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목원대학교경영학부 글로벌비즈니스전공


DEPARTMENT OF GLOBAL BUSINESS

세계로 미래로 비상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양성

자격증 안내

무역영어 2급 이상

무역영어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시험을 말한다.
무역영어검정은 무역관련 영문서류의 작성·번역 등 영어구사 능력은 물론 무역실무지식을 평가한다.

  • 1급 : 4년제 대학 경상계열 졸업자로서 대기업의 무역실무관리 책임자로서 갖추어야 할 무역 실무 전반에 관한 지식
  • 2급 : 전문대학 및 경상계열 재학생으로서 기업의 무역실무자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
자격 특징
  • 무역실무능력과 관련된 자격증으로는 국가자격은 아직 없으며, 국가공인 민간자격인 ‘무역영어’와 민간자격인 ‘국제무역사’가 있다.
  • 무역영어 검정시험은 무역지식과 영어지식을 함께 평가하지만 무역관련 자격증으로 평가되고, 영어자격증 (예를 들어 토익, 토플 등)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무역영어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이며, 응시자격은 제한이 없다.

유통관리사 2급 이상

유통관리사란 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유통관리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유통관리사 자격의 등급은 1급, 2급, 3급이 있다.
2급과 3급은 자격제한이 없으나 1급은 만 7년 이상의 실무경력, 또는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만 5년 이상의 실무경력, 경영지도자로서 실무경력이 만 3년 이상인 자여야 한다.

자격 특징
  • 1급 : 유통업 경영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터득하고 경영계획의 입안과 종합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 및 중소유통업의 경영지도능력을 갖춘 자
  • 2급 : 유통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터득하고 관리업무 및 중소유통업 경영지도의 보조 업무 능력을 갖춘 자

유통관리사 자격증은 국가전문자격증이며, 응시자격은 제한이 없다.

관세사

관세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관세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다만 관세사 업무를 하려면 6개월 이상의 실무 수습을 마친 후 관세청장에게 등록하여야한다.

관세사 시험은 1차 시험과 2차 시험으로 이루어지며, 1차 시험은 객관식으로 2차시험은 논술형으로 실시된다.

자격 특징
  • 관세사는 화물의 주인인 화주로부터 위탁을 받아 수출입 통관 업무를 대행한다. 주로 무역관련 업무절차를 대행하거나 물류관련 연계서비스를 제공한다. 여러 나라와 FTA 체결됨에 따라 향후 관세사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망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 관세사는 무역영어 시험과목이 있으므로 공인회계사와 세무사의 경우와 같이 공인영어시험성적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공인회계사의 일정한 학점이수 조건도 요구하지 않는다.
  • 관세사는 세금의 일종이지만 세무사가 담당하지 않고 관세사가 담당한다.

관세사는 국가전문자격증으로 분류되며, 응시자격은 제한이 없다.

국제무역사

국제무역사 1급이란 한국무역협회에서 주관하는 국제무역사 1급 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한다. 국제무역사 1급 시험은 민간자격증으로, 무역관련 전문자격을 취득하는 자격증이 아니라 무역 업무능력을 검증하는 자격증이다.

국제무역사 1급 시험은 국내에서 유일한 무역실무능력 인정시험으로, 무역업계 종사자 및 예비무역인들의 객관적인 무역실무능력검증을 위한 시험이다.

자격 특징
  • 국제무역사 1급 자격시험은 “무역인력의 폭넓고 깊이 있는 무역실무 지식 함양”을 위하여 시행하는 자격시험이다.
  • 국제무역사는 국가자격증이 아닌 민간자격증이나 현재 국내에 무역인을 양성하기 위한 공인자격증이 없으므로 무역업계 진출을 위한 자격증으로는 거의 공인 자격증처럼 인정받고 있다.
  • 무역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시험으로 국제무역사 외에 무역영어가 있다. 국제무역사는 민간자격증이고 무역영어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이다.

국제무역사는 응시 제한이 없다.

