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과 가족치료
6.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권 중 돈
기반
: 일반체계이론과 1차 사이버네틱스, 빈곤가족의 복합 문제해결 경험
특성
: 가족성원간의 반복적 상호작용 즉, 가족구조 변화에 초점
Minuchin: 아르헨티나 이민자인 유태인 장남, Wiltwyck School에서 비행
청소년 문제 해결에 가족구조 변화의 필요성 인식
(Jackson의 영향),
Haley(의사소통모델)의 영향과 Philadelpia Child Guidance Clinic의 빈곤아동 치료경험을 바탕
으로 구조적 가족치료 개발
, 대표저서로는 Families and Family Therapy(1974)
Fishman, Aponte, Montalvo, Rosman 등이 비행청소년, 중독자가족, 빈곤가족, 정신신체증상의
치료에 헌신하고 있으며
,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발전에 영향을 미침
2007년 Psychotherapy Networker 조사에서 지난 2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치료자 10명에 선정
구조적 가족치료는 다양한 문화에 적용가능하며
, 특히 가족성원간의 경계와 위계질서 중시하는
동양문화권 가족문제에 효과적이지만
, 가족내의 부부 및 부모하위체계에 존재하는 권력 불균형
문제와 성역할 사회화의 차이를 다루지 않는다는
Feminist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음
기반
: 일반체계이론과 1차 사이버네틱스, 빈곤가족의 복합 문제해결 경험
특성
: 가족성원간의 반복적 상호작용 즉, 가족구조 변화에 초점
Minuchin: 아르헨티나 이민자인 유태인 장남, Wiltwyck School에서 비행
청소년 문제 해결에 가족구조 변화의 필요성 인식
(Jackson의 영향),
Haley(의사소통모델)의 영향과 Philadelpia Child Guidance Clinic의 빈곤아동 치료경험을 바탕
으로 구조적 가족치료 개발
, 대표저서로는 Families and Family Therapy(1974)
Fishman, Aponte, Montalvo, Rosman 등이 비행청소년, 중독자가족, 빈곤가족, 정신신체증상의
치료에 헌신하고 있으며
,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발전에 영향을 미침
2007년 Psychotherapy Networker 조사에서 지난 2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치료자 10명에 선정
구조적 가족치료는 다양한 문화에 적용가능하며
, 특히 가족성원간의 경계와 위계질서 중시하는
동양문화권 가족문제에 효과적이지만
, 가족내의 부부 및 부모하위체계에 존재하는 권력 불균형
문제와 성역할 사회화의 차이를 다루지 않는다는
Feminist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음
Salvador Minuchin
(1921-2017)
1. 발달배경과 특성
2. 주요개념
2.1. Minuchin 모델의 기본가정
• 가족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이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함
• 가족성원은 가족체계에 적응해야 하며, 성원 개인의 행동에 의해 가족체계의 특성이 규정됨
• 가족성원간의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호작용 유형이 형성됨
• 가족체계는 성원의 지지·양육·사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 성원을 구속하는 통제체계를 가짐
• 가족체계는 자기보존적 특성을 지니므로. 자체적으로 유지되고, 변화를 유지할 수 있음
•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로 분화되며, 하위체계를 통해 가족체계의 기능을 수행
• 성원은 다양한 하위체계에 속하며, 그 안에서 각기 다른 권력을 갖게 되며, 특수한 기술을 배움
• 가족구조의 변형으로 하나 이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원의 행동과 정신과정의
변화를 일으킴
. 즉,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하여 가족성원의 증상이나 문제 해결
• 치료자가 치료에 참여할 때 치료자의 행동은 환자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의 일부가 됨
• 가족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이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함
• 가족성원은 가족체계에 적응해야 하며, 성원 개인의 행동에 의해 가족체계의 특성이 규정됨
• 가족성원간의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호작용 유형이 형성됨
• 가족체계는 성원의 지지·양육·사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 성원을 구속하는 통제체계를 가짐
• 가족체계는 자기보존적 특성을 지니므로. 자체적으로 유지되고, 변화를 유지할 수 있음
