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국가자격동향지(q-letter) 2024년 9월호.pdf

닫기

background image

  「이런 자격도 있어요」

지게차운전기능사

  자격제도 변경사항&모집 안내

•2024년도 사업주자격검정사업 우수사례

발표대회 참관 희망기업 모집

• 2024년도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신규모집 공고

• 2024년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 참여기업・ 기관 모집

•2024 공정채용 숏폼 공모전

•디지털 배지, 모바일 자격증 발급 방법

  언론에 비친 자격

•한국산업인력공단, 통계업무 진흥 유공

'대통령 표창'

•공정채용 컨설팅 56개 기업, 적합 인재

선발 쉬워지고 조기 퇴사는 줄어

•올해 제35회 공인중개사 원서접수 마감,

‘215,081’명...전년대비 ‘72,666명’ 감소

  2024년 9월 국가자격시험 일정

9.8.~9.12.

 제4회 기능사 필기시험

9.7.

관광통역안내사 1차 시험

9.14.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2차시험

9.28.

 제27회 주택관리사보 2차 시험

국가자격 우수 사례 공모전 입상작
•아리수와 함께 가는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취업에 날개를 달다!

하늘로 비상하는 나의 꿈, 나의 미래

발행일  
2024년 9월 6일

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능력평가기획부

구독신청 및 문의
hyejin05@hrdkorea.or.kr

9

2024. September

letter

Q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background image

「이런 자격도 있어요」 
지게차운전기능사

-  (지게차운전기능사) 생산 현장이나 창고, 부두 등에서 경화물을 적재, 하역 및 운반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운전하며, 점검과 기초적인 

정비업무 수행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정 현황
(최근 5년)

연도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10,279

81,156

73.6%

123,766

58,551

47.3%

2022

94,822

70,877

74.7%

112,030

54,158

48.3%

2021

101,408

72,818

71.8%

109,940

54,392

49.5%

2020

87,972

59,864

68%

84,612

42,602

50.3%

2019

94,680

52,446

55.4%

84,944

41,156

48.5%

(단위 : 명)

자격 취득 방법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작업형

(4분 정도)

1. 지게차 주행 
2. 화물 적재 
3. 운반
4. 하역 
5. 안전관리

지게차운전 작업 및 도로주행

안전등급(Safety Level) : 4등급

시험장소 구분

실외

주요시설 및 장비

지게차

보호구

작업복, 작업화

※ 보호구(작업복 등) 착용, 정리 

정돈 상태, 안전사항 등이 채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험자 지참공구 목록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필기

실기

 자격  

02

 

 


background image

종목 응시 현황
* 23년도 실기 응시자 기준, 단위: 명, %

진로 및 전망
※출처: 2023 한국직업전망

(한국고용정보원)

향후 10년간 지게차운전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2031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2)에  따르면,  지게차운전원은  2021년  약  135천 

명에서 2031년 약 13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천 명(연평균 0.2%) 정도로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의  연도별  건설기계  등록  현황에  의하면  지게차는  2012년  140,455대에서  2021년 

206,029대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왔다. 그러나 원자재가 상승, 정부 SOC 투자 감소 등으로 향후 건설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바 이는 지게차운전원의 고용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건설업 외에 

지게차운전원의 수요가 많은 곳이 하역・물류업인데, 대형 물류센터의 경우 물품이동장치의 자동화로 인해 

지게차운전원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자동화로의 전면 대체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장기적으로 

자동화로 인한 지게차운전원의 고용은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한편 건설기계 직종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직종이 지게차운전원이다. 고령자 및 퇴직자들이 가장 많이 

따는 건설기계 자격증이며 면허 취득이 용이하고 운전도 쉽고 수입도 괜찮은 편이어서 최근에는 젊은 층들도 

지게차운전원으로 진입을 많이 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게차운전원의 인력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성별

응시목적

취업

43,940

(36.8%)

업무수행
능력향상

21,353

(17.9%)

창업

1,527

(1.3%)

진학

523

(0.4%)

승진

2,819

(2.4%)

학위취득

1,163

(1.0%)

이직

6,403

(5.4%)

자기개발

32,950

(27.6%)

자격수당

5,633

(4.7%)

기타

3,171

(2.7%)

시험준비 기간

5,564

(4.7%)

3개월 미만

3개월~6개월

6개월~1년

1년~2년

2년~3년

3년 이상

시험준비 경로

학교

학원

직업훈련기관

온라인(인터넷, 카페 등)

출판물

기타

연령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5,564

(4.7%)

26,771

(22.4%)

 25,477

(21.3%)

25,778

(21.6%)

10,533

(8.8%)

25,359

(21.2%)

 7,050명(5.9%)

직업

29,328명(24.5%)

취업자(임금근로자)

자영업자

구직자

학생

주부

군인

취업준비생

기타

1,350명(1.1%) 

5,554

(4.6%)

113,928
(95.4%)

615명(0.5%)

11,014명(9.2%)

10,785명(9.0%)

56,588명(47.4%)

