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Milan Group의 사례연구
1. 사례개요
Osburm씨 가족은 William(부, 33세), Joan(모, 32세), David(장남, 11세) 그리고 IP인
Benjamin(9세, 3학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이 호소한 문제는 Benjamin의 등교거부
(school phobia)와 공격성, 내향성(introversion), 집을 나서지 않으려 하며 예전에 좋아하던
취미활동을 하지 않고 개인위생 관리에 대해 무관심해지는 등이다. 이들 가족은 이전에 정
신과의 치료를 받았으나 정신과 의사의 권유로 Milan치료센터에 父가 전화로 응급치료를
요청하게 되었다. 부모는 남편(William)의 혼외 이성관계로 인하여 2년간 별거하였는데, 父
가 자녀양육 책임을 맞고 모는 자녀가 보고 싶을 때마다 만나고 있었다. 외조부가 사망한
시점에 재결합하였으나 별거전의 남편의 이성관계와 별거후의 부인의 이성관계에 대하여
상호비방하는 등 원만한 부부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으며, 외조모가 생존해 있고 잠시 동거
하였었다.
다음에 제시하는 사례초록은 치료팀이 父가 전화로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전치
료시간(presession)과 IP가 참석하지 않은 첫번째 session과 전체가족이 참여한 두번째
session을 가진 후 IP의 증상이 원만하지 못한 부부관계를 유지시켜주며, 부부 모두가 자
녀의 증상행동을 통하여 특권을 누리고 있다 즉, 부모의 게임에 기능적인 역할을 하고 있
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IP의 형(David)이 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함으로써 문제를 전
이(problem shifting)시켜 부부의 게임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입을 하였다.
2, 사례분석(세번째 session)
1) pression
1개월 후 이루어진 세번째 session이 시작되기 전에 치료팀이 가진 사전 토의시간을
통하여 부부가 별거하였을 때 父子간에는 강한 동맹관계(alliance)가 있었으며, 증상은 모가
집으로 되돌아오게 하려는 요청의 은유적 표현이라는 가설을 입증하게 되었다. 그리고 모
가 부-IP-David간의 동맹관계를 깨뜨리기 위하여 시부모의 가게에 일을 함으로써 모-IP-
시부모라는 새로운 동맹관계를 만들게 되었는데, 이에 대한 부의 반응은 우울(depression)
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부는 현재 David를 동맹관계에 더 깊이 관여하도록 하고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세번째 session에서는 부부관계의 문제를 치료상황에 도입
시키기로 결정한다.
- 2 -
2) session
Therapist(T): 자, David야 내 얘기 좀 들어봐. 엄마, 아빠는, 물론
순환적 질문:
아빠가 더 그러겠지만, Benjamin이 왜 부모님들의 말에 귀를 기울 IP 또는 그
이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니?
의 행동에 대
한 가족 인식
을 파악
David(D):(매우 놀라면서, 대답을 않는다)
Mother(M):(끼어 들면서) 넌 Benjamin의 우리 말에 귀를 기울인다고
생각하니?
D: 아뇨, 그렇지 않아요. 전혀.
T: (끼어 들면서) 그래. 그건 부모님이 얘기하신 거고. . . 네 의견을
순환적 질문
묻겠는데, 부모님은 어째서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겠니 ?
(3인군질문)
D: (대답이 없다)
Father(F): (David에게) 그게 우리들만의 생각이니 아니면 진짜 그런 David과의
거니? 내말은 엄마, 아빠가 그렇게 생각하는지 아니면 객관적으로 동맹을 강화
봐도 그러느냐는 얘기야.
하려 함
D:(서둘러서) 아뇨, 사실인것 같아요. 그건 진실이예요.
F: 그래? David,넌 조금 쉽게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애. 무슨 말인
지 알겠니?
D: 예?
M: (David에게) 넌 Benjamin이 여기 오지 않으려고 할 때 뭐라고 했
니? “ 왜 엄마는 Benjamin을 데리고 오지 않은거죠?”라고 했지.
D: 예.
M: (매우 공격적인 어조로) 그리고 뭐라 했지? “난 Benjamin을 납득시David을 동
수가 없기 때문이야”라고 했지.
맹에 끓어
들이려 함
D: 그때 전 엄마한테 Benjamin은 집에 있어야 한다고 했어요.