•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로 분화되며, 하위체계를 통해 가족체계의 기능을 수행
• 성원은 다양한 하위체계에 속하며, 그 안에서 각기 다른 권력을 갖게 되며, 특수한 기술을 배움
• 가족구조의 변형으로 하나 이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원의 행동과 정신과정의
변화를 일으킴
. 즉,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하여 가족성원의 증상이나 문제 해결
• 치료자가 치료에 참여할 때 치료자의 행동은 환자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의 일부가 됨
2. 주요개념
• 개념: 가족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
(functional
demand) 즉, 가족의 특징적 상호작용 유형으로, 반복적이고 체계화되어 예측 가능한
가족의 행동유형
• 가족구조 내에는 가족성원이 상호의존, 상호보완 하면서 만들어낸 위계구조
(hierarchy),
상호작용 규칙
(interaction rules)이 존재함
•
이러한 위계질서와 상호작용 규칙을 통해 가족체계는 성원의 행동을 규제함
•
가족구조의 개념 속에 하위체계
, 경계선, 위계구조의 하위개념이 포함되지만, 논의의
편의상 각각의 주요개념으로 분리하여 논의함
2. 2. 가족구조(family structure)
2. 주요개념
2. 3. 하위체계(subsystem)
•
개인
, dyad, triad 모두 가족의 하위체계이며, 성, 연령, 흥미, 기능에 따라 형성됨
•
모든 성원은 하위체계에 속하고
, 그 속에서 각기 다른 권력과 역할, 기능 수행하며
상보적 관계 형성하는데
, 하위체계의 역기능은 가족문제 유발
•
대표적 가족하위체계
: 부부, 부모, 부모-자녀, 형제 하위체계가 있음
1) 부부하위체계(spouse subsystem)
•
결혼에 의해 형성되며
, 애정, 성적욕구 충족, 친밀감, 의사소통 기능이 주요 과업
• 기능적 상호작용: 상보성과 상호적응(즉, 자기 유지하면서 타인 지지), 다른 하위체계의
지나친 요구나 간섭이 없는 분명한 경계선
• 역기능적 상호작용: 한 배우자가 설정한 기준에 도달 강요, 어느 일방의 의존성 조장,
타 하위체계의 침범이 많거나 부부만의 심리사회적 공간 없음
•
개인
, dyad, triad 모두 가족의 하위체계이며, 성, 연령, 흥미, 기능에 따라 형성됨
•
모든 성원은 하위체계에 속하고
, 그 속에서 각기 다른 권력과 역할, 기능 수행하며
상보적 관계 형성하는데
, 하위체계의 역기능은 가족문제 유발
•
대표적 가족하위체계
: 부부, 부모, 부모-자녀, 형제 하위체계가 있음
1) 부부하위체계(spouse subsystem)
•
결혼에 의해 형성되며
, 애정, 성적욕구 충족, 친밀감, 의사소통 기능이 주요 과업
• 기능적 상호작용: 상보성과 상호적응(즉, 자기 유지하면서 타인 지지), 다른 하위체계의
지나친 요구나 간섭이 없는 분명한 경계선
• 역기능적 상호작용: 한 배우자가 설정한 기준에 도달 강요, 어느 일방의 의존성 조장,
타 하위체계의 침범이 많거나 부부만의 심리사회적 공간 없음
2. 주요개념
2. 3. 하위체계
2) 부모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
자녀출산으로 형성되며
, 자녀의 양육, 지도, 통제 기능 수행, 자녀연령에 따라 변화함
• 즉, 부부간의 지지와 친밀성 유지하면서 자녀를 사회화 또는 보호해야 하므로, 자녀를
부부기능에서 제외함과 동시에 부모에게 접근을 허용하는 경계선
• 영유아기(영양분의 공급과 보호), 성장기(자율성과 통제의 조화), 청소년기(자율성 인정),
성인기 이후
(성인 인정)이 주된 기능이나, 부모의 의견 일치와 발달단계 따른 재조정 중요
3) 형제하위체계(sibling subsystem)
• 동일세대로 구성된 하위체계로, 성, 지위, 권력에 따라 위계구조 형성
• 최초의 사회적 실험실로서, 협동, 경쟁, 양보, 연합, 갈등해결, 우정 등 사회성 학습
• 형제하위체계에서 배운 사회적 기술을 대인관계에 적용함
• 부모의 편애, 편가르기, 비교하기 등이 없어야 하며, 스스로 친밀감, 유대감을 형성하고,
갈등이나 문제를 자율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함
2) 부모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
자녀출산으로 형성되며
, 자녀의 양육, 지도, 통제 기능 수행, 자녀연령에 따라 변화함
• 즉, 부부간의 지지와 친밀성 유지하면서 자녀를 사회화 또는 보호해야 하므로, 자녀를
부부기능에서 제외함과 동시에 부모에게 접근을 허용하는 경계선
• 영유아기(영양분의 공급과 보호), 성장기(자율성과 통제의 조화), 청소년기(자율성 인정)
성인기 이후
(성인 인정)이 주된 기능이나, 부모의 의견 일치와 발달단계 따른 재조정 중요
3) 형제하위체계(sibling subsystem)
• 동일세대로 구성된 하위체계로, 성, 지위, 권력에 따라 위계구조 형성
• 최초의 사회적 실험실로서, 협동, 경쟁, 양보, 연합, 갈등해결, 우정 등 사회성 학습
• 형제하위체계에서 배운 사회적 기술을 대인관계에 적용함
• 부모의 편애, 편가르기, 비교하기 등이 없어야 하며, 스스로 친밀감, 유대감을 형성하고,
갈등이나 문제를 자율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함
2. 주요개념
2. 4. 경계선(boundary)
• 개념: 누가, 어느 정도,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규정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규칙