2,752명(2.3%)

92,850명(77.7%)

17,006명(14.2%)

576명(0.5%)

 1,378명(1.2%) 

5,250명(4.4%)

2,422명(2.0%)

16,165명(13.5%)

10,967명(9.2%)

50,345명(42.1%)

25,255명(21.1%)

8,219명(6.9%)

8,531명(7.1%)

 자격  

03

2024. 


background image

       

이상과 같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대형 물류센터의 물품이동장치 자동화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과 

인구고령화 진전으로 이・전직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측면과 건설 현장의 특수성으로 인한 지게차운전원 수요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지게차운전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고령화, 저출산)의 변화

・ 인구고령화 진전으로 면허취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진출 인력 증가

과학기술의 발전

・ 대형 물류센터의 물품이동 자동화   

추진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화

・ 자동화가 진전되더라도 건설 현장

의 경우 현장의 특수성은 예견할 수    
없음. 따라서 지게차 운전원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임

관련 기사

채용공고 가장 많은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

2023-12-19, 연합뉴스 고미혜 기자(mihye@yna.co.kr)

지난해 기업들의 채용 공고에서 채용 요건이나 우대 요건으로 가장 많이 제시된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2년 취업정보포털 워크넷에 등재된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채용 요건이나
우대 사항으로 제시한 공고가 총 14만 6천 305건이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21년보다 17.6% 증가한 것으로, 최근 5년 내 가장 많은 수치라고 공단은 설명했다. 국가기술자격 전체 544개 종목
(작년 말 기준) 중 80.1%인 436개 종목이 채용에 활용되고 있었다.

참고   2022년도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공고 TOP 20

채용 또는 우대 요건으로 가장 많이 제시된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로, 모두 2만 1천 553건의 채용 공고에서 등
장했다.
그 다음으로는 한식조리기능사(1만 3천 354건), 건축기사(9천 740건), 전기기사(6천 589건), 전기기능사(6천 528건) 등의
순이었다. 전년 대비 구인 건수가 가장 눈에 띄게 늘어난 자격은 '건설재료시험기사'로, 2021년 구인 건수가 129건에서 작년엔
232건으로 늘었다. 산업안전기사(1천 397건→2천 520건), 산업안전산업기사(620건→1천 83건), 건축설비산업기사(129건
→221건) 등도 활용도가 높아졌다.
산업안전기사와 건설안전기사 등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사업장 내 안전관리자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채용이 활발해
졌다고 공단은 분석했다.

순위

분야

건수

순위

분야

건수

1

지게차운전기능사

21,553

11

건설안전기사

2,572

2

한식조리기능사

13,354

12

산업안전기사

2,502

3

건축기사

9,740

13

자동차정비기능사

2,274

4

전기기사

6,589

14

건축산업기사

2,142

5

전기기능사

6,528

15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92

6

전기산업기사

5,813

16

대기환경기사

1,650

7

토목기사

5,284

17

전자캐드기능사

1,643

8

컴퓨터활용능력2급

4,426

18

컴퓨터활용능력1급

1,633

9

직업상담사2급

3,792

19

워드프로세서

1,479

10

정보처리기사

2,988

20

건설안전산업기사

1,257

 자격  

04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06

 

 

자격 

 

   

 

▶ 목 적 : 사업주 자격검정 운영 성과가 탁월하고 적절한 운영 관리를 통해 제도 활성화에 기여한 우수기관을 발굴·포상함으로써,               

기업 내  ‘교육-검정-자격이수’의 모범모델 제시 및 사업주 자격검정제도 참여 기관의 사기 진작 도모

▶ 행사 개요 

•일시 : 2024. 9. 30.(월) 14:00~16:00
•장소 : 킨텍스 4층 402호
•주제 : 사업주 자격검정 우수 운영 기업 시상식 
•참석대상 :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운영기관 담당자 

▶ 주요 일정

▶ 참관신청

•신청기간:   ’24. 9. 1. ~ 9. 13.(금)까지(신청기한 내 신청 시 무료입장)
•접수방법: 담당자 이메일 제출
•접 수 처: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품질기획부 담당자 이메일(5746520@hrdkorea.or.kr)
•신청양식: 아래의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참관신청서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참관신청서

기업명(사업장 주소)

담당자 소속 및 직위

성명(직위): 부서:

연 락 처

사무실:

휴대폰

이메일:

참관자1

소속 및 직위

참관자2

소속 및 직위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품질관리국 자격품질기획부(052-714-8685)

일정

프로그램

주요 내용

14:00~14:20 (‘20)

등록

참석자 등록

14:20~14:25 ( ‘5)

개회

개회 및 국민의례

14:25~14:35 (‘10)

인사말씀

14:35~15:05 (‘30)

사례발표1

동상/은상 사례 발표

15:05~15:15 (‘10)

휴식

15:15~15:45 (‘30)

사례발표2

금상/대상 사례 발표

15:45~15:50 ( ‘5)

시상

총 4개 기업 시상

15:50~16:00 (‘10)

