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과 의의.ppt

닫기

background image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과 의의

원인

4122060 

4122060 조익형

조익


background image

1. 들어가는 말

ㅇ 다윗/솔로몬 왕조의 통치
   - 80년 이상을 넘지 못함.
   - 40은 구약에서 한 세대를 의미.
      2세대를 넘지 못했음을 말함.

ㅇ 북 이스라엘이 겪었던 문제
   - 다윗 : 압살롭, 세바 반란 진압 당시
     입은 북쪽 백성들의 피해
   - 솔로몬 : 북쪽 지역을 12개의 행정구역으로 세분화
                 세금 부과 및 강제 노역


background image

1. 들어가는 말

ㅇ 세겜 회합 : 르호보암의 즉위
  - 북쪽은 공물과 강제노역을 경감시켜 줄 것을 요구 
  - 르호보암은 명백하게 거부함

 "어린 사람들의 자문을 따라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 아버지는 너희의 멍에를 무겁게 하였으나 나는 
 너희의 멍에를 더욱 무겁게 할지라 내 아버지는 채찍
 으로 너희를 징계하였으나 나는 전갈 채찍으로  
 너희를 징치하리라 하니라" 열왕기상 12장 14절


background image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통일 왕국의 태생적 한계와 

남과 북의 불완전한 인격연합

ㅇ 완전치 못했던 통일 왕국

   - 외형적인 화려함 속에 감춰진 남북의 갈등

   - 사실상 남과 북의 교류는 거의 없었다.

   - 갈등의 뿌리는 이스라엘 역사 초기부터 시작

ㅇ 계약 관계

   - 남쪽과 북쪽은 200년 가까이 독립된 상태였다

   - 다윗은 오랫동안 사울의 집과 전쟁을 해야만 했다.

   - 이스보셋 살해 후 북쪽의 장로들과 "계약"을 맺고

     나서야 전 이스라엘의 왕이 될 수 있었다.


background image

북 = 

= 계약관계

계약

남 = 

= 충성관계

충성

북 = 

= 계약

남 = 

=

통일왕국이 아닌

통일왕국이 아

불완전한 인격연합의 관계 였

불완전한 인격연합의 관계

음.

통일왕국이 아닌

통일왕국이 아

불완전한 인격연합의 관

불완전한 인격연합의 

음.

ㅇ 르호보암의 선택

 - 내부갈등의 해결 실패

 - 나라의 분열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통일 왕국의 태생적 한계와 

남과 북의 불완전한 인격연합


background image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세습적인 절대 왕권에 대한 저항과 부정

   -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대한 열망 -

ㅇ 북쪽 지파

 북쪽 

의 선언

의 선

 "우리가 다윗과 무슨 관계가 있느뇨

우리가 다윗과 무슨 관계가 있느 .

  이새의 아들에게서 업이 없도다

이새의 아들에게서 업이 없

.

  이스라엘아 너희의 장막으로 돌아가라

이스라엘아 너희의 장막으로 돌아가 . 

.

  다윗이여 이제 너는 네 집이나 돌아보라

다윗이여 이제 너는 네 집이나 돌아보 ." 

.

                                 

                                 (왕상 

왕상 12:16)

12:16

ㅇ 세바

 

의 선포

의 선

 "우리는 다윗과 함께 할 분의가 없으며

우리는 다윗과 함께 할 분의가 

  이새의 아들과 함께 할 업이 없도다

이새의 아들과 함께 할 업이 없

  이스라엘아 각각 장막으로 돌아가라

이스라엘아 각각 장막으로 돌아가 ." 

.

                                 

                                 (삼하 

삼하 20:1)

20:1


background image

ㅇ 선포문 인용

  - 관계와 분의 (

קלח)

   : 남쪽으로 부터 받을 어떠한 유산도 없다.

  - 업(

הלחנ)과 집(ךתיב)

   : 다윗 왕조에 대한 거절의 표현

  - 장막(

להא)

   : 원래는 전쟁 종결 선언

     여기서는 북쪽은 르호보암을 인정치 않고

     돌아감을 의미

 결론 : "왕과 백성"의 관계를 단절하겠다.

          통일 왕국 이전으로의 귀환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세습적인 절대 왕권에 대한 저항과 부정

   -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대한 열망 -


background image

ㅇ 강력한 통치자에 대한 열망

  - 가나안에서 세습은 오랜 관행.

  - 북쪽 지파는 강력한 지도력을 가진 자를 원함

   (예 : 아브넬, 다윗, 솔로몬) 

ㅇ 르호보암 왕국을 거절

르호보암 왕국을

  - 

- 특별한 계약 관계를 거절당함

특별한 계약 관계를 거

.

  - 

- 르호보암은 카리스마적 통치자가 아니다

르호보암은 카리스마적 통치자가 아

.

  - 

- 북 왕국의 건설은 제도적 왕국과

북 왕국의 건설은 제도적 왕

    

   카리스마적 왕국 사이의 갈등

카리스마적 왕국 사이의 

.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세습적인 절대 왕권에 대한 저항과 부정

   -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대한 열망 -


background image

2.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원인들

전통적인 야웨 종교 추종자들에 의한 다윗 왕조의 지지 철회

전통적인 야웨 종교 추종자들에 의한 다윗 왕조의 지지 철

ㅇ 솔로몬

 

의 종교

의 

 혼합주의

혼합주

  - 

- 솔로몬은 가나안 문명으로 인한 종교 혼합주의를

솔로몬은 가나안 문명으로 인한 종교 혼합주의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정함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

.

