)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함. 벌을 피하거나 보상을 바라고 하는 행동이 아니라 타인의 권리와 요구를 존중하여 자발적으로 규칙을 지키거나 행동하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

교수, 학교 관리자, 인성교육 전문가 등은 인성교육 책임자로서 학교를 학습하는 사회, 도덕적 사회로 만드는 데 솔선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과 같은 핵심적 가치를 보이는데 모범이 되어야 함.

인성교육 담당자는 도덕적 리더십으로 무장해야 하며,

인성교육을 장기간 지원하는 데 앞장서야 함.

가족과 지역사회 구성원을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동반자로 참여시켜야 함.

학교와 학생의 인성교육 성과에 따른 전반적 학교 분위기와 지역사회 반응, 인성교육 담당자들의 성과, 학생들의 인성교육 성과를 평가해야 함.

ㅇ 또한,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현재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 상황에서도 유효한 인성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현재 상황과 미래 상황을 동시에 고려하여 인성교육에 대한 내용과 방법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성교육의 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강선보 외, 2008).

피상적이고 단편적으로 덕을 습득하는 데 급급했던 경향에서 벗어나 인간실존의 문제를 다룰 수 있어야 함. 즉, 나는 어떤 인간이 되어야 하는가? 어떤 삶이 가치가 있는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는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을 다루어야 함.

현재 상황과 미래 상황을 고려하여 유동적인 인성의 내용을 다루어야 함. 인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적인 것으로 보아야 함.

성인이 되는 것과 같은 완벽한 인간의 관점에서 이해될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인간의 본연의 모습을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실천인으로서 이해되어야 함. 즉,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살아 숨쉬고, 공동체 속에서 더불어 살고, 앎과 실천이 융화된 그런 존재가 되도록 해야 함.

남성의 경험만이 아니라 여성의 경험이 모두 포괄된 인성의 의미가 고려되어야 함. 남성의 경험이든 여성의 경험이든 인간다운 품성으로서 우리가 갖추어야 할 인성을 다각적이고 폭넓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음.

자기중심성과 인간중심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함. 인간에 대한 존중을 포함하여 전 우주의 다양한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함. 또한 인성을 개인 내부의 문제로만 보는 자기중심성으로부터도 벗어나야 함.

ㅇ 이러한 원리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성 구성요소를 고려하면서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청소년지도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성교육의 방향을 고려하여야 할 것임.

강선보 등(2008)은 인간실존과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인성 요소를 발달시키는 방법을 7가지로 제시하고 있음.

첫째, 관계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자기 자신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우주적 존재와의 관계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함. 먼저,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통해 내가 누구 인지, 나는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나는 타인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고 있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함.

또한, 자연과의 관계 역시 재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자연을 관찰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자연을 공 감하고 느끼며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함.

둘째, 도덕적 통합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인성교육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 도덕성 함양임. 도덕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덕목과 가치를 포함하고, 그것들을 활동적이고 체험 적인 방식으로 길러주는 것이 필요함. 청소년들에게 도덕적 지식은 물론이고, 다양한 덕목을 통해서 자신과 타인을 이 해하고 공감하면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함.

셋째, 전일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전일성이란 인간의 측면 들, 지성, 감성, 신체, 상상력, 영성, 창의성, 도덕성, 심미성 등을 골고루 조화롭게 함양한 전인을 양성하고, 마땅히 존 중해야 하는 인격적인 존재, 다른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전 체적인 존재가 되도록 하는 것임. 인지, 정서, 행동이 통합 적으로 길러지도록 실천과 활동을 하는 과정 속에서 타인과 서로 상호관계를 맺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느끼며, 자 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고, 이를 행동으로 나타 낼 수 있도록 함.

넷째, 영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인간은 영성적 존재이기

때문에 이것을 발달시킬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함. 영성은 자기 내면을 탐구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외부적

요인이 아니라 자기성찰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자기 성찰의 방법인 명상을 통해서 자기 내면을 탐구하고, 자기 의 본래적 마음을 알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기의 내적 변화 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함.

다섯째, 생명성을 촉진하는 방법. 미래 인성교육에서는 인간, 자연, 우주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생명으로 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인식하도록 해야 함. 공생의 원리를 인식하도록 하 기 위해서 나의 생명이 귀하듯 다른 생명체의 생명도 존귀 함을 느끼고 인식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생명체들이 서로 의존하며 관계를 맺으며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알게 하는 교육이 필요함. 자연체험학습뿐만 아니라 교과학습에 서도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등과 같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여섯째,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창의적 사고는 다양한 가능성을 보는 능력, 상황을 다른 시각에서 보는 능력, 가능 한 결과를 상상하는 능력으로서, 새롭고 다른 것, 뭔가 의미 있는 것을 창조하는 능력임.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수업에서 다양한 질문과 호기심을 자극해야 함.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터무니없는 질문이라도 허용하는 분위기가 필요함.

일곱째, 민주시민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가정과 학교가 민주적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하여, 가정이나 교실을 하나의 민주적 공동체, 배려적인 공동체로 만들어야 함. 정의, 관용, 정직, 신뢰, 감사 등과 같은 덕목들을 가정 이나 교실 속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Ⅳ. 청소년지도자의 역량강화 방안

1. 역량의 개념

ㅇ 오늘날 기업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 분야까지 사회 전 영역에서 ʻ역량강화ʼ 또는 ʻ역량증ʼ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음.

ㅇ 그만큼 역량이란 용어가 대중화되었음을 의미함. 일반적으로 역량은 ʻ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적(잠재적)인 특성ʼ으로 McClelland(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음.

McClelland는 전통적인 학업성취도가 직무성과나 삶의 성공을 예측하지 못하고, 또한 인종소수자, 여성 등에서는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역량의 필요성을 주장함.

McClelland의 정의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ʻ평균적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ʼ에 중점을 둠.

ㅇ 역량의 사전적 의미로는 ʻ적절하거나 뛰어난 자격을 갖춘 상태나 질ʼ, 또는 ʻ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나 그 능력의 정도ʼ의미함.

ㅇ 역량은 대체적으로 개인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직무수행능력, 직업능력, 역량, 기술 등으로 표현되기도 함(Dubois, 1993; 박한식, 2008 재인용).

ㅇ 가장 보편적으로 직무와 관련된 일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지칭하는 역량에 대한 용어는 Competence, 혹은 Competency이며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접근방법에 따라 두 단어가 구별되어 사용되기도 함(박천오김상묵, 2004).

ㅇ 역량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그리고 역량에 대한 접근방식에 따라 다르고, 아래 <표 Ⅳ-1>에서 볼 수 있듯이 통일된 개념 정의는 없는 것이 현실임. 즉, 역량 개념에 대한 공통적인 정의가 부족하고, 각 조직마다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명명한다든지, 유사한 이름의 역량을 상이한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Brundrett, 2000)는 점이 현재 역량 논의의 쟁점이라고 볼 수 있음.

