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23 치안대학원 모집요강-최종.pdf

닫기

background image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치안대학원은 
치안 분야 학술연구 및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경찰대학에 설치된 국가교육기관입니다.

연 혁

1970s

1979.12. 28.  「경찰대학 설치법」 공포


background image

2010s

2000s

2020s

1980s

1979.12. 28.  「경찰대학 설치법」 공포

1980. 8. 1.  부설 치안연구소 개설
1981. 3.  9.  제1기 경찰대학생 입학
1981. 10. 28.  경찰대학 용인캠퍼스 기공(개교기념일)
1983. 1. 22.  용인캠퍼스 이전
1985. 4. 9.  제1기 경찰대학생 졸업
1988. 10. 20.  부설 공안문제연구소 설치

2013. 8. 7.  아산캠퍼스 청사 착공
2016. 2. 29. 아산캠퍼스 이전
2016. 5. 29.

치안대학원 설립 관련

「경찰대학 설치법」 개정 공포

2016. 6. 14. 국제경찰교육훈련연구센터 설립
2017. 5. 30. 개정 「경찰대학 설치법」 · 「경찰

대학의 학사운영에 관한 규정」

시행

2017. 5. 30. 치안대학원 개원
2018. 3. 5.  제1회 치안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주·야간) 신입생 입학

2019. 3. 4.  제1회 치안대학원 박사학위과정

신입생 입학

2005. 7. 5. 치안연구소와

공안문제연구소를

「치안정책연구소」로 통합

2009. 9. 1. 연구지원실 신설

2020. 2. 7.   치안대학원 석사학위과정 학위수여식(23명)

2020. 8. 31. 제1회 치안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특별전형) 신입생 입학

2021. 5. 13. 치안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정원 증원

(총 20명)

연구 · 교육 분야 

경찰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수사 기법 및 

수사 관련 법·제도

테러 · 범죄 · 재해 ·

재난 등으로부터

공공의 안전 확보

위한 법·정책

방대한 치안자료를

활용한 범죄원인 분석 

및 예방 대책 

치안·공공안전

조직의 관리를 위한

비전과 전략


background image

CONTENTS

제1부 |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모집요강

1. 모집과정 

04

2.  모집학과·인원 및 지원자격 

04

3.  전형방법 및 요소 

07

4.  전형일정 

08

5.  전형절차 

09

6.  선발 및 평가방법 

10

7.  제출 서류 

13

8.  제출 서류 작성 요령 

16

9.  지원자 유의사항 

16

10.  담당 부서 

17 

제2부 | 치안대학원 소개

1. 학교 소개 

20

2.  교육과정(DEGREE PROGRAM) 

21

3.  학과, 전공(FIELDS OF STUDY) 

22

4.  장학제도 

30

5.  기숙사 이용 

31

6.  서울학습관(야간과정)  

32


background image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모집요강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1

part


background image

PART

01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모집요강

1. 모집과정

 박사학위과정, 주간 석사학위과정, 야간 석사학위과정

※ 경찰청 주관 위탁교육훈련은 ‘주간석사학위과정’에 한함

2.  모집학과· 

인원 및  
지원자격

가. 박사학위과정

1) 모집학과 및 인원

과정명

학과

전공

모집인원

박사학위과정

(총 20명)

수사학과

수사법제전공

범죄수사전공

경찰관 ○명

일반인 ○명

범죄학과

범죄분석전공

범죄예방전공

공공안전학과

공공안전법학전공

공공안전행정전공

※ 모집인원은 경찰관 ⅔, 일반인 ⅓을 원칙으로 하되, 지원상황 및 최종사정 결과를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

2) 지원자격

 국내·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023. 2월(일본대학은 3월)까지 취득예정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background image

2.  모집학과· 

인원 및  
지원자격

나. 주간 석사학위과정

1) 모집학과 및 인원

과정명

학과

전공

모집 인원

주간

석사학위과정

(총 30명)

수사학과

범죄수사전공

수사법제전공

경찰관 ○명

일반인 ○명

범죄학과

범죄예방전공

범죄분석전공

공공안전학과

공공안전법학전공

공공안전행정전공

자치경찰전공

미래치안

과학융합학과

포렌식사이언스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사이버보안전공

스마트모빌리티전공

※ 모집인원은 경찰관 ⅔, 일반인 ⅓을 원칙으로 하되, 지원상황 및 최종사정 결과를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

2) 지원자격
가) 공통사항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023. 2월(일본대학은 3월)까지 취득예정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나) 미래치안과학융합학과(포렌식사이언스 전공) 자격요건

분야

내용

이 학

[일반인]

일반물리/수학/화학/생물 中 3과목 이상 이수(사이버 대학 이수도 인정)

심리학

[일반인]

범죄심리학/법심리학/사회심리학/발달심리학/심리평가/정신병리학/

이상심리학/임상심리학 中 3과목 이상 이수 (사이버 대학 이수도 인정)

※ 경찰관은 별도 자격요건 없음

다) 미래치안과학융합학과 우대요건

포렌식사이언스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사이버보안전공

경찰관

관련 분야 실무 경력자 우대

공통

사회조사분석사 2급,

빅데이터 전문가 등 관련

자격증 소유자 우대

04 | 05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라) 정원 외 입학 응시 자격요건 

구분

내용

「치안대학원 학칙」

제6조 제4항

• 「대학 등의 정원 외 위탁학생에 관한 규칙(교육부령)」 2조의 위탁학생*

- 「공무원 인재개발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위탁교육훈련을 위하여 선발된

공무원

- 「군위탁생규정」 제4조에 따라 임명된 군인

• 북한이탈주민
• 부모가 모두 외국인인 외국인
• 외국에서 우리나라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전부

이수한 재외국민 또는 외국인

※ 일반 지원자와 정원 외 입학 지원자를 분리하여 전형 실시

* 해당 여부는 지원자 소속관서 자체 선발 후 부처장 명의 입학추천 요청서 필요

마) 경찰청 주관 위탁교육훈련 대상자로 선정되는 자(주간 석사학위과정)

구분

내용

기본 요건

• 경찰공무원
• 입학 전년도 말(2022.12.31.) 기준 실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군·유사경력, 휴직기간 제외)

• 입학 전년도 말(2022.12.31.) 기준 만 52세 이하인 자(1970.1.1. 이후

출생자)

