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목원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


CREATIVE THINKING, HANDS-ON MAKING!

실력있는 전기전자공학과, 4차산업혁명시대의 리더!!

교과목소개

전체 학년 교육과정

K-MOOC
  •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 온라인을 통해서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양방향 학습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
국내계절제인턴십
  • 학생들이 방학 동안 산업체에서 현장실습을 통해 실무에 대한 지식 및 기술, 경험을 쌓는다.
채플
  • 교양필수인 채플은 1, 2학년(신학대학(사회복지학과 제외)-3학년)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주1회 채플예배에 참석한다. 학기 중 부활절축하예배, 신앙강화주간예배, 추수감사예배, 성탄목점등예배, 찬양, 연극, 영상예배 등 다채로운 특별예배를 실시하기도 한다.
학기제ICT학점연계프로젝트인턴십
  • 본 과목은 기업과 현장실습 협약을 체결하고, 산업체 현장에서 방학 동안 현장실습을 진행한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의 평가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1 학년 교육과정

공학수학
  • 전자공학을 이해하기 위한 벡터와 행렬, 복소수, 함수와 극한, 미적분, 급수 등을 강의하며 이들 개념의 공학적 응용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직류회로이론
  • 선형회로망을 구성하는 R,L,C, 소자및 전압원, 전류원의 전자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회로의 해석하는 기법으로써 KCL, KVL, Mesh, Nodal 해석법, 중첩의 원리 및 1,2 차 회로방정식 등을 학습한다.
창의공학설계입문
공학문서작성
교류회로이론
기초회로실험
물리전자공학
진로직업지도1
  • 1~2학년의 진로설정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목표 설정을 위한 개인별 상담과 진로 개발 능력 등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긍정적 마인드와 능동적 학업성취를 달성하도록 한다.
피지컬컴퓨팅
  • 컴퓨터 언어를 습득하고 인간이 인지하는 감각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배운다. 전기, 전자 이론을 전혀 모르는 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전기, 전자의 이해와 함께 작업에 활용될 수 있는 부분들을 탐구한다. 기본적인 센서활용과 모터, LED 제어를 통해 작업을 응용한다.

2 학년 교육과정

국외계절제인턴십
  • 본 교과목은 취업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들을 사전 경험함으로써 졸업 후 적성에 맞는 진로와 그에 따른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교와 협약을 맺은 기관에서 실무를 배우고 익히며, 그 기관으로부터 역량을 평가 받는다.
3D모델링및제작실습
  • 3D모델링 방법을 학습하고 3D프린팅을 이용해 3D모델 제작을 실습한다. 3차원 CAD의 기본 기능인 Solid Modeling과 부품의 조립을 3차원 CAD에서 상에 사전 검증하는 방법을 배우며, 완성품을 3D프린터로 제작한는 실습을 수행한다.
JAVA프로그래밍
논리회로설계
시스템제어프로그래밍1
  • 전공과목 이수에 보조지원 역할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 및 실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 및 알고리듬 플로우 차트 학습, 컴파일 과정 등을 다양한 실습을 통해 배운다.
전기자기학
  • 전자기학의 기초이론을 다루며 주로 정전계와 정자계의 기초 개념을 익힌다.
통신공학
JAVA프로젝트실습
데이터베이스
데이터통신
리눅스기초및응용
  • 임베디드 설계 및 반도체 설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리눅스의 기초에 대해 교육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배운다.
리눅스시스템보안
모바일로봇실습
  •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GUI 기반 프로그래밍 방법을 학습한다.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통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이를 이용한 로봇 입출력 제어 및 다양한 로봇 소프트웨어 컨텐츠 개발 및 활용방법을 학습한다.
센서및미디어
  • 센서는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센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적용해본다.. 또한, 각종 센서를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디어에 적용함으로써 셈서 활용 능력을 증진한다.
시스템제어프로그래밍2
전기전자회로설계및실험
전자회로
  • 다이오드 회로, 트랜지스터 증폭 회로, 연산 증폭기, 각종 파형발생 회로, 주파수 응답 등 전자공학 전반에서 이용되고 있는 주요 회로들의 특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3 학년 교육과정

