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작성지침
1
학위논문 작성 및 제출 과정
Ⅰ. 학위청구논문 작성 및 제출
1. 소정 기일 내에 학위청구 논문 초고 3부를 가제본하여 본 대학원 교학과에
제출하여
야 한다.
2. 학위청구논문제목 및 논문제출승인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3. 소정의 논문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4. 학위청구논문 초고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논문은 국문으로 쓰고 횡서로 한다.
2) 용지의 크기는 B5로 한다.
3) 인쇄 또는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다.
4) 학위논문 작성지침에 따라 작성한다.
Ⅱ. 학위논문 작성 및 제출
1. 제출 자격
학위청구논문 제출자는 청구논문이 논문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되었음을 심사위원장이 대
학원장에게 보고한 후에 학위논문을 작성하여 제출할 수 있다.
2. 작성 및 제출방법
1) 청구논문의 심사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수정 및 보완해야 한다.
2) 소정 기일 내에 완성된 학위논문을 다음과 같이 대학원 교학과에 제출한다.
Hard Cover로 된 논문 4부를 제출하되, 1부는 반드시 심사위원 전원의 자필 서명
및 날인 (또는 도장)이 있어야 한다.
3. 학위논문의 규격
학위논문의 규격은 아래와 같다.
1) 논문의 크기: 별지 서식의 규격 참조
2) 논문표지: Hard cover (곤색양장 금박표지)
3) 본문용지; 백색 또는 미색 모조지
4) 본문인쇄
(1) 글자체는 명조(신명조) 계열 사용
(2) 흑색 잉크 사용
(3) 줄당 글자 수는 34자 내외(글자크기 10-11pt)
(4) 쪽당 24줄 내외 (줄간격 180-220%)
학위논문 작성지침
2
학위논문 작성지침
I. 학위논문의 구성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앞부분, 본문, 그리고 참고문헌으로 이루어진다.
1. 앞부분
1) 표지
표지에는 겉표지(별지서식 1)와 등표지(별지서식 2)가 있다. 논문의 제목은 연구의 내용
을 대표하는 것이므로 연구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간결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작
성하며, 가운데 정렬한다. 논문의 부제목은 대부분 필요하지 않지만 논문내용의 구별이나
정확한 전달이 요구될 경우에는 부제목을 첨가할 수 있다. 제목에는 가능한 한 특수문자,
수식 및 기호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2) 논문 제출문
별지서식 3의 양식에 따라 작성하며, 학위논문 제출일자는 학위논문의 인준 예정일자로
기록하되, 년, 월까지만 표기한다.
3) 인준서
별지서식 4의 양식에 따라 작성하되, 제출하는 7부 논문 중에 한 부는 심사위원 3명의
자필서명 및 날인(또는 도장)이 있어야 한다.
4) 감사의 글
학위논문을 작성하기까지 받은 도움에 대하여 지도교수 및 어느 개인 또는 단체에 감사의
뜻을 나타내고자 할 때 이 글을 쓴다. 감사의 뜻을 간단히 표현하는 것이 통례이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5) 논문의 목차
논문의 목차는 논문의 윤곽을 나타내는 골격구조라고 말할 수 있다. 논문의 내용을 전개
할 때 I, 1, 1), (1), ①, a, a), (a)의 순서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러나 목차에서는 너무 자세
하게 소제목들을 소개하지 않고, 대략, I, 1, 1) 정도의 번호만을 사용한다.
2. 본문
별지서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문 작성 범위 내에서 줄당 34자 내외, 쪽당 24줄 내외
로 본문을 작성한다.
1) 서론
서론은 본문의 시작으로 제1장이 되며 서론의 1쪽이 논문의 1쪽이 된다. 서론에서는 연
구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를 소개한다. 필요할 경우 논문에서 사용하는 기
본 자료나 특성 용어에 대한 설명도 서론에서 밝힐 수 있다.
2) 본론
본론은 논문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일관성과 객관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확실하고
충분한 그리고 조직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자신의 발견, 주장, 견해, 비평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각주와 그림 및 표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학위논문 작성지침
3
자신의 논리를 뒷받침하여야 한다. 본론의 구성은 학문분야와 논문의 연구방법에 따라
이론적 배경, 또는 설문조사, 결과 및 논의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3) 결론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전개한 사실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연구결과에 따라서는 결과와 관련된 어떤 생각이나 의견 또는 건의사항을 제안할 수
있으며 향후 계속 연구할 가치와 필요가 있는 문제를 제시할 수도 있다.
3. 참고문헌
1) 참고문헌
논문의 각주에서 인용한 것은 참고문헌에 모두 포함시키며, 직접 언급이 없었어도 도움이
되는 문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논문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문헌들을 싣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2) 부록
부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록이라고 쓴 간지 한 장을 삽입한다. 부록에 담는 사항은 본문
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보충자료로써 주로 부가적 설명, 조사양식, 설문지, 통계표, 도표, 법
조문, 연표, 지도, 문서 등이다.