「공무원인재

개발법시행령」

제32조 요건

• 국가관과 사명감이 투철한 자, 근무성적이 우수한 자
• 필요한 학력‧경력 등을 갖춘 자
• 훈련 이수 후 훈련에 상당하는 기간 동안 근무할 수 있는 자

결격사유

• 입학 전년도 말(2022.12.31.) 기준 징계 처분을 받고 처분 종료일로부터

1년이 지나지 않은 자

• 입학 전년도 말(2022.12.31.) 기준 위탁 교육에 따른 의무복무 중인 자
• 1년 이상의 국외 장기훈련을 1회 이상 이수한 자
• 위탁교육생으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하였거나 수료한 자
• 입학 전년도 말(2022.12.31.) 기준 최근 3년(2020∼2022) 이내에

국내대학원 석사야간과정 훈련생으로 선발되어 중도에 훈련을

중단(포기)하였거나 등록하지 아니한 자

• 최근 3년간(2019∼2021) 2회 이상 치안성과평가 최하위등급(C등급)을

받은 자

2.  모집학과· 

인원 및  
지원자격


background image

다. 야간 석사학위과정

1) 모집학과 및 인원

과정명

학과

전공

모집인원

야간

석사학위과정

(총 20명)

수사학과

수사법제전공

범죄수사전공

경찰관 ○명

일반인 ○명

범죄학과

범죄분석전공

범죄예방전공

공공안전학과

공공안전법학전공

공공안전행정전공

※ 모집인원은 경찰관 ⅔, 일반인 ⅓을 원칙으로 하되, 지원상황 및 최종사정 결과를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

2) 지원자격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2023. 2월(일본대학은 3월)까지 취득예정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2.  모집학과· 

인원 및  
지원자격

3.  전형방법  

및 요소

가. 전형방법 : 1차 서류심사, 2차 면접·구술평가 후 최종합격자 선발

구분

전형방법

1차 전형

서류심사(100점)

•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자격요건,  수학능력  등을  심사하여

서류심사 성적 고득점자 순으로 선발예정 인원의 3배수 선발

2차 전형

면접·구술평가

(100점)

• 1단계 서류심사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 및 구술시험을 거쳐

전문지식, 수학능력, 기여 가능성 등을 평가

• 수학능력 평가를 위한 영어 독해 테스트 실시

최종선발 서류심사(100점) +

면접·구술평가(100점)

• 1단계 서류심사 성적과 2단계 면접·구술평가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자 순으로 최종합격자 선발

※ 평가요소 등 구체적인 전형방법은 대학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 예정

나. 전형요소

전형 구분

전형요소

1차 전형

• 연구계획서,  대학  성적(박사학위과정은  석사학위과정  성적  포함),  전공

적합성(자기소개서, 자격증, 관련 연구경력 등), 경찰공무원 근무경력 등

2차 전형

• 전문지식, 수학능력(영어 독해 테스트 포함), 기여 가능성 등

06 | 07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4.  전형일정

구분

일정

내용

비고

원서접수

(인터넷 접수)

2022. 9. 5.(월)

09:00

~ 09. 30(금)

18:00

• 원서접수 대행업체인 진학사 원서접수

웹사이트 (jinhakapply.com)에 접속하여

접수

※ 인터넷 원서접수 장애 발생 시 문의처 :

진학어플라이(☎1544-7715)

• 방문 또는

우편접수 불가

• 접수증을

출력하여 접수

확인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11. 4.(금) 10:00

(예정)

• 치안대학원 홈페이지 → 정보광장 →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

면접·구술

평가

11. 25.(금)

~ 11. 27.(일)

※ 응시자가 많을 경우

평가 일정 조정 가능

• 면접·구술평가 시간·장소 등 공지사항 확인
• 대상자는 신분증을 지참하여 지정 시간,

장소에 도착

최종합격자 

발표

12. 9.(금)

10:00(예정)

• 치안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합격자 

등록

2023. 1월 중

• 합격자 발표 시 등록금 고지서 확인 후

신한은행 가상계좌로 납부

• 상세사항은 합격자 공지사항으로 추후 안내

• 고지서 교부

: 치안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

※ 전형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치안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 등을 통해 변경 여부 확인 요망


background image

가. 원서접수 : 2022. 9. 5.(월) 09:00~9. 30.(금) 18:00

5.  전형절차

1)  원서접수 대행업체인 ‘진학사 원서접수’ 웹사이트(http://www.jinhakapply.com)에 로그인 

후 원서접수 창에 접속

2) 절차에 따라 소정 양식에 입력[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사진 파일(규격 3㎝×4㎝) 업로드]하고 

전형료 납부

3) 접수 완료(전형료 납부) 후 접수 확인증 출력

※ 접수 마감일에는 지원자 증가로 인해 접속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마감 2~3일 전까지는

접수 완료를 권함

4) 본교는 원서접수 대행업체를 통해 원서접수를 위탁 처리하고, 수집한 개인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학력사항 등)

를 입학전형 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음

단, 최종합격자의 개인정보는 본교의 학적부 생성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므로 
원서접수 시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 및 ‘학력조회’에 대한 동의 필요

5)  모든 제출서류는 제출서류 목록 순서에 따라 PDF로 변환한 파일(스캔본, 10MB) 1개를 

서류제출 기한 내에 반드시 업로드 하여야 함

6)  서류제출 기간에 서류를 업로드하지 않을 경우, 응시 대상에서 제외되며 1차 서류심사 

불합격 처리

나.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 2022. 11. 4.(금) 10:00(예정)

다. 면접·구술평가 : 2022. 11. 25.(금) ~ 11. 27.(일)

1) 11. 4.(금) 오전 10시(예정) 경찰대학 홈페이지(http://www.police.ac.kr) 및 대행업체 

웹사이트 (http://www.jinhakapply.com)에서 합격 여부 확인 가능

※ 세부 발표일시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될 경우 별도 통지 예정

2)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시, 면접·구술평가 시간 및 장소 등 세부 일정 공지 예정

1) 대상자는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고, 수험생 대기 장소에 입실

※ 인정 가능한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확인서

2)  대상자는 예정된 시간 전에 대기 장소에 도착하여 안내자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면접· 

