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방송기획론 1(교수).pptx

닫기

background image

방송기획론 

김 준 모


background image

방송매체의 특성

百聞以 不如一見

현재진행형의 매체

인간관계의 중요한 매체

살아 움직이는 매체

친밀한 매체


background image

1.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 

방송 프로그램의 의미

  : 방송사에서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만든 일련의 독립된 방송항목
  : 방송이 행해진 나라나 사회의 특성을 어느 정도 파악 가능

▶ 프로그램 유형 분류기준의 필요성 

  : 방송사의 편성, 광고전략, 규제 등에 필수적인 사항
  : 방송 현상의 기준, 사회나 국가의 수용자들을 보다 잘 파악

  : 국가간 비교는 프로그램의 유통과도 밀접한 관계

  : 사회간 국가간 방송 현상의 비교는 어떤 유형의 프로그램이 어떻게, 어느 정도 편

   성되어 있는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음 

   ∴ 유네스코에서 프로그램 분류 기준을 마련해 놓고 있음 

  


background image

1.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 분류 기준 설정의 어려움

  : 방송 프로그램은 창의적 활동의 산물이기 때문에 항구적인 것이 아님 
  : 연구자마다 사고의 틀, 가치관 등이 다르며, 국가 혹은 방송사마다 방송 이념 및 정

    책과 목표가 상이함 

  : 속성상 방송프로그램은 상당히 종합적이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어디에 초점을 두느

    냐에 따라서 분류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 

  : 새로운 장르의 출현으로 분류의 기준이 수시로 변화


background image

1.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 프로그램 유형 분류기준에 의한 분류

① 내용에 의한 분류

   : 프로그램이 담고 있는 내용물이나 주제가 무엇인가에 따라 분류

② 형식에 의한 분류

   :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기능보다는 주로 프로그램의 구조나 전달방식에 초점을 맞

    춘 것으로 일종의 장르에 의한 분류

③ 대상에 의한 분류

   : 대상으로 하는 시⋅청취자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류

④ 기능에 의한 분류

   : 대체로 보도, 교양, 오락으로 3등분하거나 정보나 교육을 첨가시켜 4등분하는 방

    법을 사용


background image

장르

정의

뉴스

‘좁은 의미로’ 국내외 사고

, 사건, 쟁점, 과정등과 관련해서 앵커를 중심으로 기자가 사실보도와 의견보도를 제시하는 

프로그램

시사보도

사회 전 분야에 걸쳐서 시사에 대한 정보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 정통 뉴스 프로그램과 토론 프로그램은 제외

다큐멘터리

사실에 입각해서 주제를 심도 있게 파고들면서 보통 야외촬영을 통해서 주제를 직접 보여주는 프로그램

생활정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지식이나 상식

, 시의적절하고 흥미 있는 정보와 화제 거리를 안내하거나 소개하는 프로그램

토론

사회적 현상과 과정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제시 교환하면서 문제를 분석

, 설명, 평가하고 여론을 조성하는 공론의 

영역을 만들어가는 프로그램

교육문화예술

교육 

: 정규교과과정을 다루거나 그에 준하는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회 교양 강좌 및 직업 

교육 프로그램
문화예술 

: 전통문화예술과 현대문화예술 등을 다루는 프로그램

애니메이션

실사영화와 다르게 다양한 제작방식을 통해서 구현되는 장르로 셀 애니메이션

, 클레이 애니메이션, 페이퍼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등을 의미

드라마

서사

(narrative)구조를 지니는 허구적 구성물(fiction)

버라이어티쇼

토크 버라이어티 쇼

, 연예정보 쇼, 토크 쇼, 연예시상식, 시청자 비디오 모음 등의 오락 쇼 프로그램

음악쇼

대중음악 일반을 다루는 프로그램

퀴즈와 게임쇼

지식이나 재치

,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

인포테인먼트

정보와 오락을 함께 담고 있는 프로그램

영화

극장 상영을 목적으로 제작된 서사가 있는 허구물

코미디

개그맨이나 코미디언의 연기 비중이 높거나 프로그램 전체의 목적이 희극적 성격이 강한 프로그램

스포츠

모든 종류의 스포츠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스포츠 뉴스

(뉴스)와 특정 스포츠의 교습(교육문화예술)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제외

1.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방통위 프로그램 분류방법)


background image

1.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 방송프로그램 관련 용어

① 자주 프로그램

(sustaining program)   

