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2 장 정신분석이론
제
13 장 분석심리이론
제
14 장 개인심리이론
제
15 장 자아심리이론
제
16 장 대상관계이론
제
17 장 교류분석이론
제
18 장 인본주의이론
제
19 장 행동주의이론
제
20 장 인지이론
제
3 부
인간 성격과 사회복지실천
대상관계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이해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개념 이해
대상관계이론의 인간발달 관점 이해
대상관계이론의 사회복지실천 적용방안 이해
제
16 장
대상관계이론
학습목표
대상관계
(object relation)를 강조하는 수정정신분석이론
개인이 관계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표상 형성과 이 표상이 자신과 타인
에 대한 지각
, 관계 경험과 양식, 정신건강과 병리에 미치는 영향 이해에 유용
한 이론틀 제공
관계 욕구는 기본 행동 동기이며 성격형성의 결정적 요인
정신분석이론
: 생물학적 긴장상태 해결과정에서 성격 형성
대상관계이론
: 관계 형성과 유지의 욕구에 의해 성격 형성
인생 초기의 대상관계 경험이 인간관계
, 성격과 행동의 결정적 요인
대상관계이론은 자아가 본능 충족 뿐 아니라 대상관계 형성
, 유지 기능 강조
대상관계이론에는 다양한 이론이 포함
Klein: 정신분석이론과 대상관계이론 결합. 아동의 내면 세계, 특히 자기와
대상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강조
Fairbairn: 대상 추구가 인간의 기본 동기
Winnicott: 자기(self)의 발달에 어머니의 양육(nurture)의 중요성 강조
Kohut: 자기(self)를 강조. 자기심리이론(self psychology)으로 분류
Mahler: 대상과 자기의 분리를 강조하는 분리-개별화 과정 제시
Kernberg: 경계선적 성격장애를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하여 설명
Bowlby: 애착이론
대상관계이론의 용어와 개념은 혼란스러우며
, 통일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
1. 인간관과 가정
관계지향적 존재
: 관계형성은 인간의 선천적 욕구이자 동기이며,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거나 대상상실의 경우 불안과 공포 경험
개별화를 추구하는 존재
: 인간은 관계지향적이지만, 관계에서 독립되려는 경향,
개별화에 실패하면 융합된 채로 살아가고 ‘먹혀 버릴 것 같은 불안’ 경험
불변적 존재
: 즉, 결정론적 관점으로, 생애 초기 대상과의 관계 경험이 정신 내
에 남아있으며
, 과거 관계의 잔재 즉, 내적 대상관계가 이후 대인관계를 결정
주관적 존재
: 객관적 경험 자체가 아니라 그 경험의 주관적 측면이 더 중요한
의미 지니며
, 실제 일어난 일보다 개인이 그 일을 지각한 것 즉, 내적 표상이
더 중요하므로
, 개인 이해를 위해서는 자신과 대상을 내면화한 내적 표상의
이해 필수
환경 속의 존재
: 타인과의 관계는 생존과 성장의 전제조건이며, 타고난 생물적
요인이나 본능보다 대상관계 포함한 환경요인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침
1) 인간관
인간은 관계욕구를 타고 내어남
. 관계욕구는 인간행동 기본 동기
초기 대상관계 경험이 성격 형성의 결정적 요인
, 이후에 지속적 영향
Freud: 남근기의 정신내적 갈등 강조. 성인 속의 아동 발견
Klein: 남근기 이전 영유아기 관계경험 강조. 아동 속의 영유아 발견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
내적 대상관계 문제이자 자기
(self)의 혼란. 즉, 통합적 자아기능 문제
영유아기의 왜곡된 대상과 자기 표상에 의해 형성된 역기능적 대상관계가
현재의 관계 등에 부정적 영향
그 결과로 부적응 행동과 역기능적 대인관계 형성
, 자아조절과 통합 기능이
저하되어 개별화된 존재로 살아가는데 문제 발생
대상관계 치료
내담자를 좋은 측면과 나쁜 측면을 동시에 가진 통합적 인격체로 수용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치료관계 형성하여 문제해결
치료자는 건강한 대상관계와 통합적 자아기능을 갖추어야 함