구술평가가 끝난 후에는 대기 장소에 다시 입장할 수 없으며, 면접·구술평가가 종료될 
때(11.27.)까지 평가 내용을 유출하여서는 안 됨

08 | 09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5.  전형절차

라. 최종합격자 발표(2022. 12. 9. 10:00 예정) 및 등록(2023. 1월 중)

1) 12. 9.(금)10:00경 경찰대학 홈페이지(http://www.police.ac.kr) 및 대행업체 웹사이트 

(http://www.jinhakapply.com)

에서 합격 여부 확인 가능

※ 발표일시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될 경우 별도 통지 예정
※ 합격자는 치안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합격증’ 출력

2)  합격자는 합격자 발표와 함께 ‘합격자 준수사항’을 반드시 숙지하여야 하며, 준수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3) 등록  기간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합격이  취소되며,  미등록자가  있는  학과는 

차 순위자로 충원할 수 있음

6.  선발 및  

평가방법

가. 선발방법
1) 1차 서류심사에서 모집예정 인원의 3배수를 선발한 후, 서류심사 합격자를 대상으로 

2차 면접·구술평가를 실시하여 서류심사 점수와 면접·구술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고득점자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2)  주·야간(석사학위과정에 한함), 학과별, 경찰공무원(경찰청 소속에 한함)과 경찰공무원이 아닌 

사람(이하 ‘일반인’이라 함), 경찰 입직별로 구분 선발 

- 학과별로 선발예정 인원을 안배하여 수사학과, 범죄학과, 공공안전학과, 미래치안과학

융합학과 각각 1/4씩 선발

- 선발예정 인원은 경찰공무원 2/3, 일반인 1/3로 하고, 경찰공무원은 경위 이상 입직자와

경사 이하 입직자를 구분하여 균형 있게 선발

3) 서류심사와 면접·구술평가의 전형단계별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각각의 위원회를 

독립적으로 구성·운영하고, 전형단계별 선발 과정의 적정성 여부 점검과 최종합격자를 
선발하기 위해 대학원위원회를 구성·운영

- 서류심사위원회와 면접·구술평가위원회는 각각의 평가요소 및 배점 기준에 따라 각각

100점 만점으로 평가

- 대학원위원회는 서류심사와 면접·구술평가 결과를 합산한 점수를 200점 만점으로 하여

과정별, 학과별, 경찰공무원과 일반인 구성 비율, 경찰입직별 구성 비율에 따라 고득점자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서류심사위원회

면접·구술평가위원회

대학원위원회


background image

나. 평가방법
1) 1차 서류심사 평가요소 및 배점

구분

정량평가(30점)

정성평가(70점)

합계

①학교성적(20) ②경력(10)

③연구계획서(30) ④전공적합성(40)

경찰관

20점

10점

30점

40점

100점

구분

정량평가(20점)

정성평가(80점)

합계

①학교성적(20)

③연구계획서(30) ④전공적합성(50)

일반인

20점

30점

50점

100점

- 연구계획서(30) : 지원학과·전공 관련 전문지식, 연구계획의 구체성·창의성·실현 가능성 및

학위 취득 후 계획 등 정성평가

• 작성자의 인적사항을 가림 처리하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
• 주요 연구(관심) 분야 및 연구목적·동기(10점), 연구방법 및 진행계획(10점), 학위

취득 이후의 계획(5점), 연구실적 및 연구 분야 관련 활동사항(5점)

• 5개 평가항목을 매우 미흡, 미흡, 보통, 우수, 매우 우수의 5단계로 평가

- 10점 만점 : 매우 미흡(1~2점), 미흡(3~4점), 보통(5~6점), 우수(7~8점), 매우 우수

(9~10점)

- 5점 만점 : 매우 미흡(1점), 미흡(2점), 보통(3점), 우수(4점), 매우 우수(5점)

• 박사학위과정은 학부성적 50%(10점), 석사학위과정 성적 50%(10점)로 평정
• 편입·독학사·학점은행 등으로 복수 성적증명서 제출 시 각 성적증명서에 따라 “평가

점수” 산정 후 이수학점 비율에 따라 합산

- 학교성적(20) : “평가점수” =

총 평균 평점

× 20

평점 만점

6.  선발 및  

평가방법

- 경력(10) : 경찰공무원 재직연수(실근무기간)* 에 따라 점수 차등 부여(일반인은 제외)

* 휴직, 직위해제, 정직 기간 등 실제 근무하지 않은 기간 제외

구분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이상

7년 이상

배점

4점

6점

8점

10점

10 | 11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6.  선발 및  

평가방법

2) 2차 면접·구술평가 평가요소 및 배점

구분

① 전공지식

② 수학능력

③ 기여가능성

합계

배점

50점

30점

20점

100점

- 전공지식(50) : 지원한 학과와 관련된 학술 또는 실무지식에 관한 질문 2개(30점 만점

1문제, 20점 만점 1문제)를 출제하여 지원학과 관련 학문의 이해도 및 실무지식 평가

- 수학능력(30) : 지원자의 원서이해능력, 교양, 논리력, 창의력 등 평가

※ 영어독해테스트 별도 진행(2문, 10분)

- 기여가능성(20)  :  향후  전문인력으로서  해당  학문분야와  치안분야  전반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질문 1개(10점 만점)와 태도·자세·인성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10점 만점)

< 2022학년도 석사학위과정 영어 독해 테스트 예시 >

(문 1) The odd weather phenomenon that many blame for the suffering here — the

drought and sudden storm pattern known as El Niño — is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as the planet warms. Many parts of Guatemala will soon be

more like a desert. Rainfall is expected to decrease by 60 percent in some parts

of the country, and the amount of water replenishing streams and keeping soil

moist will drop by as much as 83 percent. As their land fails them,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from Central America to Sudan to the Mekong Delta will be

forced to choose between flight or death. The result will almost certainly be the

greatest wave of global migration the world has seen.

(답) 많은 사람들이 이곳의 고통을 초래한다고 생각하는 이상 기상 현상은, 가뭄과 갑작스러운

폭풍의 반복을 보이는 엘니뇨 현상으로, 지구가 따뜻해짐에 따라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테말라의 많은 지역이 곧 사막처럼 될 것입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강우량이

6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천을 유지하고 토양을 촉촉하게 하는 물의 양은 83%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들의 땅이 그들을 실망 시키면 중앙아메리카에서 수단, 메콩

삼각주에 이르기까지 수억 명의 사람들이 탈출하거나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그 결과로 우리는 확실하게 가장 큰 세계 이주의 물결을 보게 될 것입니다.