② 광고주 제공 프로그램

(sponsored program)   

③ 파일럿 프로그램

(pilot program)

④ 레인코트

(raincoat program)

⑤ 다큐드라마

(docudrama)

⑥ 시즌제 드라마

⑦ 팩션

⑧ 리얼버라이어티

⑨ 스핀오프

(spin-off)


background image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 편성의 개념

① 강대인

(1989): 일반적으로 방송편성이라 함은 넓게는 방송 경영층이 방송의 목표나 기본 

정책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단계에서부터 방송 정책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행위와 프로그램의 제작행위까지를 포함

② 김규

(1993): 편성을 협의와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제시

       광의

: 방송프로그램의 명칭, 성격, 분량, 배치 같은 것을 계획하는 행위부터 

              그 계획의 구체화를 위한 실제적인 제작행위

, 그리고 운행과 경우에 따라서

              송출까지를 포함하는 처리행위 

       협의

: 일반적으로 프로그램내용의 구체적 내용 결정이나 제작단계 이후를 

               포함하지 않는

, 일반적으로 주제와 형식 및 시간결정에 해당하는 행위


background image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 편성의 개념

③ 차배근

(1981): 프로그램편성이란 방송내용의 기획과 배열상의 문제로써, 무엇을(

방송내용

), 누구에게(방송대상), 언제(방송시간대), 어떻게(방송형식), 얼마나(

방송시간

) 들려주고 보여주느냐를 결정하고 배열하는 모든 작업 

④ 한진만

(1995): 편성은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배열하는 것


background image

▶ 편성의 기본이념

① 최창섭

(1985): 방송의 편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이익이 균형 있게 

적정한 비율로 표현되어야 하는데

, 이러한 기본정신은 공공성에서 비롯됨. 방송은 

어떠한 매체보다도 모든 국민의 이익과 행복에 기여

② 한균태

(1989): 편성이란 방송 전체의 질과 내용을 결정하는 방송사 운영의 핵심적 

요소로서

, 기본 이념은 사회 각 분야의 이익과 편의를 균형 있고 적당한 비율로 

표현해야 하는 공공성의 구현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 편성의 목표

  : 시청자에게 호의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가급적 최대의 수용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경쟁적 순서를 마련 

  : 프로그램 편성은 일종의 전투에 비교되기도 하는데, 타 방송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각종 전술과 전략이 동원되며 궁극적으로 경쟁 방송사보다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려는 것이 편성의 목표 중의 하나이기 때문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 편성의 요건
첫째

, 편성은 궁극적으로 시청자의 생활주기와 프로그램이 일치하도록 하며, 

둘째

시청취 습관이 형성되도록 편성전략을 세우고,

셋째

수용자의 흐름을 통제하고, 

넷째

, 제한된 자원을 극대화하고, 

다섯째

, 가급적 최소비용으로방송매체가 가진 대중 소구력을 개발토록 해야 함.

  

▶ 편성과정

 ①편성방침의 결정

: 방송의 최고경영자에 의해 편성의 기본정책이 수립

 ②기본편성표 확정

: 편성방침에 의한 편성작업의 과정으로 프로그램의 결정 및 

                           순서 배열 등 편성실무작업

 ③프로그램의 제작

: 기본편성표에 따른 제작과정으로, 구체적 개별 프로그램이 제작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MBC-TV의 프로그램 개편 과정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 편성의 결정요인

  : 편성의 형태
   - 기존의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작업

   - 시청자의 생활시간 및 계절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기존 프로그램의 방송시간대를 

    재조정하는 시간대 배열

(scheduling)

   - 특집과 같은 임시적으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행위

▶ 편성 결정 요인
  ① 외적 조건

   : 방송이 처해 있는 그 사회의 각종 법률과 규정 등의 제도적 조건

   : 생활주기,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같은 수용자 조건

  ② 내적 조건

   : 방송사의 정관, 사시(社是) 및 사훈, 경영방침, 방송지침 등과 같은 정책적 조건

   : 시설을 포함한 물리적 조건, 예산 조건, 인적 조건 등의 제작조건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⑴ 줄띠편성

(strip programming)

 : 일주일에 5일 이상 같은 시간대에 동일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기법
 : 시청자의 시청습관을 형성하게 하여 고정된 시청자를 확보하는데 유리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⑵ 구획편성

(block programming)

  : 하루를 몇 가지 시간대로 구분하여 구획으로 나누고 각 구획마다 특정한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편성하는 기법