• 기능: 성원간 친밀도, 자원교류 정도, 하위체계 및 가족체계 기능 수준 평가 가능하게 함
1) 애매한 경계선
(diffused boundary)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 (그림 7-1참조)
•
가족성원간 간격이 없고
, 서로를 너무 잘 알고 있어, ‘I’는 존재하지 않고 ‘We’만 존재
•
다른 하위체계의 관심
, 간섭, 지지가 심하고, 일체감 강조로 자율적 기능이 어려움
•
따라서 성원은 정체감 확립
, 자율성 확보, 독자적 발달욕구 및 문제해결에 애로 발생
2) 경직된 경계선(rigid boundary) 유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
•
성원
, 하위체계간의 소통과 상호작용이 거의 없이, ‘나는 나, 너는 너’처럼 따로 분리
•
상호 분리되어 있어서 애정
, 접촉, 소속감, 지지, 협상 등이 결여, 가족보호기능 손상
•
가족 외부 체계와도 분리되고 소외됨
3) 분명한 경계선(clear boundary)정상적 가족(normal or functional family)
•
자율성
(독립)+친밀감(유대)의 공존, ‘I’의 정체감과 We의 소속감 동시 존재
•
고유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면서 다른 하위체계 성원들과도 접촉
•
새로운 가족구조에 필요한 협상
·적응·실험을 함
• 개념: 누가, 어느 정도,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규정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규칙
• 기능: 성원간 친밀도, 자원교류 정도, 하위체계 및 가족체계 기능 수준 평가 가능하게 함
1) 애매한 경계선
(diffused boundary)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 (그림 7-1참조
•
가족성원간 간격이 없고
, 서로를 너무 잘 알고 있어, ‘I’는 존재하지 않고 ‘We’만 존재
•
다른 하위체계의 관심
, 간섭, 지지가 심하고, 일체감 강조로 자율적 기능이 어려움
•
따라서 성원은 정체감 확립
, 자율성 확보, 독자적 발달욕구 및 문제해결에 애로 발생
2) 경직된 경계선(rigid boundary) 유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
•
성원
, 하위체계간의 소통과 상호작용이 거의 없이, ‘나는 나, 너는 너’처럼 따로 분리
•
상호 분리되어 있어서 애정
, 접촉, 소속감, 지지, 협상 등이 결여, 가족보호기능 손상
•
가족 외부 체계와도 분리되고 소외됨
3) 분명한 경계선(clear boundary)정상적 가족(normal or functional family)
•
자율성
(독립)+친밀감(유대)의 공존, ‘I’의 정체감과 We의 소속감 동시 존재
•
고유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면서 다른 하위체계 성원들과도 접촉
•
새로운 가족구조에 필요한 협상
·적응·실험을 함
개념
: 하위체계의 경계선과 기능을 기반으로 형성된 가족내 권력과 책임소재
자연적 위계질서
(즉, 연령과 성에 따른 위계질서) 존중될 경우 기능적 가족이나, 제휴,
동맹
, 결탁(연합) 등이 나타나면 위계구조 혼란 (그림 7-1의 symbol 참조)
제휴
(alignment): 성원간의 지지와 협력 또는 반대나 대립적 관계로, 동맹과 결탁 포함
동맹
(alliance): 이해관계가 같은 두 사람이 공동의 이익과 목적을 위해 제휴하지만,
제
3자에게 반드시 적대적이지는 않음 (그림 7-5 참조)
결탁
(연합, coalition): 두 사람이 제3자에게 대항하기 위해 협력하는 유형
- 안정적 연합(stable coalition): 지속적인 밀착과 결탁으로, 세대간 연합인 경우 위계
구조가 혼란되어
, 역기능 발생(예: 고부갈등) (그림 7-2, 3 참조)
- 우회연합(detouring coalition): 갈등 발생시 이를 회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끌어
들이는 제휴로서
, 위계질서의 혼란 초래 (그림 7-6 참조)
동맹과 결탁
, 우회에 의해 자연적 위계질서가 혼란되면, 가족내에 역기능 발생
개념
: 하위체계의 경계선과 기능을 기반으로 형성된 가족내 권력과 책임소재
자연적 위계질서
(즉, 연령과 성에 따른 위계질서) 존중될 경우 기능적 가족이나, 제휴,
동맹
, 결탁(연합) 등이 나타나면 위계구조 혼란 (그림 7-1의 symbol 참조)
제휴
(alignment): 성원간의 지지와 협력 또는 반대나 대립적 관계로, 동맹과 결탁 포함
동맹
(alliance): 이해관계가 같은 두 사람이 공동의 이익과 목적을 위해 제휴하지만,
제
3자에게 반드시 적대적이지는 않음 (그림 7-5 참조)
결탁
(연합, coalition): 두 사람이 제3자에게 대항하기 위해 협력하는 유형
- 안정적 연합(stable coalition): 지속적인 밀착과 결탁으로, 세대간 연합인 경우 위
구조가 혼란되어
, 역기능 발생(예: 고부갈등) (그림 7-2, 3 참조)
- 우회연합(detouring coalition): 갈등 발생시 이를 회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끌
들이는 제휴로서
, 위계질서의 혼란 초래 (그림 7-6 참조)
동맹과 결탁
, 우회에 의해 자연적 위계질서가 혼란되면, 가족내에 역기능 발생
2. 주요 개념
2.5. 위계구조(hierarchy)