- 전공적합성(경찰관 40, 일반인 50) : 지원학과 관련 분야 연구·근무경력, 전공과목 성적,

추천서·자격증·어학성적 등 자료와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내용 등을 종합하여 지원학과와의
적합도를 정성평가

• 자기소개서(20점), 지원학과 관련 분야 연구·근무경력 등(경찰관 20점, 일반인

30점) 2개 평가항목을 매우 미흡, 미흡, 보통, 우수, 매우 우수의 5단계로 평가

- 20점 만점 : 매우 미흡(1~4점), 미흡(5~8점), 보통(9~12점), 우수(13~16점), 매우

우수(17~20점)

- 30점 만점 : 매우 미흡(1~6점), 미흡(7~12점), 보통(13~18점), 우수(19~24점), 매우

우수(25~30점)


background image

가. 필수 제출서류

구분

내용

비고 

① 제출서류 목록

• 제출서류의 표지로 사용
• 서류별 확인란에 제출 여부 표기하고 자필

서명 후 업로드

② 입학원서

• 인터넷 입학원서 입력 시 반드시 사진파일

업로드(입학 후 학적부 사진 등으로 사용)

• 자필 서명·날인 후 업로드

③ 개인정보 수집·이용· 

제공 동의서

• 인터넷 입학원서 접수 시 입력
• 자필 서명·날인 후 업로드

④ 대학(원) 졸업(예정) 

증명서

해외대학 졸업(예정)자의

경우 14p 내용 참조

⑤  대학(원)성적증명서 • 졸업예정자 : 직전 학기까지의 성적증명서

제출

GPA만점 및 최종성적이

성적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학교로부터 GPA만점이

기재된 성적확인서를

발급받아 함께 제출

➅  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 자기소개서 : 경력, 지원동기, 장래계획,

자신의 성격, 상벌사항 등 기재

• 연구계획서 : 석·박사학위과정 진학 시 주요

연구(관심)분야, 연구 목적(동기), 연구 방법

및 진행계획, 연구실적 등 연구계획이 잘

나타나도록 기재

➆ 위탁교육 대상자  

추천서

• 주간 석사학위과정의 경찰청 주관

위탁교육훈련 지원자(경찰공무원)만 해당

• 추천부서장* 자필 서명·날인을 받아 업로드

* 경찰서는경찰서장, 시·도경찰청 이상은

소속과장

• 개인성과는 경찰청 치안성과관리

시스템에서 캡처(3년간)하여 업로드

추천자 서명·날인 후 업로드

⑧ 재직증명서

• 경찰공무원만 업로드

e-사람 출력물 업로드

⑨  e-사람 인사요약카드 

(임용사항·포상· 

징계사항 전체)

• 경찰공무원만 업로드

인사 담당자를 통해 출력 후

업로드

※ “①제출서류 목록 ➅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➆위탁교육대상자 추천서” 양식은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홈페이지(입학정보→입시서식) 또는 대행업체 웹사이트 「나의 원서관리」에서 다운로드 받아 작성

※ 모든 제출서류는 제출서류 목록 순서에 따라 PDF파일로 변환하여 각 서류 항목별로 업로드(스캔한

글자를 읽을 수 있어야 하며, 필요시 원본 대조)

7.  제출 서류

12 | 13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다. 추가 제출서류 : 해당자만 제출

구분

내용

① 추천서

• 경찰관서장, 지도교수 등의 추천서

② 외국어 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2022. 9. 30.) 기준으로 최근 2년 이내 유효한 성적에

한함.(외국어공인성적증명서)

③  기타 학과·전공 관련 

분야 자격증, 논문 등

• 지원 학과와 관련된 서류만 제출

• 자격증, 재직증명서, 경력증명서, 상장 등 학과·전공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나 경력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석사학위과정 지원자(주·야간) 중 다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거나 취득 예정인 자는 석사학위

수여(예정) 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추가 제출 가능

<중국 소재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우>
- 중국 교육부 인증센터(http://www.chsi.com.cn)에서 발행한 영문 학력인증서 1부

[ 서류명 : Online Verification Report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 Certificate

(※ 졸업예정자의 경우 Online Verification Report of Student Record)]

- China  Academic  Degrees&Graduate  Education  Information(http://

www.cdgdc.edu.cn)에서 발급한 영문 학위인증서 1부
[ 서류명 : Credentials Report]

- 졸업증서(졸업예정증명서) 공증본 1부
- 학위증서 공증본(졸업예정자의 경우 졸업 후 제출) 1부
- 성적증서 공증본 1부
- 면접시험 당일 원본 지참

7.  제출 서류

나. 외국대학(원) 졸업자 제출서류

① 외국대학(원) 졸업(학위 수여) 증명서 1부 : 아포스티유 확인서 또는 출신학교 국가

주재 한국영사(또는 주한 공관영사) 확인서(단, 중국대학은 하단 내용 참조)

② 외국대학(원) 영문성적증명서 국문 번역본 및 번역본 공증서류 각 1부


background image

7.  제출 서류

아포스티유 협정국가 현황

지역

가입국

아시아‧

대양주

호주, 중국 일부(마카오, 홍콩), 일본, 한국, 뉴질랜드, 브루나이, 몽골, 쿡제도, 피지,

인도, 마샬군도, 모리셔스, 바누아투, 사모아, 통가, 니우에, 타지키스탄, 팔라우,

필리핀, 싱가포르

유럽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조지아, 독일,

몰타,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모나코, 몬테네그로,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키르키즈스탄, 마케도니아, 우크라이나, 영국, 안도라,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리히텐슈타인, 산마리노,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코소보

북미

미국

중남미

아르헨티나, 멕시코, 파나마, 수리남, 베네수엘라, 앤티가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콜롬비아, 도미니카연방,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그라나다,

온두라스, 세인트빈센트, 페루, 트리니다드토바고, 세인트루시아, 세인트키츠네비스,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니카라과, 파라과이, 브라질, 칠레, 과테말라, 볼리비아,

가이아나, 자메이카

중동‧아프리카

오만, 이스라엘, 바레인, 모로코, 튀니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츠와나, 브룬디,

레소토, 라이베리아, 나미비아, 상투메프린시페, 스와질랜드, 말라위, 카보베르데,

세이셸

14 | 15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가. 작성요령

1) 해당사항을 빠짐없이 입력하고 접수 완료(전형료 납부완료) 후 입학지원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를 제출서류와 함께 업로드

※ 원서접수기간 마감(9.30) 후에는 내용을 변경하거나 접수를 취소할 수 없으므로 접수기간 만료 전에

작성한 원서에 오류·오기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 바람(접수기간 중 수정 가능)

※ 특히, 지원 과정(박사학위과정, 주간 석사학위과정, 야간 석사학위과정) 및 학과(수사학과, 범죄학과,

공공안전학과, 미래치안과학융합학과)를 반드시 확인 바람.