<표 Ⅳ-1> 역량의 개념 정의

유 형

적 용 취 지

Klemp(1980)

직무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적 특성

Boyatzis

(1982)

직무에서 효과적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

McLagan

(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관련된 개인의 능력 특성

Bartram

(1990)

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직업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적인 강제상황에서 적응할 수 있는 능력

Fletche

r(1991)

규정된 기준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

개인의 내적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면서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및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능력

Dubois

(1993)

삶에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 Spencer

(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중에서 준거에 따르는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내적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영향을 주고, 업무성과와 관련성이 높고, 조직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준에 대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

송영수(2000)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 이하 수준의 사람들과 차별되는 공통된 특성

김현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자료: 오현석(2007), 조대연·김재현(2007)의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

ㅇ 이러한 다양한 정의들 중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역량이 어떠한 ʻ능력ʼ을 의미한다는 것임. 즉, 역량은 ʻ능력ʼ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밀접하다고 볼 수 있음.

ㅇ 김현주·김양분·박현정·류한구(2004)는 ʻ학력ʼʻ역량ʼ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ʻ학력ʼ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ʻ무엇을 배웠는가ʼ에 근접한 개념이라면, ʻ역량ʼ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지는 지적 능력 이상의 복합적인 능력으로 궁극적인 ʻ행동능력ʼ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의함.

ㅇ 역량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개인의 능력, 특성과 관련된 개념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며, 조직의 성과나 개인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개념임에는 틀림이 없음.

ㅇ 한편, 역량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 따라서 그 개념에 대한 접근이 달라짐.

-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역량은 조직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기업전략 관점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개념으로

조직이론과 경영전략에 바탕을 둠.

- 미시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도록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는 조직 및 산업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있음(임우섭·김용주, 2007).

2. 역량의 특성

ㅇ 역량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함께 여러 학자들은 역량의 특성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SpencerSpencer(1993)가 제시한 세 가지 특성이 있음.

ㅇ 역량의 특성을 내적특성(underlying characteristics), 인과관계특성(casual relationship), 준거참조(criterion reference)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첫째, 역량의 내적특성(underlying characteristics). 이러한 내적특성은 역량이란 개인이 보유한 내적인 특성이므로 겉 으로 보이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개인의 내면에 잠재되 어 있는 능력까지도 포함한다는 것임. 즉, 잠재되어 있지만 필요한 때에는 반드시 발휘되는 것이 곧 역량으로 비교적 장 시간 지속되는 행동이나 사고방식을 의미함. 이러한 내적특성 에는 동기(motive), 특질(traits), 자기개념(self-concept), 식(knowledge), 기술(skill)의 다섯 가지가 포함됨.

동기: 개인이 일관되게 마음에 품고 있거나 원하는 어떤 것으로 행동의 원인이 되는 것이며, 특정한 행위나 목표를 향해 행동을 촉발시키고 방향을 제시하며 선택하도록 작용하는 것임.

특질: 신체적인 특성, 상황 또는 정보에 대해 일관되게 반응하는 개인적 기질을 말하는데, 크게 성격적인 측면과 능력적인 측면으로 구분됨.

자기개념: 자기개념에는 태도, 가치관 등이 포함된다. 주어진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말함.

지식: 지식이란 정보의 집합체, 즉 경험이나 연구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 사실추론, 결론, 개념, 모델, 이론 등을 말한다. 지식은 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사고의 형태도 조직화된 것이 특징임.

기술: 기술이란 특정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신적 또는 인지적 기술은 분석적 사고(지식과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데이터 및 계획을 조직화하는 능력)와 개념적 사고(복잡한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를 포함함.

둘째, 인과관계(casual relationship) 특성. 인과관계는 동기, 특질, 자기개념을 통해서 기술적인 행동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적 행동은 업무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역량에 는 항상 의도가 포함되는데, 이는 특정 결과를 지향하는 행동 을 유발하는 동기나 특질임.

셋째, 준거참조(criterion reference) 특성. 준거참조는 역량 정 의의 핵심적인 요소로 어떤 특성이 현실적으로 의미 있는

어떤 것을 예측하지 못하면 그것은 역량이 아니라는 것임. 즉, ʻ준거에 따른다.ʼ는 말은 곧 역량이 어떤 사람의 우수성 이나 무능력을 구체적인 준거나 기준에 의해 예측한다는 뜻 임. 또한, 역량을 논할 때 중요한 다른 하나는 역량에는 예측 하고자 하는 직무 수행의 준거에 따라 한계역량(threshold competencies)차이역량(differentiating competencies) 로 구분된다는 것임(Spencer & Spencer, 1993).

한계역량은 직무수행자가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직무 능력으 로서 우수수행자와 평균수행자 모두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 는 역량임. 즉, 직무나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이 최소한 갖추 어야 할 필수능력이 곧 한계역량임.

차이역량은 우수수행자와 평균수행자의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량의 의미는 우수수행자와 평균수행자를 구별 지어주는 이러한 차이역량을 의미하는 것 임.

3. 역량의 유형

ㅇ 역량의 유형은 조직중심의 관점에서 역량을 파악하려는

시도와 함께 발전함.

ㅇ 조직핵심역량(organizational core competency)이라는 관점에서 개인 수준의 역량과 조직 수준의 역량을 연결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Hamel & Prahalad, 1990).

Hamel & Prahalad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의 성공은 오직 혁신적인 창의성, 전문지식 등의 습득과 활용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성공 요인들의 조합을 조직의 역량이라고 함.

Sparrow(1996)는 역량을 조직역량, 관리역량, 그리고 개인역량으로 구분하여 정의를 내렸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표 Ⅳ-2> 역량의 유형

역량유형

내 용

조직역량

모든 조직 구성원들에게 전파되어야 하고, 고객에게 초점을 맞추며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한다. 조직의 핵심적인 역량, 가치, 문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관리역량

조직 내에서 직책 및 직위와 관련하여 조직의 임직원들이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역량이다.

개인역량

조직구성원 각자가 개별 직무를 수행하면서 높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이다. 구성원의 경력단계에서 개인에게 적합하도록 구체적인 역량을 필요로 하는 직무 역할을 설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자료: Sparrow(1996).

Sparrow의 역량 유형을 중심으로 김현주(2003)는 국내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에서 적용되는 일반적 역량의 유형을 공통(핵심)역량, 관리적리더십프로세스역량, 개인직무전문역량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음.