2. 주요 개념
•
가족은 성원의 발달적 욕구와 외부 압력에 반응하여
, 가족관계 변화시켜 연속성을 유지함
• 가족적응의 특성: 가족은 특정 구조를 선호하며, 이에 따라 일상적 요구에 반응하지만,
재구조화를 요구할 때 대안적 상호작용 유형을 모색하여 가족구조를 수정하여 적응해야
가족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
• 만약 가족 내외부의 재구조화 요구에 기존 방식대로 경직되게 반응할 경우 역기능 발생
• 가족적응을 요구하는 스트레스 유발인자(stressor)
- 성원 한 명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받는 스트레스(다른 성원에게 확대되면 역기능)
- 전체 가족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받는 스트레스(이사, 빈곤, social matchmaker 요구)
- 가족발달단계상의 과도기에 겪는 스트레스(자녀 청소년기 vs 부모 갱년기 등)
- 특수한 문제(성원의 장애나 질병)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
•
가족은 성원의 발달적 욕구와 외부 압력에 반응하여
, 가족관계 변화시켜 연속성을 유지함
• 가족적응의 특성: 가족은 특정 구조를 선호하며, 이에 따라 일상적 요구에 반응하지만,
재구조화를 요구할 때 대안적 상호작용 유형을 모색하여 가족구조를 수정하여 적응해야
가족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
• 만약 가족 내외부의 재구조화 요구에 기존 방식대로 경직되게 반응할 경우 역기능 발생
• 가족적응을 요구하는 스트레스 유발인자(stressor)
- 성원 한 명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받는 스트레스(다른 성원에게 확대되면 역기능)
- 전체 가족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받는 스트레스(이사, 빈곤, social matchmaker 요구
- 가족발달단계상의 과도기에 겪는 스트레스(자녀 청소년기 vs 부모 갱년기 등)
- 특수한 문제(성원의 장애나 질병)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
2. 6. 가족적응(family adaptation)
2. 7.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
•
가족구조와 가족적응 기능은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규정
•
Minuchin은 별도의 가족생활주기는 제시하지 않고, 다른 이론가의 생활주기 개념 활용
•
가족구조와 가족적응 기능은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규정
•
Minuchin은 별도의 가족생활주기는 제시하지 않고, 다른 이론가의 생활주기 개념 활
3. 치료목표와 과정
• 가족문제는 역기능적 가족구조에서 발생한다고 전제
• 치료목표: 현재의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한 증상 제거와 문제해결
• 즉, 명확한 경계선 확립, 하위체계의 기능 강화, 위계구조의 재확립을 통한 재구조화
• 세부목표: 가족 위계구조의 확립, 세대간 명확한 경계 설정(밀착: 분리, 유리: 교류촉진)
기능적 의사소통과 교류
, 부모의 협력관계(연합) 형성, 성원의 적절한 역할 수행
• 가족문제는 역기능적 가족구조에서 발생한다고 전제
• 치료목표: 현재의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한 증상 제거와 문제해결
• 즉, 명확한 경계선 확립, 하위체계의 기능 강화, 위계구조의 재확립을 통한 재구조화
• 세부목표: 가족 위계구조의 확립, 세대간 명확한 경계 설정(밀착: 분리, 유리: 교류촉진
기능적 의사소통과 교류
, 부모의 협력관계(연합) 형성, 성원의 적절한 역할 수행
3. 1. 치료목표
•
문제정의
-> 문제 정보수집->가족구조 사정과 가설설정->치료목표 설정->치료개입->
평가와 피드백으로 구성되나
, 일반적으로 합류, 가족구조 사정, 재구조화의 세 단계
1)합류
(Joining)
• 개념: 치료자가 가족의 조직과 상호작용 유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가족의 장점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가족체계와 치료적 관계를 맺는 과정
(cf: rapport, engagement)
• 즉, 가족 외부인이 아니라 가족의 일원으로 가족의 상호작용과 정서체계에 적응하는 과정
• 합류해야 하는 이유: 가족이 치료자나 다른 성원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 익숙한 가족구조
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저항이 있기 때문임
•
문제정의
-> 문제 정보수집->가족구조 사정과 가설설정->치료목표 설정->치료개입->
평가와 피드백으로 구성되나
, 일반적으로 합류, 가족구조 사정, 재구조화의 세 단계
1)합류
(Joining)
• 개념: 치료자가 가족의 조직과 상호작용 유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가족의 장점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가족체계와 치료적 관계를 맺는 과정
(cf: rapport, engagement)