내담자의 내적 대상체계와 자아기능에 대한 통찰을 원조하고
, 왜곡된 대상
관계를 수정하고
. 자아기능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원조
대상관계이론의 기본 가정
: 교재 425쪽 표 16-1 참조
2) 기본 가정
2. 주요 개념
1) 대상
대상
: 주체가 관계를 맺고 있고 사랑, 미움 등의 정신에너지가 투여된 어떤 것
즉
, 사람, 사물, 장소, 생각, 환상 등
주로 타인과의 관계를 의미하므로 ‘인간 대상’ 지칭
. 가끔 ‘타자(other)’로 부름
외적 대상
: 직접 관찰 가능한 실재하는 사람, 사물, 장소
내적 대상
: 외적 대상과 관련하여 주체가 심리적으로 경험하는 정신적 표상. 즉,
외적 대상에 대해 개인이 갖는 이미지 등의 심상
중간 대상
: 외적 대상과 내적 대상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면서 유아와 애착관계
를 형성하는 대상
. 즉, 인형, 담요, 이불과 같이 유아가 습관적이면서도 강한
애착감정을 부여하는 대상
cf.: 중간현상: 노래, 자장가, 몸짓, 습관적 태도 등과 같은 비물질적인 것으로
중간대상과 동일 기능 수행
부분대상
: 대상이 지니고 있는 특정 부분(예: 어머니의 가슴, 손,좋고 나쁜 부분)
전체 대상
: 대상의 모든 부분을 지칭
영유아는 처음에는 좋은 대상
(good object)과 나쁜 대상(bad object)을
서로
분리된 대상으로 이해
.
성장하면서 좋고 나쁜 두 개의 부분 대상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좋은 부분대상
과 나쁜 부분대상을 동시에 가진 통합된 개체로 인식하여
, 정신적으로 성숙
이론가마다 주요 개념이 서로 다르므로
, 공통으로 사용하는 개념 설명
자기
: 유아가 양육자와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면화한 자신에 대한 지각, 정서,
감각
, 기억, 기대, 환상 등을 포함하는 정신적 표상.
자기
: ‘나’라는 사람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 즉 자기표상 vs. 개인: 다른 사람에
게 실제로 보이는 사람
자기표상은 타인 세계와 관계를 맺는 방식에 많은 영향을 받고 미침
2) 자기
3) 대상관계
개념
: 실제적인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와 대상과의 관계
구성요소
: 자기표상 + 내적 대상표상 + 둘 사이의 정서적 연결
대상관계 형성
어머니 등과의 관계를 통해 대상표상 형성 및 자기에 대한 표상도 형성
두 표상은 본능
, 정서로 연결되어, 개인의 특징적 인지와 정서, 행동 양식을
형성하며
, 이것이 개인의 대상관계의 기본방식 결정
생애 초기에 형성된 대상관계는 이후의 관계 경험에 의해 수정될 수 있지만
,
대상관계가 경직되면 이후 경험을 통하여 대상관계를 변화시키기 쉽지 않음
용어의 혼란
: Klein(자기=자아), Fairbairn(자아 세분화), Kohut(자기)
자아
=자기(self), 조직화(organization), 조직화하는 기능(organizer)
의미 내포
Hamilton: 자아= ‘자기로서의 자아’ + ‘체계(system)으로서의 자아’
자기로서의 자아
: 자기 자신의 신체상이나 주관적 감각에 대해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각하는 것으로
, 자기표상과 유사한 개념
체계로서의 자아
: 지각, 충동, 감정, 양심 등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통합하고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종합하고 조직화하는 기능
자아의 기능 즉
, 행위자(agent)로서의 자아
조직화
(organizer), 균형 유지(balancer), 중앙 통제기능(central regu-
lator)을
행하는 통합적 기능 수행
즉
, 자아는 지각, 기억, 인지, 정서, 행동, 양심 등의 요구를 분별, 통합, 균형을
잡고 조직화하고 통제하고 선택하고 결정하는 정신 기능 수행
자아는 성격의 중심부에 존재하지만 개인은 자아를 의식하지 못하며
, 어떤
현상을 관찰하는 지각하는 주체
(observer or perceiver)로서 기능
자아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는 자기를 자아가 조직화하고 통제함
4) 자아
표상