2) 인적사항 기입란에는 입학전형기간 중 상시 연락 가능한 연락처(휴대전화 포함) 및 

전자우편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하며, 잘못 기재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은 지원자의 
책임으로 함

3) 모든 제출서류는 제출서류 목록 순서에 따라 PDF로 변환한 1개의 파일을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반드시 업로드하여야 함(10MB 이내)

4) 제출서류 등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원본 제출을 요구할 수 있음

8.  제출 서류  

작성 요령

가. 응시자 유의사항

1)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홈페이지’상 입학 안내 게시사항을 확인하고 안내에 따라야 함

※ 원서접수부터 최종합격자 발표까지 모든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전형단계별 공지사항

등을 통해 변경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기 바람

※ 대학(원)과정의 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 가능함

2)  지원서 접수 시 하나의 학과에만 지원 가능합니다.

※ 예시: 범죄학과 주간과정, 야간과정 모두 지원 가능(원서는 과정별 각각 제출, 면접도 각각 응시)하나,

동일과정에서 범죄학과, 수사학과 지원은 불가

3) 입학전형 성적은 공개하지 않음
4) 최종합격자로서 2023년 2월까지 신입생 입학자격을 갖추지 못한 경우와 등록기간 

중에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합격 및 입학을 취소함

5)  경찰청 주관 위탁교육훈련 대상자로 선정된 입학생은 치안대학원 위탁교육생 복무관리 

규정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함

6) 지원자가  모집인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도  수학에  지장이  있다고  판단되는  자에 

대하여는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

7)  본 요강에서 해석이 필요한 사항 및 명시가 되지 않은 입학 관련 사항은 본교 「대학원 

위원회」에서 정하는 바에 의함

9.  지원자  

유의사항


background image

나. 부정행위에 대한 조치

 제출서류 등의 대필, 표절, 허위기재, 서류의 변조 및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하거나 

합격한 사실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개강일이 지난 이후에도 합격 및 입학을 취소하며, 
향후 본교 입학에 제한을 받을 수 있음

일반전형

●  담당 부서 : 경찰대학 기획협력과 인재선발계 치안대학원 담당
●  연락처

• 이정현 +82-41-968-2955, hyun4156@police.go.kr
• 남기은 +82-41-968-2755, kinee296@police.go.kr

학사운영

●  담당 부서 : 경찰대학 교무과 대학원학사계 학사운영 담당
●  연락처 

• 김경훈 +82-41-968-2275, kyunghoon@police.go.kr

9.  지원자  

유의사항

10.  담당 부서

16 | 17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비 전

교 육

바른 인성과 전문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인프라

세계 일류 치안중심대학

인프라 구축

글로벌 치안 인재와 지식의 산실

4대분야

사회공헌

사회 나눔 활동을 통한

공유가치 실현

연 구

미래 치안지식의

선도적 창출

치안대학원 

소개


background image

치안대학원 

소개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2

part


background image

PART

02 치안대학원 

소개

1. 학교 소개

1979년 경찰대학 설치법 제정에 따라 설치된 이후 경찰대학은
인문학적 소양과 치안전문 능력을 겸비한 경찰인을 양성해 왔으며,
2016년 충남 아산으로 이전하여 경찰학문 발전의 중심 대학으로
새롭게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경찰대학은 학사학위과정과 함께 경찰간부후보생, 변호사 경력
채용자과정 등 경찰 중간관리자를 양성하는 전문 교육기관으로서
치안 분야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왔습니다.

또한, 2018년 6월 경찰개혁위원회의 ‘경찰대학 개혁 권고안’에
따라 편입학 제도를 도입하고 입학제한을 완화하는 등 경찰대학의
문호를 개방하고 학사운영과 생활지도를 개선하였으며, 대학 운영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치안대학원은 경찰학문의 중추기관으로
미래 지향적인 치안 분야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이론적 연구를 통한 치안정책의 고도화를
견인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2017년 새롭게 문을 연 치안대학원이  
 미래 치안지식 창출을 선도합니다.”

치안 분야 

교육 선도


background image

2.  교육과정 

(DEGREE  
PROGRAM)

석·박사학위과정

치안대학원  석·박사학위과정은  급변하는  치안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치안 분야에 관한 학술 연구·발전 
및 치안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를   위 해   경 찰 대 학 의   치 안 분 야   최 고 의   교 수 진 이 
학과·전공별 특화된 교육트랙을 마련, 치안현장과 접목된 
실천적  이론  연구와  학문적  체계를  갖춘  전문  교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안대학원은  경찰청과  치안정책연구소와의 
현장연계·공동연구 프로그램을 확충할 수 있으며, 경찰대학 
연구기구인 수사과학연구 센터·사회안전과 법센터 등 각종 
연구기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생생한 치안현장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전문지식을 배우고 
연구할 수 있는 것은 치안대학원만의 강점입니다.