<표 Ⅳ-3> 인적자원관리에서 적용되는 일반적 역량의 유형

유형

적 용 취 지

적용범위

도 출 근 거

공통(핵심)역량

전 직원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

전체직원

조직의 미션, 가치, 전략

관리적리더십프로세스 역량

개인의 역량이 조직차원에서 원활히 수렴하고 변화하도록 하는 역량

관리자

업무수행요건

개인직무전문역량

구성원 각자가 업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

담당자

개인업무 내역 및 성과요인

* 자료: 김현주(2003).

ㅇ 김현주(2003)는 공통(핵심)역량을 전 직원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고 하였고, 관리적리더십프로세스역량은 개인의 역량이 조직차원에서 원활히 수렴하고 변화하도록 하는 역량이라고 하였음. 그리고 개인직무전문역량은 구성원 각자가 업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으로 정의하였음. 김현주가 제시한 역량 유형은 위에서 살펴본 Sparrow의 역량 유형과 큰 차이가 없음을 발견할 수 있음. 단, Sparrow는 역량의 유형을 조직역량, 관리역량, 개인역량으로 명명하였고, 김현주는 공통(핵심)역량, 관리적리더십프로세스역량, 개인직무전문역량으로 명명하였을 뿐임.

Katz(1955)는 리더의 역량을 전문적 기술(technical skills), 인간관계기술(human skills), 개념적 기술(conceptual skills)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음.

- 전문적 기술(technical skills)은 전문화 된 지식, 해당

영역에서의 분석적 능력, 도구와 기술사용에서의 능숙함 을 의미함.

- 인간관계기술)(human skilsl)은 대인관계 능력으로 집단의 성원으로서 효과적으로 일하는 동시에, 조직 내에서의

협력적 노력을 창출하는 관리자의 능력을 의미함. 전문적 기술이 주로 ʻ사물(과정이나 물리적 실체)ʼ과 함께 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면, 인간관계기술은 주로 사람과 함께 일 하는 것과 관련됨.

- 개념적 기술(conceptual skills)은 조직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상황판단 능력을 의미함. 이러한 기술들은 조직 의 다양한 기능들이 얼마나 상호의존적인지, 어느 한 부분 의 변화가 얼마만큼 다른 모든 부분에 대한 변화를 야기 하는지, 개별 조직과 산업지역사회국가 전체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권력관계는 어떠한지 인식하는 것을 의미 함. 이와 같은 관계를 인식하고 어떤 상황에서든지 중요한 요소들을 감지함으로써, 전체 조직의 총체적인 복리를 증 진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은 관리자의 능력이라 하 였음. 이상의 세 가지 기술은 모든 관리수준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지만, 각각의 상대적 중요성은 다양한 책임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Goleman(1998)는 역량을 순수 전문기술, 인지능력, 감정지능을 나타내는 능력 등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그는 감정지능이 다른 것에 비해 두 배나 더 중요하다고 설명하면서, 감성지능 능력을 자기인식, 자율규제, 동기유발, 감정이입, 그리고 사회적 기능 등 5개의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Robbins(2001)은 건강관리 지도자 양성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도자의 역량을 전문적 기술(technical skills), 산업지식(industry knowledge), 석적·개념적 추론(analytic and conceptual reasoning), 대인 관계적·감정적 지능(interpersonal and emotional intelligence)네 영역으로 분류하고, 총 52개의 역량을 도출한 바 있음.

4. 역량강화 방안

ㅇ 역량강화는 개인 수준에서는 자존감, 자기효능감, 내면적 조절과 관련이 있는 반면, 집단 수준에서는 상호 협력, 집단 정체성, 사회행동의 발달과 관련되며,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잠재력 성장, 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정책과 제도의 변화와 연관이 있음(최혜지 외, 2014).

ㅇ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시설 지도인력의 역량 강화 및 복지 개선 방안 연구’(맹영임, 2010)에 따르면 청소년수련시설 지도자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역량을 강화위한 방안을 다음 10가지로 제시하고 있음.

첫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확대가 필요함.

청소년지도자의 직업 만족 수준은 근로 환경, 직업의 안정성, 복지후생, 임금 영역에서 평균 이하인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청소년수련시설 자체만의 노력으로는 임금현실화와 근로환경 개선이 쉽지 않고 이는 다시 청소년활동지도 수준의 저하로 이어 질 것이므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 확대가 필요함.

영국의 경우 청소년지도자의 임금이 국가에서 보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국 전역에서 청소년지도자의 최저 임금수준이 보장되고, 생활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비싼 런던이나 외곽 소외지역은 추가수당을 지급함으로써 청소년지도자의 사기진작을 도모하고 있는 것은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가 열악하고 안정적이지 못한 우리 현실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둘째, 표준임금체계 마련 및 공동적용이 필요함.

청소년지도자의 월평균 급여는 수련시설종류별, 성별, 설립주체별, 운영 주체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격별, 경력별 청소년지도자 최저임금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한 표준임금체계(청소년지도자국가표준 임금기준 표)를 마련하여 지방자치단체 조례 및 청소년수련시설 내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공동적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임금 현실화와 보수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필요함. 201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청소년수련시설 임금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2020년부터 일부 청소년기관과 시설에서 임금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있음.

영국의 국가직업표준표와 국가청소년기구에서 제시하는 청소년지도자 임금 수준 및 조건에 따르면 청소년지도자의 임금은 경력과 자격증 소지 유무에 따라서 다양함. 대학 수준의 학력을 가진 청소년지도자는 연간 18,807파운드(한화로 약 3천 6백~7백만원), 경력이 있는 청소년지도자는 22,200파운드(한화로 4천 4백만원)에서 35,000파운드 (7천만원)정도를 받음. 매니저급 이상이 되는 청소년지도자의 경우는 일반 청소년지도자보다 급여가 더 높게 책정되는데 35,000파운드에서 60,000(한화 1억 2천만 원)파운드에 이르기도 함.

또 청소년지도자를 위한 국가적인 자격기준을 제시하고 임금 협상을 하고 청소년지도자들을 대변하는 기구로 노조의 역할도 하고 있는 JNC(The Joint Negotiating Committeefor Youth and Community Workers: 청소년지도사 및 사회복지사 연합교섭위원회)는 해마다 임금협상을 통하여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청소년지도자의 임금이 책정되도록 하고 있으며, 지역이나 소속된 단체에 상관없이 국가의 보조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임금이 보장되고 있음.

셋째, 직무표준화 작업이 필요함.

청소년수련시설 지도자들의 평균 근로시간은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하고 있음. 초과 근무의 주요 원인은 인력 부족에서도 기인하지만 직무가 명확하지 않아 고유 업무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련 업무를 추가로 하는 데서도 기인함. 수련시설종류별, 직급별 직무표준화 작업은 직무 중심의 인력관리를 통한 청소년지도자의 전문성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음. 청소년지도자의 직무 기준은 청소년지도자의 직무 성격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청소년지도자가 수행하여야 할 직무 내용을 구체화함으로써 양성과정 및 훈련과정은 물론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면서도 계속적으로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향상시켜 나가는 데 필요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임.