[목차를 통해 본 논문 구성의 예]
(표지에 제목이 들어가므로, 목차에는 제목을 쓰지 않는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II. 성서에 나타난 다양한 죽음 이해
1. 구약성서에서의 죽음이해
1) 초기 구약시대의 죽음이해
2) 후기 구약시대의 죽음이해
2. 신약성서에서의 죽음이해
1) 공관복음서에서의 죽음이해
2) 요한복음에서의 죽음이해
3) 바울의 죽음이해
III. 오늘날 기독교적 죽음이해
1. 심리학적 죽음이해의 영향
1)...
2)...
2.....
IV. ....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이 있는 경우)
학위논문 작성지침
4
* 본론이라는 말은 쓰지 않고, 바로 논문의 주요 내용의 제목을 II, III, IV..로 번호를 매겨
진행해 나가면 된다. 그리고 하나의 제목 아래에 소제목이 붙을 때에는 반드시 2개 이상이
있어야 한다.
2. 각주 작성방법
1. 국내서적 인용할 경우
1) 김기련,「종교개혁사」(대전: 목원대학교출판부, 2001), 85.
(저자) (책명) (장소)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한 쪽수)
2) 바로 위의 책을 다시 인용할 경우에는
위의 책, 93. (또는 Ibid., 93.) 으로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논문표기의 일관성을 위해 둘 중 한 가지를 택하면 논문 전체에서 같은 표기를
계속해서 사용해야 한다.
3) 다른 책이나 논문이 인용되다가 다시 김기련의 「종교개혁사」가 나올 경우에는
김기련,「종교개혁사」, 96. (장소, 출판사, 년도는 다시 쓸 필요가 없음)
* 앞의 책 (또는 op.cit)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음.
2. 논문을 인용할 경우
1) 이선희, “존 웨슬리의 칭의론 연구,” 「신학과 현장」9집 (1999): 81-82.
(또는 이선희, “존 웨슬리의 칭의론 연구,” 「신학과 현장」9집 (1999), 81-82.)
그러나 논문표기의 일관성을 위해 둘 중 한 가지를 택하면 논문 전체에서 같은 표기를
계속해서 사용해야 한다.
*「기독교사상」이나「목회와 신학」등에서 인용할 경우에도 역시 방법은 같다.
「기독교사상」488호 (1999.10): 32-34. 또는...(1999.10), 32-34.
* 신학과 현장은 1년에 한번 발행됨으로 년도(1999)만 적지만, 기독교사상이나 월간기
독 잡지의 경우 매월 발행되기 때문에 발행년도와 발행월(1999. 10)을 같이 기록한
다.
2) 바로 위의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위의 글, 129.
3) 다른 책이나 논문이 인용되다가 다시 이선희의 위 글을 인용하게 될 경우에는 이선희,
“존 웨슬리의 칭의론 연구,” 112. (요령은 위의 1의 3)과 같다)
3. 외국서적을 인용할 경우
1) 영어
(1) Don Browning,
Religious Ethics and Pastoral Car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9-10. 책명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쓴다.
(2) 바로 위의 책을 다시 인용할 경우에는
위의 책, 15. (또는 Ibid., 15. 요령은 1의 2)와 동일함)
(3) 다른 책이 인용되다가 다시 Don Browning의 책을 인용해야 할 경우, 국내서적 인용
학위논문 작성지침
5
과 요령이 같다. 그러나 외국서적의 경우에는 last name만을 적는다.
Browning,
Religious Ethics and Pastoral Care, 32. (first name인 Don은 삭제)
2) 독일어
(1) M. Buber,
Koenigtum Gottes, Heidelberg 1956, 24.
독일어 원서를 사용할 경우에도 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4. 외국논문에서 인용할 경우
1) 영어
Don Browning, "Practical Theology of Aging,"
Pastoral Psychology 24.2
(Winter, 1975): 151-67.
반복해서 논문의 인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국내논문 인용요령을 참고.
2) 독일어
R. Press,
Der Prophet Samuel, ZAW 56 (1938), 196.
또는 R. Press, “Der Prophet Samuel,” ZAW 56 (1938), 196.
이 경우도 한번 사용한 표기방법을 계속해서 일관성 있게 사용해야 한다.
5. 번역서적에서 인용할 경우
1) 요아킴 예레미아스,「예수의 선포」, 김경희역 (서울: 분도출판사, 1999), 46.
저자가 한국말로 표시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한글로 표시하는 것이 원칙임.
만일 영어로 하기를 원하면, 통일성을 갖기 위해 모든 번역서적의 저자를 영어로 써야
함.