공통 졸업 요건

미래치안과학융합학과 전공별 추가 졸업 요건

전공

전공별 추가 졸업 요건

포렌식사이언스

전공

이학

• 국내·외 학회 1회 이상 발표

• 국내 저널 1편 이상 게재

• SCI급 저널 1편 이상 투고

• 국내 특허 1편 이상 출원

(경찰청 과학치안 관련 아이디어 공모 등 인정)

심리학

• 국내/외 학회 2회 이상 발표

• 국내 저널 2편 이상 게재

• SSCI급 저널 1편 이상 투고

데이터사이언스 전공

• KCI급 학술지 1편 이상 게재

사이버보안 전공

• 국내 등재·등재후보학술지 논문 투고(등재) 실적 1편

(단,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제1저자/주저자 및 교신저자 만 가능)

학위과정별 수업연한*을 재학하고, 이수학점**을 취득한 학생으로서 외국어시험 및 종합
시험과 학위논문심사에 합격하여 소정의 기일 내에 최종 인증된 논문 제출 시 학위 수여
* 석사학위과정 수업연한 2년, 박사학위과정 수업연한 2년
** 주간석사학위과정 33학점, 야간석사학위과정: 30학점(논문 제출자는 논문지도학점 6점을

포함한다.), 박사학위과정 39학점

20 | 21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INTRODUCTION

범죄수사는 수사 관련 법 · 제도, 수사정책, 범죄 유형별 전문수사, 첨단 수사기법,
과학수사, 사이버범죄 수사, 수사심리 등 여러 실천 · 실용적인 하위 분야로 구성되고,
학문적으로는 형사법학, 사실인정학 (事實認定學), 법의학, 법과학, 법해석학, 심리학,
범죄학 등의 다양한 연구 성과가 복합적으로 응용되는 영역입니다. 수사학과는 인권
보장적 적법 절차와 더불어 공정성, 전문성, 효율성을 구현하기 위해 선진 법제를
탐구하고, 범죄수사의 과학화 및 전문화 증진을 위한 실천적 연구를 목표로 교육을
진행합니다. 수사학과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사법제 전공과 범죄수사
전공을 두고 있습니다.

수사학과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세계 최고 수준의 수사 전문가를 양성하다”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수사정책세미나, 수사와 인권, 수사절차법, 수사판례연구, 사이버형사법, 수사와 미디어, 
형사증거법, 비교수사제도론, 사이버법과 수사정보, 정보화 사회와 헌법, 국제수사공조론, 
범죄정보와  수사,  기업  규제  법제와  수사,  재산범죄  판례와  수사,  외국인  범죄와  수사, 
특별형법연구, 민사와 형사법 Ⅰ, 민사와 형사법 Ⅱ

첨단수사기법론, 범죄수사와 프로파일링, 수사윤리, 사이버범죄세미나, 수사심리학, 현장감식론, 
법과학, 법의학, 수사사례 분석 세미나, 수사면담세미나, 디지털 포렌식, 연쇄범죄분석(Serial 
Crime Analysis), 미제사건분석론, 강력범죄수사론, 성폭력범죄수사론, 조직범죄수사론, 
지능범죄수사론, 마약범죄수사론, 의료범죄수사론, 법심리학, 범죄심리학

CURRICULUM

CURRICULUM

 수사법제전공

 범죄수사전공 

수사 관련 법령과 제도, 수사정책, 수사행정, 

수사절차,  형사증거법,  비교수사제도,  수사 

판례, 특별형법, 기업 규제 법제, 사이버법, 국제 

수사공조  등을  기반으로  인권보장적인  적법 

절차와  공정성,  전문성,  효율성을  구현하는 

선진적인  수사  법제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합니다. 

범죄  유형별  전문 수사,  수사사례  세미나, 

과학 수사,  프 로파 일링,  사 이버범죄  수사, 

미제사건 분석, 첨단수사, 수사심리, 법의학, 

그리고  수사윤리  등을  기반으로  범죄수사의 

과학화와 전문화 구현을 위한 실천적인 연구와 

교육을 수행합니다.

22 | 23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INTRODUCTION

범죄학은 범죄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방법론적 분석을 통해 범죄의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필수적인 학문분과로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경제학 등 인접 사회과학분야와의 학제간 협력과 융합을 통해 발전해옴으로써
일탈과 범죄 등 다양한 사회현상을 총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범죄학과는 학생들이 장차 범죄전문가로서의 학자적 소양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며, 본
대학원은 정책, 통찰, 행정 등에 있어서의 능력함양에도 동일한 비중을 할당함으로써
실무적 감각을 가지고 치안행정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훈련합니다.
범죄학과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범죄분석 전공과 범죄예방 전공을 두고
있습니다.

범죄학과

“과학적 범죄 예측과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다”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범죄이론세미나, 범죄심리학, 범죄학 특수과제, 범죄분석과 예측, 측정과 평가, 피해자학, 
범죄경제학, 정신병리학, 국제 및 외국인 범죄 분석, 법심리학, 범죄사회학, 기초범죄통계론, 
범죄학 질적방법론, 중급회귀분석, 로그선형분석, 공변량구조분석, 지리정보와 범죄지도, 법과 
정신건강, 연구방법론

범죄예방세미나,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 CPTED(범죄예방환경설계), 
범죄다수준분석, 범죄예방사건사분석, 시계열분석, 청소년범죄예방세미나, 여성범죄예방세미나, 
생활안전세미나, 노인범죄예방세미나, 교통관리세미나, 범죄행동의 이해, 범죄예방과 경찰활동, 
연구방법론

CURRICULUM

CURRICULUM

 범죄분석전공 

 범죄예방전공 

범죄분석 전공은 다양한 범죄학 이론을 통해 

범죄의 원인을 개인적, 집단적, 사회적 수준에서 

파 악 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질적,  양적 

방법론을 통해 제시하는 능력을 키워가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범죄자 및 범죄행위에 대한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설명틀 안에서 

때론  개별적으로  때론  통합적으로  다양한 

이론을  활용할  능력과  수집된  범죄자료를 

분석하는  기술을  배움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조화롭게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범죄  예방  전공 은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위기상황을  인지하고  평가하여  범죄행위가 

미연에  방지  되거나  혹은  그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 기술적으로 

연구하고  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범 죄 의   발 생   이 전 부 터   범 죄 자 의   교정 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범죄를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  정부,  민간단체,  지역사회  등 

사회 전반의 자원과 에너지를 활용하는 전략과 

기술을  학술적,  실무적  차원에서  조화롭게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24 | 25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INTRODUCTION

공공안전학과는 각종 사건사고와 무질서 및 위기로부터 국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 법제도, 안전관리기법 등을 심층 연구하고, 이 연구 결과를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유능한 행정리더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각종 사건과 사고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효율적인 사후대응에 필요한 이론과 해결책들을 융합학문적으로 연구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현장전문가를 육성하고, 사회경제적 여건이 복잡·불확실해지고
민주화·국제화되는 추세 속에서 공공안전관리조직들을 효율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비전있고 전략적인 행정리더를 육성합니다. 공공안전학과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안전법학 전공과 공공안전행정 전공을 두고 있습니다.