미국의 경우에도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 분야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 직무능력(Youth Development Worker Competencies)을 정하고 이와 상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청소년지도 관련 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직무기준 및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관심과 구체화는 우리나라 청소년지도자들의 전문성과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직무기준의 구체화라는 보다 근본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하게 함.

넷째, 청소년지도사 배치기준의 재조정 및 제도화가 필요함.

청소년수련시설의 정규직원 수는 평균 14.2명이지만 적정 인원은 17.8 명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력 충원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음. 청소년지도자를 위한 복지정책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과다한 업무를 덜어주는 일임. 이를 위해서는 인력을 업무량과 시설특성에 맞추어 적정하게 충원해 주어야 함. 현행 청소년기본법시행령 <별표 5>에 따르면 청소년문화의집에는 청소년지도사를 1명 이상 배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현장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비합리적인 사항임. 또한, 청소년특화시설의 경우는 청소년지도사외에도 시설특성상 전문가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배치의 불합리성은 다른 시설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관련법에서 ʻ청소년수련시설 인력배치기준ʼ을 마련하여 청소년지도사 배치기준을 다시 재조정강화하여야 함.

다섯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기회 확대 및 내용의 다양화문화가 필요함.

청소년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에서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변화하는 청소년관련 환경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키우는 것도 중요함. 청소년지도자 뿐만 아니라 시설장이나 중간간부들을 위한 직무교육 차원의 보수교육 의무화 등을 통한 역량 강화 교육과 슈퍼비전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의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이를 구속력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령에 직무보수교육 차원의 ʻ청소년지도자 역량강화 교육ʼ에 관한 조항을 두고 이를 위한 예산 편성의 근거로 두어야 함. 독일의 경우 자비로 역량강화 교육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를 보조해주어야 할 국가의 의무도 명시하고 있듯이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관련 조항들을 세부적으로 마련해야 함.

여섯째, 청소년지도사 양성체계 개선을 통한 전문성 확보가 필요함.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 관련 현장에서 활동할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현장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자격제도이므로 전문성 강화와 현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실습을 통한 실무능력 강화가 필수적임. 따라서 국가자격검정으로 진행되는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응시자격 기준에 ʻ청소년활동 현장실습ʼ 과목 이수 필수와 연수과정 이수 기준 강화, 학교에서의 실습포함 같은 실습기관 다양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관련 법령 및 자격검정 운영지침을 개정하여야 함.

일곱째, 청소년지도현장 확대가 필요함.

영국의 경우에는 청소년지도의 현장을 확대하고, 청소년지도의 중요성을 인정한 결과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시설이나 단체이외에 학교에도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청, 직업상담소 등 청소년이 갈 수 있고, 청소년과 관련된 모든 기관에 배치되어 있음. 우리나라도 청소년지도 영역을 확대시키고, 청소년지도자가 더 많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 도입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청소년관련학과 실습시간 운영 시 실습 기관에 학교를 포함시키고 청소년육성전담공무원 제도도 현실화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됨. 그러나 청소년지도현장 확대를 통한 청소년지도자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청소년지도자의 자질과 능력을 더욱 개발해야 하고, 청소년지도자 스스로도 청소년업무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함.

여덟째, 청소년지도자 전문가 검증 및 모니터링이 필요함.

영국의 The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for Youth Work에서 밝히는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은 청소년들을 위해 교육적이고, 참여적이며 역량 강화를 위한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적응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자격과 지식, 기술을 제대로 습득하고 발휘하는가에 대해 영국은 청소년지도자 역량 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다.

또한 국가청소년기구는 Professional Validation이라는 전문가검증제도를 도입하고 있음. 청소년지도의 질적 향상과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매년 Youth Support WorkerProfessional Worker들의 자격기준을 심사하고 Joint Negotiating Committee for Youth and Community Workers(청소년지도사 및 사회복지사 연합교섭위원회)의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함. 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청소년지도자 자격 기준에 관한 연구보고서와 출판물을 통해서 영국의 모든 청소년지도자가 개인의 독창성과 창의성은 보유하되 검증된 공통의 능력과 자질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음.

우리나라도 청소년활동 지도 수준 제고를 위해 청소년지도자 전문가 검증제도 도입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제반여건 조성이 필요함. 가칭 국립청소년지도인력개발센터설치운영함으로써 ʻ청소년지도자 DBʼ 구축, ʻ청소년지도자 경력관리시스템ʼ 개발, ʻ청소년지도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시스템 구축ʼ 등의 청소년지도자 수급 및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임.

아홉째, 청소년지도자 공제회 설립운영이 필요함.

청소년지도자들은 청소년에 대한 열정으로 청소년활동 현장에서 헌신적으로 활동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보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직율도 높고 경제적 어려움도 겪고 있음. 교사와 공무원과 같이 연금제도 및 공제회 등을 통하여 국가로부터 명확한 신분보장과 노후보장까지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ʻ청소년지도자공제회ʼ 관련법을 제정하고 공제회 운영을 통한 근무여건 개선 및 위상 강화를 추진하는 등의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프랑스의 경우 단체협약은 산업별로 체결되는데, 청소년활동은 독립적인 단체협약을 가지고 있음. 단체협약의 내용은 노조 활동권, 근로자 대표 선임권, 근로계약, 근로기간, 휴가, 교육훈련, 각종 공제제도 등을 포함하고 있음. 단체협약은 정부의 정책이 아니라 사용자 대표 집단과 근로자 대표 집단 간의 협상을 통해 정해지는 것인데, 필요한 경우에 추후 법제화되거나 노동 행정에 반영됨. 단체협약의 내용 중에서 근로기간, 휴가, 교육·훈련, 각종 공제제도에서 청소년지도자의 복지와 관련된 내용이 있음.

열째, 청소년지도자의 훈련휴가제(안식년, 안식월) 도입이 필요함.

청소년지도자들이 청소년활동 지도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와 자기개발, 그리고 휴식이 제공되어야 함. 학교 교사는 여름과 겨울방학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가 있는 반면 청소년지도자들은 휴가기간 중에 더욱 바쁘게 활동하고 있으며, 학기 중에도 다양한 활동으로 바쁜 일과가 계속 이어지게 되어 재충전의 기회가 매우 부족한 형편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몇 년 이상 근무자에게는 안식년 또는 안식월 같은 제도를 도입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프랑스는 청소년지도자로 재직하는 경우 유급휴가인 ʻ개인훈련휴가ʼ를 사용할 수 있음. 휴가 기간은 훈련 기간과 일치하며 최대 1년, 시간제 훈련의 경우 1,200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훈련내용은 지식 및 노하우 습득 유지 향상, 기술발전에 따른 적응 등을 위한 훈련이어야 함. 개인훈련 휴가 신청자격은 2년 이상 청소년지도자로 재직했고 현재 직장에 1년 이상 근무한 자로 한정하고 있음.