IPP(장기현장실습)1
  • 본 과목은 기업 등과 장기현장 실습(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협약을 체결하고, 산업체 현장에서 전일제 현장 훈련을 병행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5
  • 본 과목은 6개월의 장기현장 실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IPP 1 또는 IPP2를 이수한 학생이 연속하여 수강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6
  • 본 과목은 6개월의 장기현장 실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여름 또는 겨울 방학 기간에 IPP(장기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이 현장실습을 모두 마친 이후에 1학기 또는 2학기에 수강신청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TCP/IP
디지털신호처리
디지털회로설계
마이크로컨트롤러응용
반도체공학
스마트센서시스템
시스템제어설계및실험
전력공학
전력전자계측실험
첨단미디어예술캡스톤디자인
  • 첨단미디어예술MD과정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캡스톤디자인 전시 및 경진대회에 참가하여 팀워크 능력을 배양한다.
컴퓨터구조
코딩및알고리즘
FPGA설계
네트워크프로그래밍
메타버스미디어창작
  • 가상현실 세계의 미디어예술관련 사례를 학습하고 팀별로 메타버스 미디어예술 작품을 구현한다.
사물인터넷
시큐어코딩
응용전자회로설계
임베디드시스템펌웨어
전기기기
전기설비

4 학년 교육과정

IPP(장기현장실습)1
  • 본 과목은 기업 등과 장기현장 실습(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협약을 체결하고, 산업체 현장에서 전일제 현장 훈련을 병행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2
  • 본 과목은 IPP 1을 이수하고, 두 번째 장기현장 실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3
  • 본 과목은 9학기 이상 등록자 중 산업체 현장에서 전일제 현장 훈련을 병행하기를 원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5
  • 본 과목은 6개월의 장기현장 실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IPP 1 또는 IPP2를 이수한 학생이 연속하여 수강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IPP(장기현장실습)6
  • 본 과목은 6개월의 장기현장 실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현장실습생을 위해 개설한다. 본 과목은 여름 또는 겨울 방학 기간에 IPP(장기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이 현장실습을 모두 마친 이후에 1학기 또는 2학기에 수강신청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론교육과 체계적인 현장실습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계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의 평가는 학과 담당교수, 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등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P(Pass), 미이수 F(Fail)로 한다.
국내학기제인턴십
  •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산업체에서 현장실습을 통해 실무에 대한 지식 및 기술, 경험을 쌓는다.
국외학기제인턴십
  • 본 교과목은 취업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들을 사전 경험함으로써 졸업 후 적성에 맞는 진로와 그에 따른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교와 협약을 맺은 기관에서 실무를 배우고 익히며, 그 기관으로부터 역량을 평가 받는다.
졸업작품/논문
  • 캡스톤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졸업작품을 설계구현 및 실험, 전시 및 데모, 발표 및 졸업논문을 제출하여 평가 받는다.
ASIC설계
  • 본 과목은 공정 기초, IP/FPGA/ASIC 개념, 초미세공정 기술의 문제점, 프로세서 구조, 설계 최적화, 메모리 구조 및 회로 등을 배우는 고급 과정이다. 특히 Verilog-HDL로 설계된 RTL 코드가 반도체 칩으로 개발되는 ASIC설계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IoT로봇실험
  • IoT와 로봇기술을 통합 응용하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2~3인이 한 팀이 되어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한 IoT로봇 응용 작품을 개발한다. 특히 로봇을 위한 다양한 지능기술의 활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개선 및 테스트 등을 수행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팀 발표를 통해 수행된 과제를 평가한다.
NCS임베디드SW
  •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상하고 상세 설계 된 단위 모듈, 환경 변수를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광전자·광통신공학
  • 레이저 및 광전소자에 관한 소개 및 응용, 광통신을 위한 광학디바이스에 대하여 강의한다.
네트워크보안설계
  • 본 교과목에서는 인터넷 및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에 대한 암호 알고리즘의 구현방법, SSL, IPsec. PKI 기술등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본다. 특히 차세대 인터넷 보안의 표준이 되고 있는 IPV6 기술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그 응용분야인 VPN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네트워크설계