기념촬영

수상자 기념촬영

16:00

폐회

폐회 선언 및 마무리

2024년도 사업주자격검정사업 우수사례 발표대회 
참관 희망기업 모집


background image

▶ 2024년도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신규모집 공고
     기업 주도의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2024년도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신규모집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접수기간: 24. 6. 11.(화) ~ 9. 11.(수), 약 3개월 간

•접수방법: 담당자 이메일 제출(현장심사 시 원본 제출)

•접 수 처: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품질기획부 담당자 이메일(5746520@hrdkorea.or.kr)

•구비서류 

-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신고서(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 제67호서식)*

- 전년도(신고서 제출일을 기준 직전 보험회계연도) 결산서류

-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실시계획서*

- 사업주 자격검정실시규정

   * 서식 다운로드: 큐넷(http://www.Q-net.or.kr) → 국가자격시험 → 자격정보 → 민간자격 → 사업주 자격제도 → 자료실 → 각종 서식 다운로드

•심사 이후 제출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음

•인증 기업 혜택

- 사업체에 대한 사업주 자격검정 관련 상담 및 자문 등의 컨설팅 지원

- 사업주 자격검정 확인증서 발급 및 패 또는 현판(택 1) 제공

- 사업주 자격증 내 고용노동부 및 공단 로고 사용 지원

-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우수 사업체에 대한 수상

   ※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우수사례 선정(연 1회)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품질관리국 자격품질기획부(052-714-8685)

QR코드를 스캔하시면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 

 

   

 

07

2024. 

2024년도 사업주 자격검정사업 
신규모집 공고


background image

2024 공정채용 숏폼 공모전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공정채용지원부(052-714-8763)

QR코드를 스캔하시면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신청기간: ’24. 8. 12.(월) ~ 9. 26.(목) 18:00

            * 응모자격: 만 15세~34세 이하 청년 또는 단체(3인 이내)

      ○ 자세한 사항은 NCS 홈페이지(www.ncs.go.kr) 공지사항 참고

      ○ 공모주제 : 청년들이 취업을 준비하며 바라던 공정채용의 모습, 직접 경험했던 불공정채용의 사례 등

            * 위 사항은 예시로 ‘공정한 채용’에 관한 영상을 자유롭게 제작 가능

      ○ 응모방법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 공정채용지원부 담당자 이메일 접수                                                                                                         

(ychoi121@hrdkorea.or.kr)

            * 개인 또는 팀 단위로 참여 가능

08

 

 

자격 

 

   

 

      ○ 신청기간: ’24. 8. 12.(월) ~ 9. 20.(금) 18:00

      ○ 모집대상: 2024년까지 채용을 공정하게 진행한 모든 기업/기관*

       * 민간기업, 공공기관・지방공기업・기타 공직유관단체 등

      ○ 접수방법: 전자결재시스템 또는 E-mail 중 택일하여 접수

           - (전자결재시스템 수신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

           - (E-mail) younga@hrdkorea.or.kr

           - (제출파일명) 기업명・기관명_공정채용 어워즈(응모부문)

       * 예시: ○○기업_공정채용 어워즈(민간), □□공사_공정채용 어워즈(공공)

      ○ 자세한 사항은 NCS 홈페이지(www.ncs.go.kr) 공지사항 참고

2024년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 참여기업 기관 모집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공정채용지원부(052-714-8775)

QR코드를 스캔하시면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ackground image

디지털 배지,
모바일 자격증 발급 방법

한국산업인력공단 QR코드를 스캔하시면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 

 

   

 

09

2024.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했다면? 큐넷 전자지갑 내 디지털 배지와 모바일 자격증을 발급받으세요!

클릭 몇 번이면 발급 가능! 언제 어디서든 나의 자격 취득내역을 증빙할 수 있어요!

1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_ 모바일자격증

2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_ 디지털배지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자격

11

2024. 

2024년 8월 29일, 뉴스1 나혜윤 기자, freshness410@news1.kr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 통계 제공으로 국민 의사결정 지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한국산업인력공단이 '통계업무진흥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다.

29일 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1984년부터 매년 국가기술자격 접수·응시·

합격자 및 취득자 등 통계 정보를 체계적으로 작성해 보급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국가승인통계(제387004호)로 지정됐다.

공단은 그동안 총 3,343만여 명의 취득자 정보 등 국가기술자격 통계를 

제공해 국가기관의 정책결정 및 기업·수험자의 미래설계 활용 등 국민 의사

결정 지원에 기여해 왔다. 국가기술자격 전체 종목(544종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국가기술자격통계는 정부와 지자체의 인력 정책 수립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또 공단은 수험자의 경제활동유형 및 응시목적 등 세부 특성을 조사한 '수험자 

기초통계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사회적인 관심도와 파급력이 

높은 분야를 지정해 '자격정보집(자격Q)' 등도 분기별로 제작 중이다.