: 개인이 주관적으로 지각하고 경험한 바를 바탕으로 만든 정신적 이미지
로서
,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소를 모두 포함
개인이 외적 대상에 대한 의미와 이미지를 형성한 후에는 실제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거나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 그 개인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대상이미지
와 관계를 형성하고 반응
개인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외적 대상에 대해 가지게 된 의미와 이미지 또는 대
상을 받아들이고 소유하는 방식을 표상이라 함
5) 표상
6) 내면화
개념
: 개인이 새로운 환경이나 대상의 특성을 자신의 내면으로 받아들여 자기
의 특성으로 변형시키는 심리적 기제로
, 함입, 내사, 동일시 포함
함입
(incorporation): 자기와 대상간의 분명한 경계가 발달하기 전에 대상을
개
인의 내면으로 받아들여서 자기와 대상이 어떠한 구분도 없이 하나로 융합
되어 자아와 대상이 공생적 합일체가 된 상태
내사
(introjection): 자기와 대상이 어느 정도 분화되어, 대상의 행동이나
태도
,
감정 등이 자기이미지로 융화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미지로 보존되는 즉
,
내면화된 대상표상이 되는 심리적 기제
동일시
(identification):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이 어느 정도 안정되었을 때,
대상
의 특성들을 선별적으로 받아들여 대상과 자신이 구별되는 느낌을 유지하면
서 그 대상의 이미지를 자기표상으로 귀속시키는 기제
자아의 통합
, 분화 기능은 상호보완적 과정으로, 이를 통해 온전한 대상이미지
형성이 가능해짐
통합
: 지각, 기억, 표상, 정서, 생각, 행동 등의 두 개 이상의 정신적 요소를
의미있게 합치는 심리적 기제
분화
: 두 개 이상의 정신적 요소를 따로 떼어 놓는 심리적 기제
자아의 통합과 분화 사이의 상호작용이 방해 받을 때
, 투사적 동일시, 분열
분열
: 자기와 주요 타인에 대한 서로 상충되는 경험을 따로 떼어 놓는 기제
분열기제가 작동하면 좋은 측면
(goodness)과 나쁜 측면(badness)으로
나뉘고
시간과 공간 차원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영향을 못 미침
대상이나 자신의 서로 다른 정서 중 한 측면만을 의식적인 차원에서 경험하고
다른 측면은 배제함
분열은 대상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세계에서도 발생
분열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통합에 실패하는 경우
, 대상이나 자신을 “좋다”와
“나쁘다”라는 흑백논리로 인식하므로 심리적 부적응의 원인으로 작용
분열과 관련성이 높은 심리적 기제는 이상화와 평가절하
이상화
(idealization): 자신 또는 대상을 완벽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좋은
대상과
나쁜 자기가 하나의 대상관계 단위가 되는 것
평가절하
(devaluation): 이상화의 반대로, 바쁜 대상과 좋은 자기가 하나의
대상관계 단위를 형성하는 것으로 자신 또는 대상을 무가치하게 여김
(7) 통합, 분화, 분열, 이상화와 평가절하
8) 투사적 동일시
개념
: 자신의 수용하기 힘든 내적 상태나 특성 즉, 나쁜 측면을 대상에 투사
하고
, 대상에게 투사된 자기의 측면을 통제하려는 시도. 즉, 대상이 투사된 자
신의 나쁜 측면을 갖고 있는 것처럼 느끼거나 행동하도록 교묘하게 조종하고
유도하는 무의식적 심리적 기제
(예: 교재 432-433쪽 참조)
투사적 동일시는 반드시 나쁜 측면의 제거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긍정적
투사적 동일시도 있으나
, 일반적으로 부정적 투사적 동일시가 대부분
자신의 나쁜 측면을 제거하여 대상으로부터 이해받고 수용받고 싶은 무의식적
의도와는 다르게
, 투사적 동일시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행동을 유발
하고 분열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
