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첨1.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신청서 양식.hwp
닫기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신청서 (실험실창업탐색팀) |
|||||||
신청기관 (EL 소속기관 기준) |
기관명 |
기관구분 |
대학( ), 출연(연) ( ) |
||||
주소 |
|||||||
실험실창업 탐색팀명 |
국문 |
||||||
영문 |
|||||||
실험실창업 아이템명 |
구분 (구분형별 자세한 사항은 사업공고 4 page 참조) |
교육유형(필수 선택) |
□ 해외교육형 □ 국내교육형 |
||||
여성특화형(해당시 선택) |
□ 여성특화형 |
||||||
국문 |
|||||||
영문 |
|||||||
창업아이템 기술분야 |
예) IT, NT, ET, CT, BT, ST, 기타 (창업 아이템 속성과 가장 가까운 1가지만 선택) |
업종 |
제조업( ), 비제조업( ) |
||||
예비 창업대표 (EL) |
성명 |
(서명) |
생년월일 |
||||
소속기관/ 학과(부서) |
전공분야 |
||||||
최종학위/ 현재학적 |
<예> 석사과정/석사졸업/박사과정/박사졸업/박사후연구원 |
Tel |
|||||
핸드폰 |
|||||||
창업 지도자 (PM) |
성명 |
(서명) |
생년월일 |
||||
소속기관/ 학과(부서) |
전공분야 |
||||||
최종학위 |
Tel |
||||||
핸드폰 |
|||||||
기술지도 교수(연구원) (PI) |
성명 |
(서명) |
생년월일 |
||||
소속기관/ 학과(부서) |
전공분야 |
||||||
최종학위 |
Tel |
||||||
핸드폰 |
|||||||
2025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실험실창업탐색팀) 신청서를 다음과 같이 제출합니다. 2025년 월 일 신청기관장 : (직인)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장 귀하 |
<작성 시 주의 사항>
1. 신청서 작성분량 : 표지 포함하여 총 10페이지 이내
2. 실험실창업탐색팀명 및 아이템명은 반드시 국문과 영문 모두 기재
3. 창업아이템 기술분야 : IT, BT, NT, ET, ST, CT, 기타(예시: 수치해석) 등으로 표기
4. 신청기관장 날인 : EL소속 기관장 날인
Ⅰ. 실험실 창업(탐색) 아이템
1. 실험실창업 탐색의 추진 동기와 목표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에 지원하게 된 동기, 실험실창업 추진 동기와 추진 목표 등을 기재 |
2. 실험실 창업(탐색) 아이템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실험실창업(탐색) 아이템의 컨셉, 목표 고객, 타 제품(서비스)와의 차별성, 창업아이템의 시장전망 및 시장규모 등을 아래의 내용을 고려하여 기술 - (작성시 고려사항)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직면하고 있는 고객(집단),문제해결 방식, 문제해결 방식의 특징과 장점 등이 부각될 수 있도록 기술 2. 아래의 소제목은 수정․보완하여 작성 가능 |
□ 창업(탐색) 아이템의 컨셉
□ 창업(탐색) 아이템의 목표 고객
□ 창업(탐색) 아이템과 타 제품(서비스)과의 차별성
□ 창업(탐색) 아이템의 시장전망 및 시장규모
Ⅱ. 핵심기술
1. 핵심기술의 개요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실험실창업(탐색) 아이템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이하 ‘핵심기술’이라 함)의 기능, 특징, 의미 등을 다음의 참고사항을 고려하여 기재 - (작성시 참고사항) ① (해결해야 할 문제) 본 기술은 ( )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② (기존기술과의 차이점) 기존 기술은 ( )방식으로 ( )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동 기술은 (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③ (기술의 의미) 동 기술은 ( )한 점에서 그 의미가 큽니다. |
2. 핵심기술의 확보계획
2-1. 핵심기술의 지식재산권 현황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핵심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특허권, 실용신안권, S/W 등) 현황과 권리인(특허권자 등)과 발명인(개발자)과 실험실창업탐색팀(EL, EL, PM, PI)과의 관계를 기재 2. 특허 및 기타 지식재산권이 없는 경우 아래 양식을 삭제하고 출원(등록) 계획을 기재 3. 특허 및 기타 지식재산권이 있는 경우 증빙자료를 ‘첨부’파일로 혁신단 제출(파일) - 증빙자료 미첨부에 의한 평가 시 특허 및 기타지식재산권 미인정의 책임은 탐색팀에 있음 |
□ 특허 출원/등록 실적 (※ 출원중인 경우 등록 관련 정보는 기재하지 않음)
특허명 |
출원년도 |
출원국 |
출원번호 |
출원인 |
등록년도 |
등록국 |
등록번호 |
등록인 |
□ 기타 지식재산권 (실용신안, S/W 등)
유형 (S/W 등) |
제 목 |
등록년도 |
권리인 |
등록번호 |
□ 핵심기술의 권리인 및 발명자와의 관계
구분 |
제 목 |
출원 또는 등록번호 |
권리인 |
발명자 |
권리인 및 발명자와의 관계 |
※ “핵심기술의 지식재산권 현황”에 기재한 모든 지식재산권을 기재
※ ‘구분’은 지식재산권의 유형(특허, 실용신안, S/W 등)을 기재
