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3.2024학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하계 교수법 강좌별 일정 및 연수 신청, 이수 방법.hwp

닫기

2024년 하계(7월∼8월) 교수법 프로그램별 세부 일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수원

하계 교수법 과정별 일정 및 연수 신청 기간

과정명

기간

비용

방법

대교협 연수 신청기간

1

강의와 연구의 자료관리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워킹 교수법

7. 1.(월)~7. 2.(화)

24만원

비대면

(ZOOM)

6. 3.(월)

오전 10:00부터

선착순 모집

2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질적 자료수집 및 분석(기초)

7. 3.(수)~7. 5.(금)

30만원

비대면

(ZOOM)

3

수업 단계별 전달력·집중력을 높이는 프리젠테이션 교수법

7. 10.(수)~7. 12.(금)

30만원

비대면

(ZOOM)

4

학생 중심의 프로젝트기반학습(PjBL)

운영 노하우

7. 11.(목)~7. 12.(금)

24만원

비대면

(ZOOM)

5

내 교과목에 맞는 교수방법과 에듀테크 찾아가기

7. 15.(월)~7. 16.(화)

24만원

비대면

(ZOOM)

6

학습자중심 상호작용

Facilitation 실전 교수법

7. 19.(금)

15만원

비대면

(ZOOM)

7

좋은 대학 강의 만들기 : 강의계획서 기본과정

7. 22.(월)~7. 23.(화)

24만원

비대면

(ZOOM)

8

SPSS를 활용한 메타분석

이론과 실습

7. 29.(월)~7. 30.(화)

24만원

비대면

(ZOOM)

9

역량기반교육을 활용한 대학교육과정과 수업의 개선

8. 1.(목)~8. 2.(금)

24만원

비대면

(ZOOM)

6. 10.(월)

오전 10:00부터

선착순 모집

10

4차 산업시대 WPBL : 프라임아이디어 중심 학습

8. 5.(월)~8. 6.(화)

24만원

비대면

(ZOOM)

11

역량기반 교육에서의

학습성과 평가 전략

8. 8.(목)~8. 9.(금)

24만원

비대면

(ZOOM)

12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질적 자료수집 및 분석(심화)

8. 21.(수)~8. 23.(금)

30만원

비대면

(ZOOM)

강의와 연구의 자료관리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워킹 교수법

연수일자

2024. 7. 1.(월) ~ 7. 2.(화)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일정관리, 강의자료와 연구자료의 수집 및 관리, 수업운용에 필요한 스마트워킹 학습

o 노션의 DB테이블 기반의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과 스마트한 자료검색 활용법 학습

과정특징

o 스마트한 자료관리 핵심 사례 공유

o 노션, 지라(Jira) 활용법 학습

연수생

준비물

노트북(필수)

강 사

이명관(아이딘 대표)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1

(월)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환경설정(프로그램 설치)

기초 사용법(인터페이스 살펴보기, 페이지 작성, 할일관리 등)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스마트워킹 활용 사례

일정과 자료를 한번에 관리하는 DB구축 실습

학생과 소통하는 온라인 강의실 만들기 실습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2

(화)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팀 프로젝트 수업 운영 노하우 및 템플릿 만들기 실습

연구, 프로젝트 협업하기 실습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강의자료, 연구자료의 스마트 검색 DB 구축

노션과 외부 서비스 연동하기

Jira의 칸반보드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질적 자료수집 및 분석(기초)

연수일자

2024. 7. 3.(수) ~ 7. 5.(금)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30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5시간

목 적

o 다양한 질적연구기법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

o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할 수 있음

과정특징

o 강의 및 일부 실습으로 구성되며 관련 아티클을 예시로 소개

o 필요시 기본적인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활용법 소개

연수생

준비물

없음

강 사

한유리(다인컨설팅 대표)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3

(수)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질적 연구에 대한 기본적 소개

- 질적 연구의 특징

수업과제로 인터뷰 활용하기

- 인터뷰 질문지 구성과 인터뷰 진행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비대면(비실시간) 인터뷰 활용하기

