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2학기 종합시험 지침 】
※ 종합시험 신청서 제출기간: 2022. 10. 10.(월) ~ 10. 15.(금)
구약학
임동원교수
1. 고대 근동의 신비종교인 미드라이즘(Mithraism)에 대해 설명하시오.(고대근동문학세미나)
2. 루터(M.Luther)의 성서해석원리를 설명하시오.(구약성서해석학)
3. 문학비평(Literary Criticism)의 여러 전제(presuppositions)에 대해 설명하시오.(문학비평세미나)
박경식교수
1. 이사야서 편집 비평에 관한 이해 및 특징
2. 예레미야 메시지의 특징
3. 에스겔서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포로기 신학과 이해
참고도서
Q&A로 쉽게 읽는 예언자들의 신앙과 삶, 이희학 저, 프리칭아카데미
예언서, 마빈 A, 스위니 저/홍국평 역, 대한기독교서회
신약학
박찬웅교수
1. 사복음서 가운데 하나 또는 둘을 선택하여 해당 복음서 저자의 중요한 메시지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시오
2. 역사적 예수 연구의 최근 동향에 관해 설명하시오.
3. 요세푸스의 예수 보도의 내용에 관해 설명하시오
참고도서
타이센, 「복음서의 교회정치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타이센/메르츠, 「역사적 예수」(서울: 다산글방)
박찬웅, 「초기기독교와 요세푸스」(서울: 동연)
교회사
권진호교수
1. 시편 51편 1-2절에 대한 루터의 강해에 나타난 핵심적인 신학내용을 서술하라.
(참고도서: 루터의 시편 51편 강해, 부크크 출)
2. 루터의 설교에 나타난 믿음과 행위의 관계에 관하여 논하라
(참고도서: 루터, 구원을 설교하다, 대장간 출)
3. 루터의 “로마서 서문”의 핵심요지를 설명하라.
(참고도서: 루터를 안다, 대장간 출)
4. 이용도의 생애와 신학을 논하라.
(참고도서: 한국교회사 개설서 등)
조직신학
유장환교수
1. 폴 틸리히의 신학방법론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참고도서 : 폴 틸리히, 유장환, 「폴틸리히 조직신학연구」, 한들출판사
2. 존 웨슬리의 “성경적 구원의 길”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참고도서 : 이선희 역 「존 웨슬리 핵심 설교 선집」
3.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참고도서 : 다니엘 밀리오리, 「기독교조직신학개론」, 한국장로교출판사
이정순교수
1. 한국신학이란 무엇인가? 토착화 신학자나 민중신학자 중 1명을 선택하여 논하시오
2. 니케아 신조(325),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칼케돈 신조(451) 중 하나를 선택해서 그 신조나 공의회가 갖는 신학
적 의미에 대해 논하시오.
3. 성서 비평 방법 중 1개를 선택하여 논하시오
*참고문헌 및 도서
이정순. <한국인의 실존과 신학하기>. 고양: 이새의 나무, 2021.
폴 틸리히/송기득 옮김. <그리스도교사상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강성열 외, <설교자를 위한 성서해석학 입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실천신학
권오훈교수
1. 하워드 스나이더가 『피조물의 치유인 구원: 땅과 하늘의 이혼을 극복하는 죄와 은혜의 생태학』
329-343쪽에 쓴 ‘교회의 전통적 표지들을 다시 생각하기’를 기술하시오.
2. 하워드 스나이더의 『피조물의 치유인 구원: 땅과 하늘의 이혼을 극복하는 죄와 은혜의 생태학』
362-377쪽에 나오는 ‘여섯 가지 차원의 공동체’를 기술하시오.
나인선교수
1. 세례 성례전 신학에 관해 서술하고, 현 한국교회의 세례 성례전 실행의 문제점을 비평적 관점으로 살펴본 후,
자신의 세례 성례전 신학과 실행에 관해 개혁의 관점을 가지고 제시해보길 바랍니다.
2. 성만찬 성례전 신학에 관해 서술하고, 현 한국교회의 성만찬 성례전 실행의 문제점을 비평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자신의 성만찬 성례전 신학과 실행에 관해 제시해보길 바랍니다.
* 시험도서: 『하나님의 자기 주심의 선물: 성례전』 제임스 화이트 지음, 김운용 옮김
* 시험범위: 6장 성례전 실행의 개혁 p. 247-291
기독교교육
조은하교수
1. 가정-교회-마을이 함께하는 교육생태계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2. 오렌지 교육의 의미와 위드코로나 시대의 교육적 실제성을 설명하시오
김정희교수
1. 2020년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은 전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었으며, 그로 인한 비대면 사회,
비대면 교육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회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비대면 환경은 교회에 많은 질문을 던졌으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제2, 제3의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 이에 교회교육을 함에 있어 비대면 현장에 대해 어떤 관
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와 함께, 혹여 조심해야할 부분들이 있다면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인지를
서술하시고
김난예 외, 코로나19를 넘어서는 기독교교육, 동연, 2020,
김정희, “코로나19시대, 영상목회의 필요성”. 신학과 현장, 2020.
2. 고령사회, 노인의 여가시간의 증대에 따른 교회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김난예 외, 고령사회의 기독교 노인교육, 기독한교, 2019.
김정희, “노인의 여가교육에 대한 방향 모색”, 신학과 현장, 2019.
※ 위의 종합시험 지침은 문제가 아닌 시험범위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학대학원 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