Ⅳ. 나오는 말

ㅇ 바람직한 인성교육이란 개개인의 자아발견, 우주와 사회에서 자신의 위치 인식, 심미적 소양, 긍정적 생활태도, 옳고 그름(正邪)과 선악(善惡)의 분명한 구별, 도덕적 책임의식, 일관성 있게 행동할 수 있는 판단력과 용기,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동정, 사회의식과 희생정신, 인권과 정의의 존중 등의 소양을 배양하는 것임(손봉호, 2010).

ㅇ 이와 같은 인성교육의 궁극적 목적과 관심의 대상은 자연과 사회를 지배하는 힘이 아니라 피교육자 자신이며 인간다운 인간으로서의 자기 개발임. 우리 사회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바람직한 인성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기는 쉽지 않음. 청소년지도자 스스로는 물론 현장에서 청소년을 교육하고 지도할 때 바람직한 인성교육에 대한 정의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임.

ㅇ 2004년 OECD에서 추진해 온 DeSeCo프로젝트(Defining and Selecting of Key Competencies)가 있음.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인 삶과 올바로 기능하는 사회를 위해 필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으며, 핵심 역량에 대한 개념과 하위 범주를 제시하고 있음. 다양한 학자들의 오랜 협의를 통해 OECD가 도출한 핵심 역량은 크게 사회적으로 이질적인 집단과 상호작용하는 역량,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역량, 도구를 상호적으로 사용하는 역량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눔.

ㅇ 3년 단위로 평가·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읽기, 수학, 과학 분야는 모두 최상위권에 있음. 최상위권에 있는 학업성취도를 보고 교육당국자나 학부모들은 안도하기도 함.

ㅇ 우리가 주목하는 학업성취도 결과의 이면에는 부끄러운 자화상이 담겨져 있음. 조사 항목 가운데 학습통제전략(자기주도학습능력) 순위는 꼴찌에 가깝다는 것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능력도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임.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 사회의 단면을 대변하고 있으며, 주입식 교육이나 다른 사람과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인성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부인하지는 못할 것임.

ㅇ 청소년활동 현장에서 다년간 근무하면서 청소년지도자의 임무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음. 먼저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에 관심과 사랑하는 마음가짐이 전제되어야 하고, 둘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하는 능력이 있어야 하며, 셋째, 맡은 임무나 과업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해 왔음.

ㅇ 직장인으로서의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하여는 출근시간을 반드시 지킬 것, 인사하는 것과 열정을 강조하고 있음. 출근시간은 직장인으로서 기본자세에 대한 문제이며, 인사를 잘하는 것은 인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열정은 업무수행의 능률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임.

ㅇ 청소년지도자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사회적 위상과 근로조건이 열악하다는 점에서 청소년지도자의 근무여건 개선과 사회적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나아가 청소년지도자의 건강한 마인드와 역량함양은 청소년을 건전하게 육성하는 밑바탕이 된다는 사실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임.

<참고문헌>

권일남오해섭이교봉(2014). 청소년활동론. 경기: 공동체.

권해수김민성강영신(201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Ⅲ: 학교 연계 프로그램 시범사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맹영임길은배전명기이은애(2010). 청소년시설 지도인력의 역량 강화 및 복지 개선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소경희이상은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사례 고찰: 역량기반(competency-based)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손봉호(2010).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2010 전국동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여성가족부(2019). 청소년백서.

조용태김창현유경미이기용(2016). 인성의 이해와 실제. 경기: 공동체.

주경필김윤나(2016).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천정웅오해섭김정주김민(2015). 청소년활동론. 경기: 양서원.

최혜지김경미정순돌박선영장수미박형원배진형박화옥안준희(2014).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학지사.

제9장 청소년활동과 수련활동인증제

서론

ㅇ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균형적인 성장을 위해 심신단련,

자질배양, 취미개발, 정서함양, 사회봉사 등의 체험을 통해 덕(덕성)과 체(체력)를 함양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

ㅇ 이러한 목적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년활동의 영역과 프로그램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음. 즉, 개발 주체, 구성의 범위, 활동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지만 다소 연관성이 깊은 영역들 간의 중첩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상호보완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활동들을 잘 구조화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ㅇ 이 장에서는 국제 청소년활동의 유형, 국제청소년성취포상,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및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등을 살펴보고자 함.

2. 청소년활동의 유형

1) 청소년활동의 정의

ㅇ 전반적으로 청소년활동에 대한 정의는 초기 청소년기본법을 중심으로 학교생활이라는 고유활동영역과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임의활동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청소년활동으로 규정하고 있음. 그 대부분의 활동을 수련활동영역으로 정의하면서 사실상 매우 협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측면이 강함.

ㅇ 한승희는 수련(修鍊)이란 용어는 training, practice, driling, discipline 등으로 표현되며, 청소년수련이란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자질을 개발하며, 배움을 실천하는 활동을 말함.

ㅇ 당시 청소년정책의 주요 내용을 규정하고 그 근거가 되고 있는 당시 청소년기본법은 청소년수련활동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수련활동에 필요한 제(諸) 요소들의 확보 및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었음.

ㅇ 당시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제3호에서는 청소년수련활동을 청소년이 생활권 또는 자연권에서 심신단련 · 자질배양 · 취미개발 · 정서함양과 사회봉사로서 배움을 실천하는 체험활동으로 규정하고 있음.

ㅇ 현행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제3호에서는 청소년활동을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소재로 하는 수련활동 · 교류활동 · 문화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음.

ㅇ 우리나라 청소년수련시설 현황은 6개 유형(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특화시설)으로 구분되며, 2019년 12월 31일 현재 전국에 801개소가 있음(2019년 청소년백서).

ㅇ 학교단체 수련활동의 프로그램은

청소년욕구에 따른 공동체의식 함양 체험 프로그램 실시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과 자아정체감 확립의 과제 해결

의사소통 기술 습득을 통한 공감대 형성 등 청소년기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전한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줌.

2) 청소년활동의 유형

ㅇ 청소년활동의 특성

(ⅰ) 청소년의 균형있는 성장을 위해 심신단련, 자질배양,

취미개발, 정서함양, 사회봉사 등의 체험을 통해 덕과

체를 함양하기 위한 목적성

(ⅱ)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율성

(ⅲ) 개인이 혼자서 행하는 것이 아닌 타인과의 유대관계를 통해서 경험하고 배우는 조직성

(ⅳ) 스스로 선택한 새로운 일들을 직접 실천해보는 체험적 특성

(ⅴ) 어려운 문제를 피하지 않고 직접 부딪쳐서 해결할 수

있도록 진취적인 사고를 배양하는 모험적 활동

ㅇ 청소년활동영역

(1) 문화적 감성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

- 청소년은 문화의 생비자(生費者).

