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기획연수용)2023년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 세부 프로그램 안내.hwp

닫기

(기획연수용) 2023년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

Digital IT for Humanity!

2023년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

기획연수 주제별 프로그램 안내

* 본 자료를 무단으로 수정배포시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팀구성 이후 1)방문일정 조정, 2)방문기관 조정 및 확대 예정임.

1

[고용] 디지털IT, 고용의 다양성

연수팀장

단국대학교 직업재활학 정연수 교수

방 문 국

미국(워싱턴D.C., 필라델피아)

방문일정

‣ 8월 20일 ~ 8월 31일(10박 11일)

연수내용

개 요

장애청년들의 취업 확대를 위해 디지털 접근방향에 대해 이해하고 장애다양성을 추구하는 기업방문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

필요성 목적

디지털IT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장애청년들이 취업 후에도 업무 효율을 위해 디지털IT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디지털포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현실임에 따라 장애청년들의 디지털 분야 진출과 생활에서의 활용을 위해 본 연수가 필요함.

해당국

선정

이유

미국은 디지털IT기술을 선도하며 고용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기업이 많기 때문에 연수국으로 선정하게 됨.

JP MORGAN의 경우 고용의 다양성 차원에서 자폐성 장애인을 선발하고 후에 직업훈련을 하여 보안관련 업무에 배치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발달장애인 취업지원을 위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PEAT, Disability:IN, SAP의 경우 장애인 고용정책에 맞추어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방문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국내의 장애인고용 관련 보완점을 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방문

예정

기관

JP MORGAN

장애인통합 담당실의 주요업무를 탐색함으로써 장애포용 고용현황에 대해 알아봄.

- 액서스 능력 비즈니스 리소스 그룹 : 18,000명 이상의 장애인 직원과 협력자 등이 이 리소스 그룹에서 전세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찰력을 공유함.

- 비즈니스 솔루션 팀 : 지적 및 발달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재능을 맞춤화하여 운영 역할 등을 매칭함. 등

PEAT

미국 노동청 산하기관으로 장애인의 고용, 유지 및 경력개발을 위한 accessible technology를 개발하고 홍보하는 업무를 수행함.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장애인들이 디지털사회에서 소외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디지털접근성, 포괄적 견습 프로그램 등을 탐색가능함.

Disability:IN

장애포괄을 추구하는 고용주의 모범사례를 개발하고 비즈니스에 정통한 장애인 인재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활동을 하고 있음.

- 디지털 접근성 프로그램 : 장애인이 디지털세계에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및 콘텐츠 개발운영

- 장애평등지수 : 기업이 장애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측정가능하고 가시적인 조치의 로드맵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 운영 등

SAP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사업체와 장애인의 취업을 연계하는 활동을 진행하는데, 이 과정의 시스템을 디지털화 하여 전략적인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2

[기술발전] 디지털IT, 일상을 바꾸는 기술

연수팀장

오하이오주립대학교 특수교육학 이종우 연구원

대구대학교 재활공학 송병섭 교수

방 문 국

미국(샌프란시스코, 로체스터)

방문일정

‣ 8월 1일 ~ 8월 11일(10박 11일)

연수내용

개 요

기술은 해마다 진보하지만 그 자체만으로 우리의 일상을 바꿀 수 없음. 따라서 기술자들은 최대다수의 이용자들이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방향성을 고려함. 또한 누구 하나 배제되지 않도록 디지털포용을 고려하고 있음.

해당 연수를 통해 장애인이 정보를 습득할 때, 공부할 때, 일상을 살아갈 때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IT기술의 발달과 적용사례를 관련 종사자를 만나 자세히 탐구해보고자 함.

필요성 목적

국내 이공계 장애대학생과 대학원생 중 40%는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나아가 과학기술 분야에 종사 중인 비율은 2.1%에 불과, 그 종사자 중 상당수가 행정보조 인력으로 석·박사급 인재를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장애인구의 참여는 극단적으로 제한되고 있음.