- 질적 설문지나 게시판을 통한 자료수집

자료 분석

- 코딩과 테마 도출

17:0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4

(목)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수업과제로 신문 기사나 이미지, 콘텐츠 분석

- 내용분석 방법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수업과제로 관찰 활용하기

- 관찰일지 작성 방법

대학생 진로 지도에 자서전 활용하기

- 인생 곡선, 주제 도출, 스토리텔링

17:00

 2일차 연수 종료

3일차

7/5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1:30

동영상 촬영과 분석

-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분석 방법

11:30 - 12: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업 단계별 전달력집중력을 높이는 프리젠테이션 교수법

연수일자

2024. 7. 10.(수) ~ 7. 12.(금)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30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5시간

목 적

o 수업에서 프리젠테이션 교수법의 역할과 중요성 인식

o 수업 단계별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PT교수법의 다양한 스킬 습득

과정특징

o PT 컨셉을 활용한 수업 단계별 전달력집중력을 높이는 방법 습득

o 실제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효과 촉진 및 향상기법 구성

연수생

준비물

최근 수업(강의) 자료-PPT 파일

강 사

신현호(신현호HR연구소장/숙명여대 경력개발처 겸임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10

(수)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내 사전에 ad lib은 없다, Ground Rule

프리젠테이션 개요

- 프리젠테이션의 정의, 중요성, 3대 영역과 핵심 컨셉 및 교수유형 3가지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수업 도입(INTRODUCTION) 프리젠테이션

- 주의집중, 동기부여, 수업개요

- 프리젠테이션 3요소, 수업 도입시 교수의 역할

- 학습자 분석 : 인원수, 연령, 이해력, 남여 비율 등

- 시작하는 법 : 인사요령, 질문, 공통관심사, 음악, A/G

- 기타 요소 : 수업 장소, 실내 환경, 레이 아웃

수업 전개(BODY) 프리젠테이션

- 학습방법 개관, 학습동기 유발/유지, 학습효과 촉진/향상

- 교육의 3요소와 상호작용

17:0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11

(목)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수업 전개(BODY) 프리젠테이션

- 강의식 교육 vs. 참여식 교육/ 성인 교육/ 내용 전개의 6대 원칙

- 주요 학습방법 개관 : 강의, 토의, 사례연구, 역할연기, 실습

- 시간설정과 시간배분/ 유머 사용법, 판서 요령 등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수업 전개(BODY) 프리젠테이션

- 수업 중 문제행동 다루기

- 비쥬얼 PT의 장점과 비쥬얼 도구 사용시 유의사항:Color_Concept - 가독성을 높이는 BOX WRITING

17:00

 2일차 연수 종료

3일차

7/12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1:30

수업 종결(CONCLUSION) 프리젠테이션

- 요약, 재동기 부여, 결어/ 마무리 하는 법

- 질의응답 시간 : 질문을 다루는 법

-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_Case Study

11:30 - 12: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학생 중심의 프로젝트기반학습(PjBL) 운영 노하우

연수일자

2024. 7. 11.(목) ~ 7. 12.(금)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프로젝트 수업 적용을 위한 기초 이해부터, 실제 수업적용의 실습까지 진행되는 과정

과정특징

o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도입하여 수업을 설계, 개발, 운영, 평가 등을 실시할 때 교수자와 학습자가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와 유의사항 등을 실제 사례 및 실습 중심으로 운영

o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사례 교수와의 팀티칭 방식으로 운영

연수생

준비물

o 2024학년도 2학기 수업계획서

강 사

이재경(숙명여자대학교 교수), 홍효정(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11

(목)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Ⅰ. 프로젝트기반 학습(PjBL)의 이해

- 왜 대학에서 프로젝트를 강조하는가?

- Project인가? Problem인가? 캡스톤디자인과는 다른가?

Ⅱ. 대학에서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 사례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Ⅲ.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 준비

- PjBL을 적용한 수업 운영 단계

- PjBL 적용 수업의 단계별 교수자-학습자 R&R

-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PjBL 적용 수업 단계

- PjBL을 적용한 수업의 에듀테크 활용(페들렛)

Ⅳ. 내 교과목에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1(실습병행)

- 교과목 선정 및 학습자 특성 분석

- 학습자 팀 구성, 아이스브레이킹

- 학습자 관점에서 PjBL 수행 단계 이해(Design Thinking)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12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Ⅳ. 내 교과목에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2-1(실습병행)

- Design Thinking 단계별 PjBL 수업 운영 전략 1-2-3

- 학습자 활용 인지적 도구(학습자 활동지)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내 교과목에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2-2(실습병행)