이우영 이사장은 "이번 성과는 40년간 국가기술자격 통계를 성실하게 관리

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한 공로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부와 국민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격 통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공단의  국가기술자격통계  자료는  큐넷(Q-net),  국가통계포털

(KOSIS), 공공데이터포털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통계업무 진흥 유공 '대통령 표창'


background image

2024년 8월 29일 한스경제 박종훈 기자 plisilla@sporbiz.co.kr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2

 

 

 

 자격

공정채용 컨설팅 56개 기업, 
적합 인재 선발 쉬워지고 조기 퇴사는 줄어

기업의 채용 문화를 바꾸게 하는 공정채용 컨설팅이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은 2023년

공정채용 컨설팅 사업 성과를 분석하니 채용 방식 변화로 직무에 적합한

지원자가 늘어나고 조기 퇴사율이 낮아지는 등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공정채용 컨설팅은 기업이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공정하게 채용하도록

돕는 사업이다. 기업의 채용 단계별 직무분석, 채용공고 작성, 선발기준・

면접 질문 마련, 고용브랜딩 구축, 온보딩 설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서

고용브랜딩이란 기업이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자사의 가치・문화・

업무환경 등을 강조하는 노력을 가리키고, 온보딩이란 새로운 직원이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말한다.

이와 같은 컨설팅은 청년-기업간 채용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완화해 구직

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근무하고 싶은 기업을 쉽게 찾고, 구인자는

원하는 인재를 쉽게 찾도록 돕는 것이다. 2023년 컨설팅을 받은 151개

기업 중 채용을 진행한 56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분석했다. 채용 방식을 개선한 41개 기업과 기존 방식으로 채용한 15개

기업의 응답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채용 방식을 개선한 기업은 '딱 맞는' 인재들이 찾아오게 됐다. 기존

방식을 고수한 기업에 비해 직무 적합자 지원율이 9.7%p 높고, 허수 지원자

지원율은 19.1%p 낮았다.

가령 ㈜청밀은 채용공고를 개선해 구직자들이 궁금해할 정보를 상세히 공

개하고 있다. 수행 직무, 복리후생은 물론 조직문화, 현직자 인터뷰까지

담아 구직자들이 직무 및 조직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해 기업이

원하는 인재들이 지원할 확률을 높였다.

또한 채용 방식을 개선한 기업들은 조기 퇴사율이 5.4%p 더 낮았다. 인재

유치뿐만 아니라 유지에도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난 결과다. ㈜이르테크는

예비입사자들이 입사 전까지 다른 회사로 이탈하지 않도록 온보딩 차원의

'웰컴레터'를 발송하고 있다. 출근 첫날 하게 될 활동, 같이 일할 부서의

조직 구성, 인근 맛집 정보 등 소소하지만 정성을 담은 내용으로 예비입사

자들의 마음을 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지원자 친화적인 채용 전략으로 조기

퇴사자 수가 약 1/4로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채용 방식 개선 후 채용 결과에 대한 기업의 만족도는 0.45점

상승해 5점 만점에 3.87점에서 4.32점으로 상승했다. 채용 담당자가 생

각하는 채용 절차의 적절성은 3.82점에서 4.20점으로 0.38점 상승

했다. 개선된 채용 방식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채용 방식만 개선해도 기업은 인재 유치 및 유지에

큰 도움이 되고, 청년들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다”라며 “채용 절차 개선 노력이 확산되어 노동시장의 미스

매치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관련 법적 기반 마련을 위한 '공정

채용법' 입법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background image

2024년 8월 12일 피앤피뉴스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

13

2024. 

올해 제35회 공인중개사 원서접수 마감,
‘215,081’명...전년대비 ‘72,666명’ 감소

2024년도 제35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정기 원서접수 기간이 지난 9일

마감됐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 확인 결과, 9일 18시 기준으로 1차 시험

133,872명, 2차 시험 81,209명 등 총 215,081명 접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287,747명보다 72,666명이나 줄었다. 1차는 45,855명, 2차는

26,81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공인중개사 시험 난이도가 지속적

으로 상승하면서 시험에 대한 부담이 커져 응시 인원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취업이나 창업이 쉽지 않다는 인식이 퍼지

면서, 자격증 취득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공인중개사 자격증만으로 안정

적인 소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연령별 접수현황은 1차 시험이 ▲10대 227명 ▲20대 13,295명 ▲30대

34,749명 ▲40대 42,993명 ▲50대 33,041명 ▲60대 8,821명 ▲70대 이상

746명 등 총 133,872명이고, 2차 시험은 △10대 113명 △20대 8,378명 △

30대 19,770명 △40대 24,019명 △50대 21,371명 △60대 6,944명 △70대

이상 614명 등 81,209명이다.

1차 시험 여성 접수자는 66,727명으로 전체 49.84%, 2차 여성 접수 인원은

38,410명으로 47.30%로 집계됐다.

빈자리 원서접수는 10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하고, 다만 정기

접수 환불로 발생한 수용인원 범위 내에서 선착순으로만 이뤄져 조기 마감

될 수 있다.