※ ‘권리인 및 발명자와의 관계’는 권리인․발명자와 EL, PM, PI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기술(예시: 특허출원인은 PI 소속기관, 발명자 ○○○는 EL 본인)
2-2. 핵심기술 확보계획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핵심기술을 다른 법인 또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이의 확보계획, 기술개발 단계 및 핵심기술의 up-grade 계획 등을 기재 2. 아래의 소제목은 수정․보완하여 작성 가능 |
□ 핵심기술 확보계획
□ 핵심기술의 개발 단계
연구단계 (선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통 |
기본원리 파악 |
기본개념 정립 |
기능 및 개념 검증 |
연구실 환경 테스트 |
유사환경 테스트 |
파일럿 현장 테스트 |
상용모델 개발 |
실제환경 최종 테스트 |
상용운영 |
||||||||
신약 |
과학지식기반 리뷰 |
가설 설정과 실험 설계 |
타겟/후보물질의 identification과 예비후보물질의 characterization |
후보물질 최적화 및 Non-GLP in vivo 에서 활성 및 효과 (efficacy) 실증 |
후보물질의 특성화 및 GMP 프로세스 개발 착수/ GLP in vivo |
GMP Pilot Lot Production (GMP시험 대량생산, ND 제출, 임상 1상) |
생산량 증대, GMP 프로세스 검증 시작, 임상 2상 |
GMP, 대량생산의 일관성 검증완료, 임상3상, FDA승인 |
임상 4상 (허가 후 활동) |
※ TRL 9단계의 연구단계중 해당되는 것을 선택
□ 핵심기술 up-grade 계획
Ⅲ. 사업화 추진계획
1. 창업(탐색) 아이템의 시작품(시제품) 제작계획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창업(탐색) 아이템의 검증 및 구체화를 위한 시작품(시제품) 제작계획(제작방법, 예상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 |
2. 사업화 추진계획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창업(탐색) 아이템을 사업화하기 위한 추진일정 등을 도표 등을 활용하여 기재 |
3. 창업 추진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실험실 창업(탐색) 추진시 애로 및 건의사항, 기타 참고사항 등을 자유롭게 기재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 작성하지 않아도 됨) |
Ⅳ. 실험실창업탐색팀
1. 실험실창업탐색팀의 구성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구성원(EL, PM, PI, EM)의 본 창업아이템과 관련된 주요 R&D 실적 및 기술사업화(창업, 기술이전 등) 경력, 실험실창업탐색팀 내에서의 역할을 기재 |
구분 |
성명 |
생년월일 |
소속기관/ 학과(부서) |
최종학위/ 현재학적 |
핸드폰 |
이메일 |
EL과의 관계 |
성별 |
EL |
<예> 석사수료 / 박사과정중 |
- |
||||||
PM |
||||||||
PI |
||||||||
EM |
<예> 학부과정중 |
|||||||
EM |
||||||||
EM |
※ EL 또는 EM이 졸업생일 경우, 학교 또는 정부출연연구소 소속 연구원 등록 가능한 시점 및 계획 작성 - 예1) ‘25.2월 석사 졸업 후, ’25.3월 00대학교 박사학위 등록 예정 - 예2) ‘25.2월 박사 졸업 후, ’25.4월 00연구소 연구원 등록 예정 !!) 선정 후 2개월 이내 대학 또는 연구소에 연구원(생) 등록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최종 지원 |
※ ‘최종학위/현재학적’은 PM, PI의 경우 최종학위만 기재(EL, EM은 최종학위와 현재학적을 기재)
※ ‘EL과의 관계’는 EL과 PM, PI, EM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기재(예시: 지도교수, 소속대학 창업전담교수, 연구실 후배 등)
2. 구성원의 주요 경력 및 역할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구성원(EL, PM, PI, EM)의 본 창업아이템과 관련된 주요 R&D 실적 및 기술사업화(창업, 기술이전 등) 경력, 실험실창업탐색팀 내에서의 역할을 기재 |
구분 |
성명 |
소속 |
전공분야 |
주요경력 |
역할 |
EL |
|||||
PM |
|||||
PI |
|||||
EM |
|||||
EM |
|||||
EM |
Summary of Business Start-up Item |
작성요령 |
* 작성 요령은 보고서 작성 후 삭제바랍니다. |
1. “해외교육”을 위해 다음 항목에 대해서는 반드시 영어로 작성(Please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n less than 500 characters respectively) 2. ①해외교육형, ②여성특화형+해외교육형에 한하여 작성 ※ 국내교육형 및 여성특화형+국내교육형은 미작성 |
1) What is the core technology you are planning to commercialize?
2) What is the main problem that you are trying to solve with this technology, and who are the customers?
3) What makes your solutions better than other (current)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