- Design Thinking 단계별 PjBL 수업 운영 전략 4-5

- 학습자 활용 인지적 도구(학습자 활동지)

- PjBL 수업에서 학습자 평가(과정평가, 결과평가)

Ⅴ. 결과물 공유 및 마무리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내 교과목에 맞는 교수방법과 에듀테크 찾아가기

연수일자

2024. 7. 15.(월) ~ 7. 16.(화)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한 한기, 한 차시 교수자의 역할 정립

o 교과목 특성에 따라 적절한 교수방법을 적용하며 15주 수업을 재설계하며, 적절한 테크놀러지 활용방법을 습득

o 교수방법에 적절한 학생평가 방법 맵핑

과정특징

o 자신의 교과목(수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교수방법을 적용한 한 학기 수업설계

o 수업 내용에 따른 테크놀러지 활용 전략 수립

연수생

준비물

2024-2학기 수업계획서

강 사

홍 효 정(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15

(월)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교수학습 패러다임

- 4차 산업혁명, COVID-19로 변화된 교수학습환경

수업의 구조

- 수업의 구조와 구성요소, 교수-학생의 R&R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나의 수업 스타일

- 내 교과목에 맞는 수업 스타일 찾아가기

에듀테크의 활용

- 교수법과 에듀테크의 매칭

- chat GPT의 활용(교수용, 학생용)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16

(화)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강의형 수업의 교수법과 에듀테크 활용

- 강의형 수업에 적절한 교과목/ 콘텐츠

- 강의형 수업에서 블렌디드러닝, 마이크로 러닝

- 학생들과 상호작용형 에듀테크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활동형 수업의 교수법과 에듀테크 활용

- 활동형 수업에 적절한 교과목/ 콘텐츠

- 활동형 수업에서 블렌디드러닝, 마이크로 러닝

- 학생들과 팀 활동/상호작용형 에듀테크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중심 상호작용 Facilitation 실전 교수법

연수일자

2024. 7. 19.(금)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15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8시간

목 적

o 학습자들이 학습의 주인공으로 나서는 수업

o 모두가 주인공이 되어,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

o 서로를 통해서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수업을 위한, 학습자중심 + 상호작용 + Facilitation 실전 교수법을 실습과 사례를 통해 체득한다.

과정특징

o 이론보다는 100% 실전

o 참가자 전원 웹캠을 켜고, (거의 100%) 상호작용과 팀활동, 실습 위주 연수 진행 (Learning by Doing)

o 학습자중심수업 + 상호작용 + Facilitation 체험

o (주의) 참여형으로 진행되어,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연수참여에 의미가 없으며, 팀에 폐를 끼치게 됨.

연수생

준비물

o 노트북/컴퓨터 (스마트폰, Tablet 등으로 수강 불가)

o Zoom+웹캠+헤드폰+마이크 사전 테스트

o 온라인 환경: 조용한 장소, 안정적인 인터넷 속도, 등

o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호작용) 준비

강 사

김남기(전남대학교 교수)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19

(금)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30

온라인연수 목표와 기대 공유

온/오프라인 도구를 활용한 상호작용 Facilitation (실습)

Ice Breaking & Team Building (실습)

학습자중심 수업의 설계와 운영 (사례)

성찰

12:30 - 14:00

중 식

14:00 - 18:00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촉진하는 실전 교수전략 (실습)

학습자중심 수업을 위한 토대 1: 안전지대의 확보

친밀한 관계형성을 촉진하는 실전 교수방안 (실습과 사례)

학습자중심 수업을 위한 토대 2: 친밀한 관계형성

질문을 활용한 상호작용 Facilitation (실습과 사례)

학습자중심 수업을 위한 토대 3: 교수자의 철학과 사랑

회고와 성찰

18:00 – 18:3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좋은 대학 강의 만들기: 강의계획서 기본과정

연수일자

2024. 7. 22.(월) ~7. 23.화)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신임교수 또는 좋은 대학 강의를 준비하시는 교육학비전공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좋은 대학 강의의 개념을 형성한다.

o 좋은 대학 강의계획서 작성 역량을 함양한다.