장애인의 이공계 진출을 위한 정보접근권, 교육권, 자립권 문제를 장애인의 이공계 진출이 활발한 미국의 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국내에 실증적,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

해당국

선정

이유

미국은 장애인의 사회적 모델의 방향에 따라 발전한 나라로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개성으로 생각하는 포용적 문화를 만들어냈음.

본 연수는 정보접근권, 교육권, 자립권을 중심으로 구글애플과 같은 세계적인 규모의 디지털IT서비스 회사의 적극적인 유니버설 서비스 지원체계와 이공계 청각장애 대학생 육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로체스터 공대, 디지털IT기술의 도움을 받아 자립적인 전문가로 일하고 있는 청각장애인의 실제 근로 환경의 기술도입을 확인할 예정임.

방문

예정

기관

Google

구글 사옥 투어 및 장애접근성 담당자 미팅을 통한 장애접근성 프로젝트 탐방

Apple

애플 사옥 투어 및 현재 진행중인 장애접근성 프로젝트 탐방

*애플 장애학생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먼저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한 농학교 방문 예정

National

Technical Institute for the Deaf

세계 최초의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공과대학

3

[정책] 디지털IT, 모두를 위한 기술

연수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홍경순 수석연구원

방 문 국

미국(워싱턴D.C., 시애틀)

방문일정

‣ 8월 20일 ~ 8월 31일(10박 11일)

연수내용

개 요

장애인위원회 방문 : 재활법 508조, 통신법 255조 장애인 정보접근성 법제도 추진현황 및 최근 SSTM(Self-Service Transaction Machines)제정안에 대한 추친현황, 국내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 추진현황 파악

글로벌IT기업 방문 : Microsoft, Google, Amazon, Atos 등 글로벌 IT기업의 디지털 포용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 현황과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업정책 및 노력 파악

필요성 목적

무인·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이 일상생활 전반으로 지속적으로 확산 중이며, 신기술 등장 등으로 가속화될 전망임.

기술발전과 비대면 확산은 사회·경제 전 영역에서 새로운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한편, 부정적 영향도 유발할 가능성 상존함.

따라서, 국제기구 및 글로벌IT 기업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포용 정책, 기술개발, 장애인 고용 등 현황파악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 등의 디지털포용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국내IT기업 등에서 디지털 포용 기술개발 및 서비스 확산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함.

해당국

선정

이유

관련 미국법

- (재활법 508조, 공공우선구매제도) 연방정부(소속기관 포함)에 의해 개발, 조달, 유지·보수 및 사용되는 모든 전자 정보기술의 데이터와 정보는 비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것과 동등하도록 장애인에게 제공

- (항공기 접근 보장법, ACAA) 공항의 한 위치에 제공되는 공유 키오스크가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접근가능한 키오스크는 해당 위치에서 접근성 미준수 키오스크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

- (통신미디어법, CVAA) 10년 제정된 CVAA의 경우 장애인의 민원제기 및 조사를 통해 접근성 미준수 시 조속한 기한내에 개선을 명령하도록 규정

글로벌IT기업과 국제기구(UN)의 본사가 있어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책, 기술 현황을 파악하는데 적합한 국가임.

방문

예정

기관

Access

Board

‣ 1973년 설립된 장애접근성 전담 미국 정부 독립기관

- 전자 및 정보기술, 통신장비 등에 대한 설계 기준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곳으로 연방기관 간의 조정기관 역할을 함.

Atos

사이버 보안,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클라우드, 고성능 컴퓨팅 분야 글로벌 기업

Micro

soft

글로벌IT기업으로 운영체제(OS), Office(Word, PPT, Excel), 웹브라우저 등 개발 및 판매 기업

Google

글로벌IT기업으로 모바일 운영체제(Android), 웹브라우저(Chrome), 화상회의(Zoom) 등 개발 및 판매기업으로 시애틀에 구글 대학을 운영 중이며, 장애학생에 대한 동등한 학습권 보장을 위한 접근성 센터 운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