- 다양한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균형감각 및 예술적 감각 향상.

- 끊임없이 생성·소멸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이해.

(2) 과학 및 정보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

- 직접적인 관찰과 실험활동을 통하여 기초적·논리적인

지식 습득.

- 과학적인 원리 이해.

- 새로운 것을 탐구해 가는 능력 배양 등.

(3) 봉사와 협력정신을 배양하기 위한 활동

- 봉사와 협력정신의 함양과 집단적인 경험학습을 통해

전인적 인간으로 성숙하기 위한 활동.

- 실천적 인성함양.

(4) 모험심과 개척정신을 키울 수 있는 활동

- 모험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와 자아성장 계기 마련.

- 2018년 10월 15일 히말라야 등반 중 사망한 세계적인 산악인 김창호 대장은 불가능해 보이고, 불확실해 보여 야 심장이 뛴다고 함.

(5) 전문적 직업능력을 준비할 수 있는 활동

- 다양한 직업활동을 통해서 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할이나 자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됨.

-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추상적으로 생각했던 직업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활동 경험이 필요함.

(6) 국제 감각을 고양하기 위한 활동

- 다양한 외국의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다름을

수용하고, 차이를 인정하는 마인드 형성 필요).

- 글로벌 마인드, 세계시민의식 함양.

-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

(7) 환경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

- 실제 환경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활동.

- 환경에 대한 소중함과 중요성 인식하기 위한 활동.

(8) 기타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

- 함께 살아가면서 타인을 위해 지켜야 되는 기본적인

배려와 관심.

- 이기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공동생활 및 단체활동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 및 건강한 민주시민 의식 배양 등.

3. 국제청소년활동

1) 청소년 국제교류의 현황과 필요성

ㅇ 현재 청소년 글로벌 역량개발을 위한 국제교류 사업은 국가 간 교류협정(26개국과 체결)에 의한 교류, 청소년

해외체험프로그램, 외국청소년 초청 국제행사개최, · ·일 특별교류 등으로 구분함.

ㅇ 청소년 국제교류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청소년의 국제적 능력 배양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함양, 국가 간의 우의와

협력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적 활동으로서

- 정부 차원에서는 여성가족부가 정부 간 청소년교류’, ‘청소 년 해외체험프로그램’, ‘국제행사 개최 및 지원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음.

-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외국 자매도시 등과의 지방자치단체 간 국제교류을 시행하고 있음.

- 민간부분에서는 청소년단체 간의 국제교류 등을 시행하고 있음.

ㅇ 청소년 국제교류의 중요성

- 청소년 국제교류는 눈에 보이는 성과가 바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기본적으로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국제적 인 시야를 갖는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함.

- 청소년기라는 감수성 강한 시기에 외국 동년배 학생 또는 외국인과 직접 만나 토론과 생활을 함께 하고 외국인을

통해 타문화를 접하는 것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KYVP).

- 청소년 국제교류는 책과 영상 수준이 아니고 색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직접 접하기 때문에 상호 공통성을

쉽게 발견하게 됨.

- 서로 다른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상대주의 입장에서 각국의 문화를 존중하는 의식도 키우게 됨.

2) 청소년욕구의 다양한 반영

ㅇ 청소년 국제교류는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활동임.

ㅇ 이 세계에는 200여 국이 넘는 국가가 존재하고 있으며 각각 의 나라별로 그 문화와 생활양식이 달라 국제교류는 참으로 다양한 활동내용과 프로그램이 존재함.

ㅇ 어느 나라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교류활동을 하느냐에

따라 추구하는 목표와 그에 따른 기대효과가 다를 수 있기에 청소년들의 욕구를 반영한 국제교류 활동을 마련하여 청소년 들에게 최적의 국제활동 효과를 전달해 주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함.

ㅇ 최근 청소년들의 문화적 동향과 관심사를 살펴보면 K팝의 세계화에 따라 우리나라 BTS나 블랙핑크 등은 전 세계적으 로 많은 인기와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

ㅇ 이런 점을 감안하여 한류 열풍과 관련한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3) 국제교류의 한계와 해결방안

ㅇ 외국을 방문하는 형태의 교류활동은 청소년들에게는 부담스 러운 비용이 발생하며 비용을 보조받고 가는 경우 엄청난

경쟁률을 이기고 선발될 때만 참여할 수 있는 경쟁적 상황이 발생함.

ㅇ 청소년들의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실체적인 교류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위해 외국 청소년을 우리나라로 초청하여 한국 가정에서 홈스테이를

하며 다양한 문화체험을 경험케 하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ㅇ 홈스테이 교류활동은 우리 청소년들이 외국의 문화를 직접 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제한사항이 있지만 해외 청소년은

한국의 생활문화와 양식에 대해 무엇보다 현실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한국 청소년위 경우 외국 학생의 생활습관과 양식 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보다 실제적인 교류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임.

4)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내용 및 프로그램 구성

(1) 국제문화체험활동

ㅇ 청소년국제교류활동과 연계된 문화활동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첫째, 지역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은 교류하고자 하는 해당

국가의 지역유적지를 방문하여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탐구하고 체험하는 활동. 청소년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류하는 대상 국가의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조사 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지역의 유적지를 통해 인류동반 의식을 갖는 것이 필요함.

둘째, 유적트래킹 프로그램은 특별한 장비나 준비된 도구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교류 국가의 유적지를 돌아보며

체험하는 활동.

셋째, 시내트래킹 프로그램은 방문 국가의 도심 지역에서

다양한 볼거리를 체험하기 위해 특별한 장비나 준비된

도구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돌아보고 체험하는 활동.

다섯째, 문화강좌 프로그램은 방문 국가의 문화와 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강연을 집단적으로 청취하는 체험임. 청소년은 방문 국가에 대한 높은 호기심과 애착을 가지고 있어야 함.

여섯째, 전통공연관람 프로그램은 방문 국가에서 자국의 전통 과 역사를 홍보하고 보급하기 위해 준비한 민속무용이나 민속극 등을 공연장에서 체험하는 활동.

일곱째, 전통예술교습 프로그램은 방문 국가의 전통음악이나 무예, 그리고 공예 등에 대해 직접 교습을 받으며 체험하 는 활동.

(2) 국제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ㅇ 국제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첫째, 의료지원활동은 인도, 케냐, 볼리비아, 태국, 캄보디아 지역의 보건소와 병원에서 환자를 간호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을 간병하는 활동, 즉 식사, 세면 및 목욕, 용변 보조 등을 지원하는 활동.

