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특성 (논리성-연역법)
연역법(deduction)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실례를 들어보시오.
4
과학의 특성 (논리성-연역법)
Ans.
연역법: 전체가 참(眞)이면 부분도 참(眞)이라는 사고방
법. 즉,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을 추정하는 방법
(예) 모든 포유동물은 새끼에게 젖을 먹여 키운다. (전제 1)
모든 고래는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운다. (전제 2)
그러므로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라 포유동물이다. (결론)
5
과학의 특성 (논리성-귀납법)
귀납법(induction)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실례를 들어보시오.
6
과학의 특성 (논리성-귀납법)
Ans.
귀납법: 특수한 사실을 전제로 일반적 원리로서의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 즉, 경험(관찰)적 사실에 기초하여 일반적 법칙(이론)을 발견하
려는 사고방법. Empirical study, 통계적 추론은 모두 이에 해당된다.
[통계치(부분)-> 모수치(전체) 추정]
(예) 현대자동차 100대를 표본으로 선정해 실험했더니 그 중 1대가
불량품으로 판명되었다. (통계적 사실)
모든 현대자동차의 1%는 불량품일 것이다.(모수치 추정)
7
3. 이상적인 과학의 특성 (계속)
④간결성-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요인만을 간추려서 사건의
원인으로 간주해서 설명 시도
⑤구체성- 논제를 연구할 때 분명히 밝혀야 할 개념의 뜻을
조작적 정의를 통해 구체화
⑥실증적 검증 가능성-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⑦간 주관성(inter-subjectivity)- 두 과학자가 같은 실험을
했을 때 같은 결론에 도달해야 함
⑧개선 혹은 수정 가능성-과학은 당시의 상황에 맞게 개선
될 수 있음을 부정하지 말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