과정특징

o 교육학비전공 교수님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맞춤형 강의

o 대학의 발전을 위한 미래지향성 강의에 대한 관점 수립

o 강의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탄탄한 기본 개념 형성

o 강의계획서 구성요소별 작성법 안내 및 Good/Bad 사례 분석

o 강의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핵심성공팁 정리

o 특정 수업모형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는 강의계획서 작성

o 참여 교수님들의 실제 강의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및 개선(희망하시는 분)

연수생

준비물

o 강의계획서(*자신의 강의계획서에 대한 논의와 개선을 희망하시는 교수님들만 지참)

o 줌으로 수강할 수 있는 PC환경(모바일 휴대폰 지양)

강 사

송상호(안동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22

(월)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대학강의의 발전방향

- 강의계획서와 수업계획서의 차이 / 강의, 수업, 학습, 교육방법

- 교수님들의 강의에 대한 접근방법의 발전방향

매력적인 강의의 중요성

- 매력성의 요소 : A, R, C, S (기초)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강의계획서 작성의 포지션 정립

- 습득, 역량향상, 안목형성 / Blended Learning의 진정한 의미

강의계획서 : 내 강의로의 초대장

- 강의의 프라임아이디어로서 공감

강의계획서의 구성요소

교육학비전공자가 알아야할 교육심리기초

-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학생을 알아야 성공한다

- 성인학습자 흉내와 자기주도학습 / MZ세대의 특징

스스로 지켜야할 교수자의 권위

- 진정성 있는 권위는 권력이 아니다.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23

(화)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강의목표의 의미

- 강의목표, 수업목표, 학습목표

교육방법과 수업모형

- 어떤 모형을 따를 것인가? / 교육방법, 수업모형, 수업전략, 학습전략의 차

강의설계와 수업설계

- 거시설계, 중시설계, 미시설계

가르치는 순서를 찾자:ICM과 내용의 흐름

- 출발점행동이란? / 학습의 위계

코스 구성의 중요성

학생평가와 강의평가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강의계획서의 평가

- 나만의 평가체크리스트를 만들자

강의계획서 사례 분석 및 개선

- 강의계획서 작성의 자율성 / 강의계획서 벤치마킹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SPSS를 활용한 메타분석 이론과 실습

연수일자

2024. 7. 29.(월) ~ 7. 30.(화)

신청기간

2024. 6. 3.(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주요한 연구문제에 대해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량적으로 요약하는 메타분석의 원리를 이해하고 연구에 응용할 수 있다.

o SPSS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의 주요 통계치, 그림 및 차트를 산출하고 해석할 수 있다.

과정특징

o 수학적인 배경보다 메타분석의 원리와 개념 중심으로 설명한다.

o 자료수집과 데이터 코딩부터 엑셀과 SPSS를 이용한 분석까지 단계별로 실습한다.

연수생

준비물

o 노트북(수업은 SPSS 사용) 지참

o SPSS28 버전 프로그램 설치(수강 전 프로그램 다운 및 설치 안내함)

o 실습용 파일(수강 전 제공) 저장 USB

o 노트북 외에 보조 모니터 1개 사용 권장(SPSS 실습시 유용함)

강 사

백수현(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7/29

(월)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메타분석 개요

- 메타분석이란?

- 메타분석의 필요성 및 적절한 연구주제

- 메타분석의 장단점

효과크기

- 효과크기 사용의 필요성 및 효과크기 예시

- 효과크기 계산/변환방법: 효준화된 평균차이, 상관계수, 승산비

- 효과크기와 역분산 가중치 계산법

- 엑셀 함수로 효과크기와 역분산 계산하기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데이터 코딩 및 관리

- 코드북 작성 및 기록

- 데이터 구조

- 효과크기 코딩에 관한 쟁점

- 평정자 훈련 및 신뢰도

메타분석의 단계

- 효과크기 수합과 계산, 분석모델

- 동질성/이질성분석

- 하위그룹분석 (조절변수)

- 메타회귀분석

- 출판편향분석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7/30

(화)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SPSS 실습 및 SPSS 출력물 해석

- SPSS 도입

- 연속형 원자료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SPSS 실습 및 SPSS 출력물 해석

- 이산형 원자료

- 사전에 계산된 연속형 효과크기 

- 사전에 계산된 이산형 효과크기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역량기반교육을 통한 대학교육과정과 수업의 개선

연수일자

2024. 8. 1.(목) ~ 8. 2.(금)