• 즉, 가족 외부인이 아니라 가족의 일원으로 가족의 상호작용과 정서체계에 적응하는 과
• 합류해야 하는 이유: 가족이 치료자나 다른 성원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 익숙한 가족구조
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저항이 있기 때문임
3.2. 치료과정
3. 치료목표와 과정
3.2. 치료과정
•
따라서 합류는 치료자의 개입을 수용하고
, 변화에 대한 의지를 갖게 되는 선결조건
•
합류방법
: 개별 성원에 대한 관심, 부드러운 인사, 평등한 의사소통 기회 부여, 지지와
수용
, 개별성원의 존중과 경청, 강점 부각하기, 공통 주제 다루기, 긍정적 분위기 조성,
가족에게 익숙한 언어사용과 행동방식 따르기 등
• 그러나 가족구조에 적응만 할 것이 아니라, 가족의 항상성 유지 노력에 도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적응과 동시에 분리되어
, 자유롭게 개입할 수 있어야 함
2) 가족구조 사정(작업가설-working hyphothesis 설정단계)
• 가족에 관한 기초정보(성, 연령, 직업, 생활주기, 사회적 지위, 스트레스 및 발달상황,
현재 문제 등
)에 대한 질문을 통해 자료수집
• 가족의 행동, 의사소통, 상호작용유형, 앉는 위치와 물리적 거리 등을 관찰하여, 하위체계,
경계
, 위계구조 등을 파악( 예: 사정의 실마리 (교재 163쪽 참조))
3) 가족 재구조화
• 경계 조정, 하위체계 기능 강화, 위계구조 확립, 가족스트레스 상황 적응력 제고 등 실시,
가족구조의 사정과 재구조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함
• 필요에 따라 개별상담 등도 실시함
•
따라서 합류는 치료자의 개입을 수용하고
, 변화에 대한 의지를 갖게 되는 선결조건
•
합류방법
: 개별 성원에 대한 관심, 부드러운 인사, 평등한 의사소통 기회 부여, 지지와
수용
, 개별성원의 존중과 경청, 강점 부각하기, 공통 주제 다루기, 긍정적 분위기 조성,
가족에게 익숙한 언어사용과 행동방식 따르기 등
• 그러나 가족구조에 적응만 할 것이 아니라, 가족의 항상성 유지 노력에 도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적응과 동시에 분리되어
, 자유롭게 개입할 수 있어야 함
2) 가족구조 사정(작업가설-working hyphothesis 설정단계)
• 가족에 관한 기초정보(성, 연령, 직업, 생활주기, 사회적 지위, 스트레스 및 발달상황,
현재 문제 등
)에 대한 질문을 통해 자료수집
• 가족의 행동, 의사소통, 상호작용유형, 앉는 위치와 물리적 거리 등을 관찰하여, 하위체계
경계
, 위계구조 등을 파악( 예: 사정의 실마리 (교재 163쪽 참조))
3) 가족 재구조화
• 경계 조정, 하위체계 기능 강화, 위계구조 확립, 가족스트레스 상황 적응력 제고 등 실시
가족구조의 사정과 재구조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함
• 필요에 따라 개별상담 등도 실시함
1) 현상유지
(maintenance): 기존의 가족구조를 의도적으로 지지
•
하위체계에 대한 승인과 지지
•
개인의 장점과 가능성을 인정하고 가족내의 위치를 지지하는 것
•
재구조화의 기능도 함
•
예
: 어머니가 중앙교환대의 역할 --> 치료자는 어머니를 통해 접촉
•
예
: 어린아이의 상황 설명에 대한 칭찬, 용모변화에 관심
1) 현상유지
(maintenance): 기존의 가족구조를 의도적으로 지지
•
하위체계에 대한 승인과 지지
•
개인의 장점과 가능성을 인정하고 가족내의 위치를 지지하는 것
•
재구조화의 기능도 함
•
예
: 어머니가 중앙교환대의 역할 --> 치료자는 어머니를 통해 접
•
예
: 어린아이의 상황 설명에 대한 칭찬, 용모변화에 관심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4.1. 치료자 역할
• 적응과 동시에 자유롭게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one-up position
• 역할: boundary maker, 관찰자, 지지자, 조언자, 지시자 등
• 가족구조를 관찰하고 합류하여, 가족구조에 대한 작업가설을 설정하며,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 시도를 하도록 가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 지도자로서
가족체계에 개입하여 가족의 상호작용 유형을 변화시키는데 주도적 역할 담담
• 적응과 동시에 자유롭게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one-up position
• 역할: boundary maker, 관찰자, 지지자, 조언자, 지시자 등
• 가족구조를 관찰하고 합류하여, 가족구조에 대한 작업가설을 설정하며,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 시도를 하도록 가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 지도자로
가족체계에 개입하여 가족의 상호작용 유형을 변화시키는데 주도적 역할 담담
4.2.1. 합류기법(joining): 현상유지, 추적, 모방
2) 추적(tracking)
• 의사소통 또는 상호작용의 내용을 명확화하기 위해 질문, 찬성의견 표시, 가족이 말한
내용을 확대시켜 문제의 핵심을 유도해 내는 기법
• “음~”하는 소리를 내거나, 동일 단어 반복, 흥미를 보인데 대해 칭찬, 인정, 질문
