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문_2024년 kird 데이터 활용 학술대회 논문 공모.hwp
닫기2024년 한국혁신학회-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공동 추계 학술대회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 공모
과학기술 분야 변화와 위기 대응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인재 혁신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위해 한국혁신학회와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추계 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과학기술 인재개발」 특별 세션을 개설하고자 합니다. 본 대회에서는 KIRD가 보유한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데이터를 제공하여 관련 연구자와 대학원생의 연구 기회를 지원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KIRD 조사 데이터 개요
ㅇ KIRD는 과학기술 인재육성 전담기관으로서 과학기술 인재육성 활동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근거기반 교육 및 인재육성사업 기획에 활용을 목적으로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실시
ㅇ 해당조사는 2022년, 2023년에 실시된 반복 횡단조사이며, 과학기술 분야 재직자 및 이공계대학 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로 IPO모형 기반의 인재개발 계획-활동-성과(결과) 문항으로 구성(붙임 참조)
□ 특별세션 공모 주제
ㅇ KIRD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연구와 정책연구 논문 전반을 포함
* KIRD 데이터만 활용한 연구주제부터 KIRD 데이터와 이종 데이터를 연계ㆍ분석하는 연구 주제까지 자율 주제(단, KIRD 데이터 활용 필수)
□ 특별세션 참가 구분 및 자격*
* 아래 기준외 사안에 대해서는 학술위원회에서 판단하여 자격여부 및 구분 결정
ㅇ 일반연구자와 대학(원)생 부문으로 구분하여 원고 모집
ㅇ 일반연구자 부문 : 제1저자는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이어야 하며, 나머지 공동 및 교신저자는 산․학․연 등 기관의 재직 연구자로 구성
ㅇ 대학(원)생 부문 : 제1저자 및 공동저자는 대학(원) 재학생, 수료생, 휴학생(졸업예정자 포함) 이어야 하며, 교신저자는 지도교수 포함 가능
□ 특별세션 관련 주요 일정
ㅇ 논문발표 신청서 제출 마감 : 2024년 7월 26일(금)
※ 이후 추가 공고문 내,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주제 예시 참조
ㅇ 논문발표 신청서 심사결과 공지 : 신청서 제출 후, 10일 이내
※ 논문발표 신청자에 한하여 별도 공지 예정
ㅇ 학술대회용 데이터(raw data) 제공* : 논문발표가 결정된 순으로 제공
*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raw data, 코드북, 사용자 매뉴얼 제공
ㅇ 논문(Full paper) 제출 마감 : 2024년 10월 18일(금)
※ 특별세션 논문의 경우, 우수논문 심사의 대상이 되므로 심사를 위한 최소한의 논문수준 미달 시 발표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저자에게 개별 통보될 예정임
ㅇ 논문발표 및 우수논문 시상 : 2024년 11월 中, 학술대회 행사 당일
※ 당일 발표가 불가능할 경우 수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논문발표 및 시상 참여는 논문 저자 중 최소 1인 이상이면 충족
□ 특별세션 시상내역 및 혜택
ㅇ 우수 발표논문에 대한 시상
: 최우수상 1편(상장 및 상금 100만원), 우수상 2편(상장 및 상금 75만원), 장려상 2편(상장 및 상금 50만원)
※ 최우수상은 세션의 부문에 제한 없이 1편, 우수상과 장려상은 일반연구자와 대학(원)생 부문별로 각 1편씩 선정됨을 원칙으로 하나, 제출된 논문의 편수와 수준 및 심사결과에 따라 시상내역 및 편수는 변동 가능
ㅇ 시상 논문은 등재지인 한국혁신학회지에 약식심사를 거쳐 게재가능
※ 한국혁신학회지 자동 투고는 선택사항
ㅇ 해당 특별세션 논문 발표자 및 저자는 등록비 면제
□ 특별세션 제출 서류 및 방법
ㅇ 논문계획서 : 논문제목, 배경,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시사점 등 A4용지 3쪽 이내로 기술
ㅇ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논문의 모든 저자 각각 작성
ㅇ 데이터 사용자 서약서
※ 사용자 서약서 미제출시 학술대회 참가자용 데이터 제공 불가