3. 대상관계 발달에 대한 관점
발달
: 타인과의 융합을 깨고 타인에게서 독립되고 구별되는 개별적이고 개성적
존재가 되는 과정
Fairbairn의 발달단계: 초기 유아적 의존단계, 과도기적 단계, 성숙한
의존단계
(교재 433쪽 참조)
Cashdan의 발달단계: 어머니 분화단계, 상상적 분화단계, 정체성 분화단계
(교재 434쪽 참조)
Mahler의 분리-개별화 단계
3세가 될 때까지 유아가 혼자 있을 때, 모와 상호작용할 때를 관찰하여 유아의
심리적 탄생과정을 설명
정상적 심리발달뿐 아니라 유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성격장애 등과 같은
정신병리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기여
초기 대상관계에서의 부적절한 분리와 개별화는 이후 관계에 부정적 영향
1) 자폐단계
출생∼
2개월, 신생아는 자기나 대상에 대한 인식이 없이 신체 감각만을 인식
하는 무
(無)대상 단계
영아는 어머니와 완전한 융합 상태에 있으므로 자폐적 상태
외부 환경에 대해 아주 적은 양의 정서적 투입
, 환경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는
반사행동
영아는 환경과 자신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긴장을 줄이고 생리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며 쾌락의 원리에 의해 움직임
2∼6개월로, 영아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해 주는 대상의 존재를 희미하게 인식
시작
자기와 어머니를 분리된 존재로 지각하지 못하며
, 어머니에 대한 애착을 통해
자기와 양육자가 마치 하나인 것처럼 지각
어머니와의 공생이 충분하면 영아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는 전능감을 경험
하여
, 자신과 어머니가 하나의 경계선 안에 있는 이중적 자기-타자 합일체
또는 하나의 전능한 체계
(an omnipotent system)인 것처럼 지각
Mahler는 어머니가 영아를 안아주고 보듬어주는 것을 강조
어머니와 부분적으로 분화되어 있을 때 영아가 받아들인 어머니의 보듬어주는
패턴은 이후에 건설적이고 적응적인 관계유형을 형성하는 기반이 됨
만족스러운 보듬어주는 경험이 우세하고 불쾌한 경험을 하면
, 자기와 대상
이미지를 규정하는데 매우 유익함
Winnicottt: ‘이만하면 좋은 양육(good enough mothering)’이라 함
2) 공생단계
6개월∼3세,연습단계, 재접근단계, 개별성 확립과 대상항상성 형성단계로 세분
(1) 분화단계(differentiation) 또는 부화단계(hatching): 6-10개월
자기와 어머니
, 다른 사람들을 구분하기 시작
어머니의 몸에서 떨어 나가려 하고 어머니 신체의 부분을 세밀하게 탐색하며
,
다른 사람이나 담요나 인형과 같은 중간대상에게로 관심을 확장
어머니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대조하며
, 낯선 사람
불안 반응
(stranger anxiety)을 보임
유아가 어머니에게 다가섰다 거리를 두었다 하는 움직임
(to-and fro
movement)을 통해 자기와 대상의 분화가 진행되어, 분리-개별화 시작
(2) 연습단계(practicing): 10-16개월
영아가 새로운 기술을 익히기 위해 자율적 자아기능을 반복해서 실행에 옮기는
것을 즐거워함
운동기능이 발달하여 어머니로부터 떨어질 수 있고
, 행동반경이 넓어짐
처음에는 어머니를 떠나려 할 때 안전기지
(home base)인 어머니를 돌아보고
점검하거나 어머니 주위를 맴돔
보행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자율적으로 환경을 탐색하려 하며
, 탐색과정에서
자기를 전능한 존재라고 바라보며 자기애
(narcissism)가 최고조에 달함
어머니 또한 영아의 자율적 탐색을 즐겁게 수용하여
, 점차 이 과정이 확대되어
새로운 기술 습득을 확신하게 됨
3) 분리-개별화 단계
(3) 재접근단계(rapprochement): 16-24개월
화해단계로도 불리며
, 운동기술과 인지능력이 발달하여 영아는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인식함
현실탐색에서 좌절경험을 하게 되면 전능감이 줄고 자기능력의 한계를 인식