• 치료시간 중에 과제를 부과하여 관찰하는 것
• 치료시간 중에 특정 의사소통 내용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것
3) 모방(mimesis)
• 가족의 상호작용이나 행동을 따라 함--> 친근감, 유사성 증가
• 동일한 의사소통유형을 취할 수 있음(교재 165 참조)
• 자신의 개인적 특성을 활용하여 가족과의 유사성을 강조할 수도 있음
2) 추적(tracking)
• 의사소통 또는 상호작용의 내용을 명확화하기 위해 질문, 찬성의견 표시, 가족이 말
내용을 확대시켜 문제의 핵심을 유도해 내는 기법
• “음~”하는 소리를 내거나, 동일 단어 반복, 흥미를 보인데 대해 칭찬, 인정, 질문
• 치료시간 중에 과제를 부과하여 관찰하는 것
• 치료시간 중에 특정 의사소통 내용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것
3) 모방(mimesis)
• 가족의 상호작용이나 행동을 따라 함--> 친근감, 유사성 증가
• 동일한 의사소통유형을 취할 수 있음(교재 165 참조)
• 자신의 개인적 특성을 활용하여 가족과의 유사성을 강조할 수도 있음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4.2.1. 합류기법(joining): 현상유지, 추적, 모방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4.2.2. 사정기법: 가족도표(family map)
•
개념
: 가족성원, 경계, 하위체계, 위계구조 등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기법
•
symbol: 교재 157 및 166-167참조
• 예시: 교재 166 참조
•
개념
: 가족성원, 경계, 하위체계, 위계구조 등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기
•
symbol: 교재 157 및 166-167참조
• 예시: 교재 166 참조
•
개념
: 치료시간 중에 직접 상호작용을 하게 하는 기법
1) 상호작용유형의 실연
(enactment)
• 가족으로 하여금 말로 설명하는 대신 실제로 행동
• “그때 상황을 여기서 직접 보여줄 수 있으세요”라고 요청
• 가족의 행동 이면에 숨겨진 가족의 구조를 파악, 지도자적 위치 유지
• 정확한 사정과 치료적 효과 동시에 거둠
•
개념
: 치료시간 중에 직접 상호작용을 하게 하는 기법
1) 상호작용유형의 실연
(enactment)
• 가족으로 하여금 말로 설명하는 대신 실제로 행동
• “그때 상황을 여기서 직접 보여줄 수 있으세요”라고 요청
• 가족의 행동 이면에 숨겨진 가족의 구조를 파악, 지도자적 위치
• 정확한 사정과 치료적 효과 동시에 거둠
4. 2. 3. 재구조화(restructuring)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2) 의사소통방법의 개조
• 가족이 서로 얘기해야 한다고 말하고 관찰만 하겠다고 선언
• 가족은 쳐다보지 않고 다른 물체에 시선을 집중하거나,
• 질문을 받고도 다른 성원에게 답변하라고 지시함으로써 답변을 회피
• 뒷자리로 물러나 앉아 있거나,
• one-way mirror 뒤에서 가족을 관찰하거나
• 지위가 낮은 성원과 동맹 또는 결탁하여 얘기할 수 있도록 함
3) 공간의 활용: 치료시간 중의 좌석배치를 다시 하는 기법
• 첫 치료시간에 어떻게 자리에 앉는가를 통해 가족구조 실마리 확인
• 좌석배치를 이용하여 가족 상호작용유형을 재구조화
• 예: 부부대화가 부족한 경우 --> 가까이 앉히고
부부의 접촉방해를 위해
--> 떨어져 앉게 하거나 다른 사람을 중간에 끼워 앉힘
2) 의사소통방법의 개조
• 가족이 서로 얘기해야 한다고 말하고 관찰만 하겠다고 선언
• 가족은 쳐다보지 않고 다른 물체에 시선을 집중하거나,
• 질문을 받고도 다른 성원에게 답변하라고 지시함으로써 답변을 회피
• 뒷자리로 물러나 앉아 있거나,
• one-way mirror 뒤에서 가족을 관찰하거나
• 지위가 낮은 성원과 동맹 또는 결탁하여 얘기할 수 있도록 함
3) 공간의 활용: 치료시간 중의 좌석배치를 다시 하는 기법
• 첫 치료시간에 어떻게 자리에 앉는가를 통해 가족구조 실마리 확인
• 좌석배치를 이용하여 가족 상호작용유형을 재구조화
• 예: 부부대화가 부족한 경우 --> 가까이 앉히고
부부의 접촉방해를 위해
--> 떨어져 앉게 하거나 다른 사람을 중간에 끼워
4. 2. 3. 재구조화(restructuring)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4.2.4. 경계선 설정
• 개념: 하위체계간의 독립성과 침투성을 허용할 수 있는 명확한 경계선의 설정
1) 개인의 경계선 설정
• 개인의 얘기 경청 및 그의 관점 인정
• 대신 말하거나 답변 못하게 하고, memory bank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함
• ‘그건 ○○누구한테 해당하는 질문인데요’, ‘○○가 무슨 말을 하는지 직접 들어 봅시다’,
• ’그때 당신은 그 자리에 없었죠.좀더 들어보실래요’ ‘그 아이 옷은 누가 고르죠’,
• ‘TV 보는 것은 누가 결정하나요’‘취침시간은 몇 시죠?’등의 표현 사용
2) 하위체계의 경계선 설정
• 부부하위체계: 치료시간 동안 자녀들을 나가 놀게 하고 부부만이 대화
• 부모하위체계: 아버지 실수 지적 자녀 아버지로서의 권위를 인정, 존경해야 함 지적
• 형제하위체계: 아이들을 치료실 가운데에 모여 앉게 하고, 놀 때 부모가 간섭 못하게 함
• 조부모-부모하위체계: 조부모의 자녀양육 간섭->치료실에서 내보내거나, 부모-아동만