※ 학술지 논문 게재 관련 문의 : 한국혁신학회()
ㅇ 제출 방법 : 이메일 접수(ksoi2005@naver.com)
※ 소정 양식은 한국혁신학회 홈페이지 > 학술대회 안내 > 2024년 KIRD 과학기술 인재개발 조사데이터 학술대회 논문 공모에서 다운로드 가능
□ 특별세션 관련 안내 및 유의 사항
ㅇ 특별세션 논문 발표 대상자는 사전 참가신청을 한 것으로 간주
ㅇ 제공된 데이터는 본 공동 추계 학술대회의 발표논문의 작성 및 제출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함
ㅇ 피치 못할 사정으로 발표를 하지 못하게 된 논문도 제출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또한 접수된 자료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최종 발표논문 선정 심사결과는 공개하지 않음
ㅇ 논문 작성 및 제출에 소요되는 비용은 지급하지 않음
ㅇ 논문의 최종제출 확인에 대한 책임은 저자에게 있음
ㅇ 기타 사항은 데이터 사용자 서약서 내 포함된 기준을 준용함
□ 문의처
ㅇ 학술대회 관련 문의사항은 한국혁신학회로 문의
* 연락처 : 학술위원장 우종률 교수 (논문 접수 및 발표 관련, 02-3290-5911, jrwoo@korea.ac.kr)
학회사무국 최지수 국장 (학술대회 운영관련, 02-880-9058, )
ㅇ 조사 문항 및 데이터 관련 문의사항은 KIRD로 문의
* 연락처 : 조사 담당자 손정은 부연구위원 (042-820-4041, jeson@kird.re.kr)
ㅇ 자세한 사항은 한국혁신학회(http://www.ksoi.or.kr/main/main.php) 또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홈페이지 참조
[붙임] KIRD 과학기술 인재개발 활동조사 정보
1. 개요
▸ KIRD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HRD 전문기관으로서 2022년부터 과학기술인의 인재개발 활동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조사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음
▸ 2024년에는 ‘한국혁신학회’와의 공동 추계 학술대회(11월 초 예정)를 통해 KIRD 보유 조사 데이터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과학기술과 사회과학을 융합하는 학술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2. 조사 목적 및 대상
▸ (목적) KIRD 교육‧사업 지원 대상인 과학기술분야 재직자 및 이공계 대학 연구원의 인재개발 활동에 대한 현황 파악을 통해 근거 기반 교육‧사업 기획에 활용하고자 함
▸ (대상) 과학기술 직무분야에 종사하는 재직자(연구개발인력, 연구지원인력) 및 이공계 대학의 연구원(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후연구원)임
구분 |
정의 |
재직자 |
• 과학기술 직무분야에 종사하는 자(활동) • 연구개발인력: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R&D)을 직접 수행하는 연구직 및 기술직 인력 •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을 지원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기능직 및 행정직 인력 |
이공계 대학 연구원 |
• 과학기술전공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취득자(자격) • 과학기술전공(자연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학과 및 대학원에서 연구개발활동에 참여하는 인력 중 학생연구원(석‧박사과정), 박사후연구원 |
3. 조사 내용
구분 |
재직자 |
이공계 대학 연구원 |
일반현황 |
• 성별, 연령, 기관유형, 기관소재지, 직무, 연구분야, 종사분야 |
• 성별, 연령, 대학유형, 대학 소재지, 전공계열, 연구분야, 최종학력, 전공분야 |
인재개발 계획 |
• 현재 경력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시기 • 역량/경력개발 필요성 및 이유 • 다른 업무영역 경험 희망 여부 및 이유 • 이직 계획 및 희망 직장 유형 |
• 대학원 진학 결정 시점 및 이유 • 진로 선택 과정 중 영향을 미친 사항 • 진로 결정 시 고려사항 • 연구개발 종사직종 선호도 |
개인 특성 |
• 연구(업무) 관련 인식 •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 연구수행 관련 인식 •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환경 특성 |
• 소속 기관 조직 문화 • 직속 상사 리더십 |
• 소속 연구실 문화 • 지도교수 리더십 |
인재개발 활동 |
• 재교육 및 스킬 불균형에 대한 인식 • 연구(업무) 방식 • 역량강화, 경력개발 활동 |