1차 필기시험은 10월 26일(토) 실시하며 합격자는 11월 27일(수) 발표한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제1차 및 제2차 시험을 모두 객관식 5지 선택형으로 출제

(매 과목당 40문항)하고, 같은 날(제1차 시험 100분, 제2차 시험 150분)에

구분하여 시행한다. 또 1차 시험에 불합격한 자의 2차 시험은 무효 처리된다.

제1차 시험과목은 부동산학개론, 민법 및 민사특별법 중 부동산 중개에 관련

되는 규정 등 2과목이며, 제2차 시험과목은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령 및 중개실무 ▲부동산공법 중 부동산 중개에 관련

되는 규정 ▲부동산공시에 관한 법령(부동산등기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및 부동산 관련 세법 등 3과목이다.

한편, 지난해 제34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총 287,756명(남 146,850

명/여 140,906명)이 접수했다.

이 중 200,059명(1차 134,354명/2차 65,705명)이 응시해 최종 15,157명이

합격했으며, 23.1%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최종합격자 중 여성이 7,924명으로 전체 52.3%를 기록하여 남성(7,233명/

47.7%)보다 조금 우세했다.

또 올해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70대가 23명 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합격자 연령별로는 △10대 18명 △20대 1,690명 △30대 3,866명 △40대

4,613명 △50대 4,060명 △60대 887명 △70대 23명 등으로 올해도 역시

40대 합격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별 합격자 현황은 ▲강원 207명 ▲경기 4,817명 ▲경남 585명 ▲경북

367명 ▲광주 446명 ▲대구 554명 ▲대전 399명 ▲부산 1,063명 ▲서울

3,904명 ▲세종 201명 ▲울산 251명 ▲인천 856명 ▲전남 249명 ▲전북 284명

▲제주 184명 ▲충남 436명 ▲충북 290명 ▲기타 64명으로 집계됐다.

빈자리 원서접수, 10월 1일~2일 양일간

시험 10월 26일(토) 시행, 최종 합격자 11월 27일(수) 발표

접수인원...1차 시험 133,872명, 2차 시험 81,209명 등 총 215,081명


background image

큐넷 → 고객지원 → 가치드림방에 접속하시면 가치드림서비스 제공 업체 전체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ackground image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

2

3

4

5

2024년 9월
국가기술자격 & 국가전문자격 시험일정

향후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큐넷(Q-net)을 통해 최신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국가자격 월간 시험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9월 September

제3회 기능사 실기시험(8.17~9.3)

제2회 기사 실기시험 

2차 합격자 발표 (9.10.)

관광통역안내사 1차 시험 (9.7.)

제36회 정수시설운영관리사 

1차 합격자 발표(9.25.)

제10회 수산물품질관리사 

2차 시험(9.7.)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2차 시험(9.14.)

국내여행안내사・호텔경영사・호텔관리사・호텔서비스사 1, 2차 원서접수(9.23~9.27)

제76회 기능장 실기시험 

2차 합격자 발표 (9.25.)

제3회 기능사 실기시험 
2차 합격자 발표 (9.25.)

제4회 기능사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9.25.)

제27회 주택관리사보 

2차 시험(9.28.)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산업보건지도사   

3차 합격자 발표(9.25.)

제76회 기능장 실기시험(8.17~9.3)

제134회 기술사 면접시험 원서접수(9.10~9.13)

제4회 기능사 실기시험 원서접수(9.30~10.4)

과정평가형 정기 제3회 외부평가 시험(실무형, 9.5~9.10)

과정평가형 정기 제3회 외부평가 시험(실무형, 9.5~9.10)

제4회 기능사 필기시험(9.8~9.12) 

제23회 청소년상담사 1차 빈자리 원서접수(9.26~9.27)

제3회 기사 실기시험 원서접수(9.10~9.13)

일학습병행 정기 제3회 외부평가 시험(9.25~10.1)

일학습병행 정기 제3회 외부평가 시험(9.25~10.1)

제26회 경비지도사 1, 2차 원서접수(9.23~9.27)

과정평가형 정기 제3회 외부평가 시험

(지필형) (9.4.) 

제76회 기능장 실기시험 

1차 합격자 발표 (9.11.)

제134회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9.4.)

제21회 농산물품질관리사

 2차 합격자 발표 (9.4.)

검수사・검량사・감정사 

2차 합격자 발표(9.19.)

제11회 소방안전교육사 

1차 최종합격자 발표(9.25.)

제28회 물류관리사

합격자 발표 (9.4.)

제33회 공인노무사

2차 시험(8.31~9.1)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2차 빈자리 원서접수(9.5~9.6)

제3회 기능사 실기시험          

 1차 합격자 발표 (9.11.)

제27회 주택관리사보 2차 빈자리 원서접수(9.19~9.20)

자격

 

15

2024. 


background image

아직도 따로 발급받고 계시나요?