신청기간

2024. 6. 10.(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대학 교수 및 교직원의 교육과정 설계 역량 강화

o 역량기반교육 및 성과기반교육으로의 대학교육 패러다임 배경 이해

과정특징

o 역량기반 대학교육과정(교양교육과정 및 전공교육과정) 편성 절차 이해와 실습

연수생

준비물

소속대학의 핵심역량, 소속학과의 전공역량(능력)

강 사

이은화(신라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8/1

(목)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소개 및 목적 설정

학생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

- 성과기반교육의 개념

- 성과기반교육 환류개선체계

역량기반교육으로의 교육패러다임 전환

- 초복잡성시대 학력관의 변화 - 초복잡성시대 교육의 과제

- 역량의 개념 변화 - 역량기반교육의 출발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역량기반교육에서 학생 학습성과 설정

- 대학 학습성과의 체계

- 대학핵심역량 및 전공역량 설정 과정과 절차 & 사례 학습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8/2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역량 사전 만들기

- 대학핵심역량 및 전공역량 정의서 작성하기

- 하위역량 및 행동지표 설정하기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교육과정 매핑

-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교과목 개요서(명세서) 개발

- 역량기반 교과목 설계의 기초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시대 WPBL: 프라임아이디어 중심 학습

연수일자

2024. 8. 5.(월) - 8. 6(화)

신청기간

2024. 6. 10.(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4차산업시대 인재양성을 위한 최고(First Class)WPBL수업을 수행하려는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WPBL(workplace problem based learning)에 대한 안목을 형성한다.

o 프라임 아이디어 중심 학습을 촉진하는 전문 역량을 함양한다.

과정특징

o WPBL(workplace problem based learning)기본 이론 습득을 통한 수업운영 관점 정립

o 4차산업시대를 주도할 문제인식(problem sensing)인재양성 필요성에 대한 이해

o 프라임아이디어 형성을 위한 씨앗뿌리기, 그물망전략, on the table 토론 이해

o 전공내용 기반의 First Class 명품강의로 발전하기 위한 방향 탐색

o 알기 쉽게 설명하는 핵심팁 중심의 명쾌한 연수 실시

o 그 동안 수많은 교수법 특강을 통해 산만하게 얻어진 교수법들에 대한 체계화

o 학생들의 머리 속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수업 노하우 공유

o 학습자 동기유발을 위한 ARCS모델의 전략, 전술 활용 방법 습득

연수생

준비물

o 4차산업시대 필요한 Active learning을 위한 고급수업을 하시려는

교수님들만의 질문사항

강 사

송상호(안동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8/5

(월)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4차산업시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프라임아이디어, nice to know vs. need to know

- 좋은 강의를 위한 키워드 도출/ICM(instructional curriculum map)의 개념

- 내용의 순서와 학습의 순서(내용제시의 계열성)

교육학지식 탈학습(unlearning)의 중요성

대학생에게 중요한 active 학습전략 그리고 독해력(대학문해)

-현장문제 중심 학습의 필요성

-문제발견의 주체는 학생이다.

-대학생 독해력 향상프로그램 체험

교육1.0, 교육2.0, 교육3.0의 개념과 현장 이슈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어떠한 인재를 양성할 것인가?

- 문제인식(problem sensing)인재의 의미

- 1차원, 2차원, 3차원 problem sensing의 개념

WPBL인가?

- 기존 problem based learning을 넘어서

- WPBL은 실전 학습모델이다.

한 학기 강의 내용구성을 위한 ICM(instructional curriculum map) 실전연습

강의계획서와 수업계획서 살펴보기

-강의계획서 진도와 이해의 진도

거시설계, 중시설계, 미시설계 적용하기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의 핵심 교수전략

학습동기 유형별 접근전략: 참여동기, 지속동기, 계속동기

- 매력성의 요소 : A, R, C, S 전략의 구체화(실전)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8/6

(화)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공감하기의 중요성

-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 우리는 경쟁자가 아니라 협력자이다.

학습자를 사로잡자

- 첫시간의 중요성

- 학습동기 관리 노하우

씨앗뿌리기의 중요성

- 수업은 1회성 간식이 아니다.

- 코스의 흐름, 수업의 흐름

골세팅과 미션구체화

- 수업목표와 학습목표

- 자기주도학습은 골세팅에서 시작된다.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말하기와 토론하기

- 학생들이 입을 닫는 이유

- 토론전략 on the table

- 동료티칭과 하브루타

노트는 왜 작성하는가?