같이 하루에 몇 시간씩 놀게 함
3) 가족유형별 치료방법
• 하위체계별 분리치료(밀착가족), 둘 이상의 하위체계의 성원을 참여(경직가족)
• 개념: 하위체계간의 독립성과 침투성을 허용할 수 있는 명확한 경계선의 설정
1) 개인의 경계선 설정
• 개인의 얘기 경청 및 그의 관점 인정
• 대신 말하거나 답변 못하게 하고, memory bank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함
• ‘그건 ○○누구한테 해당하는 질문인데요’, ‘○○가 무슨 말을 하는지 직접 들어 봅시다
• ’그때 당신은 그 자리에 없었죠.좀더 들어보실래요’ ‘그 아이 옷은 누가 고르죠’,
• ‘TV 보는 것은 누가 결정하나요’‘취침시간은 몇 시죠?’등의 표현 사용
2) 하위체계의 경계선 설정
• 부부하위체계: 치료시간 동안 자녀들을 나가 놀게 하고 부부만이 대화
• 부모하위체계: 아버지 실수 지적 자녀 아버지로서의 권위를 인정, 존경해야 함 지적
• 형제하위체계: 아이들을 치료실 가운데에 모여 앉게 하고, 놀 때 부모가 간섭 못하게
• 조부모-부모하위체계: 조부모의 자녀양육 간섭->치료실에서 내보내거나, 부모-아동
같이 하루에 몇 시간씩 놀게 함
3) 가족유형별 치료방법
• 하위체계별 분리치료(밀착가족), 둘 이상의 하위체계의 성원을 참여(경직가족)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
개념
: 스트레스를 만들어냄으로써 가족의 재구조화 능력을 파악하고 재구조화
•
상호작용유형의 방해
: 중간에 의사소통 차단
• 상이점의 강조: “○○의 의견은 어때요” ”○○과 □□은 이런 점에서 다른 것
같은데
, 서로 얘기해 보시겠어요?“라고 하여 서로 간의 차이점을 인식
• 내재된 갈등의 발전: 얘기 못했던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게 하는 기법
• 동맹이나 결탁에의 합류: 일시적으로 가족일원 또는 하위체계와 합류
• 밀착된 가족: 돌아가면서 남편, 부인 그리고 아동 편을 들고 불만을 얘기하게 함
• 유의사항: 동맹 또는 결탁하여 다른 성원을 공격할 경우에는 공격 당하는 성원이
지나치게 소외되지 않도록 함
. 즉, 한 성원과 장기간 동안의 지나친 결탁을 피함
•
개념
: 스트레스를 만들어냄으로써 가족의 재구조화 능력을 파악하고 재구조화
•
상호작용유형의 방해
: 중간에 의사소통 차단
• 상이점의 강조: “○○의 의견은 어때요” ”○○과 □□은 이런 점에서 다른 것
같은데
, 서로 얘기해 보시겠어요?“라고 하여 서로 간의 차이점을 인식
• 내재된 갈등의 발전: 얘기 못했던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게 하는 기법
• 동맹이나 결탁에의 합류: 일시적으로 가족일원 또는 하위체계와 합류
• 밀착된 가족: 돌아가면서 남편, 부인 그리고 아동 편을 들고 불만을 얘기하게
• 유의사항: 동맹 또는 결탁하여 다른 성원을 공격할 경우에는 공격 당하는 성원이
지나치게 소외되지 않도록 함
. 즉, 한 성원과 장기간 동안의 지나친 결탁을 피
4.2.5. 긴장고조기법(스트레스 증가기법)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4.2.6. 과제부여
•
개념
: 재구조화 과정에서 미흡한 부분을 가족이 스스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법
• 과제부여의 이점
• 과제에 초점을 두므로 개별성원의 성격보다 가족상호작용과 구조에 초점 맞춤
• 재구조화의 융통성을 탐색할 수 있음
• 새로운 상호작용유형 즉, 대안적 상호교류 유형을 만들어낼 수 있음
• 가족의 과제에 대한 반응에 따라 이후의 치료방향을 모색할 수 있음
• 치료시간 중의 과제: 가족상호작용유형의 실연과 변화를 제시
• 의사소통과 관련된 과제: “알아 봅시다”, “○○하고 얘기해 보시겠어요”,
“그 점에 대해 서로 얘기해보세요
. ○○는 참견하지 말아요”
• 공간조작과 관련된 과제: “의자를 치우고 붙어 앉아요”, “좀 떨어져 앉아요”
• 숙제: 숙제는 치료자를 집에 데리고 간 것과 같은 효과
• 전체 가족이 모두 참여하고, 수행 가능한 구체적 과제(5w 1h)를 부여함
•
개념
: 재구조화 과정에서 미흡한 부분을 가족이 스스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
• 과제부여의 이점
• 과제에 초점을 두므로 개별성원의 성격보다 가족상호작용과 구조에 초점 맞춤
• 재구조화의 융통성을 탐색할 수 있음
• 새로운 상호작용유형 즉, 대안적 상호교류 유형을 만들어낼 수 있음
• 가족의 과제에 대한 반응에 따라 이후의 치료방향을 모색할 수 있음
• 치료시간 중의 과제: 가족상호작용유형의 실연과 변화를 제시
• 의사소통과 관련된 과제: “알아 봅시다”, “○○하고 얘기해 보시겠어요”,
“그 점에 대해 서로 얘기해보세요
. ○○는 참견하지 말아요”
• 공간조작과 관련된 과제: “의자를 치우고 붙어 앉아요”, “좀 떨어져 앉아요
• 숙제: 숙제는 치료자를 집에 데리고 간 것과 같은 효과
• 전체 가족이 모두 참여하고, 수행 가능한 구체적 과제(5w 1h)를 부여함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 증상에 초점 맞추기: 나타난 증상에 초점을 맞추되, 매우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인 경우에만 사용
• 증상의 과장: 증상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족을 재구조화
• 증상에 대한 무관심: 증상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음으로써 가족들이 IP에게
