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목원대학교국악과


MOKWON UNIVERSITY

우리 음악을 세계로

교과목소개

전체 학년 교육과정

K-MOOC
  •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 온라인을 통해서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양방향 학습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

1 학년 교육과정

기악합주1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무용실기1
  • 기화시킴으로써 나와 자연을 조화시키려는 한국음악은 장단으로 구체화되고 그 장단이 장고와 소리 그리고 몸으로 구체화한다. 몸놀림의 예술인 한국춤에서 기본 춤사위와 몸놀림을 통하여 호흡과 장단 소리를 감지하는 기본에서 살풀이까지 학습한다. 한국음악학부의 기본교과이자 장단실기와 함께 모든 전공자가 필수적으로 익히는 과목이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장단실기및반주법1
  • 한국음악의 미적 특징인 장단을 기초부터 반주장단과 설장고 합주까지 익혀 다양한 음악에 반주장단을 응용하는 교과이다.
전공실기1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창극실제.이론1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한국음악합주1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1
  • 성악 전공자들의 합창을 통하여 합창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전공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한다.
기악합주2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무용실기2
  • 기화시킴으로써 나와 자연을 조화시키려는 한국음악은 장단으로 구체화되고 그 장단이 장고와 소리 그리고 몸으로 구체화한다. 몸놀림의 예술인 한국춤에서 기본 춤사위와 몸놀림을 통하여 호흡과 장단 소리를 감지하는 기본에서 살풀이까지 학습한다. 한국음악학부의 기본교과이자 장단실기와 함께 모든 전공자가 필수적으로 익히는 과목이다.
시창.청음2
  • 전공악기의 기초단계를 위한 국악의 기본 학습으로 기초단계를 학습하므로 앙상블 합주의 학습능력을 배앙할 수 있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장단실기및반주법2
  • 한국음악의 미적 특징인 장단을 기초부터 반주장단과 설장고 합주까지 익혀 다양한 음악에 반주장단을 응용하는 교과이다.
전공실기2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진로직업지도1
  • 1~2학년의 진로설정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목표 설정을 위한 개인별 상담과 진로 개발 능력 등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긍정적 마인드와 능동적 학업성취를 달성하도록 한다.
창극실제.이론2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한국음악합주2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삼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2
  • 성악 전공자들의 합창을 통하여 합창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전공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한다.

2 학년 교육과정

국외계절제인턴십
  • 본 교과목은 취업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들을 사전 경험함으로써 졸업 후 적성에 맞는 진로와 그에 따른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교와 협약을 맺은 기관에서 실무를 배우고 익히며, 그 기관으로부터 역량을 평가 받는다.
국악개론
  • 국악의 이론과 분류법, 악곡의 구성 방법의 분류를 알고 국악의 전반적인 지식을 확대한다. - 율명과 기보법 - 음계와 선법 그리고 전통 악곡 구성방식 분석하기 - 국악 악곡의 비교 - 악기의 분류법 - 국악음악 이론 악전
기악합주3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문화예술교육개론
  •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 활동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 입문 교과
부전공실기1
  • 여러 가지의 부전공실기를 두어서 각 개인의 실기를 연마하도록 하여 창작과 연주에 활용하도록 한다.
시창.청음3
  • 전공악기의 기초단계를 위한 국악의 기본 학습으로 기초단계를 학습하므로 앙상블 합주의 학습능력을 배앙할 수 있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장단실기및반주법3
  • 한국음악의 미적 특징인 장단을 기초부터 반주장단과 설장고 합주까지 익혀 다양한 음악에 반주장단을 응용하는 교과이다.
전공실기3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래동요와전래놀이1
  • 시가무를 통해서 완전해지는 우리음악은 놀이와 함께 분리되어 생각되어질수 없다. 전래동요와 몸동작을 통해 호흡과 장단을 몸에 익히고, 이를 통해서 보다 깊이 있고, 완전한 음악의 완성에 도움이 되도록 함들 목표로 진행하는 과목이다.
창극실제.이론3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한국음악합주3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3
  • 성악 전공자들의 합창을 통하여 합창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전공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한다.
국악교육론
기악합주4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민속학개론
부전공실기2
  • 여러 가지의 부전공실기를 두어서 각 개인의 실기를 연마하도록 하여 창작과 연주에 활용하도록 한다.
시창.청음4
  • 전공악기의 기초단계를 위한 국악의 기본 학습으로 기초단계를 학습하므로 앙상블 합주의 학습능력을 배앙할 수 있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장단실기및반주법4
  • 한국음악의 미적 특징인 장단을 기초부터 반주장단과 설장고 합주까지 익혀 다양한 음악에 반주장단을 응용하는 교과이다.
전공실기4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래동요와전래놀이2
  • 시가무를 통해서 완전해지는 우리음악은 놀이와 함께 분리되어 생각되어질수 없다. 전래동요와 몸동작을 통해 호흡과 장단을 몸에 익히고, 이를 통해서 보다 깊이 있고, 완전한 음악의 완성에 도움이 되도록 함들 목표로 진행하는 과목이다.
창극실제.이론4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한국음악합주4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4
  • 성악 전공자들의 합창을 통하여 합창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전공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한다.