직무능력은행

11

 11



이제는 

직무능력인정서

하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11 1 ­€‚1 ƒ€1„…

†1‡ˆ 11‰Š1‹ŒŽ‘1’“‚Ž”1•‡–—˜

※ 8개 수탁기관 국가기술자격 포함

-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원잔력안전기술원, 영화진흥위원회

544종 국가기술자격(검정형, 과정형) 정보

일학습병행 자격 정보
국방부 자격 12종

대학교 교과인정사업으로 인정된 24개 대학 264개 교과(’23년 기준)
한국폴리텍대학 위탁교육 정보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계좌제 학습 이력
고등학생 NCS기반 교과 이수 정보(NEIS 연계)   

교육

HRD-Net 직업훈련 과정 이수 정보

사업주훈련(자체/위탁), 컨소시엄훈련, 지역산업맞춤형훈련

내일배움카드훈련(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일반직종, KDT 등)

일학습병행훈련, IPP 등

일학습병행

개인

사업주

훈련

근로복지공단 고용보험 가입 정보 (일용, 상용)
국세청(홈텍스) 개인사업자등록 정보
국방부 군 경력정보(군간부)

경력

자격

개인이 생애에 걸쳐 습득한 다양한 직무능력을 저축・통합 관리하여 취업・인사배치 등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개인별 직무능력 정보관리 시스템’ 입니다.

직무능력 시스템을 통해 나의 자격・교육 ・훈련 ・경력 정보가 자동으로 계좌에 저축됩니다.
직무능력 인정서 발급 계좌 내 직무능력정보는 원하는 정보만 선택하여 ‘직무능력 인정서’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직무능력은행이란?


background image

서울특별시 공업연구사(화공) 시험에 21년도에 합격한 후, 첫 근무지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암사아리수정수센터’ 라는 공공기관

이었다. ‘암사아리수정수센터’는 아리수(수돗물)를 생산하여 서울 시민에

게 공급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정수장이었고 평소 우리나라 상수도

시설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나에게 특별한 직장이 될 것이란 예감이 들었다.

하지만 예상대로 생산용량이 하루에 160만 톤이나 되는 시설이니만큼

입사하자마자 급하게 배워야 할 업무가 너무나 많았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익혀야 할지 정말로 막막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선배 연구사가 나에게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을

취득해 보는 게 어떻겠냐고 적극적으로 권하였는데 자격증을 취득하면

정수시설 전체적인 공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앞으로 어떤 업무를

맡더라도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생겨 자신감이 붙는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리하여 일과시간 이외에도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

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량 때문에 중간에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많았던 것

같다. 나는 암기과목을 싫어하였기에 상수도 관련 법규나 일일 수질시험

항목과 기준 등을 외우는 과정이 특히 힘들었다. 하지만 결국 고전분투

끝에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내어 2022년 하반기 제32회 정수시설운

영관리사(2급) 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다.

고생 끝에 얻은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 자격증은 나에게 생각보다

많은 선물을 주었다. 우선 정수장 함께 일하는 직장동료들에게 나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우리나라는 정수장 규모에 따라 정수시설

운영관리사 급수별 법적 배치 기준이 있는데, 우리 정수장 같은 경우에는

1급 2명/2급 3명/3급 5명이 그 기준이었다. 법적 배치 기준 2급 할당량 3명

중 내가 자격증을 취득하여 한자리를 채웠기에 나름대로 조직을 위해 기여

했으므로 주변 직장동료들이 자격증을 취득하느라 수고했다고 내게 많은

칭찬을 해주셨다. 또한 칭찬을 받을 때마다 내가 이 조직에 필요한 사람이

되었다는 느낌이 들어서 자신이 대견스러워졌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였을 때 또 다른 장점은 선배

연구사가 내게 말했던 것처럼 정수시설에 대해 전반적인 배경지식이 갖추어

진다는 것이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 시험문제는 환경부에서 제정한

‘상수도 시설 유지관리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 책에는 우리나라

정수시설 공정에 대한 이론과 원리, 법적 기준, 유지 관리법 등에 대해 모든

것이 실려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정수장은 크게 ‘착수정 – 침전지 –

여과지 – 오존접촉조 – 활성탄지 – 정수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나 이론 등이 ‘상수도 시설 유지관리 매뉴얼’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따라서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시험을 준비하게 되면 관련 지식을 자연

스레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생에 있어 ‘자존감’이 중요하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은 대한민국의 상수도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의 자존감을 충족시켜 주었다. 또한 자격증을 취득하였을 때

나라에서 나의 상수도 관련 지식을 높이 평가하여 이 분야에 종사할 자격

이 된다고 인정해 주는 느낌을 받았다. 상수도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으로

아리수와 함께 가는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023년도 국가자격 취득자 우수사례공모전 입상작, 오동환 님(정수시설운영관리사)

아직도 따로 발급받고 계시나요?