2) 다른 인용이 나오다가 예전의 책을 다시 인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예레미아스,「예수의 선포」, 23,
* 바로 다시 인용할 경우에는, 위의 책, 54-56. (국내서적 인용과 동일한 요령)
6. 기타
1) 논문을 재인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박노권의 논문에서 글을 인용해 오고자 하는데, 그 내용이 박노권 자신의 글
이 아니고, 힐트너라는 사람의 글을 박노권이 인용한 것일 때.
Seward Hiltner, Pastoral Counseling, 97. 박노권, “현대목회상담의 당면과제,”
「기독교상담학회지」창간호(2000): 212에서 재인용.
* 만일 박노권의 논문을 통해 힐트너의 글을 읽어보고, 원서를 찾아서 직접 확인하고
힐트너의
주장을
충분히
이해한
경우에는
Seward
Hiltner,
Pastoral
Counseling(Nashville: Abingdon Press, 1949), 97. 이라고 쓸 수도 있다. (만일 확인하
지 않고 이렇게 쓸 경우에는 Academic dishonest!!!)
2) 신문기사에서 인용하는 경우
<조선일보> 2000. 11. 23. 6면.
3) 인터넷에서 정보를 가져올 경우
http://www.education.gouv.fr/realisations/communication/samral.htm
2005년 12월 23일 접속.
학위논문 작성지침
6
http://www.esc.edu.ar 2005년 11월 12일 접속.
박노권, “목회학 방법론,” http://www.mokwon.ac.kr/~p1316. 2006년 5월 20일 접속.
이곳에 찾아갔을 경우 정보를 발견할 수 있는 주소를 쓰고 접속한 날짜를 쓴다.
4) 전집에서 인용해 올 경우
류형기
편저,「성서주해」제4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총리원출판부,
1967),
345-47.
5) 학위논문에서 인용해 올 경우
이난영, “칼 융의 개성화와 폴 틸리히의 새로운 존재 비교연구” (신학석사학위 논문, 목
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34.
* 학위논문의 경우 제목 뒤에 ( )가 오기 때문에, 그 사이에 “,”를 넣지 않는다.
6) 저자가 다수인 경우
신윤식 외 2인, 「정보사회론」(서울: 한국데이콤, 1992), 78-79.
* 2인일 경우에는
홍길동, 김갑돌, “논문 잘 쓰는 법,” 「우리 신학」21권 3호 (1999.3): 45-47.
7) 성서에서 인용해 올 경우
한글의 경우 대부분 개역성경을 쓰므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혹 공동번역이나 표준 새번
역을 사용할 경우 명시해야 함) 영어 성경에서 인용하는 경우 반드시 RSV, NIV등 번역
판을 명시할 것 (예, RSV 눅 1:14)
8) 성경 장절을 표시하는 경우
* 본문에 나오는 경우: 창세기 13:24-25
* 성경을 인용하고 괄호 안에 넣어서 표시할 경우: 창 11:2-3
* 각주에서 표시하게 될 경우: 창 13:24-25; 출 3:12; 롬 3:2-13
* 절만 달라질 경우 : 요 12:1, 3, 24, 26-27.
3. 참고문헌 작성방법
1. 각주에서는 출판장소, 출판사, 년도에 ( )표시를 했으나, 참고문헌에서는 하지 않는다.
저자와 책명 뒤의 “,” 대신에 “.”을 쓰며, 쪽수를 표시하지 않는다.
임동원.「문학비평적 구약성서 연구」. 대전: 목원대학교출판부, 1998.
2. 참고문헌의 기재 순서는
1) 국내서적 2) 번역서적 3) 외국서적 4) 논문(국내, 국외) 순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
다. 그리고 모든 서적이나 논문은 저자의 가나다순, 영어의 경우 알파벳순으로 정리해
야 한다.
김흥수, 류대영 공저.「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 서울; 다산글방, 2002.
이광진. 「요한계시록주석」. 서울: 크리스천헤럴드, 2005.
이희학.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정기환 편저.「십이사도의 교훈」. 서울: 성서연구사, 1997.
학위논문 작성지침
7
조은하. 「통전적 영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한들출판사, 2004.
3. 영어서적의 경우에는 last name이 먼저 온다. 그리고 국내서적처럼 “,”대신 “.”을 저자와
책명 뒤에 사용하며, 출판장소와 출판사, 년도에 사용된 ( )를 쓰지 않는다.
Browning, Don S.
Religious Ethics and Pastoral Car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4. 번역서적의 경우도, 외국인 저자의 성(last name)이 나오고 이름이 뒤에 나온다.
예) 틸리히, 폴. 「조직신학」2권. 유장환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3.