물류관리사

물류관리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물류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국가물류비 절감을 위해 물류시설 확충과 함께 이를 합리적으로 운영·관리할 물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물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주요 업무
  • 물류관리사는 물류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원자재의 조달에서부터 물품의 생산, 보관, 포장, 가공, 유통에 이르기까지 물류가 이동되는 전체영역을 관리한다.
  • 물류관리사는 물류시스템 기획,물류정보시스템 개발, 물류기술개발, 물류센터 운영, 수배송 관리업무. 물류창고 및 자재·재고관리 업무, 물류컨설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물류관리사 응시자격은 제한이 없다.

CDCS(신용장분석전문가)

은행과 기업의 수출입 담당 부서, 유통, 무역업체 등의 상사에서 필요한 수출입신용장과 관련 전문가를 나타내는 국제자격증으로 정확한 명칭은 “국제공인신용장전문가(CDCS : The Certified Documentary Credit Specialist)”다.

국제공인신용전문가라는 말처럼 공인된 서류에 관련하여 해당 분야에 전문가 수준의 역량을 가지고 있는 인력임을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 자격증으로 IFSA와 IFS가 주관하며 1999년 처음으로 시행이 되었다. 현재는 IFS-BAFT-IFSA와 함께 운영이 되고 있으며, 국제상업회의소(ICC)를 통하여 공식적인 자격증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하고 있다.

CDCS는 수출과 수입에 필수적인 신용장관련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자격이기 때문에 해외거래가 빈번한 은행금융권, 무역회사, 국내 대기업 실무자, 대학 수험생 등 모두에게 유용한 자격증이다.

CITF(무역실무전문가)

국제상업회의소(ICC)와 공동으로 국제공인 신용장전문가​(CDCS) 시험을 주관하는 영국은행협회 산하 금융전문 교육기관인 LIBF가 신용장 중심의 외환 금융 실무시험인 CDCS와 동격으로 무신용장 중심의 외환 금융 실무시험으로 도입한 시험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은행 실무의 중요 분야 중 하나인 외환 업무와의 연관성이 높아 대부분의 은행에서 우대자격으로 인정하는 CDCS와 달리 CITF는 신생 자격증으로 무역학 전공자나 금융기관 취업희망자가 차별화를 위해 필요한 자격증이다.

정확한 명칭은 국제공인 무역전문가 (CITF : Certificate in International Trade and Finance)이며, 주관기관은 영국은행협회 산하 금융대학(The London Institute of Banking & Finance)이다.

CPI(수입전문가)

수입관리사(CPI : Certified Professional Importer)로 변경됨

수입관리사란 자격기본법 제 17조에 의거 등록된 민간자격증으로 비영리 사단법인 한국 수입협회에서 수입업무능력과 전문성을 검증하는 자격시험 합격자에게 부여한다.

수입관리사 자격은 수출과 차별화된 수입자의 관점에서 실무를 다룰 수 있는 역량의 입증이 주안점이며, 수입실무자로서는 물론 수입기업의 예비경영자로서의 역량을 입증해주시며 실제 수입업에 종사하는 기업인들의 경험과 현장 분위기를 반영한 생생한 학습 내용으로 실용성이 극대화 되었다.

수입관리사 자격 보유자는 수입업무와 관련된 기업이나 직무의 취업에서 우월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음. 수입기업 등 관련 기업들의 고용과정에서 우선적인 고려대상이 될 수 있고, 수입업무에 필요한 지식·기술·소양의 습득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 취업 시 상당히 유리하다.

원산지관리사

원산지관리사란 국제원산지정보원에서 시행하는 원산지관리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원산지관리사는 원산지인증수출자 제도상 원산지 관리 전담자로, 원산지충족여부확인·관리, 원산지증명서 발급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을 말한다.

자격특징
  • 원산지관리사는 자격기본법 제17조에 의거한 민간자격으로, 동법 제 19조에 의거하여 2012년 12월에 관세청으로부터 국가공인(재공인 관세청 제2018-1호)을 획득하였다.
  • 각종 FTA가 발효됨에 따라 정부는 원산지인증수출자 제도를 통해 체계적 원산지관리 및 검증대비를 위한 원산지관리전담자를 기업내에 두도록 하고 있다. 기업내부 원산지관리전담자가 관세청장이 인정하는 자격증을 갖춘 경우 원산지증명능력에 대한 심사를 생략할 수 있다.
  • 원산지관리사는 수출입관련 기업 현장에서 사업기획, 생산 및 구매전력, 원산지관리실무, 원산지 관리시스템 운영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