직무능력은행

11

 11



이제는 

직무능력인정서

하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11 1 ­€‚1 ƒ€1„…

†1‡ˆ 11‰Š1‹ŒŽ‘1’“‚Ž”1•‡–—˜

※ 8개 수탁기관 국가기술자격 포함

-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원잔력안전기술원, 영화진흥위원회

544종 국가기술자격(검정형, 과정형) 정보

일학습병행 자격 정보
국방부 자격 12종

대학교 교과인정사업으로 인정된 24개 대학 264개 교과(’23년 기준)
한국폴리텍대학 위탁교육 정보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계좌제 학습 이력
고등학생 NCS기반 교과 이수 정보(NEIS 연계)   

교육

HRD-Net 직업훈련 과정 이수 정보

사업주훈련(자체/위탁), 컨소시엄훈련, 지역산업맞춤형훈련

내일배움카드훈련(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일반직종, KDT 등)

일학습병행훈련, IPP 등

일학습병행

개인

사업주

훈련

근로복지공단 고용보험 가입 정보 (일용, 상용)
국세청(홈텍스) 개인사업자등록 정보
국방부 군 경력정보(군간부)

경력

자격

개인이 생애에 걸쳐 습득한 다양한 직무능력을 저축・통합 관리하여 취업・인사배치 등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개인별 직무능력 정보관리 시스템’ 입니다.

직무능력 시스템을 통해 나의 자격・교육 ・훈련 ・경력 정보가 자동으로 계좌에 저축됩니다.
직무능력 인정서 발급 계좌 내 직무능력정보는 원하는 정보만 선택하여 ‘직무능력 인정서’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직무능력은행이란?

자격취득자 수기

17

2024. 


background image

서 자존감이 충족되니 매일같이 반복되는 업무를 할 때조차 보람차고 스

스로 잘하고 있다는 자신감도 붙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수장에 있는 실

험실에서 매일 행하는 ‘먹는 물 일일 수질 시험’의 기준 항목에 ‘탁도’, ‘잔류염

소’, ‘암모니아성 질소’ 등이 왜 등재되어 있는지에 대한 답을 스스로 내릴

수 있었다. 한 가지만 예를 들자면 ‘잔류염소’의 ‘먹는 물 수질 기준’은 4.0

mg/L인데 최소 이 농도 이상이 되어야 아리수(수돗물) 내 박테리아와 같

은 병원균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염소’

는 투입할 때 기체 형태로 투입되지만 물과 반응하여 ‘하이포아 염소산’으

로 변한다는 사실도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 자격증 공부를 하던 중 알

게 된 전문지식 중 하나이다.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서 나는 공업연구사로 상수도 관련 업무에 종사

하고 있다. 앞서 말한 ‘먹는 물 수질 기준’ 이외에도 ‘공정별 소형 생물을

모니터링’, ‘여과지 사층 높이 조사’, ‘정수시설 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등

이 나의 주요 다른 업무이다. 물론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를 취득하며

얻은 전문지식은 이 업무들을 수행함에 있어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특히

연구사에게 본업이라 할 수 있는 ‘정수시설 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업무

수행 시, 큰 도움이 되었는데 연구의 기본은 기존의 공정에 대해 잘 이해

하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연구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일이기 때문에

공정이 기존에 갖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수적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정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우리 정수장에 설치된 시설이 어떤 종류에 속하는지, 시설과 관련된 보편

적인 공식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이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배경지

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이러한 자격증 공부를 하며 얻은 배경지식은

결국 연구 성과를 내는데 밑바탕이 되었고 기회가 된다면 개발한 연구 결과

물을 실제로 공정에 적용해 볼 생각이다.

2022년 ‘정수시설운영관리사(2급)’을 따며 2024년에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바로 ‘정수시설운영관리사(1급)’ 자격증 취득에 도전하는 것이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1급)’ 자격증 시험은 ‘암사아리수정수센터’와 같은

상수도 관련 시설에서 2년 이상의 근무경력이 있어야 지원이 가능하다.

즉, 내가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 발령받은 날짜는 2022년 2월 28일이기

에 2년 후인 2024년 2월 28일 이후에야 시험 응시가 가능해진다. 물론 ‘정

수시설운영관리사(1급)’ 자격증 시험도 합격하려면 수많은 노력이 필요

하고 개인 여가시간을 포기해야겠지만 꼭 자격증을 취득하여 천만 서울

시민의 아리수를 책임지는 더 믿음직한 대한민국의 상수도 종사자가 되고

싶다. 그럼, 오늘도 더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장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

18

 

 

자격취득자 수기


background image

항공산업기사 취득하고 싶어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 입학

필승! 저는 제15특수임무비행단 항공기정비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찬희

하사입니다. 저는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서 과정평가형 항공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과정을 이수하여 항공산업기사를

취득했습니다. 우리 학교는 항공 관련 전문학교로 인정받아 3학년 기계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항공산업기사를 NCS 과정으로 준비할

수 있고, 저 역시 열심히 준비한 끝에 항공산업기사를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처음 공부하는 항공산업기사 취득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습니다.