3 학년 교육과정

국악교수학습방법
  • 본 교과목은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기 위한 국악교수학습방법이다. 이에 가장 토대가 되는 것은 국악에 대한 이해이며, 이를 교수학습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역점을 두고 있기에 다양한 국악 분야에 대한 연구와 교수학습 이론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교육을 수행할 능력을 위해서는 학습 대상과 현장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 역량을 기르고, 교수학습방법들이 실제로 어떠한 효과를 내는지에 대해 이해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 강의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들이 그것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함이 목적이며, 더 나아가 전문적이면서도 유연한 교수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기악합주5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단소·소금실기1
부전공실기3
  • 여러 가지의 부전공실기를 두어서 각 개인의 실기를 연마하도록 하여 창작과 연주에 활용하도록 한다.
실내악1
  • 이상적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내악의 음악을 연구하며, 앙상블을 통하여 악곡을 연주하고, 실내악 연주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전공실기5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통연희실기1
창극실제.이론5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판소리고법및장단실기1
  • 판소리는 한 사람이 노래를 하면서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곁들여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1인 음악극의 한 형태이다. 북을 반주하는 고수는 흥을 돋구는 짧은 말인 추임새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소리의 반주 장단을 고법이라고도 하며 소리보다 고수를 먼저 칠 정도로 판소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음악사
  • 우리나라의 고대부터 현대까지 음악사를 알아본다. - 상고시대와 삼국시대 - 통일신라시대의 삼현삼죽 향악의 발달 -고려시대의 음악사 -조선시대의 음악사 -20세기 근대음악사
한국음악합주5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5,주제별연구1
  • 성악,작곡,음악학 전공자들이 3학년부터 전공별로 구분하되, 성악전공자들이 한국음악합창 Ⅴ,Ⅵ,Ⅶ,Ⅷ를 계속 이수하고, 작곡과 음악학전공자들은 네 학기를 작품론, 작가론, 비평론, 한국음악론 등 전공관련의 주제를 항목별로 접근하여 이론체계를 수립한다
국악교육프로그램개발
  • 본 교과목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교육을 실행할 때, 교육 대상과 교육 영역에 따른 효과적인 국악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계획,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역량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교육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국악교육프로그램 개발 원리와 방법을 이해한다.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국악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을 이해하고 직접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직접 계획·실습한다.
기악합주6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단소·소금실기2
부전공실기4
  • 여러 가지의 부전공실기를 두어서 각 개인의 실기를 연마하도록 하여 창작과 연주에 활용하도록 한다.
실내악2
  • 소규모 실내악 편성의 창작음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앙상블 능력을 신장시킨다.
연주.발표
  • 연주는 결국 무대에서의 행위이다. 좋은 연주가가 되기 위한 무대경험을 실제 훈련을 통하여 연마하게 하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청중에게 전달하는 연주기술을 무대를 통하여 익히며 경험하게 한다.
전공실기6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통연희실기2
창극실제.이론6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판소리고법및장단실기2
  • 판소리는 한 사람이 노래를 하면서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곁들여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1인 음악극의 한 형태이다. 북을 반주하는 고수는 흥을 돋구는 짧은 말인 추임새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소리의 반주 장단을 고법이라고도 하며 소리보다 고수를 먼저 칠 정도로 판소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음악합주6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6,주제별연구2
  • 성악,작곡,음악학 전공자들이 3학년부터 전공별로 구분하되, 성악전공자들이 한국음악합창 Ⅴ,Ⅵ,Ⅶ,Ⅷ를 계속 이수하고, 작곡과 음악학전공자들은 네 학기를 작품론, 작가론, 비평론, 한국음악론 등 전공관련의 주제를 항목별로 접근하여 이론체계를 수립한다