하게 되는데
, 이 때 영아는 자기와 어머니가 분리된 존재이며 어머니가 항상
곁에서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존재가 아님을 인식하게 됨
영아는 어머니와 의도적으로 신체적 접촉을 원하거나 회피하는 등 의존과 독립
에 대한 욕구를 동시에 표현하며 두 욕구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
이 과정에서 어머니와 타인을 전적으로 좋은 또는 전적으로 나쁜 대상으로
번갈아 가며 지각하고
, 중간대상에 대한 애착이 증가함
언어기술 발달로 자기전능감이 다시 증가하지만 아버지가
3자적 입장에서 두
사람에게 정서적 관여를 요구함으로써 영아와 어머니 사이의 분리과정을 촉진
이 하위단계가 끝날 무렵에는 어머니와 대상과의 최적의 거리를 발견하고 주변
사람을 새로운 방식으로 받아들이며 부모가 제시한 규칙을 내면화함
발달과업
: 어머니의 좋은 부분대상과 나쁜 부분대상을 전체 대상으로 통합
3) 분리-개별화 단계
(4) 개별성 확립 및 대상항상성 형성 단계(consolidation of individuality
& the
beginnings of emotional object constancy): 24-36개월
재접근단계의 매달리거나 거부하고 떼를 쓰면서 의존하는 행동은 줄어들고
,
자기 일에 집중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어머니를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있음
유아는 좋고 나쁜 자기표상도 통합하고 자신에 대한 안정적 인식을 갖게 되어
,
개별성을 확립해 나감
어머니의 좋고 나쁜 대상표상을 통합시켜 어머니의 일관된 대상표상 형성
정서적 대상항상성
(emotional object-constancy), 즉 어머니에 대한
긍정적
인상을 내면에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획득되어
, 어머니가 없어도 심리적인
위안을 받고 또한 한동안 어머니와 떨어져 기능할 수 있는 능력 생김
이와 함께 개별화가 진행되게 되고 자기 항상성
(self-constancy)도 형성
유아가 대상과 자신에 대한 안정된 표상을 형성함으로써
, 자신과 타인에 대한
경험이 극단적이거나 부분적이 되지 않고
, 안정적 대상관계를 형성함
3) 분리-개별화 단계
건강과 정신병리가 개인의 대상관계와 대상관계를 내면화하는 과정과 연결
정신병리
: 현재의 대인관계 경험이 실제 상황이나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내적 대상관계에 의해 영향 받고 지배됨으로써 나타나는
부적응적 대상관계의 문제
건강한 사람의 특성
: 대상항상성을 확립한 사람, 대상에 대한 통합성을 확립한
사람
, 개별화가 잘된 사람, 자아 기능이 확립된 사람(교재 438-439쪽 참조)
병리적인 사람의 특성
: 분열된 사람,투사적 동일시를 자주 또는 과도하게 사용
하는 사람
, 애착과 개별화 간의 불균형이 있는 사람, 변형적 내면화(부모로부
터 공감적 반응을 받지 못하고 버림받고 거부당한 느낌을 자주 경험하여
, 부정
적 자기이미지와 자기비하적 태도
, 강박적 성격을 형성한 사람)에 실패한 사람
(교재 439쪽 참조)
4.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Kohut: 정신병리=자기(self)의 혼란
특히 자기애적 성격장애는 과장된 자기와 이상화된 대상이 현실지향적인 자기
조직으로 통합되지 못하여
, 약물남용, 성적 문란, 자해, 폭식 등의 문제 야기
자기병리의 유형
: 충분한 자극을 받지 못한 자기, 파편화된 자기, 과도하게
자극받은 자기
, 과도한 짐을 지고 있는 자기(교재 440쪽 참조)
Winnicott: 환경적 결핍증으로 인해 ‘참 자기’가 형성되지 못함이 원인
어머니가 공감적 보호를 제공해주는 안아주기
(holding), 민감한 손길과 세심한
배려를 하는 다루어주기
(handling), 유아가 대상을 수용하고 탐색할 준비가
되었을 때 대상을 제시하는 대상제시
(object presenting)가 적절히 이루어지
지 않아
, 참다운 자기가 형성되지 못함
Fairbairn: 자아의 극단적 분열(splitting)이 원인
대상을 소유하고자 하는 강한 갈망은 대상을 파괴할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유발
하고
, 대상을 향한 모든 접촉은 대상을 파괴할 것이라는 공포를 유발하여,