• 현재 목표 직장 • 목표 직장 관련 경력개발 준비 정도 • 역량강화, 경력개발 활동 |
인재개발 프로그램 |
• 교육훈련 목적, 선호 교육 형태 • 인재개발 활동 필요성 및 참여여부, 도움수준 |
• 교육훈련 목적, 선호 교육 형태 • 인재개발 활동 필요성 및 참여여부, 도움수준 |
인재개발 결과 |
• 역량 및 경력개발 활동 결과 • 직무만족도, 경력만족도, 소속기관 만족도 • 최근 3년 간 연구성과 • 경력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단계 • 경력개발 위한 개발원/정부 차원 요구사항 |
• 역량 및 경력개발 활동 결과 • 직무만족도, 경력만족도 • 최근 3년 간 연구성과 • 경력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단계 • 경력개발 위한 개발원/정부 차원 요구사항 |
4. 응답자 특성
구분 |
2022년 |
2023년 |
||||
응답자(명) |
비율(%) |
응답자(명) |
비율(%) |
|||
재직자 |
2,067 |
100.0 |
2,000 |
100.0 |
||
직무 유형 |
연구개발직 |
1,529 |
74.0 |
1,490 |
74.5 |
|
연구지원직 |
538 |
26.0 |
510 |
25.5 |
||
연령 |
20대 |
283 |
13.7 |
458 |
22.9 |
|
30대 |
963 |
46.6 |
731 |
36.6 |
||
40대 |
526 |
25.4 |
539 |
27.0 |
||
50대 |
227 |
11.0 |
238 |
11.9 |
||
60대 이상 |
68 |
3.3 |
34 |
1.7 |
||
이공계 대학 연구원 |
1,030 |
100.0 |
1,000 |
100.0 |
||
전공계열 |
자연계열 |
320 |
31.1 |
313 |
31.3 |
|
공학계열 |
414 |
40.2 |
398 |
39.8 |
||
의약계열 |
296 |
28.7 |
289 |
28.9 |
||
직급 |
석사과정 |
457 |
44.4 |
478 |
47.8 |
|
박사과정 |
431 |
41.8 |
392 |
39.2 |
||
박사후연구원 |
142 |
13.8 |
130 |
13.0 |
5. 주요 변수
< 투입(Input) 변수 > Social Resources • 경력개발지원인식(Organizational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 Organizational Culture • 조직문화(관계지향, 혁신지향, 위계지향, 과업지향) Leadership •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sonal Resources • 경력지향성(Career orientation) •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심리적 임파워먼트(Psychological empowerment) • 개인-환경 적합성(Person-environment fit) • 주도적 경력행동(Proactive career behavior) • 프로티언 경력행동(Protean career attitude) • 무경계 경력태도(Boundaryless career attitude) • 학습민첩성(Learning agility) • 기업가정신(Enterpreneurship) • 경력정체성(Career plateau) Development Resources • 재교육(Recurrent education) • 스킬 불균형(Skill mismatch) • 무형식학습 활동(Informal learning) •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 •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
➩ |
< 결과(Output) 변수 > Outcomes • 직무몰입(Work engagement) • 직무열의(Job enthusiasm) • 직무성과(Job performance) •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 •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 경력몰입(Career commitment) • 고용가능성(Employability) • 혁신행동(Innovative behavior) • 창업의지(Entrepreneurial intention) • 창의적 행동(Creative behavior) • 창의과정몰입(Creative process engagement) Well-being Correlates •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 경력만족(Career satisfaction) • 일의의미(Meaning of work) • 경력성공(Career satisfaction) • 일생활균형(Work-life balance) • 직무스트레스(Occupational stress) |
※ 2022년, 2023년 주요 변수 내역이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문항정보 참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