4 학년 교육과정

국외학기제인턴십
  • 본 교과목은 취업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들을 사전 경험함으로써 졸업 후 적성에 맞는 진로와 그에 따른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교와 협약을 맺은 기관에서 실무를 배우고 익히며, 그 기관으로부터 역량을 평가 받는다.
기악합주7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단소·소금실기3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 문화예술교육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현장 실습 교과이다.
실내악3
  • 이상적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내악의 음악을 연구하며, 앙상블을 통하여 악곡을 연주하고, 실내악 연주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공실기7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통연희실기3
졸업연주
  • 전공교육의 마지막 관문인 졸업연주를 통하여 지금까지 실기지도 및 연주.발표 학과목에서 배운 무대인으로서의 자질을 정리하고 장차 연주가로서 기틀을 다지는 학과목이다.
진로직업지도2
  • 3~4학년의 직업역량 강화 및 성공취업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목표 설정을 위한 개인별 상담과 진로 개발 능력 등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긍정적 마인드와 능동적 학업성취를 달성하도록 한다.
창극실제.이론7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판소리고법및장단실기3
  • 판소리는 한 사람이 노래를 하면서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곁들여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1인 음악극의 한 형태이다. 북을 반주하는 고수는 흥을 돋구는 짧은 말인 추임새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소리의 반주 장단을 고법이라고도 하며 소리보다 고수를 먼저 칠 정도로 판소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음악합주7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7,주제별연구3
  • 성악,작곡,음악학 전공자들이 3학년부터 전공별로 구분하되, 성악전공자들이 한국음악합창 Ⅴ,Ⅵ,Ⅶ,Ⅷ를 계속 이수하고, 작곡과 음악학전공자들은 네 학기를 작품론, 작가론, 비평론, 한국음악론 등 전공관련의 주제를 항목별로 접근하여 이론체계를 수립한다
기악합주8
  • 한국음악 관악 - 피리, 대금, 해금 과 아쟁, 타악 전공 학생들이 전통 음악 곡을 공부하는 수업으로 합주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하므로 전공 악기 연주력 향상은 물론 다른 악기 연주자 와 호흡하며 전통 악곡을 소화해내고 서로간의 역할을 이해하여 큰 음악을 만드는 과목이다.
단소·소금실기4
실내악4
  • 소규모 실내악 편성의 창작음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앙상블 능력을 신장시킨다.
전공실기8
  • 학생으로 하여금 매주 1회 개인교습을 하여 전공분야의 테크닉을 조직적이고 엄격하게 연마하며, 학년별로 올바른 문헌을 공부하고 창작하여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한다.
전통연희실기4
졸업연주
  • 전공교육의 마지막 관문인 졸업연주를 통하여 지금까지 실기지도 및 연주.발표 학과목에서 배운 무대인으로서의 자질을 정리하고 장차 연주가로서 기틀을 다지는 학과목이다.
창극실제.이론8
  • 성악 및 음악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형태인 창극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교과이다. 전공학습의 심화와 그의 응용을 통해 창극 형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기의 기술과 이론적 접근과 1902년 이후의 창극사를 학습한다.
판소리고법및장단실기4
  • 판소리는 한 사람이 노래를 하면서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곁들여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1인 음악극의 한 형태이다. 북을 반주하는 고수는 흥을 돋구는 짧은 말인 추임새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소리의 반주 장단을 고법이라고도 하며 소리보다 고수를 먼저 칠 정도로 판소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음악합주8
  • 한국음악의 다양한 연주형태와 문헌을 합주로서 음악적 합주력을 신장시키는 교과로서 역사적 문헌으로서 전통음악과 당대의 창작음악을 대상으로 놓고 현악과 관악과 타악, 그리고, 성악장르를 통합적인 연주형태로 학습하여 음악적 합주능력을 기른다.
한국음악합창8,주제별연구4
  • 성악,작곡,음악학 전공자들이 3학년부터 전공별로 구분하되, 성악전공자들이 한국음악합창 Ⅴ,Ⅵ,Ⅶ,Ⅷ를 계속 이수하고, 작곡과 음악학전공자들은 네 학기를 작품론, 작가론, 비평론, 한국음악론 등 전공관련의 주제를 항목별로 접근하여 이론체계를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