둘째, 교육지원활동은 인도, 케냐, 볼리비아, 태국, 캄보디아 지역의 유치원 및 초··고등학교에서 유치원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율동 및 놀이마당, 미술활동, 컴 퓨터, 타자, 운동회, 학예회 보조, 위생교육, 급식보조 등 의 활동.

셋째, 마을개발활동은 인도, 케냐, 볼리비아, 태국, 캄보디아 지역의 마을 단위에서 병원, 학교, 유치원을 건축하는

공사 현장 보조, 식수개발, 흙집 짓기, 처마 고치기, 나무 심기, 텃밭 가꾸기 등의 활동.

넷째, 지역사회개발활동은 볼리비아 지역의 작업현장에서

운하보수작업, 수로시설 및 도로, 전기 공사 작업보조 등 의 활동.

다섯째, 사회복지사업 참여활동은 필리핀, 몽골, 남미 지역의 장애인복지센터와 노인복지센터에서 생활보조활동, Day Trip 동행, 레크리에이션 활동.

여섯째, 환경보호활동은 아일랜드, 남미 및 아프리카 지역의 국립공원과 밀림지역 등에서 붉은 사슴 등 자생종 보호활 동, 생태계 보호활동, 열대림 보호활동, 공원 내 자연보호 활동, 생활용품 재활용 활동.

일곱째, 영농기술보급활동은 볼리비아와 캄보디아 지역의

정글 및 오지에서 황폐화된 농지개간작업, 영농기술의

보급을 통한 농산물 수확활동.

여덟째, 구호품 지원활동은 몽골, 태국, 중국 지역에서 해당 국가의 주민과 조선족을 대상으로 의류, 식량 등 구호품 지원활동과 자립을 위한 차량지원 등

ㅇ 국제청소년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은 국가 간의 상호의존 과 공존의 인류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하고, 타 국가의 문화와 민족성을 인정하는 문화상대주의와 호혜정신을 갖게 되며, 국가 간 평화를 중시하는 인도주의 사상을 습득하게 됨.

(3) 해외체험 프로그램

ㅇ 청소년국제교류활동 프로그램과 연계한 오지탐험 및 심신 단련 프로그램은 8개 프로그램으로 유형화 할 수 있음.

첫째, 오지탐험 프로그램은 모험활동을 특성화하고자 하는 것 으로 현대 문명이 들어가지 않은 단절된 세계, 미지의

세계, 자연의 세계, 오지자연환경탐사, 오지마을 생활문화 탐사, 오지가족 캠프 등이 있음.

둘째, 트래킹 프로그램은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이 달구지를 타 고 정처 없이 집단 이주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목적지가 없는 도보여행 또는 산과 바람 따라 떠나는 사색여행을 말함.

셋째,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은 자연의 산야·숲 등의 코스에 서 지도와 나침반만을 사용하여 몇 개의 정해진 지점을 거쳐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는 것을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이 익숙하지 않은 오지를 탐험하면서 심신을

단련시키는 활동.

넷째, 로프코스 체험 프로그램은 험준한 산악지역의 계곡을 줄을 이용해 건너가는 활동으로 청소년들에게 심신을

단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함.

다섯째, 암벽등반 프로그램은 산악지역에서 험준한 암벽을

준비된 장비를 가지고 올라가는 활동으로 청소년에게

강한 체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집중력과 모험심, 그리고 협동심이 요청되는 종합 스포츠이며 심신단련

활동.

여섯째, 산악자전거 체험 프로그램은 산악자전거를 이용하여 지점(포스트)을 거쳐 빨리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을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이 익숙하지 않은 오지를 탐험하면서 심신을 단련하는 활동.

일곱째, 급류타기 프로그램은 팀을 구성해 고무보트를 타고 계곡 및 협곡의 급류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체험활동 으로 스릴과 모험심은 물론이고 협동심이 강조되는 집단 단체활동.

여덟째, 번지점프 프로그램은 높은 지역의 고도를 이용하여 사전에 마련된 시설과 장비를 통해 아래로 뛰어내리는

체험활동으로 청소년에게 강한 체력과 담력을 기르도록 하는 활동.

아홉째, 철인삼종경기 체험 프로그램은 수영, 사이클, 달리기 로 구성된 스포츠의 형태로 청소년이 인간이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청소년에게 체육적인 특기와 인내, 그리고 강인한 체력을 필요로 하는 체험활동.

열 번째, 비치발리볼 체험 프로그램은 해변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로 비치발리볼을 이용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전개되 는 활동으로 청소년들에게 강인한 체력과 협동심을 요구함.

열한 번째, 스노클링 체험 프로그램은 스노클을 사용하여

강과 바다 속을 구경하는 일종의 수상스포츠로 특정한

기술을 요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수영 능력과 기본 장비를 다루는 법을 알고 있어야 함.

5.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

1) 인증제도의 개념 및 추진배경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는 청소년활동진흥법 제35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또는 개인·법인·단체 등이 실시하고자 하는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을 인정하고, 인증수련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활동 기록을 유지·관리·제공하는 국가인증제도임.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실시의 근본 목적은 국가가 청소년수련활동의 공공성과 신뢰성을 인증함으로써 청소년활동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것임. 구체적으로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의 실시 목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국가가 청소년수련활동의 공공성과 신뢰성을 인증함으로써 청소년활동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함.

청소년교육·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양질의 청소년활동 정책 과 참여기회를 제공함.

다양한 청소년활동의 정보를 제공하고 청소년활동의 참여를 활성화함.

자기계발 및 진로모색 등에 활용 가능한 활동기록을 관리하 고 제공함.

2) 추진경과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는 청소년활동진흥법 제35조와 제37조에 근거를 두고, 2005. 3. 18일에 동법 시행령의 공포로 구체적인 시행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시범·적용과정을 거쳐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음. 또한, 법률에 근거하여 현재 인증제도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15인의 위원으로 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에 관한 주요사항을 결정하고 있음. 그리고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심사를 위하여 별도로 인증심사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을 제정·유지하고 있음.

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회에서는 인증수련활동 영역을 건강·

보건활동, 과학정보활동, 교류활동, 모험개척활동,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직업체험활동, 환경보존활동, 자기(인성)계발활동의 9가지로 규정하여 분류하고 있음(세부사항 교재 P.209참조)

3)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제도의 기대효과

청소년의 체험활동 기회 확보를 위해 국가가 인증하는

양질의 청소년수련활동 관련 정보를 제공함.

인증 받은 활동에 대해 인증마크를 부착·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증 받지 않은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도보함.

인증 받은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프로그램이 인증 받은 내용에 따라 충실히 이행되도록

관리·감독함.

인증수련활동 참여청소년의 활동기록을 법에서 정한 요건 에 맞춰 기록·유지·관리·발급함으로써 진학 및 취업 등을 위한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자료로 활용함.