공공안전학과

“공공안전분야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다”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경찰법 일반이론, 경찰관직무집행법,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연구, 사회안전 정책과 법 
세미나, 경찰활동과 권리구제, 경찰법판례연구, 치안정보와 인권, 정보공개법연구, 경찰강제론, 
민사와  형사법Ⅲ,  민사와  형사법Ⅳ,  민사  갈등과  경찰활동Ⅰ,  민사  갈등과  경찰활동Ⅱ, 
첨단과학기술과 헌법, 인권법, 비교경찰법, 독일경찰법연구

CURRICULUM

 공공안전법학전공 

공공안전법학  전공은  경찰법,  경찰관직무집행법,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등  공공안전법 

분야에  있어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에  그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공공안전법학전공에서는 특화된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하여 공공안전법학의 기본체계와 이론적 

기초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분야의 실무와 판례에 대한 토론과 연구를 통하여 법 이론과 

실무적 지식이 실질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공공안전학  개론,  위기관리론,  위기협상론,  재난관리론,  테러리즘,  사이버보안정책론, 
산업보안론, 드론과 사회안전, 민간경비론, 민간조사론, 비교시큐리티연구, 치안리더십세미나, 
사회질서론, 경찰개혁세미나, 조정협업론, 치안성과관리, 치안재정론, 공직윤리론, 대민정책론, 
사회변동과 치안, 치안정보세미나, 공공경비세미나, 북한치안특수연구, 경찰행태와 문화, 
인터넷에서의 위험방지, 연구방법론

CURRICULUM

 공공안전행정전공 

공공안전행정 전공은 한편으로는 우리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구성요소와 원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안전전문가들에게 유용한 과목들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사회의 질서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비전과 정책들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리더들에게 유용한 과목을 개설합니다. 

자치경찰론, 자치경찰, 정책형성론, 자치경찰과 법, 지방행정과 자치경찰, 자치경찰정책, 
분석평가론, 자치경찰과 시민참여론, 자치경찰과 지방재정론, 젠더와 경찰활동, 아동학대 및 
가정폭력, 소년비행과 소년사법, 생활안전과 범죄예방, 자치경찰 교통론

CURRICULUM

 자치경찰전공

지역사회의 공공안전 확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주민이 치안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에 

참여하는공동생산으로 풀뿌리 민주주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특히, 사회적 약자인 아동, 

여성, 노인 등을 보호하는 사회적약자 프로그램을 어떻게 지역 맞춤형으로 설계, 제공하여 모든 

주민들이 소외되지 않는 행복한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이상을실현하기 위한 행정, 법률, 치안정책, 

생활안전 등에 관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6 | 27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포렌식사이언스전공 

이학
날로 진화하는 다양한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포렌식사이언스 이학 과정은 범죄현장의 

물적증거를 대상으로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포렌식사이언스 전문인력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포렌식사이언스  이학  과정은  hands-on  실험수업  및  연구를  중심으로,  포렌식분석기술 

연구방법세미나, 포렌식사이언스세미나, 포렌식물적증거, 포렌식바이오증거, 미세증거/현미경분석, 

포렌식흔적/패턴증거, 포렌식장비/정밀기기분석, 포렌식독성/마약증거, 포렌식화재/폭발증거, 

포렌식인공지능데이터구축  등에  대한  이론연구와  실험중심  연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죄현장의 과학기술 기반 증거채취/분석을 통하여 원인규명과 개인식별 등 사건해결을 위한 실험/

연구중심의 전문과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치안과학기술 분야에서 R&D교육연구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개발의 

연구결과를 산출하고 현장에 직접 접목시킬 수 있는 전문 치안과학자 양성과정으로 운영됩니다.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미래치안과학융합학과

포렌식사이언스  세미나,  포렌식  물적증거,  포렌식  바이오  증거,  미세증거/현미경분석, 
포렌식 흔적/패턴 증거, 포렌식 장비/정밀기기 분석, 포렌식 규제물질, 포렌식 연구방법론, 
과학적커뮤니케이션, 실험실안전/운영/관리/책임, 인턴쉽, 포렌식 회계분석, 포렌식과 범죄학, 
미래치안 전략포렌식 독성물질

CURRICULUM

심리학
포렌식사이언스 심리학 과정은 다양한 법·범죄심리학 이론을 통해 범죄의 원인을 평가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제시하는 능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합니다. 
생물학 및 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범죄행위와 범죄자에 대해 분석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조화롭게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범죄심리 분석, 목격자 증언과 진술분석, 신경범죄학, 범죄행동분석, 범죄심리통계 법심리학, 
미래치안 전략

CURRICULUM


background image

3.  학과, 전공 

(FIELDS OF 
STUDY)

중급통계분석, 파이썬, 프로그래밍, 연구방법론,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사이언스프로젝트, 
회귀분석, 범죄통계, 고등논제, 데이터분석 및 형사법해석, 기초통계학과 치안데이터 활용, 
기초범죄통계론, 클라우드 컴퓨팅, 치안 지리정보시스템, 사이버범죄와 빅데이터, AI를 활용한 
치안로봇, 데이터사이언스와 국제법

CURRICULUM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데이터사이언스 전공은 다양한 분석방법론과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자율주행 개론, 인공지능 개론, 드론과 사회안전, 자율주행 정책학, 자율주행 범죄학, 자율주행 
법제 세미나, 자율주행 (사고)수사론,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모빌리티와 경찰활동, 모빌리티 
사고조사 및 분석, 모빌리티 보안, 모빌리티와 포렌식, 자율주행과 딥러닝, 자동화와 증강

CURRICULUM

 스마트모빌리티전공 

스마트모빌리티 전공은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친환경자동차, 개인교통수단(PM, Personal Mobility) 등 새롭게 등장하는 

신교통수단을 도시에 수용하기 위한 기술 및 서비스를 연구합니다. 특히 신교통수단을 우리 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법과 제도, 기술을 논의합니다. 또한 스마트모빌리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범죄, 테러 등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과 기술 개발을 연구합니다.

