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커뮤니케이션학 박사(2012)
경력사항
경력: 한양대학교, 경기대학교, 인하대학교, 선문대학교, 백석대학교 등 외래교수, 남서울대학교 연구교수,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소비자학회 총무이사, 한국광고학회 홍보이사
수상경력
Convergence Award for Scholarly Achievements (ICCT2020), Best Paper Award (ICSMB2020), 우수논문상(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Best Paper Award (ICCT 2015), 우수논문상 (한국PR학회, 2012), 최우수논문상 (한국방송통신학회, 2010)
논문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25)
인스타그램 이용자 특성이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실재감 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24)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동기가 콘텐츠의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몰입경험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21)
Effect of Motivation on Usage of Hashtags on behaviors using Instagram(2020)
인스타그램에서의 해시태그 이용동기가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비교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19)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WeChat Use Intent: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2018)
The Influence of a Aspects of K-drama on the Favorability of Korean Wave Contents, Viewing Motiv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argeting Chinesse Consumers(2018)
SNS 이용행태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 페이스북과 중국 웨이신 이용자를 중심으로(2017)
SNS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 분석: SNS 애착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16)
Cognition Difference on Online Public Opinion Dissona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tizens: its Causes, Functions and Solutions(2015)
The Mediaing Effect of the Flow Experience: Causal Model Analysis on the Effect of Users' Awareness of SNS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of SNS(2015)
중국소비자의 그린기업 혜택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분석: 그린기업이미지 매개효과(2014)
중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용사례와 중국진출 기업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2013)
트위터 공간의 자정 행위자는 누구인가?: 트위터 이용자 속성과 이용행태 및 리트윗 행위 동기를 중심으로(2012)
A Study on the Utilization Model of Social Network Service in China(2012)
블로그 이용동기와 관여도 및 정치사회참여성향이 블로그 저널리즘적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국 네티즌을 대상으로(2010)
프로젝트
디지털 방송통신콘텐츠 아카이브 구축방안 연구(한국전파진흥원)
통신서비스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방안 연구(한국방송통신학회)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 사업성과 제고 방안(한국전파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방송통신위원회)
중국어 관광채널 설립 타당성 연구(문화체육관광부)
한류 콘텐츠의 중국 수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방송문화진흥회)