과정평가형 항공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증은 내부 평가 50점, 외부 평가

50점으로 진행되는데 이 중 내부 평가는 기체, 기관, 전기과목에서 수행

평가 형식으로 각종 이론과 실습을 평가받는 방식이었고, 외부 평가는 50점

중 지필 20점, 실습 30점 비율로, 내・외부 평가 합해서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 득점해야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내부 평가는 학교 수업 시간에 전공

과목으로 분류되어 수업 내용을 잘 듣고 실습에 열심히 참여만 하면 고득

점을 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외부 평가 중 지필평가 준비에서 큰 난항을

겪었습니다. 공부해야 할 분야가 기체, 기관, 전기과목에서 또 나누어져

세부 과목으로만 치면 총 12개 과목으로 공부해야 할 것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입니다. 내부 평가 때는 한 과목, 한 과목 집중하며 공부했지만, 한 번에

여러 개의 과목을 공부하다 보니 어떤 걸 먼저 해야 할지 몰라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300개의 예상 질문지 만들어 합격

여섯 번의 예비 시험 중 두 번의 시험을 망치고 제가 찾은 방법은 예상 질문지

만들기였습니다. 제가 출제자라고 생각하고 시험에 나올법한 문제를 골라

따로 문제집을 만들었습니다. 총 300개의 문제를 만들어 풀다 보니 3회차

예비 시험 때는 제가 만들었던 문제와 비슷한 문제들이 보이기 시작했습

니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성취감을 얻었고 이에 보답하듯 3회차, 4회차,

5회차로 갈수록 점수는 점점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마지막 6회차

예비 시험에서는 문제의 90%를 쉽게 맞출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시험 당일에도 긴장되긴 했지만 문제를 본 순간 금세 자신감으로

바뀌어 그동안의 노력이 헛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외부 지필 평가와

달리 외부 실습 평가는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미리 고등학교 1, 2학년 때

기체, 기관기능사를 취득했기에 안전결선, 판금작업, 왕복엔진 실린더 점검

등을 되새김하는 느낌으로 연습했고 실제 평가에서도 실수 없이 잘 해낼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저는 각고의 노력 끝에 항공산업기사를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

임관 후에도 빛을 발한 항공산업기사의 위력

항공산업기사 자격증은 제가 공군에 임관한 이후에도 큰 영향을 미쳤

습니다. 항공기에 대한 지식으로 중대 일과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고

반 선임이 항공기 외부 명칭에 대해 질문할 때도 척척 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공구들의 명칭과 기능을 미리 익히고 배운 결과 다양한 작업 시 필요한

공구를 알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 배터리 교환 작업의 경우,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취업에 날개를 달다!
하늘로 비상하는 나의 꿈, 나의 미래

2023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우수사례 입상작, 박찬희 님(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항공산업기사)

자격취득자 수기

19

2024. 


background image

준비물이 있습니다. 와이어를 자르는 커팅 플라이어, 좁은 공간에서 와이

어를 세밀하게 움직일 수 있는 롱노즈 플라이어, 와이어를 꼬는 와이어 트위

스터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저는 반 선임이 작업을 위한 공구를 챙겨달라고

할 때 당황하지 않고 공구를 챙길 수 있었고, 안전결선 또한 미리 항공산업

기사 실습 연습 때 많이 해보았기에 어렵지 않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었

습니다. 항공산업기사를 취득하면서 알게 된 지식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

었습니다.

항공산업기사 자격증은 실무적인 이점뿐만 아니라 진급할 때도 이득이

많았습니다. 항공산업기사가 진급에 들어가는 자격증 점수로 인정되어,

대학교 학사 점수나 대회에 참가하여 얻을 수 있는 포상 점수에 조금 더

신경을 쓸 수 있었습니다.

항공정비 정예 인력이 되기 위해 오늘도 파이팅

과정평가형 과정이 힘들어 항공산업기사가 과연 나에게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을 할 때도 있었지만, 여러 가지 장점들, 선임들에게 인정받고 저 스스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격증을 취득하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실습 평가가 끝나고 마침내 합격했다는 공고를 봤을 때, 함께 공부

하며 도와주던 동기들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학창 시절, 동기들과 함께

목표를 정하고 열심히 노력해 무언가를 성취한다는 것은 절대 흔치 않을

소중한 경험입니다.

또한 기존에는 항공 관련 실무 경력이 2년 필요했지만, 공군항공과학고등

학교가 항공 관련 전문학교로 인정받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고 제가 그 기회를 얻은 것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

각하고 있습니다. 항공산업기사는 저의 두 날개가 되어 항공정비사 면장

자격증, 나아가 항공 정비의 정예 인력이 되는 첫 발판이 될 것입니다. 저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하늘을 책임지는 정예 항공 인력으로서 노력하고 발전

하여 멋진 항공 정비 기사가 되겠습니다.

나만의 취업 성공 전략
➊ 항공산업기사가 되고 싶어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 입학

➋ 예상 질문지를 만들어 시험에 대비하자

➌ 자격증 취득으로 얻은 지식을 군 복무에 적용하자

➍ 항공 정비의 정예 인력이 되기 위한 발전을 멈추지 말자

Tip

20

 

 

자격취득자 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