5. 논문에서 저자와 논문제목 위에 「,」 대신 (.)을 사용하며, 마지막 부분의 쪽수를 표시
할 때 논문집안에 있는 저자논문의 전체 쪽수(다음페이지-끝페이지)를 기입한다..
이광진. “요한계시록의 성령론.” 「신학과 현장」 제8집 (1998): 32-45.
이희학. “이스라엘 탄생과 그 내적 원인.”「기독교사상논단」창간호 (1999): 56-65.
4. 논문사용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
1. 문단은 반드시 두 문장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문장을 쓰고 줄을 건너뛰어서 또 다른 문장을 쓰는 것은 절대 안된다.
2. 영어(외국어) 이름이 나올 경우 먼저 한글로 쓰고, 이 사람이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일
경우에는 ( )를 하고 영어 이름을 적는다. 그 뒤에 다시 나올 때는 영어 이름을 다시
기재할 필요가 없다.
예) 오든(Thomas Oden)이 말하기를..... 오든은 그렇게 주장했다.
3. 논문에서 자기를 표현할 때는 “본 연구자”로 표기한다.
4. 여러 책에서 도움을 받을 때, 자기의 말로 쉽게 쓰도록 하고, 자기도 이해하지 못하는 어
려운 말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5. 철자법을 조심하고, 논문을 끝낸 다음 반드시 맞춤법(이 도구가 없는 컴퓨터 없음)에 따
라 교정을 하도록 한다.
* 그러나 이 도구를 너무 신뢰는 하지 말 것. 아직 오류가 많이 있음.
6. 논문 내용이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짜집기 식으로 이것저것 모아만 놓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에 따라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절대 다른 사람의 의견에 쫓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관을
가지고 논문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학위논문 작성지침
8
* 논문의 주제와 맞지 않고, 글의 흐름을 방해하는 자료는 아무리 아까워도 과감하게 버
리도록 한다. 보통 이것이 논문의 일관성을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다.
7. 남의 글을 인용해 올 때는 반드시 주를 달아야 한다.
1) 남의 글을 자기 말로 정리(paraphrase)해서 사용할 경우, 그 글의 끝에 주를 단다.
2) 남의 글을 그대로 옮겨올 경우 “ ”표시를 하고, ”표시 뒤나 문장 끝에 주를 단다.
3) 대략 5줄 이상의 긴 글을 인용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시카고 대학 신학부의 돈 브라우닝 역시 상담 및 목회적 돌봄에서 윤리의
상실이 가장 심각한 문제임을 말한다.
목사와 병자는 죽어가는 사람을 상담할 명백한 의무가 있다. 그러나 그는 무엇보
다 먼저 공동체로 하여금 병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종교문화적 견해를 갖도록 도
와야만 한다. 확실히 목사는 결혼문제, 성문제, 이혼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상담해
야 하지만, 먼저 그 사람들 안에 결혼, 성, 이혼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긍정적인
비젼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주)
그러나 브라우닝은 단지 윤리의 중요성만을 강조하는 학자들과는 달리 오늘날
에 있어서 어떻게 윤리규범을....
* 논문의 글자 크기를 10으로 쓰고 있는 경우, 인용되는 문장은 크기를 9로 한다. 인용되
는 문장은 들여 쓰기를 하는데, 왼쪽에서 약 20정도를 들여 써서, 눈에 인용문장이 바
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인용된 문장 끝에 주를 단다. 그리고 인용문장 자
체가 인용했다는 의미이므로 “ ”표시는 사용하지 않는다.
학위논문 작성지침
9
(별지서식 1) 학위논문 겉표지 (별지서식 2) 학위논문 등표지
4cm
↔석사학위논문
3cm
(13pt)
25.5
cm
2cm
논 문 제 목 (16~20pt)
-부 제 목- (12~15pt)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15pt)
신학과 ○○○전공(12pt)
홍 길 동(15pt)
○○○○년 ○월
3cm
논
문
제
목
(12pt)
목
원
대
학
교
신
학
대
학
원
(10pt)
홍
길
동
(12pt)
2.0c
m
25.5c
m
2.0c
m
18.5cm
학위논문 작성지침
10
(별지서식 3) 학위논문 제출문
5.5cm
논 문 제 목 (16~20pt)
-부 제 목- (12~15pt)
지도교수 ○○○ (16pt)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15pt)
20 년 월 일 (13pt)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13pt)
신학과 (13pt)
홍 길 동 (15pt)
3.5cm
학위논문 작성지침
11
(별지서식 4) 학위논문 인준서
○○○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15pt)
주심위원 (13pt) 인
부심위원 인
부심위원 인
20 년 월 일 (15pt)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15pt)
학위논문 작성지침
12
(별지서식 5) 본문 작성 범위
2.5cm
본문 작성 범위
25.5
cm
2.5cm
2.5cm
- 쪽 번호-
3.0cm
2.0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