사이버보안물리개론Ⅰ, Ⅱ, 사이버범죄 수사지식 체계론, 사이버테러, 가상자산과 범죄 수사, 
사이버 시대의 자금세탁 방지, 전기통신금융사기 방지론, 사이버범죄 프로파일링, 사이버 
범죄심리학, 디지털 범죄수사와 기본권-사례연구, 온라인 행동분석과 사이버 범죄, 사이버보안과 
기본권 침해, 사이버 안보 대응 법제 비교법론, 사이버범죄 수사윤리

CURRICULUM

 사이버보안전공

사이버 보안 전공은 사이버 범죄 수사를 중심으로 하는 형사사법 및 사이버보안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  간  융합적  접목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사이버보안  전공  커리큘럼은  원생들로  하여금 

실천적이고 경쟁력 있는 학술지식의 함양과 더불어 최근의 디지털 범죄 및 사이버상의 보안 위협에 

관한 여러 시의적절한 사안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특히 

사이버범죄학을 비롯하여 디지털 범죄수사 관련 지식 및 기본권과 같은 법적 현안, 그리고 사이버 

보안 위험평가와 디지털 포렌식 세미나 등을 통하여 해당 전공에 대한 원생들의 학문적 통찰력을 

가일층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28 | 29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4.  장학제도

 입학 우수 장학금 

지급 기준

• 석사과정(주/야), 박사과정 학과별 입학성적 최우수자 9명

장학금액

• 등록금의 50% 감면

 성적 우수 장학금 

성적우수 A

• 석사과정(주/야) 학과별 학기 성적 최우수자 6명, 박사과정 최우수자 1명 등 총 7명

• 등록금의 50% 장학금 지급

성적우수 B

• 대학원위원회 의결 → 학장 결정

동점자

처리기준

① 수강한 각 교과목 학점 × 취득 평점의 합계

② 신청학점 합계

③ 성적취득 과목 수

④ 수강과목 전체 수강인원의 합

※ 「치안대학원 학칙」제29조(성적평가)에 의함

 연구·강의지원 장학금

지급 기준

•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지도교수의 연구·강의를 보조하는 자

장학금액

• 등록금의 80% 감면

 학사·학술지원 장학금

지급 기준

• 학과 또는 학사 행정 및 학술 행사 등 지원

장학금액

• 등록금의 80% 감면

 면학 장학금 

지급 기준

•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또는 장애 등으로 학업에 어려움이 있는자

장학금액

• 등록금의 50% 감면

신청 자격 

• 기초 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확인서, 장애인 등록증 또는 이와 동등하다고 인정될

수 있는 확인서 제출

※ 지급기준액,

인원 등은

「대학원위원회」

심의·의결에 따라

변경 가능합니다.


background image

5.  기숙사 이용

 입주 자격 

 치안대학원에 재학 중인 자로, 생활관 운영위원회에서 선발된 자

 선발 절차 (매학년도 입주자격과 절차 사전 공지)

 신청서 접수 → 「생활관 운영위원회」에서 대상자 선발 → 본인 입주 통지

 입주 등록

 월 기숙사비(148,000원)* 납부를 마친 후 의료기관의 건강진단서 제출**, 입주 

서약서를 작성하고, 입주일에 입주

* 월 기숙사비는 매년 「생활관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
** 결핵(흉부 X선 촬영) 및 B형 간염 검사

 입주기간은 개관일로부터 1년을 원칙으로 하며, 재학기간 범위 내에서 연장 가능

 퇴거 처분 (위원회 의결을 거쳐 퇴거처분 가능)

<입주 자격 제한 사유>
• 학칙에 의하여 징계처분을 받은 자
• 기숙사에서 퇴거처분을 받은 자
• 전염성 질환자 및 보균자
• 휴학 중인 사람
• 기타 생활관 운영위원회에서 부적당하다고 인정하는 자여

<퇴거 처분 사유>
• 입주자 준수사항을 3회 이상 위반하거나 사내 질서를 문란케 한 자
• 기숙사비를 2회 이상 체납한 자
• 입주자격 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사실이 발생한 자
• 누적벌점이 10점 이상인 자
• 월 기준, 기숙사 숙박일수가 10일에 이르지 아니한 자
• 기타 공동생활을 영위하기에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자

30 | 31

2023학년도 치안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


background image

6.  서울 

학습관 
(야간과정)

 

 위치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 9길 新 경찰청교육장(舊 서울경찰청 202경비단)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에서 657m

 시설

 서울학습관 시설공사중으로 완료 시 치안대학원 홈페이지에 안내 예정

 운영 

 운영 시간 :  학기 중 월~금 강의시간(19시~22시)에 운영, 다만 사정에 따라 요일·시간 

변경 가능  

야간석사학위과정 및 박사학위과정(희망자)은 수업시간(19시~22시)을 고려하여 교통이
편리하고 지리적 접근성이 용이한 「서울학습관(서울 종로구 창성동 소재)」에서 운영


background image

17

7

9

8

18

15

5

10

12

11

6

1

2

3

16

14

13

1

 본 관

2

 강 당

3

 실내체육관·수영장

4

 치안대학원·연구강의동

5

 김구도서관

6

 치안정책연구소

7

 학생회관

8

 학생생활관 

9

 직무생활관(대학원생 기숙사)

10

 교직원 아파트

11

 교향악단

12

 체육단

13

 치안대학원 연구실

14

 실내사격장

15

 교통교육장

16

 장비관리동

17

 체력단련장

18

 정문 

4

CAMPUS 
GUIDE

GRADUATE SCHOOL OF POLICE STUDIES 


background image

찾아
오시는 길

GRADUATE SCHOOL OF POLICE STUDIES 

주소  

(31539)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황산길 100-50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 예산, 신창

천안방면 

천안방면 

623번 도로

경찰인재개발원 삼거리

초사 IC

21번 국도

 예산방면

울바위 

로타리

신정호

S-Oil 주유소

온양초사 

초등학교

온양온천역

신창역

천안 IC

황산길

진입로


background image

(31539)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황산길 100-50 경찰대학 
인재선발계(모집 · 선발) 

Tel. 041-968-2955, 2755    Fax. 041-968-2489

대학원학사계(학사 · 대학원생활)  Tel. 041-968-2575      http://www.police.ac.kr
기획·디자인  (주)범신사 

Tel. 02-720-9786

1

 실천형 인재  | 현실문제 해결에 탁월한 전문역량 구비

2

 융합형 인재  | 전공지식과 더불어 폭넓은 학문적 소양 겸비

3

 미래형 인재  | 글로벌 역량과 리더십으로 치안환경 변화 선도

4

 통찰형 인재  | 표층적 범죄현상으로부터 사회의 심층적 이면 직시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요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