분열성 병리를 초래
어머니의 나쁜 부분 대상을 통제함으로써 어머니의 좋은 부분 대상을 보호하려
는 아동의 시도는 내적 경험을 억압하고
, 내적 좌절감을 형성하여 병리
4.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개인의 정신병리가 인생 초기단계에서 대상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문제로 통합적인 자아기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임
치료목적
: 내담자의 역기능적 대상관계 변화, 자아 통찰을 획득하여 적응적인
대상관계를 형성하고
, 자아기능을 강화하여 자신과 타인에 대해 현실적이고
수용적 태도를 갖고 자립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원조
Klein: 초기 불안을 줄이고, 내적 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통을 경감
Fairbairn: 자아 분열의 치료와 인격 재통합 원조
Kohut: 약화된 자기를 강화해 자기를 상실하지 않고 대상관계 형성 지원
2) 치료 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치료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관계’에 초점 즉
, 치료적 관계 자체에 초점
치료자
-내담자의 관계가 건강한 대상관계의 디딤돌이 되며, 치료적 관계 경험
자체를 통하여 내담자의 자기개념의 변화가 일어남
치료자는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 특히 치료자에 대한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을
감정이입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함
내담자는 건강하지 못한 대상관계를 형성하는 심리적 기제를 활용하여 관계를
맺어왔고
, 치료자와의 관계에서도 동일한 기제와 방식으로 관계를 맺음
치료자는 현재의 치료적 관계를 통하여 내담자의 과거 관계경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 내담자는 지금까지 자신이 사용해왔던 관계방법을 이해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내담자는 대상과의 정서적 접촉에 따르는 공포심
, 대상을 향한 자신의 정서가
충분히 좋은 것이 아니라는 두려움과 이로 인한 수치심
, 유아적 의존대상에게
로 퇴행하고자 하는 갈망을 지니고 있으며
, 다른 사람의 공감을 얻고 싶어함
치료자의 역할
: 인격적 대상관계 해석. 즉, 내담자를 ‘좋고 나쁜 부분을 모두 가
지고 있는 가치있는 인격체’로 이해
, 수용, 신뢰하는 ‘좋은 관계’를 맺어야 함
공감적 이해와 수용
, 버텨주기(holding), 유머(humor)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공고히 하고
, 자신이 내담자의 편이라는 사실을 인
식할 수 있도록 함
‘이만하면 좋은 부모와 같은 인물’ 또는 ‘감탄하는 청중의 역할’을 수행하여
내담자와 만족스러운 대상관계를 형성할 경우
, 병리해결과 건강한 자아발달
의 기반으로 작용
치료적 관계 형성 이후
, 치료자는 내담자의 대상과 자기에 대해 갖고 있는 정서,
지각
, 기억, 행동, 환상 등 내적 역동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내담자의 과거로 회귀하기 보다 현재 치료적 관계를 분석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치료자는 내담자의 분열
, 투사적 동일시 등을 활용한 왜곡된 대상관계 형성에
대한 요구에 굴복해서는 안됨
. 즉, 치료자는 내담자의 부적절한 대상관계
요구에 ‘아니오
, 그럴 수 없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함
치료자는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사용하는 투사적 동일시
, 분열,
전이 등을 해석하고 직면시켜 내담자와 치료자의 대상관계 자체를 변화
내담자 스스로 부적응적 대상관계를 맺는 것이 의미가 없음을 깨닫고
, 다음에
자신이 뭘 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기 시작