- 1차노트는 현장메모

- 2차노트는 나의 작품

- 3차노트는 나의 거울

WPBL의 학습활동 계획하기

-수업모형, 전략, 전술, 테크닉의 활용

- SEARCHING

- READING

- CONNECTING

- DISCUSSING

- PRACTICING

- PRESENTING

- REFLECTING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역량기반교육에서의 학습성과 평가 전략

연수일자

2024. 8. 8.(목) ~ 8. 9.(금)

신청기간

2024. 6. 10.(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24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2시간

목 적

o 성과기반교육의 교육평가에 대한 이해와 적용능력 함양

o 과정중심 수행평가를 적용한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계획의 설계

o 학습성과 평가 개선을 통한 대학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 제고

과정특징

o 역량기반교육 적용을 위한 다양한 수행평가 유형에 대한 검토

o 교과목 적용을 위한 수행평가 과제 및 평가기준표 개발의 구체적 실습

연수생

준비물

수행과제 및 평가 적용할 과목의 수업계획서

강 사

이은화(신라대학교 교수)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8/8

(목)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소개 및 목적 설정

역량기반교육의 평가 패러다임 변화

- 역량기반교육 / - 성과기반교육 / - 수행평가

역량기반교육의 대학교육과정 재설계

- 역량기반전공교육과정 / - 역량기반교양교육과정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유형

- 직접평가도구 & 간접평가도구

수행평가의 유형

- 개방형 지필평가 / - 토의토론 / - 프로젝트

- 포트폴리오 / - 구술 발표 / - 실험실습

수행평가 과제 개발 실습

-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절차와 방법

- 수행평가 과제 개발 실습

16:3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8/9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수행평가 과제 개발 실습

- 수행평가를 위한 학습 경험 계획하기

수행평가 채점기준표 개발 실습

- 총체적 채점기준 / - 분석적 채점기준

- 체크리스트 / - 루브릭

- 서술형 논술형 / 토의토론 / 작품 / 실험실습 / 포트폴리오

12:00 - 13:30

중 식

13:30 - 16:30

수행평가 과제를 반영한 수업 리디자인

- 백워드 수업 설계 / - 포워드 수업 설계

- 수행평가 반영한 수업지도안 작성 실습

- 학생 피드백 계획 및 CQI

16:30 – 17: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질적 자료수집 및 분석(심화)

연수일자

2024. 8. 21.(수) ~ 2024. 8. 23.(금)

신청기간

2024. 6. 10.(월) 10:00 ~ 각 과정별 연수시작 14일 전까지

연수비용

30만원

납부기간

각 과정별 연수시작 7일 전까지

연수대상

대학 교수

연수방식

비대면(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연수)

이수시간

15시간

목 적

o 다양한 질적연구기법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

o 대학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임

과정특징

o 강의 및 일부 실습으로 구성되며 관련 아티클을 예시로 소개

o 필요시 기본적인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활용법 소개

연수생

준비물

없음

강 사

한유리(다인컨설팅 대표)

일자 및 시간

내 용

1일차

8/21

(수)

09:00 - 09:30

등록(ZOOM 접속) 및 오리엔테이션

09:30 - 12:00

포커스집단 인터뷰(FGI) 방식을 활용한 토의 수업

- FGI 설계와 집단 인터뷰 운영 방법

- FGI 인터뷰 내용 분석 방법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혼합연구 설계

-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동시에 수집하고 분석한 뒤 통합하기

- 설문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인터뷰 설계

- 질적 자료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 구성

17:00

 1일차 연수 종료

2일차

8/22

(목)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2:00

자전적 경험 이해

- 교수자로서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 방식으로 탐구

12:00 - 13:30

중 식

13:30 - 17:00

시각적 이미지(사진, 그림)를 활용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

- 사진유도(photo-elicitation) 인터뷰와 포토보이스(photovoice)

- 이미지 자료 분석하기

17:00

 2일차 연수 종료

3일차

8/23

(금)

09:00 - 09:30

ZOOM 접속 및 참가

09:30 - 11:30

질적 메타 분석

- 유사한 주제를 다룬 질적 연구를 종합해서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는 방법 소개

11:30 - 12:00

프로그램 평가 및 연수 종료

상기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