  • 선행으로 배운 데이터통신과 TCP/IP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적합한 네트워크 설계기법을 학습한다. 아울러 실제적인 네트워크 장비를 조사분석하여 네트워크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시스템SW인터페이스
  • 학생들의 실력 배양을 위해 입출력 설계 방법론, RFC(Request For Comments)문서, 시스템 환경 구현을 진행하고, 인터페이스 코드와 동작에 대한 기술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요구사항확인
  • 업무 분석가가 수집, 분석, 정의한 요구사항과 이에 따른 분석모델에 대해서 확인과 현행 시스템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인공지능
  •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표현, 추론, 문제공간과 문제해결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인터페이스구현
  • 모듈 간의 분산이 이루어진 경우를 포함하여 단위 모듈 간의 데이터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메커니즘을 통해 모듈 간의 효율적인 연계를 구현하고 검증할 수 있다
임베디드시스템설계
  • 임베디드 시스템의 하드웨어 테스트 소프트웨어 설계, 펌웨어 구조 설계, 단위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를 수행하고 하드웨어 테스트 소프트웨어 구현, 부트로더 구현, 소스 코드 인스펙션을 수행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임베디드어플리케이션분석설계
  • 임베디드 시스템의 하드웨어 테스트 소프트웨어 설계, 펌웨어 구조 설계, 단위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를 수행하고 하드웨어 테스트 소프트웨어 구현, 부트로더 구현, 소스 코드 인스펙션을 수행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진로직업지도2
  • 3~4학년의 직업역량 강화 및 성공취업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목표 설정을 위한 개인별 상담과 진로 개발 능력 등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긍정적 마인드와 능동적 학업성취를 달성하도록 한다.
차량전력전자공학
  • 본 과목에서는 자동차공학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 등 미래 자동차와 관련된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소 기술 및 개념을 다룬다.
캡스톤디자인3
  • 본 강좌에서는 4년 동안의 학부 동안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 및 실습을 통하여 주제를 통하여 각 조별로 작품을 제작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각 조장들은 주어진 주제를 가지고 이론적인 배경을 수학적인 사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하여 각 조별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각자 별로 PERT를 통한 일정 계획을 통하여 매 주차 별로 프리젠테이션을 통하여 그 일정을 공개적으로 , 추후 공과대학에서 추진하는 합동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에 참가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작품을 써 졸업 후에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는 전문 소양 교육을 배우며 각자의 포토폴리오를 작성함을 개인적인 목표로 한다.
통합구현
  • 모듈 간의 분산이 이루어진 경우를 포함하여 단위 모듈 간의 데이터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 메커니즘 모듈 간의 효율적인 연계를 구현하여 검증할 수 있다.
화면설계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파악된 화면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확인하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단계에서 정의된 구현 지침 및 UI/UX 엔지니어가 제시한 UI 표준과 지침에 따라 화면을 설계할 수 있다.
IT융합보안
  • 본 교과목은 보안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현업에서 실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응용 시스템의 설계 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특히 융합보안인 사물인터넷보안에 대해서 알아본다.
SoC설계
빅데이터플랫폼
  • 빅데이터 처리 5단계인 빅데이터 수집, 저장, 처리, 분석 그리고 시각화에 대한 이론과 이와 같은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빅데이터플랫폼인 하둡에 대하여 학습한다. 아울러 빅데이터 플랫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현방법을 학습한다.
인공지능로봇
  • 본 과목에서는 로봇?매니퓰레이터와 같은 다자유도 동역학?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전공세미나
전기에너지하베스팅
  • 본 과목에서는 태양광, 진동, 열, 풍력 등과 같이 자연적인 에너지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를 미세하게 수확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해서 공부한다.
캡스톤디자인4
  • 전공과목 중에서 관심있는 심화분야에 대해 창의적 시스템 설계 구현을 위한 1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하여 작품전시회 및 경진대회에 참가하고 졸업작품 등으로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