4)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활동유형 구분

활동유형

내 용

기본형

전체 프로그램 운영시간이 3시간 이상으로서, 실시한 날에 끝나거나 1일 1시간 이상의 각 회기로 숙박

없이 수일에 걸쳐 이루어지는 활동

숙박형

숙박에 적합한 장소에서 일정기간 숙박하며 이루어지는 활동

이동형

활동 내용에 따라 선정된 활동장을 이동하여 숙박하며 이루어지는 활동

학교단체

숙박형

학교의 장이 참가를 승인한 활동으로 숙박에 적합한 장소에서 일정기간 숙박하며 이루어지는 활동

5) 인증을 받아야 하는 청소년수련활동

참가 인원이 150명 이상이거나 위험도가 높은 청소년수련 활동(수상, 항공, 장거리걷기, 산악 등)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증 필요(청소년활동진흥법 시행규칙 제15조의2)

신고·등록·인가·허가를 받지 아니한 단체 및 개인은 숙박형· 비숙박형 활동 중 참가인원이 150명 이상이거나 위험도가 높은 수련활동은 운영 불가(청소년활동진흥법 제9조의 6)

6) 인증기준의 구성

구 분

영역 및 유형

기 준

공통기준

활동프로그램

· 프로그램 구성

· 프로그램 자원 운영

지도력

· 지도자 자격

· 지도자 역할 및 배치

활동환경

· 공간과 설비의 확보 및 관리

· 안전 관리 계획

개별기준

숙박형

· 숙박관리

· 안전 관리인력 확보

· 영양관리자 자격

이동형

· 숙박관리

· 안전 관리인력 확보

· 영양관리자 자격

· 휴식관리 · 이동관리

특별기준

위험도가 높은 활동

· 전문지도자의 배치

· 공간과 설비의 법령 준수

학교단체 숙박형

· 학교단체 숙박형 활동관리

7)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의 발전방안

ㅇ 중장기 발전방안 차원에서의 근본적인 문제

첫째, 인증제의 실제 취지와 목적, 그리고 현실적 타당성이 법적·제도적 차원에서 바르게 반영되었는지 재검토해

보아야 함.

둘째, 인증제의 현실적 문제로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각 요소 의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이행되어야 함.

ㅇ 영역별 발전발안과 구체적인 개선안

첫째, 현장지도자의 업무를 줄여주기 위해서는 중복되는 서류 준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도입이 필요함.

둘째, 현재 수션시설 안전등급결과를 반영하여 안전등급

모범·우수수련시설의 경우 일부 기준을 면제해 주는

제도와 연계하여 가칭 청소년활동 기관 인증제를 검토 해 볼 필요가 있음.

셋째, 국가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활동 전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학교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하기 전략이 마련되어야 함.

넷째, 인증신청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확충을 위하여 인증과정 에서 겪게 되는 인증신청자의 어려움을 지원하는 인증

컨설팅을 확대·운영할 필요가 있음.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상근인증심사원

*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 상금심사원

다섯째, 인증심사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필요 함.

여섯째, 인증방식에 있어 현재 프로그램 인증과 활동기록

인증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상황에서는 서류심사로 인한 부족한 부분을 현장방문이나 이행여부 심사를 강화하여 서류심사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 함(현재 시행 중에 있음).

일곱째, 현재의 사전인증제를 사후인증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제도의 취지에 주합하지 않는 측면 이 있음).

여덟째, 청소년활동이 중앙정부를 비롯하여 지역사회의 행정 기관, 청소년단체, 학교 등과 같은 지원기관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확립하고, 그 기관들 본연의 기능에 따라

효율적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실천 전략을

강구해야 함.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 및 프로그램 소개

ㅇ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도

-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도는 청소년활동진흥법 제9조의 2에 따라 19세 미만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수련활동 계획을 사전에 신고하도록 하고, 관련 정보를 참가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공개하는 제도임.

2013년부터 시행하고 있음.

-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 관련 주체 및 요건

구 분

적용대상 요건

신고수리 주체

수련활동 주최자 소재지 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

(청소년정책 담당부서)

신고

주체

청소년수련활동을 주최하려는 자

신고

기한

참가자 모집 14일 전

신고대상 참가자 연령

19세 미만의 청소년(9~18세)

신고대상 활동범위

숙박형

이동숙박형, 고정숙박형 등 숙박하는 수련활동

비숙박형 일부

· 청소년 참가인원이 150명 이상의 수련활동

· 위험도가 높은 청소년수련활동

ㅇ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The Duke of Edinburghs Award)

-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1956년 영국의 에딘버러 공작에 의해 시작됨. 만 14~24세 사이의 청소년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청소년 자신 및 지역사회와 국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삶의 기술을 갖도록 하는 국제적인

자기성장 프로그램임.

현재 140개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는 2008년도부터 운영하고 있음.

- 포상단계(활동기간): 동장(6개월), 은장(12개월),

금장(18개월)

- 활동영역: 자기개발, 신체단련, 봉사활동, 탐험활동

* 금장 활동은 합숙활동 추가

- 활동철학: 비경쟁성, 평등성, 자발성, 유연성, 균형성,

단계성, 성취지향성, 지속성, 과정중시성, 재미

ㅇ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의 한국형으 로 만 9~13세 청소년들이 자기개발, 신체단련, 봉사활동, 탐험활동 4가지 활동영역에서 자기 스스로 정한 목표를 성취해가며, 숨겨진 끼를 발견하고 꿈을 찾아가는 자기

성장 프로그램임.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음.

- 포상단계(활동기간): 동장(8주), 은장(16주),

금장(24주)

- 활동영역: 자기개발, 신체단련, 봉사활동, 탐험활동

- 활동철학: 다양한 활동, 스스로 하는 활동, 재능의 발견 및 개발의 기회, 단계적 활동, 경쟁이 없는 활동, 성취지향적 활동,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한 활동, 즐길 수 있는 활동

ㅇ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방과 후 홀로 방치되기 쉬운

저소득·맞벌이·한부모 등 돌봄취약계층 청소년(초4~중3학 년)에게 체험활동·학습지원·급식·상담 등 종합적인 교육·

복지·보호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임.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개요

구 분

내 용

사업

목적

돌봄 취약계층 가정의 청소년들에게 방과후 보충학습·체험활동·급식·건강관리·상담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의 전인적인 성장 지원, 가정의 사교육비 및 양육부담 완화

사업

대상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 초4 ~ 중3

시행

주체

여성가족부와 지방자치단체 공동 운영

설치

시설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공공시설 등

사업

기간

2020. 1. ~ 12월(1일 4시간, 방학포함 연중 실시)

사업

280개소(2019년 기준)

예산

개소당 평균 1.6억원

Ⅵ. 결론 제언 198

198 청소년시설 지도인력의 역량 강화 복지 개선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