치료자는 내담자가 치료를 통해 배운 새로운 대상관계 형성방법을 다른 대상
관계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
대상관계이론의 실무원칙
: 교재 444쪽 표 16-2 참조
자폐 스펙트럼 장애
, 경계선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 등에 효과적
장기치료의 특성을 지니지만
, 최근 단기치료의 형태도 등장
치료과정
: 치료적 관계형성--> 통찰--> 직면과 해석--> 종결
4) 치료 기법
(1) 공감적 이해
치료자의 태도와 치료적 관계가 치료적 변화의 핵심요인
내담자 대부분이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버림받고 거부당한 상처를 소유함
치료자는 내담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신념을 갖고
,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한다는 것을 언어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내담자에게
전달해야 함
담아내기
(container):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의사소통을 방해하지 않으며,
적절한 관심을 보여주는 반응을 하는 기법
안아주기 또는 버텨주기
(holding): 내담자의 경험을 심정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자 하며
, 내담자의 욕구와 내적 상태를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수용적 태도를
견지하는 기법
이만하면 좋은 엄마
(good-enough mother): 치료자가 대리양육자가 되어
해묵은 감정의 상처를 보상하려고 애쓰거나 다른 식으로 내담자의 원래 부모
를 능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려는 것이 아니라
, 무관심하지도 않고, 내담자의
세계를 침범하지도 않으며
, 지나치게 통제하지도 않으면서 내담자에게 돌봄
의 감정을 전달하는 기법
4) 치료 기법
(2) 명료화, 직면, 해석
명료화
: 내담자에게 직접적 질문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는 기법
직면
: 내담자에 대한 관찰을 통해 치료자가 알게 된 내용을 내담자에게 말해
주고 그에 맞닥뜨리게 하는 기법
해석
: 현재의 느낌, 태도, 행동이 이전 것을 반복하는 것이라는 점을 밝혀주는
기법으로
, 유아기의 삶과 현재의 삶 및 전이간의 유사성을 설명하는 해석이
가장 효과적임
(3) 현재 경험과 관계 다루기
‘그때
-거기(there-then)’ 즉 과거의 경험과 ‘지금-여기(here-now)’ 즉,
현재
내담자와 치료자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중요시
내담자의 과거 대상관계 경험과 치료장면에서의 관계양식의 연관성을 탐색
하여 치료장면에서 다루는데
, 주로 분열, 투사적 동일시, 거부와 상실 경험 등
을 현재와 연관시켜 다룸
다음 주 강의 주제
:17장 교류분석이론
4) 치료 기법
(4) 역전이의 이해와 치료적 활용
역전이
: 치료관계에서 환자의 행동에 대한 치료자의 반응으로, 내담자의
투사적 동일시로 유발된 반응이 포함되며
, 치료적 단서로 활용됨
치료자가 자신의 역전이 반응을 의식적으로 자각하고 경험하고 통찰하여
, 자신
의 정서적 반응을 내담자 내적 역동과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함
치료과정에서 치료자가 느끼는 지루함이나 혼란
, 내담자에 대한 평가절하,
지나친 열성
, 분노, 죄책감, 무력감 등이 역전이의 전형적 반응
역전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담아내기 기법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 투사적
동일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담자의 조작적인 의사소통 유형을 겉으로
드러내고
, 공감, 지도, 지지에 대한 내담자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이 효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