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개척 인재를 양성하는
AI 응용학과입니다
저는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지도를 받은 후 KAIST 인공지능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습니다. 그 이후 경북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박사과정에서 음성인식/합성 기술, 음성기반 정신의학 분석과 우울증 탐지, 다양한 오디오 기반 AI등을 연구하였습니다. 또한, 네이버 클라우드 인턴과 영국 Amazon에서 Applied Scientist 인턴을 거쳐, 현재 광주과학기술원에서 박사후연구과정으로 근무 중입니다.
저는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후 LIG 넥스원 무인 체계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처음 자율주행 전문 기업에서 자율주행 셔틀의 low level 제어기와 통합 제어기의 SW 설계 및 개발 업무, 영상업무 AI 업무를 담당하며 사회생활을 시작하였고 이후 LIG로 이직, 무인 전투 체계 중 지상 차량의 자율주행 시스템 및 유무인 복합체계의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저는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후 AIFFEL에서 국비교육을 수료하던 중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디지털 신기술 실무인재양성(K-Digital Training) 해커톤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습니다. 5명이 한 팀으로 구성된 심투데이터 팀으로 위 경연에 참가,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산불, 재난 등 특수한 조건의 데이터를 AI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가상환경에서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습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제어로봇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이수 중이며 자율주행을 연구합니다.
저는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후 데이터플랫폼 전문기업 Inzent에서 풀스택 개발자로 근무중입니다. 그 중 저는 Service-Oriented Architecture기반의 Enterprise-Service Bus엔진을 이용, 업무 시스템 영역과 대내/외 채널간 연계를 제공해주는 JAVA 솔루션을 개발 중입니다. 연계솔루션인만큼 인프라,네트워크 개념을 필요로 하고 주로 솔루션내의 고객사의 연계의 새로운 기능, 화면 등을 개발합니다.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후 시선AI(구 CUBOX) 에 입사하여 AI 기반 출입 통제 솔루션과 영상 분석 시스템의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했습니다. 이후 한국딥러닝(KDL) 으로 이직하여 VLM(Video-Language Model) 기반 문서 OCR 솔루션의 Python FastAPI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 중입니다. 문서 자동 분석 및 OCR 모델 API 서버 구조를 설계하고 있으며, 대규모 AI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백엔드 아키텍처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는 목원대학교에서 학업 후 블록체인 기반의 항만 물류 특화 AI/IT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엠투엠에 재직 중에 있습니다. Typescript 기반의 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부산 항만 공사 디지털 전환(DX) 사업의 일환인 환적 모니터링 서비스 Port-i의 개발에 참여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