  : 다소 동질성이 높은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유형의 프로그램을 집중 편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시청자들을 확보

, 유지하는데 유용한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⑶ 장기판 편성

(chekerboard programming)

 : 동일한 시간대에 매일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을 편성하거나 격일간격 또는 주간 

  단위로 같은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전략

 :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함으로써 시청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는데 매우 유용

  한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⑷ 대안편성

(alternative programming)

 :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소위 말하는 방송으로부터 소외된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보다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전략

 : 어린이, 노인을 비롯하여 학력이나 생활수준 및 문화수준 등이 높은 계층도 방송

   의 소외계층에 해당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⑸ 함포사격형 편성

(blockbuster programming)

 : 90분에서 2시간 정도의 강력한 단일 프로그램을 지칭 

 : 상대국의 짧은 프로그램보다 일찍 시작해서 시청자를 장악하는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⑹ 실력편성

(power programming)

 : 다른 네트워크가 이미 ‘요새화’한 시간대의 동일 시청자를 대상으로 같은 유형의 

  프로그램을 맞물려 편성하는 정면 도전형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⑺ 대응편성

(counter programming)

  : 동일한 시청자를 대상으로 전혀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을 편성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⑻ 엇물리기 편성

(cross programming)

  : 경쟁국의 프로그램보다 조금 앞서 편성하거나 아예 상대방 프로그램의

    가운데쯤에 걸쳐서 강력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⑼ 끼워넣기 편성

(sandwich, hammocking)

  : 장래가 불확실한 새 프로그램을 인기있는 기존의 두 프로그램 

    사이에 편성하는 전략 

  

⑽ 양면 걸치기 편성(tent-poling)
  : 하나의 인기있는 프로그램 앞뒤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전략

  

⑾ 선제편성

(lead-in, lead-off)

  : 주시청시간대의 시작을 강력한 프로그램으로 편성함으로써 처음부터 

    최대한의 시청자를 확보하자는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_편성전략의 유형


background image

▶ 편성전략의 변화

  : 시청자로 하여금 흐름(flow)을 형성하여 채널을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

  : 프로그램간의 연결에서 나타나는 ‘인접효과(adjacent effect)‘가 근간

  : 리모콘(RCDs: Remote Control Devices)은 시청자의 채널이동을 용이하게 함

   - 하나의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시청자는 여러 채널을 돌아다니다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 인접효과가 점차 약화

  : 전이효과 또는 전환의 가속화(accelerate of transition) 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이음새 없는 편성

(seamless programming)이 1990년대 말 미국을 중심으로 부상

    - 리빙엔드 크레딧, 콜드 스타트 전략

2.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background image

3.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편성

  지상파 방송과 달리 채널마다 특화된 전문편성 시행
  : 모든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과 달리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시청자만을 대상으로 함

  : 다른 채널과 경쟁하기 위해 어떤 프로그램을 편성하느냐가 더욱 중요하게 됨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이 추구하는 편성 목표
  첫째

, 가능한 한 많은 가입자 확보

  둘째

, 양질의 프로그램을 균형적으로 제공

  셋째

, 각 채널의 인지도 향상

  주요 편성 전략  
 - 주편성: 전문화된 분야의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

 - 부편성: 다른 분야의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

 - 순환편성 : 전문화된 케이블/위성 방송채널이 시청자의 생활주기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프로그램을 여러 번 편성하는 전략  


background image

 : 테마편성 - 각 채널이 갖는 고유의 특성이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하는                   
                ‘간판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
  

 : 프로그램 간 틈새편성 - 일종의 프로모션 프로그램
  - 한 프로그램이 끝나고 다음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 5분 이내의 매우 짧은 독립적 

   프로그램을 편성하거나 홍보하려는 특정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 내지 메시지를 삽

  입하는 편성방식

  -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키고 프로그램이 끝난 뒤 다른 채널로의 이탈

    을 막아 다음에 시작될 프로그램을 자연스럽게 시청하도록 유도할 목적으로 활용
  

 : 마라톤편성 - Day 편성/연속편성
  : 거의 하루 종일 또는 며칠에 걸쳐 드라마나 시리즈물과 같은 프로그램 하나를 연

   속적으로 편성하는 것

  : 이러한 장시간의 마라톤 편성은 연휴 때나 외출이 힘든 날씨가 지속되는 경우처럼 

    TV 시청시간이 길어질 때 이용

3.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편성_주요 편성사례


backgrou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