  - 

- 오염되지 않은 고대 이스라엘의 

오염되지 않은 고대 이스라

전통 신앙

전통

    

   간직하려는 집단이 생겨남

간직하려는 집단이 생

.

ㅇ 여로보암

의 후원자

  

  - 

- 선지자 아히야의 예언 

선지자 아히야의 예언 : 하나님의 역사 개입

하나님의 역사

  

  - 

- 실로의 예언자 그룹 

실로의 예언자 그룹 : 혼합주의 반대파 그룹

혼합주의 반대파 그

  

  - 

- 여로보암의 반란 

여로보암의 반란

   

  : 

: 정치적 저항 운동 

정치적 저항 운동 + 

+ 종교적 저항 운동

종교적 저항 운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주변국들에 대한 지배권의 상실

ㅇ 다윗-솔로몬 대제국 붕괴

  - 별개의 두 왕국으로 분리

  - 정치적 외교관계 변화

  - 군사적 약화를 불러옴 

  : 속국 지배권 상실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남 왕국과 북 왕국 사이의 정치, 사회적 대결의 고착화

ㅇ 한 국가의 내부 갈등이 두 국가의 갈등으로 바뀜

  -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사이의 끝없는 전쟁

  - 남과 북의 전쟁은 '베냐민 지파의 영토'가 목적

   북의 입장 : 베냐민 지파는 이스라엘에 속한 종족

                   사울이 베냐민 출신

   남의 입장 : 예루살렘 방어를 위한 절대선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남 왕국과 북 왕국 사이의 정치, 사회적 대결의 고착화

ㅇ 각 왕국의 변화의 차이

 남 왕국 - 실제로 큰 변화 없음.

              예루살렘은 여전히 종교적 중심지.

 북 왕국 - 여로보암의 과제

              예루살렘에 대항할 수 있는 

              정치적 중심 도시 건설

              (세겜 - 부느엘 - 디르사 - 사마리아)

 두 나라는 완전히 독립된 길로 가게 됨.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반 예루살렘적 종교 중심지의 탄생

ㅇ 왕국 분열에 대한 두 나라의 생각 차이

  남 유다

   - 북 왕국의 독립 = "조상들의 하나님" 배신 행위

   - 북 왕국은 하나님의 약속과 축복을 포기했다.

  북 이스라엘

   - 모든 책임은 다윗 왕조에 있다.

   - 야웨 신앙에서 이탈한 것은 다윗 왕조다.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반 예루살렘적 종교 중심지의 탄생

ㅇ 여로보암의 과제

  - 새 왕국의 신학적 이념 제시 필요

   : 예루살렘의 계속적인 종교적 종속은         

    여로보암의 정치 생명을 위협

  - 예루살렘에 대항할 수 있는 종교적 중심지

   : 벧엘과 단을 종교적 중심지로 선택

  - 법궤에 경쟁할 수 있는 제의적 상징물 필요

   : 벧엘에 금송아지 상을 세움

  - 레위인 제사장에 대항하기 위해

    일반 백성 중 제사장 임명

  - 가을 신년 축제일 변경 : 예루살렘으로부터 독립


background image

3. 이스라엘 왕국 분열의 결과

반 예루살렘적 종교 중심지의 탄생

ㅇ 금송아지 문제

  - 고대 이스라엘 전통 계승의 노력? 그 근거는?

   

 

1⃣ 송아지 형상은 이집트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킨

     야웨 하나님의 무한한 능력을 상징한다

   

 

2⃣ 북 왕국의 제의가 예루살렘의 제의에 대항하는

     옛 야웨 전승의 진정한 계승자임을 암시한다

     (출 32장 금송아지 사건)

 

✔️ 금송아지는 우상이 아니라 보이지 않게 

   현존하시는  야웨의 상징(SYMBOL)으로 동물   

  모양의 주각이나 신의 동반자로 이해될 수 있다.


background image

4. 분열 사건의 신학적 의의

북 왕국의 건설은 고대 이스라엘 카리스마 체제의 부활이다

ㅇ 카리스마-민주적 체제의 부활

  - 사울-다윗 왕국의 모습으로의 재현

  - 이스라엘 왕국의 분열은 "카리스마적-민주적"

   세력과 "왕조적-제도적"세력간의 대결의 결과

  - 여로보암의 왕위 등극은

    "하나님에 의한 임명""백성들의 총회에 의한 동의"

  - 북 왕국에서도 세습적 계승이 있기는 했으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는 못함


background image

4. 분열 사건의 신학적 의의

여로보암은 혼합주의에 대항한 인물이며

야웨 종교의 새로운 장을 연 인물이다

ㅇ 예루살렘에 대항

  - 법궤는 송아지상을 대치

  - 예루살렘은 벧엘과 단으로 대치

  -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을 비난하는 어조는 당시의

   해석이 아닌 신명기 사가의 엄격한 해석

  - 레위인 제사장 임명을 포기.

   : 다윗 왕조의 제의로부터의 독립을 위하여


background image

4. 분열 사건의 신학적 의의

이스라엘 왕국의 분열은 갑작스런 내부 충돌이 아니다.

통일 왕국의 태생적 한계와 불완전한 인격연합과 관련

ㅇ 분열의 원인들

 - 다윗과 솔로몬 통치시대의 저항

 - 르호보암의 잘못된 판단

 - 출애굽 전통의 회복 (야웨신앙)

 

✔️ 북 왕국의 건설은 남쪽의 억압과 착취에 대항해

 자유와 해방을 얻기 위한 투쟁의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