초점을 두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음
• 새로운 증상으로의 이동: 일시적으로 치료의 초점을 다른 성원에게 돌림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
• 증상의 재명명(재정의): 증상을 대인관계의 개념으로 재정의하는 기법으로,
부모의 잔소리를 관심으로
, 청소년의 가출을 독립성 확보한 노력으로 명명
• 증상에 부착된 정서변화: 증상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정서를 변화시키는 기법
• 증상에 초점 맞추기: 나타난 증상에 초점을 맞추되, 매우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인 경우에만 사용
• 증상의 과장: 증상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족을 재구조화
• 증상에 대한 무관심: 증상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음으로써 가족들이 IP에게
초점을 두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음
• 새로운 증상으로의 이동: 일시적으로 치료의 초점을 다른 성원에게 돌림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
• 증상의 재명명(재정의): 증상을 대인관계의 개념으로 재정의하는 기법으로,
부모의 잔소리를 관심으로
, 청소년의 가출을 독립성 확보한 노력으로 명명
• 증상에 부착된 정서변화: 증상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정서를 변화시키는 기법
4.2.7. 증상 이용 기법
4.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
• 가족의 스타일을 과장하여 모방(예: 어머니가 큰소리로 청소년에게 복종을
강요할 때 치료자가 더 큰소리로 혼내는 것
),
• 비상사태에 익숙해진 가족에게 이 사태의 심각성을 알려주는 것(예: 어머니를
무시하는 딸을 그냥 내버려 두는 아버지에게 ‘딸이 엄마를 무시하는 것을
그냥 놔두어선 안되요’라고 지적함
),
• 분위기의 재명명(지나치게 통제적인 어머니를 부모로서의 염려라고 재명명)
• 가족의 스타일을 과장하여 모방(예: 어머니가 큰소리로 청소년에게 복종을
강요할 때 치료자가 더 큰소리로 혼내는 것
),
• 비상사태에 익숙해진 가족에게 이 사태의 심각성을 알려주는 것(예: 어머니
무시하는 딸을 그냥 내버려 두는 아버지에게 ‘딸이 엄마를 무시하는 것을
그냥 놔두어선 안되요’라고 지적함
),
• 분위기의 재명명(지나치게 통제적인 어머니를 부모로서의 염려라고 재명명
4.2.8. 분위기 조작
• 성원간의 지지를 격려하고, 서로를 인정하는 방법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는 방법을 가르침
• 예: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한 경우 치료자가 모델이 되어
자녀 통제방법을 알려줌으로써 관찰학습의 기회를 부여하고
, 부모에게 다시
통제권을 이양하는 경우
• 성원간의 지지를 격려하고, 서로를 인정하는 방법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
반응하는 방법을 가르침
• 예: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한 경우 치료자가 모델이 되어
자녀 통제방법을 알려줌으로써 관찰학습의 기회를 부여하고
, 부모에게 다
통제권을 이양하는 경우
4.2.9. 지지, 격려, 인정
주교재
169-170 참조, 부교재 1의 243-246 참조
주교재
169-170 참조, 부교재 1의 243-246 참
5.1. 적용사례: 학교 등교를 거부하는 중학생 딸
5. 적용 사례와 평가
•
이론이 단순하고
, 실제적이어서 가족사정과 치료과정에 적용하기 용이함
•
치료자의 합류를 전제로 가족구조
(경계, 하위체계, 위계구조 등)의 변화를 통해 가족
긴장 완화
, 문제해결, 행동 변화를 도모하는 방법으로 , 가족의 큰 저항 없이 수용
•
비행청소년
, 거식증과 폭식증, 물질의존, 빈곤가족, 소수민족 가족에 효과성 입증
•
가족내의 위계구조를 중시하고
, 부모, 자녀, 형제간의 적절한 경계를 인정하는 문화권
가족에게 적용가능성이 높음
•
우리나라 가족치료에서 주로 위계구조
, 경계, 하위체계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된
아동
, 청소년 가족의 문제해결에 활용되며, 부부문제의 해결에는 비교적 적게 활용됨
•
이론이 단순하고
, 실제적이어서 가족사정과 치료과정에 적용하기 용이함
•
치료자의 합류를 전제로 가족구조
(경계, 하위체계, 위계구조 등)의 변화를 통해 가족
긴장 완화
, 문제해결, 행동 변화를 도모하는 방법으로 , 가족의 큰 저항 없이 수용
•
비행청소년
, 거식증과 폭식증, 물질의존, 빈곤가족, 소수민족 가족에 효과성 입증
•
가족내의 위계구조를 중시하고
, 부모, 자녀, 형제간의 적절한 경계를 인정하는 문화
가족에게 적용가능성이 높음
•
우리나라 가족치료에서 주로 위계구조
, 경계, 하위체계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된
아동
, 청소년 가족의 문제해결에 활용되며, 부부문제의 해결에는 비교적 적게 활용
5. 2. 이론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