M: 집에 혼자 둔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야 ! 그래, 난 그애가 우리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고 생각해.
(치료자는 평일날의 생활과 모의 새로운 직업에 관해 가족에게 질문하
하고, 친척들이 문제의 악화에 관해 어떻게 느끼는 지를 질문하고,
session을 계속 진행한다)
T: (부에게) 좋아요, 그런데 미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순환적 질문:
당신은 상황이 이렇게 진행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 것 같습니까? 증상의 예후
에대한 가족
인식을 질문.
- 3 -
F:(끼어 들면서) 예, 미래에는 선생님들이 제기했던 또 다른 문제들이 가설적 질문
나타나. . .
T: 저희가 이 문제와 관련이 있나요? 우리가?
F: 선생님들의 David에 관한 가설. .
M: (끼어 들면서) 우리는 David을 걱정하게 될거예요.
F: 우리는 David에 대해 걱정하게 될 것입니다. 현재까지는 David가
어떤 뚜렷한 문제를 갖고 있지는 않아요.
T: (끼어 들면서) 그러나 지금 당신들이 또다른 문제가 있다고 얘기하긍정적 의미
시는데, 그게 무슨 말씀이신가요? David에 관해 걱정을 한다는 얘 부여:부모가
기입니까?
다른 문제라
고 했던 것을
‘걱정’으로 재
F: 예, 선생님들이 지난번에 “제 느낌으로는 분명한 것 같은. . ”라고
정의
얘기했기 때문에.
T: 물론이예요.
F: 선생님은 David에 대해 더 걱정하십니까?
T: 물론 그렇습니다.
(이후 Benjamin의 현재 증상에 대해 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의
증상이 어떻게 될 것이나에 대해 묻는데, 부는 증상이 악화될 것이
라고 한 반면 모는 약간 낙관적인 태도를 보인다)
F: 우리가 그얘한테 안전감을 주지 못했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그애는부부관계가
두려워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2년 동안 별거했다는 걸 알고session의
계시죠.
前景에 등장
T: 예. 당신들은 1년전에 재결합했죠?
M: 예, 나는 그것이 제 잘못이라고 생각해요. 과거에 제가 정말 피곤
할 때마다 애들과 남편은 저한테 못살게 굴었어요.
T:(끼어 들면서) 당신이 별거했을 때, 애들을 남편에게 맡겼었나요?
M: 예. 아빠하고 함께 있었어요.
T: 당신은 집을 나갔었구요?
M: 예, 제가 나갔어요.
T: 그런데 왜 돌아오기로 결정하셨습니까?
M: 음-(잠시 생각한다)
T: 저는 잘알지 못하지만, 그게 남편 때문이었습니까? 애들 때문이었 구둣점(
습니까? 왜 돌아오시게 되었죠?
punctation)
M: 주로 아이들 때문이었지만, 남편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린 母로서의 죄
정말로 가깝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애들은 우리 사이가 약간 벌어 의식, 이별에
- 4 -
졌다고 생각할 겁니다. 그래서 그애는 안정을 느끼지 못하고, 이것 대한 공포와
때문에 저 자신을 질책하곤 했습니다. 제가 피곤할 때, 애들과 남 부부관계의
편이 나를 힘들게 했기 때문에, “나는 나가겠다”고 얘기하곤 했죠. 불만족 표시
그러나 말로만 그랬지 실제 그랬다는 건 아닙니다. 그러나 그 애는
분명히 고통을 받았죠.
(중략)
3) intersession
치료자들은 다른 방에서 별도로 모여, 개입방법을 논의한다. 치료자들은 첫번째, 부모들
이 부모로서의 역할을 하고, 자녀는 자녀로서의 역할을 하게 만들기 위하여, 가족의 각 부
분을 분리(splitting)하기로 한다. 그리고 Benjamin의 증상이 부모를 함께 있게 하기 위해
채택한 일(job)이라고 규정하지만, 부모를 비난하여서는 않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4) intervention
T: 무엇보다도 Benjamin이 참석해줘서 고맙지만, 지난번에 오지 않은 긍정적 의미
것에 대해서도 고마워 해야 해요. Benjamin이 없을 때 우리는 첫 부여? 치료
session에서 얘기됐던 것을 이해할 수 있었어요. 그러니까 그때 우시간에 참여
리는 David를 걱정했었죠.
않은 불복종
을 긍정함
T: 우리는 Benjamin과 David이 모두 또다른 이별이 일어날 것이라고 긍정적 의미
생각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드려야 겠어요. 특히 부여: 증상이
Benjamin은 가장 어리고 또 가장 민감한데, 몇달전에 부모를 함께 부부관계를
있게 만들기 위한 큰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행동하기 시작한 유지시키기
겁니다. David도 역시 동생을 도와주기 시작했겠죠.
위한 행동으
로 규정. 병
이 아니고 민
감성으로규정
(치료자는 자녀들이 부모를 돕기 위하여 자신들의 일을 포기함으로써
등교거부, 친구와 취미 등을 포기하게 되었다고 말해주고, 자녀들이
아무리 희생을 하라도 부부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T: 우리는 이제 당신 부부만을 만나기로 했습니다. 왜 아이들이 이런 자녀와 부부
생각을 갖고 있는지, 즉, 가족에서 다른 이별이 일어날 거라고 생각체계간의 경계
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하여 부모님만을 뵙기로 한 겁니다.
설정을 통해
분리(splitt-
ing)
T: 이 결론은 Benjamin과 관련이 많습니다. 우리는 이제 Benjamin 너
- 5 -
자신으로 돌아가서, 아이로서의 네 인생을 살고 그래서 이전의 게임
을 하기를 부탁한다. 부모는 우리가 다룰테니까. 물론 우리가 너와
같을 수는 없지만, 우리도 너를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할께
(아버지가 설명을 듣고 싶어 하는 것같았다)
T: 아니예요. 설명할 필요없습니다. 제가 여러분께 얘기할 수도 있지 처방: 침묵처
만 분명히 당신들중의 누군가가 저에게 물어보리라고 생각했었죠. 방을 내림으
그래서 지금 얘기하고 있는 겁니다. 일단 24시간동안은 이런 것들 로써 두 체계
에 대해서 일체 의논을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 다음에는 마음대를 분리함
로 해도 됩니다.
5) postsession
치료팀은 세번째 session의 개입이 재구조화 즉, 분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가족에 새
로운 정보(novelty)를 많이 제공하였다고 평가한다. 즉, 이전 session에 불참했던 Benjamin
에 대한 긍정적 재정의, 그의 증상행동을 자발적이고, 의도적인 것으로 정의한 것 그리고
다음 session에 정상적인 가족성원 즉, 부부(부모가 Benjamin과 David는 “이상한 생각”을
가졌다는 얘기를 했음)만 참석하라고 하는 것 등과 같은 역설적 기법들은 가족이 갖고 있
는 전제(premise), 의미(meaning)를 변화시키려는 개입목적과 연결되어 있다는 평가를 내
리고 세번째 session을 마친다.
3. 치료진행과정 및 종결
네번째 session에서는 부부만을 대상으로 한 면접에서 부부관계에 대한 부부의 인식이
불일치(disconformation)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내고, 이런 불일치가 Benjamin의 증상을 일
으키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번째 session의 재구조화를 위한
개입으로 어느 정도의 부모-자녀체계간의 분리가 나타나고 있었지만, 기대수준에는 못미치
는 것이었다. 그러나 치료팀이 부부관계를 빨리 통합시키게 되면, 증상의 재발이나 다른 문
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개입을 하지 않고 session을 종료하였다.
다섯번째 session에서는 Benjamin의 증상이 더 이상 부부관계에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됨
으로써, 자녀들은 수업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IP의 다른 문제행동들도 사라졌다는
정보를 가족이 제시하였다. 즉, 부모, 자녀체계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가족은 항상성
을 되찾기 위하여 David를 끌어들이려는 시도를 할 것이라고 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화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2 ~ 3개월후에 다시 session을
갖기로 한다.
여섯번째 session은 3개월 후에 이루어졌는데, 가족내에서 일어난 변화 즉, IP의 증상이
없어지고, David가 부모의 게임에 끌려들지 않고 있으며, 조부모를 방문하기 위하여 자녀
들을 남겨두고 가는 등 부모, 자녀체계의 분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고, 부부관계도
친밀해졌으므로 치료를 종결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